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611B1 -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 Google Patents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11B1
KR950003611B1 KR1019910002229A KR910002229A KR950003611B1 KR 950003611 B1 KR950003611 B1 KR 950003611B1 KR 1019910002229 A KR1019910002229 A KR 1019910002229A KR 910002229 A KR910002229 A KR 910002229A KR 950003611 B1 KR950003611 B1 KR 95000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ation
external
weight
formulation
p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328A (ko
Inventor
유다까 무라따
다까시 나루이
데쯔오 가네코
다께미쯔 아사오까
가쯔미 이마모리
아끼라 아와사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또 나오가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444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18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444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30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544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3113B2/ja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또 나오가따 filed Critical 에스에스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0Carbonates; Bi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08Oxides; Hydrox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제1도는 본 발명의 외용액제에 대한 시험예 1에서 수행한 유효성시험 결과를 나타내며, 여기서 접종 일수와 병변스코어 평균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연고제에 대한 시험예 1에서 수행한 유효성시험 결과를 나타내며, 여기서 접종일수와 병변스코어 평균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크림제제에 대한 시험예 1에서 수행한 유효성시험 결과를 나타내며, 여기서 접종일수와 병변 스코어 평균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피부자극을 저감시키며, 그의 효과가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며 생리적으로 안정한 외용제제에 관한 것이다.
진균류등에 대해 항진균 작용을 갖는 항진균 이미다졸 제제는 그의 광범위한 항진균 스펙트럼을 가지며, 임상적으로 거의 내성이 없기 때문에, 겔제 및 액제와 같은 제형으로 이미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통상의 시판 항진균 제제는 피부자극 및(또는) 안정성 때문에 충분히 만족할만 하지 못하였다,
예컨대, 액체는 흔히 알코올을 함유하기 때문에 알코올로 인한 피부작극을 갖는 결점을 갖는다.
또한, 겔제는 알코올 등을 함유하고 크림제제는 유화제 또는 보존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이들도 피부자극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항균작용을 향상시켜 치료기간이 짧고 적용횟수가 감소된 것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료효율을 최적, 예컨대 퍼짐성을 향상시키고, 양호한 방출성을 유지하고, 보유효과를 향상시키는 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외용제제는 제공되지 못하여 왔다.
그리하여, 피부자극이 낮으며 우수한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항진균 외용제제의 제공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활성성분으로 (E)-1-[2-메틸티오-1-[2-(펜틸옥시)페닐]에테닐]-1H-이미다졸·염산염과 외용제제 기재 물질이 결합된 염기성물질을 혼합하여 얻어진 외용제제가 피부자극이 낮고, 계속적으로 치료효과를 나타내며,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E)-1-[2-메틸티오-1-[2-(펜틸옥시)페닐]에테닐]-1H-이미다졸 염산염 0.1~5중량%; (b) 염기성물질 0.01~3중량%; 및 (c) 외용제제 기재로 구성된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용제제는 활성성분(a)으로서 (E)-1-[2-메틸티오-1-[2-(펜틸옥시)페닐]에테닐]-1H-이미다졸·염산염 및 염기성 물질이 상승효과를 나타내고, 그의 상응하는 외용제제가 결합되었기 때문에 약학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외용제제로서 재형화될때, 피부에 우수한 친화력과 퍼짐성을 갖고 그의 활성성분의 활성을 향상시키며, 활성성분의 방출을 조정한다. 따라서, 피부상의 보유성이 향상되고, 장시간에 걸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연고제로 제제될때, 활성성분을 기재중에 적당한 범위로 용해하고 액상오일 물질을 첨가함으로서 활성성분의 방출을 조절한다. 따라서 피부상의 보유성을 향상시키고 장시간에 걸쳐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크림제제는 활성성분의 활성도를 향상시키고, 활성성분이 기재중에 적당한 정도로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성분의 방출을 조절하고, 피부에서의 보유성을 증가시키고 장시간에 걸쳐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액상 오일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퍼짐성 및 피하 흡수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피부자극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는 피부자극을 저하시키고, 사용시 양호한 촉감을 부여하고 장시간에 거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며, 생리화학적으로 안정하다. 따라서 피부등의 외용 항진균 제제로서 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외용제제"란 일반적으로 외용액제, 연고제 및 크림제제와 같은 피부표면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외용제제중 활성성분(a)인 (E)-1-[2-메틸티오-1-[2-(펜틸옥시)페닐]에테닐]-1H-이미다졸·염산염(이하, "화합물 A"라고 칭함)은 박테리아, 진균등에 우수한 항균작용을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소 146864/1988). 화합물 A는 전조성에 대해 0.1~5중량%(이하, 단순 "%"라 함), 바람직하기로는 0.5~1.5%의 비율로 첨가된다.
