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295B1 -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95B1
KR950003295B1 KR1019890007979A KR890007979A KR950003295B1 KR 950003295 B1 KR950003295 B1 KR 950003295B1 KR 1019890007979 A KR1019890007979 A KR 1019890007979A KR 890007979 A KR890007979 A KR 890007979A KR 950003295 B1 KR950003295 B1 KR 95000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resin
plate
recess
strip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018A (ko
Inventor
노보루 우메모리
오사무 구우다
유끼오 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마쯔 도시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마쯔 도시히사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6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wound from profiled strips or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on or detail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16L13/00 - F16L23/00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91Tube making or r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82Coating
    • Y10T29/49986Subsequent to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85Tub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 2(a)도 내지 제 2(e)도 및 제 3도는 평판상의 스트립형 금속재를 나선형으로 굽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4도는 파형관의 외주면을 합성수지층으로 피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 5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은 파형관의 반단면도.
제 6도는 두개의 파형관을 연결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방향 반단면도.
제 7도는 파형관의 직선관을 연결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방향 반단면도.
제 8도는 벨마우스(bell mouth)와 파형관을 연결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띠판형 금속재 2 : 권출(券出)로울러
3 : 로울가공기 4 : 가열장치
5 : 운송수단 6 : 제1압출기
7 : 제2압출기 8 : 제3압출기
9 : 인수부 11,14,15 : 합성수지층
12 : 리세스부 13 : 돌출부
본 발명은 전력선, 전화선 등의 케이블을 배관시공할 경우에 사용되는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파형관의 제조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141387/1987호 공보에 양표면이 합성수지층으로 피복된 띠판형 금속재의 중앙부가 축선방향을 따라 굽혀지므로써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인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띠판을 나선형으로 굽힌 다음,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가장자리를 접합시키므로써 파형관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제조방법에서는 양 가장자리를 서로 접촉시키거나 서로를 겹치게 한 다음, 띠판형 금속재의 정면과 배면을 덮고 있는 합성수지층을 용융시킴으로써 단지 인접한 가장자리를 접합시켰기 때문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 가장자리들간을 강하게 연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힘이 축선방향으로 파형관에 부여되거나 굽힘력이 파형관에 부여될때, 이는 접합붕서 쉽게 파쇄된다.
또한 상기의 공보에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마주한 가장자리가 일반적으로 계합되도록 하는 후크(hook)의 형태로 굽혀지는 방법이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후크된 가장자리를 계합하는 작업이 곤란하고, 후크된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공정이 복잡하다.
한편 양표면이 합성수지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띠판형 금속재가 나선형으로 굽혀지는 경우에, 합성수지층이 두껍다면 상기 합성수지층이 띠판형 금속재의 표면으로 부터 박리되기 쉽거나 띠판을 굽히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파형관을 피복하는 합성수지층을 얇게 하는 것이 필요했으나 이는 내부식성이 불량하였다.
따라서 파형관이 땅속에 매설되는 경우, 지하수에 의하여 파형관의 외표면이 쉽게 부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식성, 가요성이 우수하고 관의 축방향으로 인장력과 굽힘력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파형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제 1발명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로 되어 있는 파형관으로서, 상기 띠판이 제 1합성수지층으로 전체가 피복되며 띠판의 종방향 중심부에서의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 리세스이고 양 가장자리에 링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링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접 가장자리의 결합부의 외주에 제 2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4합성수지층이 리세스부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이 제공된다.
