[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985B1 - Mode processing circuit - Google Patents

Mode process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985B1
KR950003985B1 KR1019870005907A KR870005907A KR950003985B1 KR 950003985 B1 KR950003985 B1 KR 950003985B1 KR 1019870005907 A KR1019870005907 A KR 1019870005907A KR 870005907 A KR870005907 A KR 870005907A KR 950003985 B1 KR950003985 B1 KR 95000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ransition
time
key
vt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00935A (en
Inventor
게이이찌로 시마다
유리꼬 기시다까
도루 미우라
고지 이와모또
겐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8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모드 처리 회로Mode processing circuit of electronic equipment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예의 계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 내지 제7도는 그 설명을 위한 도.2 to 7 are diagrams for explanation thereof.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메카니즘 제어부 2 : 모드 제어기1: mechanism control unit 2: mode controller

3 : 키-입력 수단 5 : 모드 표시 수단3: key-input means 5: mode display means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모드 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 processing circuit of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입력 지령에 의해 모드를 천이시키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천이 벡터표를 마련하고, 이 천이 벡터표에 따라 모드의 천이를 실행하므로서, 입력 지령의 처리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도록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ition vector table is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for shifting a mode by an input command from the outside, and the processing time of the input command is drastically shortened by executing the transition of the mode according to the transition vector table. will be.

VTR에는 재생 모드나 되감김 모드등의 각종 동작 모드가 있지만, 이들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나 핀치롤러의 온 오프등 메카니즘의 절환이 필요하다.The VTR has various operation modes such as a regeneration mode and a rewind mode. However, when changing these operation modes, it is necessary to switch mechanisms such as turning the brake and the pinch roller on and off.

이 메카니즘의 절환을 행하는 경우, 플런저를 사용하면, 그 절환은 거의 순간적으로 행할수가 있지만, 플런저를 사용하면 기동시에 상당한 대전류가 흐르고, 게다가 정상시에도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원 회로가 대형화 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이 크게 되어 버린다.When the plunger is used to switch this mechanism, the switching can be performed almost instantaneously. However, when the plunger is used, a considerable large current flows at start-up, and a current must be kept flowing even during normal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그래서, 플런저 대신에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어졌다. 즉, 모터를 사용하면, 기어를 병용하므로서 작은 모터라도 메카니즘의 절환에 필요한 만큼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또 소비전력을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 회로도 소형화할 수가 있다.Thus, it was conceivable to use a motor instead of a plunger. In other words, when a motor is used, even a small motor can obtain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he switching of the mechanism by using a gear together,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can be miniaturized.

그러나, 이와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메카니즘의 절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모드의 천이(절환)에 시간이 걸리며, 예를 들어However, when the mechanism is switched using the motor in this way, the transition (switching) of the mode takes time, for example

정지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에 약 2초About 2 seconds from stop mode to playback mode

재생 모드로부터 정지 모드에 약 1.5초About 1.5 seconds from playback mode to stop mode

정지 모드로부터 녹화 모드에 약 1.8초It is approximately 1.8 seconds from stop mode to recording mode

의 시간이 걸려 버린다.It takes time.

따라서, 제1조작키를 누르고 나서 다음에 제2조작키를 누를때에는, 그 제1조작키에 의한 모드의 천이가 종료할때까지 제2조작키의 조작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Therefore, the next time the second operation key is pressed after the first operation key is presse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key must be waited until the transition of the mode by the first operation key is completed.

그러나, 이래서는 사용 형편이 대단히 나쁘므로, 조작키의 입력을 스택하는 방법이 생각되어졌다.However, since use is very bad in this case, the method of stacking the input of an operation key was considered.

즉, 예를들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점 t1이전에는 VTR이 정지 모드에 있고, 시점 t1에 녹화키를 눌렀다 하자. 그러면 VTR(메가니즘)의 모드는 시점 t1에서 녹화 모드로 천이해간다That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before the time t 1 , the VTR is in the stop mode, and the recording key is pressed at the time t1. The mode of the VTR (mechanism) then transitions to the recording mode at time t1.

