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2394Y1 -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94Y1
KR950002394Y1 KR92025947U KR920025947U KR950002394Y1 KR 950002394 Y1 KR950002394 Y1 KR 950002394Y1 KR 92025947 U KR92025947 U KR 92025947U KR 920025947 U KR920025947 U KR 920025947U KR 950002394 Y1 KR950002394 Y1 KR 950002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atch
frame memb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135U (ko
Inventor
김영달
Original Assignee
김영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달 filed Critical 김영달
Priority to KR92025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394Y1/ko
Publication of KR940016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1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2007/007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a double-wing sliding door or window, i.e. where both wings are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창문의 일예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잠금장치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잠금장치가 결착된 상태를 발췌한 요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자동잠금장치가 결착된 상태를 발췌한 요부단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제4도는 래치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상태도.
제5도는 래치가 승강 가능하도륵 고정구가 해탈된 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개폐작동을 위해 래치를 제낀 상태도.
제7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부레일 20 : 하부레일
30, 30 : 종틀재 40 : 센터멀리언
41 : 걸림돌조 50 : 붙박이 창
60 : 개폐창 62a : 승강안내요홈조
62b : 작동요홈조 62c : 손잡이돌조
62d : 걸림돌조 70 : 래치
71 : 판스프링 72 : 승강고정구
80 : 고정 걸쇠 81 : 걸림구
본 고안은 알루미늄 샛시로 구성되는 창문에 부착 사용하는 잠금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센터밀리언 또는 일측창문의 종틀재 전면부에 역전방지를 위한 역삼각 돌기형으로 수개의 걸림돌조를 형성하고, 타측 창문의 일측 종틀재에는 래치를 결합 설치하여서 창문이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래치가 걸림돌조와 결착하여 고정되므로서 창문이 잠겨지도록 한 창문의 자동잠금장치이다.
종래의 창문잠금장치중 스프링과 괘정봉을 실린더에 내설하고 별도의 해정봉을 그 일측에 유설되도륵 케이스내에 설치한 버턴식은 내측창문에 고정시키고 괘정봉이 유입되는 유입관을 외측 창문에 고정하여서 괘정봉의 후단을 누를때 그 전단이 유입관내에 삽입되어 괘정되고, 해정봉을 누르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유입관에서 괘정봉이 빠져나와서 해정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롭고 설치시 창문틀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외측 창문의 내면에 고리고정구를 부착하고 고리를 걸어서 괘정하는 회동판을 고정판에 핀축으로 축착하여 내측창문에 고정시켜 회동판을 회동하면 고리가 회동판의 괘홈에 요입되어 괘정하게 되는 것은 내, 외측창문에 회동판과 고리고정구를 각각 부착할때 창문틀의 두께에따라 고리와 괘홈이 요설판 회동판의 작동유효 거리를 조절하기 어렵고 회동판을 축작시킨 핀축의 길이가 짧아서 리베팅한 연접부가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외에도 외측창문틀의 주면에 보울트로 부착시킨 고정구의 상방에 절곡 회동편을 핀축으로 축착하여서 절곡회동편을 회동시켜 내부 창문틀의 주면에 닿게하여 창문이 열리지 않도록 한것이 있었으나 이는 창문을 괘정하기는 하나 진동에 의해 창문이 흔들리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물은 모두가 창문을 닫은후, 별도의 조작에 의하여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주어야만 창문을 고정시켜 잠글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사용상 번거롭고 불편하였던 것이며, 사용중 창문은 닫았지만 잠금장치는 잠그지 않게되어 안전상에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가 지닌 사용상의 불편함과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져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와 작용에 의하여 창문을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창문을 견고하게 잠그게 되는 창문의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하고져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이며,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제4도 내지 제6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5도 및 제6도의 종단면도로서 래치가 결착 및 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 샛시로 구성되는 상, 하부틀재(10), (20)와 상, 하단 모서리부를 결취시킨 양측부용 종틀재(30), (31)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어 종틀재(30), (31)에 의해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창틀(10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센터밀리언(40)의 일축 공간부에 붙박이 창(50)을 고정 설치하고, 타측공간부에는 좌, 우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개폐창(60)을 조립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창문에 있어서, 상기 센터밀러언(40)의 전면부에 역진 방지를 위한 삼각돌기형으로 수개의 걸림돌조(41)를 형성하고, 일측 전방에는 걸림턱부(40a)를 돌출 형성하였으며, 상기 개폐창(6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창문종틀재(62)에는 승강안내요홈조(62a)와 작동요홈조(62b) 및 손잡이돌조(62c)와 걸림돌조(62d)를 일체로 형성하고, 판스프링(71)과 승강고정구(72)를 구비한 래치(70)를 상기 창문종틀재(62)에 결합 설치하여서 상기 래치(70)의 단부(70a)가 센터밀리언(40)의 전면부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돌조(41)와 결착 또는 해탈 작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개폐창(60)의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래치(70)가 결착 고정되어 창문이 잠겨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자동잠금장치이다.