한편, 성분(b)로서 염기성 물질의 예로서는 알킬아민류, 모노-, 디- 및 트리알킬아민류와 같은 유기아민류; 수산화 알칼리류 및 탄산 알칼리류와 같은 무기 알칼리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b)은 전조성에 대해 0.01~3%, 바람직하기로는 0.1~1%의 비율로 첨가된다.
성분(c)의 외용제제 기재는 본 발명의 시도하는 외용제제의 제제형태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외용약제의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전조성물에 대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액상 유상 물질을 각각 1~25%와 1~55%를 함유하는 액상제제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제제 기재중에 함유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가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POE)와 포화지방산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또는 POE와 포화지방족 알코올의 에테르형 계면활성제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POE모노라우레이트, POE모노스테아레이트, POE라우릴에테르, POE세틸에테르, POE수첨캐스터유동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전조성에 대해 2~15%의 비율로 첨가도니다. 액상오일 물질로는 실온에서 액상인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디에틸세바세이트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전조성에 대해 5~45%의 비율로 바람직하게 첨가된다. 또한, 외용액제의 기재는 전조성에 대해 5~80%, 바람직하기로는 30~70%의 비율로 에탄올과 함께 첨가된다.
연고제 형태의 외용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재로서 전조성에 대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유성연고 기재를 각각 2~5% 및 최소한 80%를 함유하는 연고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에 함유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아킬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수첨캐스터유,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POE올레일에테르, POE모노라우레이트, POE수첨캐스터유5, POE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전조성에 대해 2.5~3.5%의 비율로 바람직하게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유성 연고 기재로서는 (i) 황색연질파라핀, 백색연질파라핀, 파라핀, 액상파라핀, 폴리스티베이스 ZELEN50W 또는 실리콘과 같은 광유를 (ii) 디에틸세바세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중간사슬(medium chain) 지방산 트리글리 세라이드류 및 옥틸도데칸올로 부터 선택된 액상 오일 물질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유성 연고 기재는 바람직하기로는 90~95%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성분중, 액상 오일 물질(ii)은 전조성물에 대해 바람직하기로는 2~1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10%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연고 기재는 전조성에 대해 1~10%, 바람직하기로는 2~5%의 비율로 물과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로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또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를 디나트륨에데테이트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림제의 형태로 본 발명의 외용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조성에 대해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성물질 및 물을 각각 1~20%, 2~50% 및 40~90%의 비율로 함유하는 크림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림기재에 함유되어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알킬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 알킬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및 폴리옥시알킬렌수첨캐스터유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계면활성제; 및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류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 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세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POE수첨캐스터유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기로는 전조성에 대해 2~10%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유기 기재는 일반적인 크림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사용될 수 있는 유성물질의 예로서는 경질액상파라핀, 스쿠알렌, 백색연질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및 세레신과 같은 탄화수소류; 밀납, 경납 및 카나우바왁스와 같은 왁스류; 디에틸세바세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세틸팔미테이트 및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류; 스테아릴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2-헥실데칸올 및 세탄올과 같은 지방족 알코올류; 천연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중간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와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류;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및 