그리고, 이 천이중의 시점 2에, 예를들면 정지키를 눌렀다고 하면, 이 정지키는 천이후의 모드인 녹화모드에 대해 유효하므로 천이후에는 정지 모드가 되어야 할 것이 모드 스택에 기억된다.If the stop key is pressed at the time point 2 during this transition, for example, the stop key is valid for the recording mode which is a post-transition mode, so that the mode stack stores the stop mode after the transition.

그리고, 시점 t3로 천이가 종료되면, VTR은 녹화 모드로 들어가지만, 이때 모드 스택으로부터 시점 t2에 기억한 정지 모드의 지시가 취출되고, 이것이 실행으로 옮겨진다.When the transition ends at the time t 3 , the VTR enters the recording mode, but at this time, an instruction of the stop mode stored at the time t 2 is taken out from the mode stack, and this is transferred to execution.

따라서, 시점 t3로부터 VTR은 정지 모드로 천이해가고, 시점 t4부터 정지 모드가 된다. 또, 정지 모드중의 시점 t5에 포우즈키를 눌러도 정지모드에 대해 포우즈 모드는 의미가 없으므로 이는 실행되지 않는다.Thus, from the time point t 3 VTR to go cloth understood as stop mode, the stop mode from the time t 4. In addition, even if the poise key is pressed at the time t 5 during the stop mode, the poise mode has no meaning for the stop mode, and thus this is not executed.

따라서, 이 스택 방식에 의하면, VTR의 모드 천이가 종료할때까지 다음 조작키를 눌러서는 안된다(눌러도 무시된다)는 조작상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stacking metho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operational clutter that the next operation key must not be pressed (even if pressed) until the VTR mode transition is completed.

그러나, 상술한 스택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4에 정지키를 누르고 나서 계속하여 시점 ta에 포우즈키를 누르면 이 포우즈키는 천이후의 모드인 녹화 모드에 대해 유효하므로(녹화 모드일때 포우즈키를 누르면 녹화 포우즈 모드가 된다). 모드 스택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는 정지 모드에서 녹화 포우즈 모드로 갱신되어 버린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stacking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top key is pressed at time t 4 and then the poise key is continuously pressed at time ta, the poise key enters the recording mode which is the mode after the transition. It is valid for recording mode (pressing the Pose key when in recording mode enters the recording pose mode). The mode stored in the mode stack is updated from the stop mode to the recording pose mode.

따라서, 시점 t3부터 VTR은 녹화 포우즈 모드로 천이해가고, 시점 t4부터 녹화 포우즈 모드가 된다.그러나, 이는 정지키 및 포우즈키의 조작 순서가 같더라고 제6도의 경우와는 다른 동작 모드이다.Thus, going cloth understood as VTR is recorded Po Woods mode from the time t 3, is a recording Four Woods mode from the time t 4. Howev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in the case that gatdeo the operation order of the stop key and included woojeuki claim 6 degrees Mode.

즉, 모드 천이중에 복수의 유효한 조작키를 누르면 모드 스택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는 최후에 누른 조작키의 모드로 갱신되고, 그 이전에 누른 키는 모두 무시되어 버린다. 따라서, 조작키를 누르는 타이밍에 의해(모드의 천이중인지 천이후인지에 의해) 다른 동작 모드로 천이되어 버린다.That is, when a plurality of valid operation keys are pressed during the mode transition, the mode stored in the mode stack is updated to the mode of the operation key last pressed, and all previously pressed keys are ignored. Therefore, the timing changes when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whether or not the mode is transitioned or transitioned).

거기서, 이와 같은 스택 방식에 있어서 모드 스택을 다단 구성으로 하고, 입력된 모드를 차례로 스택해가고, 이를 차례로 실행되는 것도 실행되고 있다.In such a stacking system, a mode stack has a multi-stage configuration, stacks input modes in sequence, and executes them sequentially.

