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1315Y1 - 자전거 페달 - Google Patents

자전거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15Y1
KR950001315Y1 KR2019930004046U KR930004046U KR950001315Y1 KR 950001315 Y1 KR950001315 Y1 KR 950001315Y1 KR 2019930004046 U KR2019930004046 U KR 2019930004046U KR 930004046 U KR930004046 U KR 930004046U KR 950001315 Y1 KR950001315 Y1 KR 950001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rm
pedal arm
shaft
foot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483U (ko
Inventor
김학일
Original Assignee
김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일 filed Critical 김학일
Priority to KR2019930004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315Y1/ko
Publication of KR940012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62M3/083Toe c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1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거 페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페달의 작동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페달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페달에 발판을 장착한 상태의 횡단면도.
제5도는 래칫 구동부의 단면도.
제6도 (a)는 본 고안 페달의 발판을 발로 밟았을때의 발판의 종단면도. (b)는 본 고안의 페달의 발판에 힘을 주지 않았을때의 페달이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B : 제1페달부 C : 제2페달부
D : 래칫 구동부 1 : 체인
2 : 스프로켓 3 : 회전암
11 : 축 22 : 베어링
23 : 비틀림 코일스프링 24 : 래칫장치
31 : 제1페달암 33 : 축
33A : 제2비틀림코일스프링 33' : 중공부
41,41' : 스토퍼 42 : 클릭
43 : 래칫 51 : 제2페달암
52 : 페달 52' : 장공
38,53 : 스프링 결합부 60 : 페달발판
61 : 스테이볼트 70 : 선형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자전거 페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압에 래칫기어가 장착된 축을 삽착하고, 상기 축에 제1페달부 및 제2페달부를 장착하되 상기 제1페달부 및 제2페달부를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탄설하여 발판에 내재시켜서 된 자전거 페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 페달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인(1) 및 스프로켓(2)으로 이루어진 구동기구의 상기 스프로켓(2)에 회전암(3)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암(3)에 답지부(5)가 장착된 축(4)을 삽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는 자전거 운행시 회전암(3)의 길이가 짧아서 회전모멘트(회전암의 길이×답력)을 크게 할 수 없으며, 회전모멘트를 크게하기 위해서는 답력을 크게 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많은 힘이 들게 된다.
또한 답지부(5)의 면적이 작아서 자전기 운행시 발이 답지부(5)로부터 이탈되어 위험한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적은 힘으로 회전모멘트를 크게할 수 있으며 답지부의 면적을 크게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도의 체인(1) 및 스프로켓(2)으로 이루어진 구동기구의 스프로켓(2)의 중앙에 일단부가 장착된 회전암의 타단부의 축(11)에 축설된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 상기 축(11)의 단부에 제1페달부(B)의 제1페달암(31)의 일단에 래칫장치(24)가 내장된 래칫 구동부(D)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암(3)과 제1페달암(31) 사이의 축(11)면에는 제2페달부(C)의 앵글형상의 제2페달암(51)의 일단부를 베어링(22)에 의하여 축설하며, 상기 제1페달암(31)과 제2페달암(51)에는 각각 스프링 결합공(53)(58)을 천설하여 그것들 사이의 축(11)면에 권취된 비틀림 코일스프링(23)의 양단을 결합 탄지시키고, 상기 제1페달암(31)과 제2페달암(51)의 상면에는 선형 코일스프링(70)을 고정탄지시키며 상기 제2페달부(C)의 앵글형상의 제2페달암(51)의 타단부에는 기존의 페달처럼 베어링(51')에 의하여 회동자재되는 페달(52)을 페달 발판(60)의 후방에 천설된 장공(52')에 좌우로 왕복되게 유삽하되 제2페달암(51)의 단부에 스테이 볼트(61)등을 나합하여 발판(60)에서 벗어나지 않게 경계를 지우고 상기 제1페달부(B)의 제1페달암(31)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페달암(31)과 수직되게 축(33)을 고정하고 상기 축(33)은 발판(60) 사이의 축(33) 상에는 제2비틀림 코일스프링(33A)을 권회하여 그 단부들을 제1페달암(31)와 발판(60)의 결합공(3A-1)(3A-2)에 체결하여 긴착 탄지되게 하며, 상기 래칫 구동부(D)는 그 외주면 상하 일정위치에 스토퍼(41)(41')를 형성하고, 그 내측의 래칫장치(24)는 체결홈(44) 내에서 클릭(42)이 래칫(43)과 맞물리도록 장착하며, 상기 발판(60) 후단 양측에는 발띄(62-A)를 고리(62)에 매단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전거 페달의 작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한쪽발(R)을 발띄(62-A)속으로 넣어서 발등에 걸리게 한다음 제1,2페달부(B)(C)가 내장된 발판(60) 위에 답지하여 답력을 가하게 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23)과 선형 코일스프링(70)에 의해서 발판(60)의 중심쪽으로 수축되어 있던 제2페달부(C)의페달(52)이 베어링(51')에 의해 회동되면서 발판(60)의 장공(52') 후방으로 이동되어 발판(60)의 장공(52') 끝에 걸리면서 제2페달암(51)과 제1페달암(31)은 발판(60)과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래칫구동부(D)에 있는 상부 스토퍼(41)가 제2페달암(51)에 걸리게 되어 더이상 상기 양 페달암(51)(31)은 수평이하로 하향되지 않으면서 아래로 압축되므로 구동 스프로켓(2)으로 답력이 전달되게 된다.
이때 제2비틀림스프링 역시 제1페달암(31)과 발판(60)을 탄지하고 있어서 발로 밟았을때 답력을 가중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발판(60)의 지면상에 도달하여 답력이 미치는 힘이 제로가 될 때는 발에서 힘을 빼게 되면, 제2페달부(C)의 페달(52)이 스프링(23)과 (70)에 의하여 장홈(52')의 발판(60) 중심쪽으로 이동되어 제1, 2페달부(B)(C)가 상측으로 오므라들면서 발판이 상승하게 되고 반대쪽발(L)을 제1, 2페달부(B)(C)위에 답지하여 답력을 가할 경우에도 상기와 바찬가지의 과정을 밟게 된다.
이때 발띄(62-A)는 발등에 걸린채로 발판(6)을 밟거나 놓게 되므로 발이 발판(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는, 답력을 가할 경우에는 회전암의 길이에다 제2페달암의 길이가 더해져 회전모멘트가 커짐으로써 적은 힘으로 운행을 할 수 있으며, 제1, 제2페달부를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탄설하여 답지면을 넓게 하고 페달부로부터 발이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체인(1) 및 스프로켓(2)으로 이루어진 구동기구의 스프로켓(2)의 중앙에 일단부가 장착된 회전암의 타단부의 축(11)에 축설된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 상기 축(11)의 단부에 제1페달부(B)의 제1페달암(31)의 일단에 래칫장치(24)가 내장된 래칫 구동부(D)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암(3)과 제1페달암(31) 사이의 축(11)면에는 제2페달부(C)의 앵글형상의 제2페달암(51)의 일단부를 베어링(22)에 의하여 축설하며, 상기 제1페달암(31)과 제2페달암(51)에는 각각 스프링 결합공(53)(58)을 천설하여 그것들 사이의 축(11)면에 권취된 비틀림 코일스프링(23)의 양단을 결합 탄지시키고, 상기 제1페달암(31)과 제2페달암(51)의 상면에는 선형 코일스프링(70)을 고정탄지시키며 상기 제2페달부(C)의 앵글형상의 제2페달암(51)의 타단부에는 기존의 페달처럼 베어링(51')에 의하여 회동자재되는 페달(52)을 페달 발판(60)의 후방에 천설된 장공(52')에 좌우로 왕복되게 유삽하되 제2페달암(51)의 단부에 스테이 볼트(61)등을 나합하여 발판(60)에서 벗어나지 않게 경계를 지우고 상기 제1페달부(B)의 제1페달암(31)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페달암(31)과 수직되게 축(33)을 고정하고 상기 축(33)은 발판(60) 사이의 축(33) 상에는 제2비틀림 코일스프링(33A)을 권회하여 그 단부들을 제1페달암(31)와 발판(60)의 결합공(3A-1)(3A-2)에 체결하여 긴착 탄지되게 하며, 상기 래칫 구동부(D)는 그 외주면 상하 일정위치에 스토퍼(41)(41')를 형성하고, 그 내측의 래칫장치(24)는 체결홈(44) 내에서 클릭(42)이 래칫(43)과 맞물리도록 장착하며, 상기 발판(60) 후단 양측에는 발띄(62-A)를 고리(62)에 매단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KR2019930004046U 1992-11-25 1993-03-18 자전거 페달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046U KR950001315Y1 (ko) 1992-11-25 1993-03-18 자전거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3388 1992-11-25
KR23388 1992-11-25
KR2019930004046U KR950001315Y1 (ko) 1992-11-25 1993-03-18 자전거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483U KR940012483U (ko) 1994-06-18
KR950001315Y1 true KR950001315Y1 (ko) 1995-02-27