미리스틴산과 같은 지방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 지방족 화합물로는 포화지방족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릴알코올, 백색 연질파라핀, 중간사슬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디에틸세바세이트, 옥틸도데칸올 및 스쿠알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은 60~80%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제는 제제형태에 적합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3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공지의 첨가제, 예컨대, 안정화제, 향료, 착색제, 현탁제등을 본 발명의 외용제제에 첨가할 수 있다. 특히 크림제제의 외용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1 또는 그 이상의 공지의 안정화제, 예컨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프로필갈레이트와 같은 산화방지제; 파라옥시 벤조산 에스테르 또는 데히드로 아세트산과 같은 방부제; 및(또는) 디나트륨에데테이트 또는 테트라나트륨 에데테이트와 같은 킬레이트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15g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10g
POE(10) 모노라우레이트 5g
트리에탄올아민 0.465g
에탄올 56g
정제수 100ml로 맞춤
화합물 A를 에탄올에 용해하고 디에틸세바세이트 및 POE(10) 모노라우레이트를 혼합했다. 적당량의 정제수에 트리에탄올 아민을 녹인 용액을 가했다. 그런다음, 정제수를 충분히 얻어 100ml로 맞춤으로서 외용액상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2]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30g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10g
POE(5.5) 세틸 에테르 5g
트리에탄올아민 0.465g
에탄올 35g
정제수 100ml로 맞춤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외용액상제제로 제조했다.
[실시예 3]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30g
POE(60) 수첨 캐스터유 5g
수산화나트륨 0.115g
에탄올 42g
정제수 100ml로 맞춤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외용액상제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4]
화합물 A 1g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g
POE(10) 모노라우레이트 10g
트리에탄올아민 0.465g
에탄올 56g
정제수 100ml로 맞춤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외용액상제제를 제조했다,
[비교예 1]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30g
POE(10) 모노올레에이트 5g
에탄올 42g
정제수 100ml로 맞춤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외용액상제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5]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5g
POE(5) 수첨 캐스터유 3g
수산화나트륨 0.14g
정제수 3.86g
BHT 0.05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5g
백색 연질 파라핀 86.9g
백색 연질 파라핀을 70~80℃로 용융시키고, 여기세 BHT를 녹였다. 한편, 실온에서 혼합한 다른 성분을 가했다. 생성 혼합물을 60~70℃로 교반하고 45℃까지 냉각하여 연고체를 얻었다.
[실시예 6]
화합물 A 1g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5g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3g
트리에탄올아민 0.044g
정제수 2.56g
BHT 0.05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5g
백색 연질 파라핀 87.9g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고제를 얻었다.
[실시예 7]
화합물 A 1g
중간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10g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3g
디에탄올아민 0.32g
정제수 2.68g
BHT 0.05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5g
백색 연질 파라핀 82.9g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고제를 얻었다.
[실시예 8]
화합물 A 1g
2-옥틸도데칸올 10g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3g
수산화칼륨 0.16g
정제수 2.84g
BHT 0.05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5g
백색 연질 파라핀 82.9g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고제를 얻었다.
[비교예 2]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5g
라우로마크로골 3g
수산화나트륨 0.12g
정제수 3.17g
BHT 0.02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2g
일본 약국방 마크로골 연골 87.67g
일본 약국방 마크로골 연고를 70~80℃에서 녹이고, 여기에 라우로 마크로골를 가했다. BHT,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및 디에틸세바세이트를 교반하면서 가한다음, 화합물 A를 가했다.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방치하여 40℃로 냉각시켜 연고제를 얻었다.
[비교예 3]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5g
세틸 락테이트 2g
라우로마크로골 3g
수산화나트륨 0.14g
정제수 3.46g
BHT 0.05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5g
일본 약국방 마크로골 연고 85.3g
비교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고제를 얻었다.