본원의 제 2발명에서, 양 표면이 합성수지층으로 피복된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파형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띠판형 금속재를 복수쌍의 상하 로울러사이에 통과시켜 띠판의 종방향 중심부에서의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인 리세스부와 띠판의 양가장자리에 링상 돌출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띠판을 한쌍의 제어 로울러, 제 1굽힘로울러 및 제 2굽힘로울러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므로써, 리세스가 외측으로 향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을 형성하는 단계 ; 운송수단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을 전진, 회전시키고 그 동안에 제 1압출기로부터 띠판의 리세스부의 뒷쪽으로 용융수지를 압출하고, 동시에 리세스부의 뒷쪽에 용융수지의 표면을 압압로울러로써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 및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가장자리를 접합시키고, 제 2압출기에서 압출된 용융수지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인접가장자리의 외주면을 피복시키고, 압압로울러로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고, 수지층이 제 2압출기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인접한 가장자리의 외주부와 리세스부의 외표면을 제 3압출기에 의하여 용융수지를 피복하고, 압압로울러로써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원의 제 3발명에서, 파형관을 제조하고 양표면이 합성수지층으로 피복된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를 굽히는 굽힘수단,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을 전진, 회전시키는 운송수단, 용융수지공급용 제 2및 3압출기 및 각각의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를 가압하는 제 1,2 및 3압압로울러를 구성하는 파형관 제조장치를 제공되며, 여기서 굽힘수단이 띠판의 종방향의 중심부에서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인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띠판의 양 가장자리에 링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띠판을 굽히는데 적당한 다수쌍의 상하 로울러, 한쌍의 상하 제어 로울러, 그리고 조합하여 리세스부가 외측으로 향하는 나선형으로 띠판을 굽히고 지지하는 제 1및 제 2굽힘로울러를 구비하고, 제 1압출기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뒷쪽으로 용융수지를 압출하고 부여하며, 제 1압압로울러는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여 리세스의 뒷쪽에 용융수지를 접착시키며,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여 리세스의 뒷쪽에 용융수지를 접착시키며, 운송수단은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한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 띠판은 전진하며, 제 2압출기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 가장 자리의 외주면상에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며, 제 2압압로울러는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고, 제 3압출기는 리세스부의 외표면과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 가장자리의 외주부상에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며, 그리고 제 3압압로울러로는 리세스와 인접 가장자리상의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에서 도면부호 1은 강, 스테인레스강 등의 연신(延伸)금속판(10) 및 금속제판의 정면과 배면에 피복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비닐콜로라이드 등으로 된 합성수지층(11)을 구성하는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를 나타낸다.
합성수지층(11)과 금속제판(10)의 두께를 파형관 P의 직경과 사용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경이 150mm-200mm인 파형관을 준비할때, 폭이 80mm이고 두께가 0.2mm-1mm인 연신 금속판과 두께가 0.1mm-0.5mm인 합성수지층(11)을 구성하는 띠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띠판(1)는 권출(卷出)로울러(2)에서 권출되고 로울가공기(3)에 공급되고 띠판(1)의 양 가장자리는 한쌍의 로울러(30)에 의하여 제어된다. 로울가공기(3)는 다수쌍의 상하로울러(31-36)로 되어 있다. 따판(1)가 상기 로울러(31-36)사이를 통과할때,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1)가 점차로 굽혀짐으로써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인 리세스부(12)가 띠판(1)의 종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동시에 띠판의 양가장자리는 원형으로 굽혀져서 링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된다.
제 2(a)도 내지 제 2(e)도는 일련의 굽힘작업을 나타낸다. 쌍을 이루는 플레이트로울러(31)사이를 띠판(1)가 통과하기 전에, 이 띠판(1)는 제 2(a)도에서와 같이 평판상이다. 한편 플레이트 로울러(31)의 하부측에 있는 각쌍의 로울러에서, 상부 로울러는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갖고 하부 로울러는 오목한 형태의 곡면을 갖는다.
일련의 상하 로울러의 곡면의 변화는 띠판(1)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점차로 증가한다. 따라서 띠판(1)가 쌍을 이룬 상하로울러(32a,32b,34a,34b 및 36a,36b)사이를 통과할때, 제2b-2d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띠판(1)는 점차로 굽혀지며, 결국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인 리세스부(12)가 띠판의 종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그리고 동시에 링상의 돌출부(13)가 제 2e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의 양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의 돌출부(13)가 항상 완전히 밀폐된 링상일 필요는 없으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 링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에 띠판(1)가 한쌍의 상하 제어로울러(37a, 37b)사이를 통과하며, 이어서 띠판이 소정의 곡률로 굽혀지는 제 1굽힘 로울러(38)와 제 2굽힘 로울러(39)사이를 통과하므로써, 띠판은 리세스부(12)외측으로 향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띠판(1)의 곡률은 제 1및 제 2의 굽힘 로울러(38,39)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성형단계에서 로울러(31-39)는 구동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는 수평으로 배치된 운송수단(5)과 이 운송수단(5)의 하부에 배치된 다수의 운송 로울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이 전방으로 운송된다. 운송수단(5)은 축(51) 및 소정의 간격으로 축에 부착된 다수의 안내로울러(52)를 각각 구성하는 한쌍의 수평배치인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고, 축은 구동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며, 따라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의 리세스부에 있는 안내로울러(52)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안내로울러(52)간의 간격은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의 리세스부의 간격의 변화에 부합되게 변경될 수 있다.
