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2416B1 -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 Google Patents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416B1
KR950002416B1 KR1019920010265A KR920010265A KR950002416B1 KR 950002416 B1 KR950002416 B1 KR 950002416B1 KR 1019920010265 A KR1019920010265 A KR 1019920010265A KR 920010265 A KR920010265 A KR 920010265A KR 950002416 B1 KR950002416 B1 KR 95000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control
switch unit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785A (ko
Inventor
김무옥
Original Assignee
다림전자주식회사
김무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림전자주식회사, 김무옥 filed Critical 다림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416B1/ko
Publication of KR94000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41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조광회로의 개통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상세회로도.
본 발명은 전등과 같은 조명기구의 조광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 조광회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조광회로는 주로 전원제어에 의한 것으로 전원과 전등간에 온/오프 및 조도조절용 스위치로써 볼륨 콘트롤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을 온/오프 시키거나 전원공급량을 조절하여 조명등의 광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주택사업 및 건축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형건물, 특히 아파트의 경우 공기단축, 건축비 절감, 품질의 균일화 등을 위해 콘크리트, 철, 플라스틱, 목재 등의 조립식 구조물 또는 건축 자재를 이용하는 조립식 건축방식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볼륨타입의 조광회로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으므로 상술한 조립식에 부응할 수 없었다. 예를들어 조립식 벽체 또는 판재 제조시에 배선관로를 배설해야 하고, 배선관로에 전선을 매설하는 성가신 작업을 해야하므로 불량률이 많고, 타작업과의 작업순서에 융통성이 없는 등 단점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제거할 수 있고, 특히 조립식에 부응할 수 있는 시공이 간단한 펄스신호제어에 의한 조광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원 온 오프 및 조도조절을 위한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유니트와 스위치 유니트에서 발생된 펄스신호에 따라 전원을 ON/OFF 또는 조도를 조절해주는 제어 유니트와, 상기 스위치 유니트와 제어유니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주는 신호선으로 구성된 조광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조광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광회로의 개통도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광회로는 간단하게 전등(100)과, 상기 전등의 AC상용전원과, 상기 전등제어용 스위치유니트(200)와,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300)와, 상기 스위치 유니트와 제어유니트를 전기접속시키는 신호선(40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위치 유니트(200)는 LED표시부(50)와 스위치부(60)로 구성되고, 제어유니트(300)는 스위치 유니트 전원부(10), 제어 유니트 전원부(20), 신호발생부(30) 및 전원구동부(40)로 구성되고, 신호선(400)은 스위치부(60)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신호발생부(30)로 공급하기 위한 선과 스위치 유니트 전원부(10)로부터 스위치 유니트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유니트(300)에서, 스위치 유니트 전원부(10)는 교류 220V를 대략 DC 10∼15V로 변환하여 스위치 유니트(200)에 공급하는 회로이며, 제어유니트 전원부(20)는 교류 220V를 제어유니트(330)내에서 필요한 직류전압으로 변환공급하는 회로이다. 신호발생부(30)는 스위치 유니트(200)에서 공급받은 펄스신호의 길이에 따라 ON/OFF신호인지 조도 조절신호인지를 판별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이고, 구동부(40)는 신호발생부(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전등(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또한 스위치유니트(200)에서 LED표시부(50)는 전등 오프시 점등되고 전등 온시 소등되는 종래와 같은 기능을 하는 표시장치이고, 스위치부(60)는 예를들어 터치 스위치로 구성되며 전원 ON/OFF 및 조도조절을 위한 스위치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신호선(400)은 미소전류가 흐르는 일종의 얇은 버스 선으로써 예를들어 접착부를 갖는 테이프식으로 구성하여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쉽고 간단히 벽면에 접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광회로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을 제 2 도의 상세 회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서 제 1 도에서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상용 전원인 AC 220V는 저항(R1)과 콘덴서(C1)를 거쳐 입력되어 다이오드들(D1, D2)을 거쳐 스위치 유니트 전원부(10)와 제어유니트 전원부(20)에 제각기 공급된다.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된 전압은 콘덴서(C6)에 의해 평활된 후, 트랜지스터(Q1)과 콘덴서(C7)에 의해 발진된 다음, 발진전압은 트랜스포머(T)와 브릿지 다이오드(D5)에 의해 정류된 후 콘덴서(C8)에 의해 다시 평활되어 다이오드(D6)에 의해 안정된 DC전압으로 변환되어 스위치 유니트(200)에서 필요한 전원(DC 10∼15V)이 된다. 한편, 다이오드(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은 콘덴서(C2, C3)에 의해 평활된 후 제너다이오드(D4)에 의해 안정된 DC전압으로 변환되어 제어유니트(300)에서 필요한 직류전원(Vcc)이 된다.