[비교예 4]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5g
프로필렌 글리콜 3g
라우로마크로골 3g
디에탄올아민 0.32g
정제수 2.68g
일본 약국방 마크로골 연고 85g
비교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고제를 얻었다.
[비교예 5]
화합물 A 1g
디에틸 세바세이트 5g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3g
정제수 3g
BHT 0.05g
다나트륨 에데테이트 0.05g
백색 연질 파라핀 87.9g
비교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고제를 얻었다.
[실시예 9]
화합물 A 1.0g
스테아릴 알코올 4.0g
백색 연질 파라핀 5.0g
중간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트 12.0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0g
POE(25) 세틸 에테르 2.0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2g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2g
트리에탄올아민 0.465g
정제수 100g으로 맞춤
유상성분을 60~70℃에서 용융하고, 여기에 정제수 일부분에 녹인 화합물 A를 교반하 가했다. 나머지 정제수에 다른 성분을 녹인 수용액을 첨가했다. 생성혼합물을 70~75℃에서 유화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크림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10]
화합물 A 1.0g
세탄올 5.0g
백색 연질 파라핀 6.0g
디에틸 세바세이트 12.0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4.0g
POE(25) 세틸 에테르 2.0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2g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2g
드리에탄올아민 0.465g
정제수 100g으로 맞춤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크림제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11]
화합물 A 1.0g
스테아릴 알코올 4.0g
백색 연질 파라핀 5.0g
2-옥틸도데칸올 15.0g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0g
POE(25)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3.0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2g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2g
수산화나트륨 0.115g
정제수 100g으로 맞춤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크림제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12]
화합물 A 1.0g
세탄올 5.0g
백색 연질 파라핀 6.0g
백색 밀납 2.0g
스쿠알렌 10.0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2g
POE(25) 세틸 에테르 1.8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2g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2g
트리에탄올아민 0.465g
정제수 100g으로 맞춤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크림제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13]
화합물 A 1.0g
세탄올 5.0g
백색 연질 파라핀 6.0g
중산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10.0g
디에틸 세바세이트 5.0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4.0g
POE(25) 세틸 에테르 2.0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2g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g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2g
트리에탄올아민 0.465g
정제수 100g으로 맞춤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크림제제를 제조했다.
[비교예 6]
화합물 A 1.0g
스테아릴 알코올 4.0g
백색 연질 파라핀 5.0g
올레인산 10.0g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0g
POE(25) 세틸 에테르 2.0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2g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g
프로필렌 글리콜 5.0g
디나트륨 에데테이드 0.02g
정제수 100g으로 맞춤
실시예 9와 윳한 방법으로 크림제제를 제조했다.
[시험예 1(효능시험)]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제의 백선균 감염처리시험을 다음 방법에 의해 수행했다.
각각의 기니아피그의 등의 4군데의 털을 깍고 이 부분에 모창 백선균 TIM M 1189균주의 균액을 접종했다. 균접종 후 5일째 부터 시험제제를 1일 1회 14일간 계속 적용했다.
병변 스코어를 다음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1 : 소수의 작은 홍반 및(또는) 홍반구진이 섬모양으로 퍼진상태로 관측되거나 병변이 회복되고 새로운 털이 성장하고 있음,
+2 : 홍반이 표피에 부닐되어 감연된 부분이 널리 퍼져있음.
+3 : 발적확장 및 종창과 같은 심각한 염증이 실질적인 크기로 발생한 것이 국부적으로 관찰됨.
+4 : 두꺼운 가피의 형상이 관찰됨
그 결과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냈다.
각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외용제제는 높은 유효성을 갖는다.
[시험예 2(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제의 피부자극 시험을 다음 방법에 수행했다.
시판용 반점 시험 반창고(토리이 앤드컴패니사제)의 조각을 각 시험제제로 도포하고 28~30의 정상 지원자의 중하부 등에 처치하였다. 반창고를 제거한지 1시간 및 24시간 경과후 제제로 도포한 부분에서 홍반의 정도(피부의 자극정도)를 관찰했다. 완화된 홍반과 현저한 홍반을 각각 ± 및 +로 하였다.