띠판(1)의 운송방향을 따라 차례로 가열장치(4), 제 1압출기(6), 제 2압출기(7), 제 3압출기(8), 인수부(9)가 구비된다.
수지피복라인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은 띠판 전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4)에 놓인다. 가열장치(4)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이 50℃-80℃의 온도로 가열되는 한, 전기 가열기, 가스버너 또는 기타의 적당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이 가열장치(4)로부터 배출될때, 열풍블로우어(41)를 사용하여 띠판(1)의 리세스부(12)의 외주에 열풍을 블로우잉하여 90℃-130℃의 온도로 국부적으로 가열한다. 다음에 제 1압출기로 부터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뒷쪽, 즉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내방으로 돌출한 내주부로 용융수지를 압출하여 용융수지가 리세스부(12)의 뒷쪽에 놓이도록 하고, 제 1압압로울러(56)에 의하여 용융수지의 표면이 가압되도록 한다. 압압로울러(56)의 외주면은 리세스부(12)의 내주면과 거의 동일한 원뿔형의 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제 1압압로울러(56)에 의하여 가압된 용융수지는 리세스부(12)가 뒷쪽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소정두께의 합성수지층(14)이 연속으로 형성된다.
수지의 피복단계에서, 용융수지가 공간을 통하여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운송수단(5)의 안내로울러들(52)간의 간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공간을 통하여 제 1압출기(6)로부터 리세스부(12)의 뒷쪽으로 압출된 용융수지를 도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음에 냉풍블로우어(6A)를 사용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의 외주면에 냉풍을 블로우잉하여 띠판을 약 70℃로 냉각시키므로써 합성 수지층(14)을 소정의 정도로 경화시킨다. 한편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송 수단(5)에 의하여 지지되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의 인접한 가장자리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의 인접한 가장자리의 접촉은 안내 로울러의 거리가 점차 작아지도록 배치된 안내 로울러(52)에 의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파형의 외주면을 갖는 관을 얻을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열풍블로우어(42)에 의하여 관의 인접한 가장자리부의 외주면에 열풍을 블로잉하여 약 90℃로 가열한 다음, 제 2압출기(7)를 통하여 압출된 용융수지를 인접 가장자리의 외주부에 도입한 후, 제 2압압로울러(57)를 사용하여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한다. 계속하여 냉풍블로우어(7A)를 사용하여 관의 외주면에 냉풍을 블로우잉하여 용융수지를 50℃-65℃의 온도로 냉각시키므로써,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1)의 인접 가장자리는 용융수지를 경화시키므로써 얻은 합성수지층(15)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열풍블로우어(43)을 사용하여 관의 외주면에 열풍을 블로우잉하여 70℃-90℃의 온도로 가열한다. 다음에 용융수지를 제 3압출기(8)로부터 압출하여 용융수지로 외주면을 피복한다. 이 경우에 용융수지를 평판상의 노즐을 갖는 압출기(8)로 부터 평판상으로 압출함으로써, 파형관을 따라 형성된 단일 리세스부(12) 리세스부(12)양측의 지지부는 제 4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용융수지에 동시에 피복된다. 다음에 제 3압압로울러(58)로 용융수지를 가압하여 용융수지를 리세스부(12)주위의 외주면에 접착시킨 후, 가장자리부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용융수지를 제 4압압로울러로 가압하고, 계속하여 냉풍블로우어(8A)로써 관의 외주면에 냉풍을 블로우잉하므로써 용융수지를 경화시킨다.
제 1도에서, 운송수단(5)의 축(51)에 제 4압압로울러(59)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제 4압압로울러(59)는 운송수단(5)에 무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주면의 전체가 합성수지층(16)으로 피복되어 있는 파형관 P가 형성되고, 이것은 인수부(9)로 전진학 된다.