그러나, 이 다단 스택 방식에서는 모드 스택에 대해 무용 모드 제거를 행해 모드 스택중의 무의미한 모드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모드 제어용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는 동시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4비트의 비교 명령 밖에 없는 CPU로 8비트의 모드를 처리할 때는 더욱 심하다. 또RAM에 모드 스택용 영역이 필요하다.However, in this multi-stage stack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non-sense mode in the mode stack by eliminating the dance mode with respect to the mode stack, which makes the program of the mode control microcomputer complicated and takes time.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processing 8-bit modes with a CPU that only has 4-bit compare instructions. In addition, a mode stack area is required in RAM.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천이 벡터표를 구비하고, 이 천이 벡터표에 따라 모드 천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a transition vector table is provided and mode transi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transition vector table.

최소의 모드 천이수로 목적으로 하는 모드로 천이하고 있다.Transition to the desired mode with the minimum number of mode transitions.

제1도는 VTR의 모드 천이에 관련하는 하드웨어를 도시하고, (1)은 그 메카니즘 제어부로서, 이것은 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하는 로딩 모터(11)와, VTR(메카니즘)의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모터(12)와, 드럼 및 캡스턴의 서보 회로(13)를 가진다1 shows hardware related to the mode transition of the VTR, and (1) is a mechanism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mode of the loading motor 11 which performs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tape and the mode of the VTR (mechanism). It has a motor 12 and the servo circuit 13 of a drum and a capstan.

또, (2)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모드 제어기로서, 이 출력이 제어부(1)에 공급되어 각각의 동작 모드로 됨과 동시에 제어부(1)로부터 그 상태(모드)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기(2)로 공급된다In addition, (2) is a mode controller configured by a microcomputer, and this output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 to be in each operation mode, and a signal indicating the state (mode) from the controller 1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2. Is supplied with

또, (3)은 각각의 조작키를 가지는 키입력수단, (4)는 리모트 제어에 의해 VTR을 조작할때 그 리모트제어기로부터의 조작키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로서, 이들 회로(3,4)로부터의 키이 입력신호가 제어기(2)로 공급된다. 또, (5)는 모드 표시수단으로서, 이것은 제어기(2)의 출력에 의해 VTR의 모드를 표시한다.Further, reference numeral 3 denotes key input means having respective operation keys, and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receiving circuit which receives a signal of an operation key from the remote controller when operating the VTR by remote control. The key input signal from 4)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2. (5) is a mode display means, which indicates the mode of the VTR by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2.

또, 예를 들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모드 천이표 및 천이 벡터표가 제어기(2)를 구성하는 마이콤의 ROM내에 구비된다For example, a mode transition table and a transition vector table as shown in FIGS. 3 and 4 are provided in the ROM of the microcomputer constituting the controller 2.

그리고, 입력 수단(3)의 조작키 또는 리모큰의 제어기의 조작키를 누르면 이것이 제어기(2)에 의해 처리되고, 그 처리 결과가 제어부(1)에 공급되어 소정의 동작 모드가 되도록 제어부(1)가 제어됨은 물론 표시수단(5)에 의해 모드가 표시된다Then, when the operation key of the input means 3 or the opera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is pressed, it i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 and the control result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 so as to be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 Is controlled as well as the mode is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5).

제2도는 그 조작키의 키 입력에 대한 모드천이의 일예를 나타낸다.2 shows an example of mode transition for key input of the operation key.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In the following description,

현재 모드…그 시점에 있어서의 VTR(메카니즘)의 모드이고, 천이중은 그 천이앞의 모드이다.Current mode… The mode is the VTR (mechanism) at that point in time, and the transition is the mode before the transition.