Family

ID=7084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046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315Y1 (ko) 1992-11-25 1993-03-18 자전거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3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483U (ko) 199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3543A1 (en) Running machine
KR950001315Y1 (ko) 자전거 페달
US5020792A (en) Exercise bicycle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US6361460B1 (en) Device for driving a sprocket of a bicycle
US6253639B1 (en) Extensible crank
JP3100766B2 (ja) 牽引装置
KR200308948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JPH0645055Y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操作ケーブルの連結構造
JPH0678185U (ja) 自転車ランプ用ギアー式発電装置
SU1760209A1 (ru) Мускульный привод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940002358Y1 (ko) 악력계가 부설된 줄넘기
JP2568245Y2 (ja) 枝打機の副遊動輪支持装置
KR20010069596A (ko) 등받이 구동장치
JPS6228862Y2 (ko)
KR200161306Y1 (ko) 오토바이용 옆스탠드 작동장치
JPH0414994Y2 (ko)
JPH036185Y2 (ko)
WO2002098723A1 (en) Extensible crank
KR20040097109A (ko)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JPS586448Y2 (ja) 縄飛び用縄の長さ調節装置
KR880000087Y1 (ko) 스로틀 밸브 조작용 레버 장치.
JPS6443254U (ko)
JPH0541626Y2 (ko)
GB2195222A (en) Branch cutting
KR20050032552A (ko)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3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09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1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110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