본 고안은 그 실시예에 있어서, 창틀(100)의 내부에 붙박이창을 사용치 않고 모두 개폐창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터밀리언(40)의 전면부에 형성하는 수개의 걸림돌조(41)를 상기 개폐창(60)과 대응하는 타측 개폐창의 일측 종틀재의 전면부에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요부인 개폐창(6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창문종틀재(62)는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래치(70)와 판스프링(71) 및 승강고정구(72)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 설치되는 승강안내요홈조(62a)와 작동요홈조(62b)를 일측에 형성하고, 전방에는 손잡이돌조(62c)를 형성하며 타측후방에는 걸림돌조(62d)를 일체로 형성한 " "형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센터밀리언(40)의 전면부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돌조(41)와 개폐창(60)의 일측 창문종틀재(62)에 결합 설치된 래치(70)에 의해 자동잠금장치를 구성하는데, 이는 래치(70)가 창문종틀재(62)의 작동요홈조(62b)에 삽입 설치된 판스프링(71)에 의해 좌, 우로 탄발작동하면서 래치(70)의 단부(70a)가 상기 역진방지를 위해 삼각돌기형으로 형성된 걸림돌조(41)와 결착되는 잠금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70)는 작동요홈조(62b)를 따라 상, 하부로 승강작동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승강작동은 래치(70)의 승강고정구(72)가 창문종틀재(62)의 승강안내요홈조(62a)를 따라 승강하면서 결착공(70b)내에서 올리고 내리는 작동에 따라 래치(70)를 고정 또는 회동가능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자동잠금장치의 하부에 상기 창문종틀재(62)의 승강안내요홈조(62a)내에 삽입 설치되어 승강되는 고정걸쇠(80)와 하부틀재(20)의 창문틀 고정부(20b)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걸쇠(80)를 걸어 고징시키는 바닥 걸림구(81)로 구성되는 보조잠금장치를 설치하였다.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개폐창(60)을 열때는 평상시 첨부도면 제5도 및 제7도와 같은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래치(70)를 손으로 제껴서 첨부도면 제6도 및 제8도와 같은 상태로 위치시켜 래치(70)의 단부(70a)가 센터밀리언(40)의 걸림돌조(41)와의 결착상태에서 해탈되어 벗어날 수 있도록 한 후 개폐창(60)을 일측으로 슬라이딩 하게끔 밀어서 창문을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창(60)을 닫을 때는 개폐창(60)의 창문종틀재(62)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돌조(62c)를 잡고 상기 개방시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끔 밀어서 창문을 닫아서 폐쇄시키면 개폐창(60)이 닫힘과 동시에, 첨부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래치(70)가 센터밀리언(40)의 전면부에 역진방지를 위해 삼각돌기형으로 형성된 수개의 걸림돌조(41)에 자동으로 결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폐창(60)의 폐쇄작동시 래치(70)의 단부(70a)는 수개의 걸림돌조(41)를 탄발력을 갖고 타고 넘어가게 되며, 역진방지용 삼각돌기형으로 형성된 걸림돌조(41)의 구조에 의해 역진작동은 이루어질 수 없는것이고, 개폐창(60)을 일어서 개방시키고져 할때는 래치(70)를 첨부도면 제8도에서와같이 제껴주어 래치(70)의 단부(70a)가 걸림돌조(41)에서 해탈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개폐창(60)을 밀어서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 래치(70)는 첨부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래치(70)에 결합된 승강고정구(72)를 결착공(70b)내에서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래치(70)가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제껴지지 않고, 첨부도면 제5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래치(70)에 결합된 승강고정구(72)를 결착공(70b)내에서 승강시킨 상태에서 래치(70)의 단부(70a)가 첨부도면 제8도에서와 같이 판스프링(71)을 누르면서 제껴질수 있는 상태로 되며, 이때 판스프링(71)이 눌러진 상태에서 래치(70)의 단부(70a)가 센터밀리언(40)의 걸림돌조(41)에서 해탈할 수 있게 되어 개폐창(60)을 개방시킬 수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실시에 있어서 첨부도면 제9도에서와 같이 승강고정구(72)가 없이 래치(70)와 판스프링(71)만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창문을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창문이 견고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창문의 안전성을 증대해여 줄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구성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시공 및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필요시에는 잠금장치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임의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대량생산에 의해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며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3)