전술한 성형단계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외경은 다음과 같이 조절된다. 즉 센서(50)가 가열장치(4)와 열풍블로우어(41)사이에 배치되어 관의 외경의 크기를 감지한다.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측정된 값이 평균치로 제어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입력되어 평균치와 제어장치에 미리 입력된 소정치가 비교되며 이들간의 차이값이 얻어진다. 운송수단(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평균치와 소정치간의 차이를 제거하므로써 소망하는 외경을 갖는 파형관 P를 제조할 수 있다. 파형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피복하는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비닐클로오라이드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제 6도는 본 발명의 파형관 P1, PW를 연결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제 6도에서 도면부호 P1,P2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파형관이며, 도면부호 66은 파형관 P1,P2의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된 플랜지(67)를 굽힌 단관이다. 단관(66)의 양 외주면을 덮도록 패킹(71)이 구비되며, 이 패킹(71)의 외주면상에 관상의 보디(body)(70)가 구비되어 있다. 관상의 보디(70)는 볼트(72)와 너트(73)로 연결되는 두개의 반실린더형 보디를 구성한다. 플랜지(74)는 관상보디(70)의 양말단에 각각 구비되어 내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74)는 파형관 P1,P2의 리세스부(63)에 끼워져 있어 파형관 P1,P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65는 실리콘 수지 등의 밀봉부재이며, 도면부호 64는 파형관의 리지이다.
제 7도는 파형관 P와 직선관을 연결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제 7도에서 파형관은 리지부(81)와 리세스부(82)를갖는다. 도면부호(83)은 리세스부에 끼워져 파형관 P의 안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나 플라스틱재의 밀봉블럭이며, 도면부호 84는 실린더형 밀봉패킹이며, 도면부호 85는 볼트와 너트로 연결되는 두개의 반실린더형 보디를 구성하는 실린더형 보디이다. 환상의 고무패킹(88)은 파형관 P에 연결되는 직선관(87)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파형관의 리지부(81)의 외경이 고무패킹(88)의 외경과 동일하게 된다.
다음에 실린더형 밀봉패킹(84)를 파형관 P과 직선관(87)을 건너지르도록 위치시킨 후, 두개의 반실린더형 보디(85)를 서로 고정하여 실린더형 밀봉패킹(84)를 덮는다.
제 8도는 벨마우스(90)와 파형관 P를 연결하는 일예이다. 제 8도에서 도면부호 110은 개구부(111)를 갖는 맨홀이다. 모르타르(112)를 사용하여 나선형 리지를 갖는 파형관 P의 한쪽 끝을 맨홀(110)과 연결한다.
벨마우스(90)는 파형관 P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선형 관부(91), 외경이 파형관의 외경보다 큰 깔대기형의 넓어지는 개구부(92), 파형관 P의 나선형부에 끼워진 단일의 나선형 돌출부 및 파형관 P의 나선형부에 끼워진 또 다른 단일의 나선형부(95)로 구성되어 있다. 벨마우스(90)를 돌려서 나선형부(93 및 95)를 파형관 P의 대응 나선형부에 체결하므로써 벨마우스(90)와 파형관 P을 체결할 수 있다. 벨마우스(90)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있는 캠(120)은 벨마우스(9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하부 실린더형 보디(cylindrical body)이며, 환상의 돌출부(121)는 벨마우스(90)의 내벽에 한쌍의 패킹(124)을 고정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23)는 벨마우스(90)의 나선형 돌출부(93)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122)는 외방으로 확장하는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고 벨마우스의 넓어지는 개구부(92)와 접촉하고 있다. 캠(120)을 벨마우스(90)에 넣고 돌려서 돌출부(123)와 벨마우스(90)의 나선형 돌출부(93)를 체결함에 의해 캠(120)은 견고히 벨마우스(90)와 체결되어 진다. 그러나 돌출부(123)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형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르면,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는 나선형으로 굽혀지고,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한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게 된 후, 인접한 가장자리의 외주면이 용융수지로 피복된다. 이 경우에 링상의 돌출부가 띠판의 양가장자리에서 형성되도록 더욱 강력한 연결이 합성수지층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인장력이 축방향으로 파형관에 가해지거나 굽힘력이 가해질때도, 접합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띠판의 양 가장자리의 링상의 돌출부는 관을 펼때 야기되는 힘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형관이 지하에 배선될때, 관은 저습지에서 파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파형관에서 띠판형 금속재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후, 파형관의 외주면은 합성수지층을 피복된다. 따라서 외주면은 내부식성 합성수지층으로 전체가 피복된다. 결국 파형관은 부식을 초래하는 지하수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다.
