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964Y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964Y1
KR950003964Y1 KR2019930007753U KR930007753U KR950003964Y1 KR 950003964 Y1 KR950003964 Y1 KR 950003964Y1 KR 2019930007753 U KR2019930007753 U KR 2019930007753U KR 930007753 U KR930007753 U KR 930007753U KR 950003964 Y1 KR950003964 Y1 KR 950003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
teeth
divided
brist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021U (ko
Inventor
경정엽
Original Assignee
경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정엽 filed Critical 경정엽
Priority to KR2019930007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964Y1/ko
Publication of KR940026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칫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칫솔머리부분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머리부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 칫솔의 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칫솔 10,10',10" : 머리부
13,14 : 삽입홈 15 : 힌지부
17 : 홈 20 : 판스프링
21 : 굴곡부 22,23 : 개구부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칫솔 머리부분이 치열에 맞게 움직이고 적당한 탄력으로 치아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칫솔의 머리부분은 거의 일직선을 이루고 있는데 실제 사용할때는 치열때문에 칫솔모의 상당부분이 치아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즉 치열의 굽어진 부분에 매우 작은 부분의 치모가 접촉될 뿐이고 나머지 부분의 칫솔모는 잘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치아와 치아사이의 잔유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칫솔을 세게 누르게 되어 이로 인해 치아의 돌출된 부분이 오히려 상하게 된다. 결국 전체적으로는 불충분한 양치질이 되고 시간이 길어지며 과도하게 눌린 칫솔모는 비스듬히 눕게 되어 양치질의 효과가 저하되며 칫솔의 수명도 단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열에 따라 칫솔머리부분이 변형되고 칫솔모 전체가 적당한 힘으로 치아에 충분히 접촉되어 접촉면을 극대화하고 치아와 치아사이도 용이하게 접촉되어 더욱 효과적인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크게 칫솔모를 갖는 머리부와 몸체로 나누어진다.
칫솔의 머리부가 분할되어 형성되며, 분할된 머리부는 다른 머리부를 연결하기 위한 돌기를 형성한 힌지부를 구비하고 분할된 또하나의 머리부는 힌지부의 돌기가 걸리도록 한 홈을 형성하며 분할된 머리부를 굴곡부를 갖는 판스프링에 의해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칫솔 머리부분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머리부(10)는 각각 분할되는데 분할된 하나의 머리부(10')는 바닥면에 칫솔모(2)를 구비하고, 상부면 좌측으로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돌기(16)를 구비한 힌지부(15)가 돌출되고 상기 분할된 또다른 머리부(10")는 바닥면에 칫솔모(2)를 구비하며 상부면 우측으로 삽입홈(14)이 형성되고 힌지부(15)의 돌기(16)가 삽입되도록 홈(1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삽입홈(13),(14)에,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가운데 부분에서 굴곡부(21)를 형성하고 좌측면과 우측면 양끝단에 개구부(22)(23)를 구비한 판스프링(20)을 삽입하도록 된 것으로, 판스프링(20)이 삽입홈(13)(14)에 끼워질때 삽입된 판스프링(20)이 칫솔의 머리부(10')(10")가 젖혀질 때의 탄력으로 이해 빠져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22)(23)는 삽입홈(13)(14)의 안쪽으로 도시하지 않은 작은 돌기에 걸리게 되어 젖혀질 때의 탄력으로 인한 판스프링(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머리부분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분할된 칫솔(1)의 머리부(10')(10")가 탄성력이 있는 판스프링(20)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적당한 탄성력으로 치열에 따라 칫솔(1)의 머리부(10')가 움직이게 된다. 사람의 치열은 안쪽 즉 어금니쪽은 치열의 휘어짐이 완만하나 치아사이가 깊고 반대로 앞쪽 즉 앞니쪽은 치열의 휘어짐이 크나 치아사이는 깊지 않아 칫솔(1)의 머리부(10')(10")는 어금니쪽에서는 거의 일직선으로 펴지고 탄성력도 커지므로 치아에 센힘으로 밀착되어 칫솔모(2)가 치아사이에 깊숙히 접촉된다. 반면 앞니쪽은 치아사이가 깊지않고 휘어짐이 칫솔(1)의 본래형태와 거의 일치하므로 휘어진 상태 그대로 접촉되고 판스프링(20)의 탄력도 매우적게 작용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칫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4도는 종래 즉, 통사의 칫솔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칫솔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칫솔은 거의 일직선으로 되어 있어 그 접촉면이 작으므로 자연히 힘을 주어 누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치아가 상하게 되며 칫솔의 수명도 단축되는 것이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치열에 맞게 칫솔(1)의 머리부(10')가 변형되어 칫솔모(2)의 많은 부분이 치아에 접촉하여 적절한 힘으로 눌러주므로 과도한 힘에 의해 치아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적은 회수의 칫솔질에도 매우 양호한 효가가 있게되어 양치질의 시간을 단축하며 칫솔의 수명기간도 자연히 연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강한 치아유지등 본래의 양치질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Claims (2)

  1. 칫솔(1)의 머리부(10)가 분할되어 형성되며, 분할된 머리부(10')는 다른 머리부(10")를 연결하기 위한 돌기(16)를 형성한 힌지부(15)를 구비하고, 분할된 또하나의 머리부(10")는 힌지부(15)의 돌기(16)가 걸리도록 한 홈(17)을 형성하며 분할된 머리부(10')(10")는 탄성력을 주기 위한 굴곡부(21)를 갖는 판스프링(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굴곡부(21)를 갖는 판스프링(20)의 분할된 머리부(10')(10")를 연결하기 위해 머리부(10')(10")에 삽입홈(13)(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19930007753U 1993-05-10 1993-05-10 칫솔 Expired - Fee Related KR950003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753U KR950003964Y1 (ko) 1993-05-10 1993-05-10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753U KR950003964Y1 (ko) 1993-05-10 1993-05-10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021U KR940026021U (ko) 1994-12-08
KR950003964Y1 true KR950003964Y1 (ko) 1995-05-18

Family

ID=1935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753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3964Y1 (ko) 1993-05-10 1993-05-10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9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021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844A (en) Toothbrush
US6505373B2 (en) Toothbrush
US4488328A (en) Floating head toothbrush
EP0769920B1 (en) Resiliently flexible bristle bearing head toothbrush
US5500975A (en) Toothbrush
US5898967A (en) Flexible toothbrush
EP1106103B1 (en) Hairbrush having a brush seat provided with slidable bristles thereto
EP0540658B1 (en) Twin-headed toothbrush
KR20000047379A (ko) 칫솔
US5694658A (en) Flexible toothbrush
EP0471312B1 (en) Toothbrush
KR950003964Y1 (ko) 칫솔
KR200197161Y1 (ko) 칫솔
KR20040077155A (ko) 잇몸보호 기능을 가지는 피넛 헤드 형태의 칫솔
KR100551239B1 (ko) 수동식 회전 칫솔
KR200205458Y1 (ko) 유동가능한 칫솔모를 가진 칫솔
JPH0919323A (ja) 歯ブラシ
KR200183330Y1 (ko) 세척홈을 가지는 치솔
KR200247596Y1 (ko) 맛사지 기능을 겸한 안전칫솔
KR100968599B1 (ko) 치솔
KR200225383Y1 (ko) 이중칫솔
US20050005380A1 (en) Expandable elastic toothbrush
KR960010619B1 (ko) 설솔
KR960006798Y1 (ko) 칫솔
KR19990022126U (ko)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5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10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