최종 모드…그 시점에서 제어기(2)에 최후로 기억한 모드이고, 눌려진 조작키가 유효한가 어떤가는 이 최종 모드에 대해 유효한가 어떤가로 결정된다. 또, 표시수단(5)에는 그 최종 모드가 표시된다.Final mode… It is the mode last stored in the controller 2 at that point in tim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ssed operation key is valid for this final mode. The display means 5 also displays the final mode.

이다.그리고, 이들 현재모드 및 최종 모드를 기억하는 에리어가 제어기(2)를 구성하는 마이콤의 RAM내에 구비된다.An area for storing these current and last modes is provided in the RAM of the microcomputer constituting the controller 2.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시점 t1이전은, VTR은 정지 모드에 있으므로 당연한 것으로서, 현재 모드는 정지모드이고, 최종 모드 및 표시도 정지 모드이다.That is, in this example, before the time point t1, it is natural that the VTR is in the stop mode. The current mode is the stop mode, and the final mode and the display are also the stop mode.

그리고, 시점 t1에 재생키를 누르면 제3모에 도시하는 모드 천이표가 참조된다.When the playback key is pressed at the time point t1, the mode transition table shown in the third mode is referred to.

이 표는 조작키를 눌렀을때, 그 시점에 있어서의 최종 모드에 대하여 그 키입력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또 유효한 것으로 하려면 어느 모드에 천이해야 하는지를 도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점(t1)에는 최종 모드가 정지 모드인 동시에 재생키의 키입력이므로 동표에 의하면 재생 모드로 되어야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This table hits the operation key, whether the key input is a valid invalid with respect to the final mode, in that point, to be also effective to city if you need to transition to any mode, and is in the final mode, the time (t 1) Since it is a stop mode and a key input of a regeneration key, the same table shows that the regeneration mode should be entered.

그러나 시점(t1)으로부터 최종 모드 및 표시는 재생 모드로 된다 또 VTR(기구)은 정지 모드로부터 재생모드의 천이가 천이가 개시되는 동시에 현재모드도 재생 모드로 된다.However, from the time point t 1 , the final mode and the display become the regeneration mode. The VTR (mechanism) starts the transition from the stop mode to the regeneration mode, and the current mode also becomes the regeneration mode.

그리고 그 천이중의 시점(t4)에 정지키를 누르면 모드 천이표가 참조되며 이것에 의하면 최종 모드 및 표시는 정지 모드로 된다. 다만 VTR 자체는 시점(t1)의 키입력에 의한 재생모드(현재 모드)로의 천이를 속행하고 있다.And pressing the stop key on the time (t 4) during the transition, see the mode transition table is, according to this end mode and the display is in idle mode. However, the VTR itself continues the transition to the playback mode (the current mode) by key input at the time point t 1 .

더우기 이 천이중의 시점(t3)에 녹화키를 누르면 모드 천이표가 참조되며 이것에 의하면 녹화 모드로 천이해야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최종 모드 및 표시는 녹화 모드로 된다. 다만 VTR자체는 시점(t1)의 키입력에 의한 재생 모드로의 천이를 속행하고 있다.Furthermore, when the recording key is pressed at the time t3 during this transition, the mode transition table is referred to, and accordingly, the transition mode to the recording mode is shown, so that the final mode and the display become the recording mode. However, the VTR itself continues the transition to the playback mode by the key input at the time point t 1 .

그리고 시점(t4)에, 이 시점(t1)의 키입력에 의한 재생 모드로의 천이가 종료되면 제4도의 천이 벡터표가 참조된다. 이 표는 그 시점에 있어서의 현재 모드와 최종 모드로부터 VTR은 또 모드 천이해야 할지 어떨지, 또 모드 천이해야 할때는 어느 모드로 천이해야 할지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시점t4)에는 현재 모드가 재생 모드이며 최종 모드가 녹화 모드이므로, 또 재생포우즈 모드로 되어야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VTR은 시점(t4)로부터 재생 포우즈 모드로의 천이를 개시하며 현재 모드도 재생포우즈 모드로 변경된다.Then, at the time t 4 , when the transition to the playback mode by the key input at this time t 1 is finished, the transition vector table in FIG. 4 is referred to. This table shows whether the VTR should be transitioned from the current mode and the last mode at that time, and which mode should be transitioned when the mode is to be transitioned. In this case (time t 4 ), since the current mode is the playback mode and the final mode is the recording mode, it is shown that the playback pose mode should be set again. However, the VTR starts the transition to the playback pose mode from the time point t 4 and the current mode is also changed to the playback pose mode.