합성수지층으로 피복된 내주면은 전력선, 전화선 등을 파형관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관과 케이블관의 마찰의 감소하고 내마모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내주면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내부식성과 가요성이 우수하고 굽힘력과 인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파형관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나선형으로 권취된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1)로 되어 있는 파형관으로서, 상기 띠판이 제 1합성수지층(11)으로 전체가 피복되며 띠판의 종방향 중심부에서의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 리세스이고 양 가장자리에 링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링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접 가장자리의 결합부의 외주에 제 2합성수지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3합성수지층(14)이 리세스부(12)의 뒷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4합성수지층(16)이 리세스부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2. 양표면이 합성수지층(11)으로 피복된 띠판형 금속재(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파형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띠판형 금속재(1)를 다수쌍의 상하 로울러(31-36)에 통과시켜 띠판의 종방향 중심부에서의 단면형상의 거의 U자형인 리세스부(12)와 띠판의 양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링상 돌출부(13)를 형성시키며, 상기 띠판을 한쌍의 제어 로울러(30), 제 1굽힘 로울러(38) 및 제 2굽힘 로울러(39)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므로써, 리세스가 외측으로 향한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운송수단(5)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을 전지, 회전시키고 그 동안에 제 1압출기(6)로부터 띠판의 리세스부의 뒷쪽으로 용융수지를 압출하고, 동시에 리세스부(12)의 뒷쪽에 용융수지의 표면을 압압로울러(56)로써 가압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와,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 가장 자리를 접합시키고, 서로 접촉하고 있는 인접 가장자리의 외주면을 제 2압출기(7)에서 압출된 용융수지로 피복시키고, 압압로울러(57)로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는 단계와, 수지층이 제 2압출기(7)에 의햐여 형성되어 있는 인접한 가장지리의 외주부와 리세스부(12)의 외표면을 제 3압출기(8)에 의하여 용융수지를 피복하고, 압압로울러(58)로써 융용수지의 표면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제조방법.
  3. 파형관을 제조하고 양표면이 합성수지층으로 피복된 평판상의 띠판형 금속재를 굽히는 굽힘수단(38,39),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을 전진, 회전시키는 운송수단(5), 용융수지공급용 제 1,2및 3압출기(6,7,8)및 각각의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용융수지를 가압하는 제 1,2,3 및 4압압로울러(56,57,58,59)를 구성하는 파형관 제조장치로서, 굽힘수단이 띠판의 종방향의 중심부에서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인 리세스부(12)가 형성되고 띠판의 양 가장자리에 링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되도록 띠판을 굽히는데 적당한 다수쌍의 상하 로울러(31-36), 한쌍의 상하 제어 로울러(37), 그리고 조합하여 리세스부가 외측으로 향하는 나선형으로 띠판을 굽히는 지지하는 제 1및 제 2 굽힘 로울러(38,39)를 구비하고, 제 1압출기(6)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뒷쪽으로 용융수지를 압출하고 피복하며, 제 1압압로울러(56)는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여 리세스의 뒷쪽에 용융수지를 접착시키며, 운송수단(5)은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한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 띠판(1)는 전진하며, 제 2압출기(7)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 가장지라의 외주면상에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며, 제 2압압로울러(57)는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고, 제 3 압출기(8)는 리세스부(12)의 외주면과 나선형으로 권취된 띠판의 인접 가장자리의 외주부상에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며, 그리고 제 3및 제4 압압로울러(58,59)가 리세스와 인접 가장자리상의 용융수지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제조방법.