  1. 본 고안은 알루미늄 샛시로 구성되는 상, 하부틀재(10), (20)와 상, 하단 모서리부를 절취시킨 양측부용 종틀재(30), (31)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어 종틀재(30), (31)에 의해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창틀(10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센터밀리언(40)의 일측 공간부에 붙박이 창(50)을 고정 설치하고, 타측공간부에는 좌, 우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개폐창(60)을 조립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창문에 있어서, 상기 센터밀리언(40)의 전면부에 역진 방지를 위한 삼각돌기형으로 수개의 걸림돌조(41)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창(6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창문종틀재(62)에는 래치(70)를 결합 설치하여서 상기 래치(70)의 단부(70a)가 센터밀리언(40)의 전면부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돌조(41)와 결착 또는 해탈 작동하도륵 구성하므로서 개폐창(60)의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래치(70)가 결착고정되어 창문이 잠겨지도륵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70)가 결합 설치되는 개폐창(60)의 일측 창문종틀재(62)에 작동요홈조(62b)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요홈조(62b)에 래치(70)의 판스프링(71)이 삽입 설치되게끔 결합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3. 제l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종틀재(62)에 승강안내요홈조(62a)를 형성하며 래치(70)의 결착공(70b)에 결합 설치된 승강고정구(72)가 상기 승강안내요홈조(62a)를 따라 승강하면서 결착공(70b)에 의해 고정 또는 유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92025947U 1992-12-21 1992-12-21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950002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947U KR950002394Y1 (ko) 1992-12-21 1992-12-21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947U KR950002394Y1 (ko) 1992-12-21 1992-12-21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5U KR940016135U (ko) 1994-07-22
KR950002394Y1 true KR950002394Y1 (ko) 1995-04-03

Family

ID=1934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947U KR950002394Y1 (ko) 1992-12-21 1992-12-21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3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653B1 (ko) * 2001-12-01 2004-04-08 이향제 샤시창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5U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8153A (en) Window lock
US4003227A (en) Portable and detachable double casement window opposing turn latch handles lock securing device
US4103949A (en) Safety door latch
US6431620B2 (en) Mechanism for selectively operating and locking a pivotable window
CA2310436C (en) Combined sliding and pivot window assembly
US7044509B2 (en) Closure latch assembly
US7731251B2 (en) Compact sliding sash lock
US6484445B2 (en) Slide window and door lock
US4501444A (en) Collapsible door wedge with quick release mechanism
US7490873B1 (en) Tilt latch/sash lock assembly for windows
US5141272A (en) Door and window latch
US5284371A (en) Sliding door lock
KR950002394Y1 (ko)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186315Y1 (ko) 미닫이창의 잠금장치
US3870353A (en) Latches
US4921287A (en) Security door window latch
KR200435383Y1 (ko) 창문 양방향 잠금장치
KR910008768Y1 (ko) 창문용 잠금장치
US2663587A (en) Latching assembly for windows and the like
KR200200338Y1 (ko) 창문 잠금장치
CN218479697U (zh) 阻门器
CN218438735U (zh) 一种门窗锁闭器以及钩体
KR200230858Y1 (ko) 창문 자동 레바 록
KR0138278Y1 (ko) 셔터의 개폐장치
KR200158766Y1 (ko) 미닫이문 자동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2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