그리고 시점(t5)에 이 재생 포우즈 모드로의 천이가 종료되면 다시 천이 벡터표가 참조되며 이 경우에는 현재 모드가 재생 포우즈 모드이며 최종 모드가 녹화 모드이므로 다음에 녹화 포우즈 모드로 되어야 할 것이 도시되어 있다. 마라서 VTR은 시점(t5)으로부터 녹화 포우즈 모드로의 천이를 개시하며 현재 모드도녹화 포우즈 모드로 된다.When the transition to the playback pose mode ends at the time t5, the transition vector table is referred again. In this case, the current mode is playback pose mode and the final mode is the recording mode. Is shown. Thus, the VTR starts the transition from the time point t5 to the recording pose mode, and the current mode also becomes the recording pose mode.

또, 시점(t6)에 이 녹화 포우즈 모드로의 천이가 종료되면 다시 천이 벡터표가 참조되며 이 경우는 현재모드가 녹화 포우즈 모드이며, 최종 모드가 녹화 모드이므로 다음에 녹화 모드로 되어야 할 것이 도시되어있다. 따라서 VTR은 시점(t6)으로부터 녹화 모드로의 천이를 개시하며 현재 모드도 녹화 모드로 된다.When the transition to the recording pose mode ends at the time t 6 , the transition vector table is referred again. In this case, the current mode is the recording pose mode and the final mode is the recording mode. Is shown to do. Therefore, the VTR starts the transition from the time point t 6 to the recording mode, and the current mode also becomes the recording mode.

그리고 시점(t7)에, 이 녹화 모드로의 천이가 종로되면 천이 벡터표가 참조되며 이 경우는 현재 모드 및 최종 모드가 항께 녹화 모드로서 동등하므로 이것이상의 모드 천이는 행해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시점(t7)이후 VTR은 녹화 모드대로 된다At the time t 7 , when the transition to this recording mode is terminated, the transition vector table is referred to. In this case, since the current mode and the last mode are equivalent as the constant recording mode, this mode transition is not performed and thus the viewpoint ( After t 7 ), the VTR goes into recording mode

이상이 모드 천이의 한 예이지만 이것을 일반적인 알고리즘으로 표시하면 제5도와 같다.Although this is an example of the mode transition, this is shown in FIG.

즉, 이 알고리즘은, 모드 제어기(2)를 구성하는 마이큰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흐름도이기도 하다 그리고, 스텝(12)에 있어서 조작키에 의한 키입력의 유무가 체크되고, 키입력이 있을때는, 마이큰(제어기(2))의 처리는 스텝(21)에서 스텝(22)로 진행되고, 이 스텝(22)에 있어서, 스텝(21)에 의하여 체크된 키입력이 최종 모드에 대하여 유효인지 무효인지가 모드 천이표에 따라서 체크된다.That is, this algorithm is also a flowchart of a program executed by the microphone constituting the mode controller 2, and in step 12,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key input by the operation key is checked, and when there is a key input. The processing of the microphone (controller 2) proceeds from step 21 to step 22, in which the key input checked by step 21 is valid for the final mode. The invalidity is checked according to the mode transition table.

그리고, 스렙(22)에 의하여 키입력이 유효라고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22)에서 스텝(23)로 진행되고, 모드 천이표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제2도의 시점 t1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최종 모드 및 표시가 갱신된다.If the key input is judged to be valid by the thread 22,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22 to step 23, and according to the mode transition table, for example, as shown at the time point t1 in FIG. And the display are updated.