KR1019890007979A 1988-07-05 1989-06-09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950003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67534 1988-07-05
JP63167534A JP2767427B2 (ja) 1988-07-05 1988-07-05 コルゲート管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18A KR900002018A (ko) 1990-02-28
KR950003295B1 true KR950003295B1 (ko) 1995-04-10

Family

ID=1585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979A KR950003295B1 (ko) 1988-07-05 1989-06-09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4976289A (ko)
EP (1) EP0349778B1 (ko)
JP (1) JP2767427B2 (ko)
KR (1) KR950003295B1 (ko)
CN (1) CN1017278B (ko)
AU (1) AU617818B2 (ko)
DE (1) DE689124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194B2 (ja) * 1988-11-26 1996-10-16 史朗 金尾 耐圧螺旋波形管
JPH02179213A (ja) * 1988-12-27 1990-07-12 Shiro Kanao 耐圧螺旋波形管
US5193588A (en) * 1988-12-27 1993-03-16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JPH02176291A (ja) * 1988-12-27 1990-07-09 Shiro Kanao 耐圧螺旋波形管
US5492151A (en) * 1993-09-10 1996-02-20 Dayco Products, Inc. Vacuum cleaner hos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5485870A (en) * 1994-12-05 1996-01-23 Kraik; Newell P. Wire wrapped composite spiral hose and method
DE29604824U1 (de) * 1996-03-15 1996-05-30 Gebr. Meibes Zeitspar-Armaturen für Heiztechnik GmbH, 30938 Burgwedel Rohrleitungssystem für Zentralheizungen
US5971033A (en) * 1996-04-12 1999-10-26 Lanz; Werner Profiled tube, corrugated hose or the like elongate portion with mutually parallel peripheral grooves
GB9714187D0 (en) * 1997-07-05 1997-09-10 Eagle Picher Fluid Syst Ltd Pipe retainer
US6206050B1 (en) 1999-03-31 2001-03-27 Certainteed Corporation Hose used to install loose fill insulation
US6581984B1 (en) * 1999-09-27 2003-06-24 Seongho Csp, Ltd. Corrugated spiral pipe wit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20010006712A1 (en) * 1999-12-27 2001-07-05 Motoshige Hibino Hose of impermeability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54133B2 (ja) * 2000-10-02 2010-04-21 ヤンマー株式会社 野菜移植機
US6524722B2 (en) * 2001-03-15 2003-02-25 Contech Technologies, Inc. Corrugated structural metal plate
US6648022B2 (en) 2001-09-21 2003-11-18 Certainteed Corporation Loose-fill insulation dispensing apparatus including spiked conduit liner
US6401757B1 (en) * 2001-11-26 2002-06-11 Certainteed Corporation Loose-fill insulation dispensing apparatus including mesh conduit liner
US7121591B2 (en) * 2002-11-08 2006-10-17 Hose Master, Inc. Flexible metal hos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50062288A1 (en) * 2003-09-18 2005-03-24 Luigi Alaria Thread Spacer
US20050211326A1 (en) * 2004-03-29 2005-09-29 Motoshige Hibino Composite hose with a corrugated metal tub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80245434A1 (en) * 2005-03-28 2008-10-09 Motoshige Hibino Composite Hose with a Corrugated Metal Tub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284573B2 (en) 2005-05-24 2007-10-23 Certainteed Corporation Hose for installing loose fill insulation
CN100354107C (zh) * 2005-10-09 2007-12-12 蒯一希 金属增强塑料螺旋波纹管的制造装置
US20070245789A1 (en) * 2006-04-21 2007-10-25 Zepp William L Method of producing helically corrugated metal pipe and related pipe construction
ITBO20060431A1 (it) * 2006-05-31 2007-12-01 Cevolani S P A Macchina nervatrice
KR20090045034A (ko) * 2007-11-01 2009-05-07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수지 복합관
RS57017B1 (sr) 2011-05-23 2018-05-31 Heynen Systems B V Snabdevajuća bala
GB201115069D0 (en) 2011-09-01 2011-10-19 Wellstream Int Ltd Elongate tap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102374345A (zh) * 2011-10-24 2012-03-14 广东联塑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三壁波纹管
CN104540540B (zh) * 2012-06-25 2017-07-14 费雪派克医疗保健有限公司 具有用于加湿和冷凝物管理的微结构的医疗部件
US9835273B2 (en) * 2012-08-07 2017-12-05 Ge Oil & Gas Uk Limited Flexible pipe body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CN102773951A (zh) * 2012-08-14 2012-11-14 柳州日高橡胶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脱模装置生产波纹胶管的方法
US20140116668A1 (en) * 2012-10-31 2014-05-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oler pipe and method of forming