스위치 유니트(200)에서 평상시 즉, 전등 오프시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신호선(400)과 저항(R9)을 통해 바이어스 전원이 공급되어 온되므로, LED(D7)가 발광하지만 전등 온시 즉, 터치 스위치(SW1)이 동작되는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접지되므로, LED(D7)가 오프되는 한편, 신호선(400), 저항(R8) 및 터치스위치(SW1)를 거쳐 스위치(SW1) 온기간동안 신호발생원(30)에 펄스신호를 공급한다. 이 펄스신호에 의해 IC2의 LED가 발광하면 포토 트랜지스터(PT)가 온되어 전등 오프시 저항(R3)을 통하여 하이(1)상태를 유지하던 IC1의 입력단을 로우(0)상태로 만들어 준다. 이때 IC1은 입력단이 0이 된 시간길이로 ON/OFF신호인지 또는 조도 조절신호인지를 판별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원구동부(40)에 공급한다.
만일, ON/OFF신호일 경우, 다이오드(D3)를 통해 트라이악(T1)의 구동신호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한편, 조도조절 신호일 경우 저항(R2)을 통해 들어오는 기준신호보다 위상차를 갖는 신호를 다이오드(D3)를 통해 트라이악(T1)에 공급한다. 결국 트라이악(T1)은 신호발생회로(30)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아 그에 응답하여 전원을 조정하여 조도를 조절하던가 또는 전원을 ON/OFF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광회로에서 중요한 효과는 스위치유니트(200)에 터치스위치를 사용하여 전등(100)의전원 제어유니트(300)를 펄스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스위치 유니트(200)와 제어유니트(300)간을 전원선이 아닌 접착부를 갖는 테이프식 버스신호선(400)으로 배선할 수 있으므로 다른 작업순서와 무관하게 도배전 또는 후 어느때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작업가능하므로 종래의 단점들을 모두 제거하는 한편, 특히 조립식 주택에 적합하게 단순 조립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데 있으며, 또한 신호발생회로(30)와 스위치 유니트(200)간을 포토커플러(IC2)로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완전 차단함으로써 전기적 안전사고를 방지한다는데 있으므로 그 효과는 지대하다.
이상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로서 조광회로에 적용됐으나 기타 유사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분야에 숙련된 자는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전등(100)과, 상기 전등에 필요한 AC상용전원과, 상기 전등을 ON/OFF 또는 조도조절을 위해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60) 및 LED표시부(50)로 된 스위치 유니트(200)와, 상기 AC상용전원을 상기 스위치 유니트(200)와 제어유니트(300)에 필요한 DC전압으로 변환 공급하는 스위치 유니트전원부(10) 및 제어유니트 전원부(20)와, 상기 스위치부(60)의 ON/OFF제어 또는 조도조절에 의한 펄스신호의 기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30)와, 상기 신호발생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100)의 전원을 제어하고 전원 구동부(40)로 구성되는 제어유니트(300)와, 상기 스위치 유니트(200)와 제어유니트(300)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신호선(40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60)는 터치 스위치(SW1)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30)는 상기 스위치부(60)와 포토커플러(IC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400)은 접착부를 갖는 테이프형 버스신호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KR1019920010265A 1992-06-13 1992-06-13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Expired - Lifetime KR95000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265A KR950002416B1 (ko) 1992-06-13 1992-06-13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265A KR950002416B1 (ko) 1992-06-13 1992-06-13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785A KR940000785A (ko) 1994-01-10
KR950002416B1 true KR950002416B1 (ko) 1995-03-17

Family

ID=1933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265A Expired - Lifetime KR950002416B1 (ko) 1992-06-13 1992-06-13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4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785A (ko) 199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158A (en) Lamp brightness control circuit with ambient light compensation
US6107755A (en) Modular, configurable dimming ballast for a gas-discharge lamp
KR101657474B1 (ko)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도가 조절되는 led 장치
JP2005011739A (ja) 調光時誤動作防止回路および照明装置
US4634957A (en) Remotely controlled light flasher
JP2021108277A (ja) スマートランプの調整方法と調整システム
US5373218A (en) Toggle brightening circuit for powering gas discharge lamps and method for operating gas discharge lamps
JPH0438632Y2 (ko)
KR950002416B1 (ko)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CN211152292U (zh) 一种基于互联网的无线调光控制面板
KR101934429B1 (ko) 센서등 조명제어장치
US6936979B2 (en) Frequency-modulated dimming control system of discharge lamp
KR100302066B1 (ko)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JP3399024B2 (ja) 連続調光用放電灯点灯装置
KR100336311B1 (ko) 에이씨 전원 스위치선을 이용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S6230800Y2 (ko)
JPH0763030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4115799U (ja) 照明装置
KR200244871Y1 (ko)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KR100230187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메탈할라이드 램프 구동제어장치
JPH10307557A (ja) バッテリーインジケーターを兼用したパワーledの駆動回路
JP3140885B2 (ja) リモコン付照明装置
KR101519812B1 (ko) 조명 장치
JP3380154B2 (ja) 蛍光灯調光装置
JPH09260068A (ja) 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2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