홍반의 정도는 전면적에 대한 홍반 발생 부분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상기 시험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요약했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표 3]
Figure kpo00003
각 표로부터 명백히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각 외용제제는 극히 낮은 피부자극성을 갖는다.
[시험예 3(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제중 안정성 시험을 다음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 각 외용제제를 40℃로 조절되는 항온조에 6개월간 저장하고 외양 및 활성성분의 함량(잔존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요약했다.
[표 4]
Figure kpo00004
외양변화중(-) 변화없음, (+) 약한 황변.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액제는 물성 및 활성성분 모두에 있어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시험예 4(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제중 연고제의 안정성 시험을 다음 방법에 의해 수행했다 : 각각의 연고제를 40℃로 조절되는 항온 조에 6개월간 저장하고 변색, 출액 및 활성성분의 함량(잔존율) 시험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요약했다.
[표 5]
Figure kpo00005
퇴색 : (-) 변화없음, (+) 약간 황변
출액 : (-) 출액없음, (+) 약간 출액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연고제는 변색 또는 출액이 전혀 없었고, 잔존성 성분도 실질적으로 변함이 없었다. 따라서, 이들은 안정한 것으로 인식된다.
[시험예 5(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제중 크림제제의 안정성 시험을 아래방법에 의해 수행했다 : 각 크림제를 45℃에서 조절되는 항온 조에서 6개월간 보관하고 변색, 분리 및 활성성분(잔존율)를 시험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Figure kpo00006
퇴색 : (-) 변화없음, (+) 약간 황변
분리 : (-) 분리없음, (+) 분리됨
표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크림제제는 변색이나 분리가 없었으며, 잔류활성성분도 실질적으로 변함이 없었다. 따라서 이들은 안정한 것으로 인식된다.

Claims (6)

  1. 다음성분 (a) (E)-1-[2-메틸티오-1-[2-(펜틸옥시)페닐]에테닐]-1H-이미다졸 염산염 0.1~5중량%; (b) 염기성물질 0.01~3중량%; 및 (c) 외용제제 기재로구성된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c)인 외용제제 기재가 비이온 계면활성제 1~25중량% 및 액상 유성물질 1~55중량%을 함유하고 외용액제의 제제형태인 것인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액상유성물질이 포화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인 제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과 포화지방산 사이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과 포화지방족 알코올 사이의 에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성분(c)인 외용제제 기재가 2~5중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80중량%의 유성연고 기재를 함유하고 연고제의 제제형태인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c)의 외용제제 기재가 1~20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50중량%의 유성물질 및 40~90중량%의 물을 함유하고 크림제제의 제제형태인 제제.