계속해서 처리는 스텝(23)에서 스텝(31)로 진행한다 또, 스텝(21)에 있어서 키입력이 없을때 및 스텝(22)에 있어서 키입력이 무효로 판단될때에는, 처리는 스텝(21),(22)로부터 스텝(31)로 진행한다.Processing continues from step 23 to step 31. When there is no key input in step 21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nput is invalid in step 22, the processing is step 21 ), A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22 to step 31.

그리고, 이 스텝(3l)에 있어서, 메카니즘(VTR)의 모드 천이가 천이중인지 종료하였는지가 체크되고, 천이중일때에는 처리는 스텝(3l)에서 스텝(21)으로 되돌아간다.In step 3l,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mode transition of the mechanism VTR is transitioning or ended, and when the transition is in progres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1 in step 3l.

따라서, 제2도에 있어서의 기간 t1내지 t4에는, 스텝(21 내지 23,31)이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Therefore, steps 21 to 23 and 31 are repeated in the periods t 1 to t 4 in FIG. 2.

그러나, 스텝(31)에 있어서는, 메카니즘의 천이가 종료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때에는, 처리는 스텝(31)에서 스텝(32)로 진행되고, 이 스텝(32)에 있어서는 현재 모드와 최종 모드가 동등한지 아닌지 체크되고, 동등하지 않을때에는, 처리는 스텝(32)에서 스텝(33)로 진행하고, 이 스텝(33)에 있어서, 천이 벡터표가 참조되어서 새로운 천이선이 경정되고, 현재 모드가 그 새로운 천이선으로 갱신된다.However, in step 3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ition of the mechanism has been complete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31 to step 32, and in this step 32, whether the current mode and the final mode are the same. If it is not checked and is not equal,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32 to step 33, in which the transition vector table is referenced to determine a new transition line, and the current mode is set to the new one. It is updated with transition lines.

계속해서, 처리는 스텝(33)에서 스텝(34)로 진행하고, 이 스텝(34)에 있어서, 스텝(33)에 의해서 갱신된 현재 모드에로 천이가 개시되고, 다음에 처리는 스텝(21)로 되돌아간다Subsequently,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33 to step 34. In this step 34, the transition to the current mode updated by step 33 is started,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 Back to

따라서, 제2도의 시점 t4,t5,1에 있어서는, 스텝(31 내지 34)의 처리가 행하여지게 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Therefore, at the time points t 4 , t 5 , 1 of FIG. 2, the processes of steps 31 to 34 are performed.

또, 스텝(32)에 있어서, 현재 모드와 최종 모드가 동등하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처리는 스텝(32)에서 스텝(21)로 되돌아간다.In step 3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de and the final mode are equivalent, the process returns from step 32 to step 21. FIG.

따라서, 시점 t7에는, 이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으로 된다.Therefore, at the time t 7, it is that the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이리하여 이상의 처리 루칭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2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모드가 천이하여 간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latching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 the mode changes.

그리고, 스텝(22)에 있어서의 키입력의 체크는, 모드 천이표를 사용치 않고, 조건 판단 명령에 의하여도 실행할 수 있다. 더우기, 상술에 있어서는, VTR의 경우이지만, 테이프 덱기, 비디오 데스크 플레이어, CD플레이어등 모드의 천이에 시간을 요하는 전자 기기라면 적용할 수 있다.The key input check in step 22 can also be executed by a condition determination command without using the mode transition table. 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case, although it is a case of VTR, it can apply if it is an electronic device which requires time to change modes, such as a tape deck, a video desk player, and a CD p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키를 몇개 눌러도, 천이해야 할 모드가 천이 벡터표에 의하여 최적화되기 때문에, 조작키를 누른 시점의 모드로부터 최소의 천이수를 목적으로 하는 모드에 천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e to be transitioned is optimized by the transition vector table even if a few operation keys are pressed, it is possible to transition from the mode at which the operation key is pressed to the mode for the minimum number of transitions.