PL2928533T3 (pl) * 2012-12-04 2021-05-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Rurki medyczne i sposoby ich wytwarzania
CN104174735B (zh) * 2014-08-07 2016-08-03 黄素清 墙体对拉螺杆支撑套管的加工设备
CN106152853A (zh) * 2015-04-09 2016-11-23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波浪形扁管、扁管加工设备以及扁管形成方法
TWM565302U (zh) * 2017-11-03 2018-08-11 國立臺灣大學 一種多離子感測電極陣列試片及其感測裝置
CN109676891B (zh) * 2018-12-20 2021-07-02 山东东宏管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非开挖修复用高密度聚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
EP3990817B1 (en) * 2019-06-28 2023-06-21 Linamar Corporation Corrugations for inflation against rigid shap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43A (en) * 1889-11-05 Tu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595747A (en) * 1947-05-16 1952-05-06 Chicago Metal Hose Corp Tubemaking machine
FR1038160A (fr) * 1950-06-21 1953-09-25 Tuyau flexible à spires hélicoïdales soudées
DE1450369A1 (de) * 1964-10-23 1968-11-21 Herbert Witzenman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us profiliertem Band oder Draht gewickeltem biegsamem Schlauch
JPS448213Y1 (ko) * 1965-12-17 1969-03-29
JPS50134111U (ko) * 1974-04-20 1975-11-05
US4029129A (en) * 1976-03-26 1977-06-14 Laffie Harper Helical pipe lock seam
JPS52137715A (en) * 1976-05-13 1977-11-17 Shirou Kanao Flexible hose * having hard resin reinforcing wire
US4160312A (en) * 1978-01-05 1979-07-10 James Nyss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ulti-layer spiral pipe
US4197728A (en) * 1978-09-11 1980-04-15 Mcgowen Lloyd E Flexible piping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same
FR2464819A1 (fr) * 1979-09-10 1981-03-20 Pont A Mousson Tube en matiere plastique obtenu par enroulement en helice d'un profile
US4838317A (en) * 1980-10-14 1989-06-13 Andre James R Hydraulically efficient ribbed pipe
JPS59150733A (ja) * 1983-02-17 1984-08-29 Nichiei Sangyo Kk 円筒部を有する合成樹脂製波形管の製造方法
JPS62141387A (ja) * 1985-12-12 1987-06-24 金尾 史朗 樹脂被覆金属螺旋管の製造方法
KR890005304B1 (en) * 1986-04-23 1989-12-20 Shiro Kanao Flexible hard pipe
JPH0412298Y2 (ko) * 1986-12-26 1992-03-25
US4860797A (en) * 1987-05-21 1989-08-29 Fabricated Plastics, Inc. Reinforced strip and flexible hoses produc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2423T2 (de) 1994-08-18
KR900002018A (ko) 1990-02-28
US5042138A (en) 1991-08-27
US4976289A (en) 1990-12-11
CN1039096A (zh) 1990-01-24
JPH0220631A (ja) 1990-01-24
AU617818B2 (en) 1991-12-05
AU3614089A (en) 1990-01-11
JP2767427B2 (ja) 1998-06-18
DE68912423D1 (de) 1994-03-03
EP0349778B1 (en) 1994-01-19
EP0349778A3 (en) 1991-05-22
EP0349778A2 (en) 1990-01-10
CN1017278B (zh) 199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295B1 (ko) 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8151827B2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existing pipe
JP4163385B2 (ja) 複合高圧管及びその接合方法
EP0192274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ipes
FI90132B (fi) Roer foer nyinfodring av underjordiska roerledningar
EP1147004A1 (en) Spiral wound pip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GB2212590A (en) Protective-coated steel tube
JP5770535B2 (ja) 製管用部材の製造方法
JP2009023296A (ja) 帯状体の補強部材の製造方法、長尺状の帯状体および既設管の更生工法
RU22655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ой трубы
KR0176971B1 (ko) 내압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9023295A (ja) 既設管の更生工法に使用される長尺状の帯状体および既設管の更生工法
CN115816885A (zh) 增强复合管及其制造设备和制造方法
JPH10305484A (ja) 管状体の形成方法
JP2751384B2 (ja) コルゲート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H664204A5 (de) Flexibles leitungsrohr zur fortleitung fluessiger oder gasfoermiger medien.
JPH0741476B2 (ja) 複重管分離方法
CN219236229U (zh) 增强复合管及其制造设备
JPH0459224A (ja) 製管機
GB1588399A (en) Laminated plastics/metal tube
JP4012317B2 (ja) 裏込め材2次覆工方法
JPH0440070Y2 (ko)
JPH02202431A (ja) 管の内面ライニング工法及びライニング用管体
KR100464727B1 (ko) 피복 파형강관 성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피복 파형강관
JPH03215022A (ja) 反転ライニング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3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