KR1019910002229A 1990-03-06 1991-02-09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Expired - Lifetime KR950003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444890A JPH07121862B2 (ja) 1990-03-06 1990-03-06 イミダゾール系抗真菌性軟膏剤
JP90-54449 1990-03-06
JP90-54447 1990-03-06
JP5444790A JPH07103028B2 (ja) 1990-03-06 1990-03-06 イミダゾール系抗真菌性外用液剤
JP90-54448 1990-03-06
JP2054449A JP2613113B2 (ja) 1990-03-06 1990-03-06 イミダゾール系抗真菌性クリーム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328A KR910016328A (ko) 1991-11-05
KR950003611B1 true KR950003611B1 (ko) 1995-04-17

Family

ID=2729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229A Expired - Lifetime KR950003611B1 (ko) 1990-03-06 1991-02-09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00908A (ko)
EP (1) EP0445540B1 (ko)
KR (1) KR950003611B1 (ko)
CA (1) CA2035758C (ko)
DE (1) DE69108964T2 (ko)
ES (1) ES2074178T3 (ko)
HK (1) HK1007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7367C2 (de) * 1992-11-05 1995-10-12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Fettsäureester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US5821237A (en) * 1995-06-07 1998-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visually improving skin
GB9810949D0 (en) * 1998-05-22 1998-07-22 Hewlett Healthcare Limited Formulation
GB2365770B (en) * 2000-08-18 2002-07-31 Diomed Dev Ltd Antifungal ketoconazole composition for topical use
JP2004083439A (ja) * 2002-08-23 2004-03-18 Ss Pharmaceut Co Ltd 爪用抗真菌外用剤
KR101250632B1 (ko) * 2006-02-22 2013-04-03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화 의약 조성물
WO2012011192A1 (ja) * 2010-07-23 2012-01-26 マルホ株式会社 タクロリムスを含有する水中油型クリーム状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0188A (en) * 1967-09-15 1969-11-12 Bayer Ag N-trityl-imidazoles and salts and uses thereof
US4237158A (en) * 1975-02-05 1980-12-02 Rohm And Haas Company 1-Substituted aralkyl imidazol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DE2808086A1 (de) * 1978-02-24 1979-08-30 Bayer Ag Substituierte diphenyl-imidazolyl- metha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4636520A (en) * 1984-07-16 1987-01-13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Antifungal composition employing pyrrolnitrin in combination with an imidazole compound
JPH0645604B2 (ja) * 1985-12-23 1994-06-15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イミダゾ−ル誘導体
GB8622900D0 (en) * 1986-09-23 1986-10-29 Shell Int Research Fungicidal compositions
DE3800094C2 (de) * 1987-01-14 1998-05-14 Ciba Geigy Ag Verfahren und hydrophobe Zubereitung zur Bekämpfung von Schnittwundparasiten bei Pflanzen
GB2208598A (en) * 1987-08-15 1989-04-12 Ciba Geigy Ag Antimicrobial preparations for external use
JP2581707B2 (ja) * 1987-10-02 1997-02-12 科研製薬株式会社 抗真菌剤組成物
GB8726110D0 (en) * 1987-11-06 1987-12-09 Shell Int Research Imidazole keto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00908A (en) 1992-03-31
KR910016328A (ko) 1991-11-05
ES2074178T3 (es) 1995-09-01
DE69108964D1 (de) 1995-05-24
HK1007104A1 (en) 1999-04-01
EP0445540B1 (en) 1995-04-19
CA2035758A1 (en) 1991-09-07
DE69108964T2 (de) 1995-12-14
EP0445540A1 (en) 1991-09-11
CA2035758C (en) 200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4101C1 (ru) Стабильные местнодействующие ретинои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US4056611A (en) Therapeutic composition
CA2166388C (en) Antifung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retentive in stratum corneum
NZ200232A (en) Skin-penetra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s microemulsion
EP0093186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acne
US4775678A (en) Clotrimazole cream
KR100423666B1 (ko) 항진균 외용 제제
KR950003611B1 (ko) 항진균 외용 이미다졸 제제
JP2937667B2 (ja) 尋常性ざ瘡用皮膚外用剤
KR20010071319A (ko) 미녹시딜 함유 외용 조성물
JPH0327532B2 (ko)
HK1007104B (en) Antimycotic external imidazole preparations
ZA200210076B (en) Antifungal ketoconazole composition for topical use.
JP2017186329A (ja) 皮膚色素沈着抑制剤
JP2613113B2 (ja) イミダゾール系抗真菌性クリーム製剤
JP3280712B2 (ja) 皮膚外用剤
JPH11279023A (ja) 外用組成物
JP7610359B2 (ja) 外用組成物
JP2023090338A (ja) 乳化組成物
JP2021187770A (ja) 外用剤
CN120225182A (zh) 内瑟顿综合征的联合治疗
JPH0832626B2 (ja) アズレン系抗炎症剤
AU200426468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avendustin
JPH07103028B2 (ja) イミダゾール系抗真菌性外用液剤
JP2021042201A (ja) 皮膚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3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