또, 조작키의 받아들임이란 모드로 표시는, 키입력이 유효하면 즉시 실행됨과 동시에, 모드의 전이도 최소의 회수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유저에 천이의 느림을 느끼게 하는 일이 없고, 표면상, 천이 시간을 없게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in the mode of accepting an operation key is executed immediately when the key input is valid, and the transition of the mode is performed with a minimum number of times,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the slowness of the transition, and the transition on the surface You can run out of time.

더우기, 가베-지고 렉셩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어기(2)의 프로그램이 간단하게 됨과 동시에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또, 스택 에리어도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abe-Go-Rex is unnecessary, the program of the controller 2 is simplified and takes no time. In addition, the stack area becomes unnecessary.

그리고 어떠한 타이밍으로 조작키를 눌러도 최종의 모드는 동일하게 된다.The final mode is the same no matter which timing is pressed.

Claims (1)

전자기기의 모드의 천이 목적지를 표시하는 천이 벡터를 갖고, 입력 지령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의 최종적인 모드를 결정하고, 이 최종적인 모드와 천이후의 모드로부터 상기 천이 벡터표를 참조하여 새로운 천이 목적지의 모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모드로의 천이를 실행하여 상기 최종적인 모드에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모드 처리회로.A transition vector indicating a transition destination of the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final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put instruction, and the new transition destination is referenced by referring to the transition vector table from the final mode and the mode after the transition. The mode processing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of determining and to perform the transition to the determined mode to enter the final mode.
KR1019870005907A 1986-06-13 1987-06-11 Mode processing circuit Expired - Lifetime KR9500039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37996A JPH0831223B2 (en) 1986-06-13 1986-06-13 Electronic device and mode processing circuit of electronic device
JP137996 1986-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35A KR880000935A (en) 1988-03-30
KR950003985B1 true KR950003985B1 (en) 1995-04-21

Family

ID=1521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907A Expired - Lifetime KR950003985B1 (en) 1986-06-13 1987-06-11 Mode processing circui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31223B2 (en)
KR (1) KR950003985B1 (en)
CA (1) CA1275500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0244A1 (en) 2018-02-26 2019-08-28 GE Healthcare Co., Ltd. Non-slip cotton sanitary pa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4061A (en) * 1984-08-23 1986-03-18 Fuji Photo Film Co Ltd Auxiliary device for video tape recorder edi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0244A1 (en) 2018-02-26 2019-08-28 GE Healthcare Co., Ltd. Non-slip cotton sanitary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95241A (en) 1987-12-22
KR880000935A (en) 1988-03-30
JPH0831223B2 (en) 1996-03-27
CA1275500C (en) 199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985B1 (en) Mode processing circuit
KR950003986B1 (en) Mode processing circuit
EP0249466B1 (en) Mode changing of electronic apparatus
JP2002149205A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parameter output method of control device
JPH02206050A (en) Automatic tape search method
JPH11235468A (en) Method and device for restarting game
KR0139491B1 (en) Cassette player with electronic pocketbook functions
KR0150947B1 (en) Continuous search method and device that simplify key operation
JP2001346101A (en) Input switching device
KR0143893B1 (en) How to review the past mode of a tape recorder
KR100264806B1 (en) Magnetic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JP2000215002A (en) Unit and method for power-saving control
KR960003486B1 (en) How to Continue Playing the Laser Disc Player
JPH1131351A (en) Tray loading device
KR19980057232A (en) How the VCR Seeks Variable
JPH08772U (en) Video tape recorder
KR0144274B1 (en) A menu-selecting method of a washing machine
JP2556132B2 (en) Exchange processing start method
JPH05108315A (en) Information processor
JPH05168150A (en) Automatic power off unit and indicating method device therefor
JPS6139104A (en) Sequencer
JPH03164795A (en) Performance controlle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583990A (en) Digital controller for inverter
JPS62267968A (en) Record player
JPH0445318A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6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6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3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