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2856Y1 -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856Y1
KR950002856Y1 KR92007222U KR920007222U KR950002856Y1 KR 950002856 Y1 KR950002856 Y1 KR 950002856Y1 KR 92007222 U KR92007222 U KR 92007222U KR 920007222 U KR920007222 U KR 920007222U KR 950002856 Y1 KR950002856 Y1 KR 950002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orch
cutting device
exhaust pipe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07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346U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92007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856Y1/ko
Publication of KR930024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5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85Exhaust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2 : 너트
3 : 토오치 4 : 회전 링
5 : 홈 7 : 고정부재
12 : 장공 14 : 홀더
본 고안은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부위를 구형함하과 아울러 리드선의 고정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는 배기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경이 2-20㎜의 유리관을 사용하는 램프류등은 리드선 부착과 동시에 배기관을 절단하여 봉합하는 공정을 행하게 된다.
이때 리드선을 배기관내에 지지시켜 주는 수단이 필요하며, 또 배기관을 절단하기 위한 토오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 수단들은 작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비이드를 관에 미리 용융부착하거나, 리드선부를 외부에서 잡아주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배기관 절단시에는 토오치를 작업자가 직접 핸들링하여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 부위의 형상이 제품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가열시 관과 토오치 불꽃의 접근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급작스러운 가열등으로 관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부위의 구형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리드선의 지지를 배기관 헤드에서 할 수 있도록 한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위치하는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리드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가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 상부에 나결합되어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너트와, 토오치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너트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링과로 이루어지는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장치의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사시도로서, 관이 위치하는 배기관 헤드(1)와, 이 헤드(1)의 상측에 위치하여 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너트(2)와, 토오치(3)가 장착되어 상기한 너트(2)상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링(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배기관 헤드(1)는 중심에 관(H)이 위치할 수 있는 홈(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5)의 중간 위치에는 턱부(6)가 형성되어 압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7)가 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7)의 상측으로는 스러스트 베어링(8)이 위치하는 시이트(9)가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한 헤드(1)의 상측 외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2)의 내측면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너트(2)의 수평부(10)는 스러스트 베어링(8)과 접촉될 수 있는 크기로 연장됨에 의해 너트(2)가 회전하면서 스러스트 베어링(8)을 눌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너트(2)의 수평부(10)상에는 회전링(4)이 면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토오치(3)는 회전 링(4)의 수평부(11)에 뚫려진 장공(12)을 관통하여 너트(13)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장공(12)은 토오치(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관(H)과 토오치의 화염이 단계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룰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헤드(1)에 형성된 홈(5)의 중앙으로는 리드선(L)을 잡아줄 수 있는 홀더(14)가 위치하여 관(H)의 내측에서 리드선(L)이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홀더(14)는 리드선(L)의 외측에 덮여진 비이드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배기관 절단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홈(5)내로 관(H)을 위치시킨 다음, 너트(2)를 조이게 되면 수평부(10)가 스러스트 베어링(8)을 누르게 되므로 시이트(9)가 하강하면서 고정부재(7)를 가압하게 된다.
이 가압력에 의해 고정부재(7)가 압축되면서 원주방향으로 부피 팽창을 하게 되므로 관(H)의 외주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관(H)은 헤드(1)상에 고정위치하게 되는데, 이 작업을 행하기 전에 리드선(L)을 홀더(14)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관(H)의 내측에 리드선(L)이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오치(3)에 점화를 행하고 관(H)을 점차로 가열시켜 절단을 행하게 되는데, 초기 가열시에는 관(H)의 급작스러운 가열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오치(3)의 불꽃을 약하게 하고, 그 이후 점차로 불꽃을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H)의 굵기가 음극선관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므로 토오치가 고정되는 구조의 종래장치에서는 토오치와 관의 거리를 적절히 맞출수가 없지만, 본 고안은 너트(13)를 풀은후 토오치(3)를 관으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 후 토오치(3)를 점화하고 가열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동작과 동시에 토오치(3)가 설치된 회전 링(4)을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면 토오치(3)는 관(H)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관(H)의 원주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단 부위를 구형으로 할 수 있고, 리드선(L)이 관(H)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므로 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 리드선을 홀더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편리함은 물론 고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관(H)이 위치하는 홈(5)이 형성되고 이 홈(5)에 관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7)가 위치하는 턱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리드선(L)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14)를 보유하는 헤드(1)와, 상기한 헤드(1)상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부재(7)에 가압력을 가하는 너트(2)와, 토오치(3)가 설치되어 상기한 너트(2)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회전 링(4)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링(4)에는 토오치(3)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공(12)이 뚫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KR92007222U 1992-04-29 1992-04-29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222U KR950002856Y1 (ko) 1992-04-29 1992-04-29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222U KR950002856Y1 (ko) 1992-04-29 1992-04-29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46U KR930024346U (ko) 1993-11-27
KR950002856Y1 true KR950002856Y1 (ko) 1995-04-15

Family

ID=193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222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856Y1 (ko) 1992-04-29 1992-04-29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8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46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856Y1 (ko) 램프 제작용 배기관 절단장치
US486974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lamp, and device for performing such a method
US2639555A (en) Cathode-ray tube sealing process
JP2980957B2 (ja) ランプ用ガラス体の製造法及び装置
US6016669A (en) Pulsed fuel-oxygen burner and method for rotatable workpieces
JP2665889B2 (ja) 陰極線管のネックにガラスステム・ウエハを含む電子銃マウントを封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51283A (ko) 석영유리 보디의 제조 장치 및 방법
US3594059A (en) Cathode-ray tube rebuilding device
CN209887474U (zh) 一种压电式传感器装配夹具
US4200274A (en) Fixture for holding a faceplate and a funnel of a CRT during sealing
KR930004799B1 (ko) 음극선관내의 장착물 밀봉장치
KR200147292Y1 (ko) 보온용기의 용접장치
JPH09182990A (ja) 耐圧容器の仕切壁挿入装置および溶接装置
SU1614903A1 (ru) Головка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дуговой сварки
JPS5847637Y2 (ja) 管球製造装置
JPH0639470A (ja) パイプ切断片のテーパネジ形成方法
JPH0335485Y2 (ko)
US4070228A (en) Coating carbon electrodes
JPH0538051Y2 (ko)
JPS639916B2 (ko)
JP2001089173A (ja) ガラス棒加工用の回転把持具
JP2007080639A (ja) 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CN119216848A (zh) 一种用于弧焊机器人搭接焊缝的变形控制夹具及焊接方法
JPS58122186A (ja) スポツト溶接機
JPH0284313A (ja) 異径コア連続押出被覆用クロス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4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12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10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