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1265B1 - 통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65B1
KR950001265B1 KR1019910014589A KR910014589A KR950001265B1 KR 950001265 B1 KR950001265 B1 KR 950001265B1 KR 1019910014589 A KR1019910014589 A KR 1019910014589A KR 910014589 A KR910014589 A KR 910014589A KR 950001265 B1 KR950001265 B1 KR 950001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tim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trol
token
calc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535A (ko
Inventor
고이치 다나카
아키라 가누마
가츠히토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2000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asynchronous transmission, e.g. token ring, regis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통신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제어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굿토큰타이머를 이용한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토큰링제어장치로 구성되는 토큰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네버노티피케이션의 타이밍도.
제5도는 사용자단말을 갖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시간비교부를 갖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제어데이터의 포매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 2 : 대기시간레지스터
5, 5a, 5b : 대기시간계산부 7 : 굿토큰타이머
9 : 토큰링 11 : 사용자단말
13 : 시간비교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링형상의 통신네트워크상을 주회(周回)하는 제어데이터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도록 된 통신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LAN(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등의 통신네트워크의 1방식인 토큰링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제어장치가 링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고, 토큰으로 불리워지는 제어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각 통신제어장치를 매개로 네트워크상으로 주회하게 되며, 상기 토큰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매트를 갖추고 있다.
상기 통신제어장치는 상기 토큰을 수신할 때에만 통신데이터를 송신하는 권리를 갖고, 통신데이터를 송신 종료한 후 토큰을 송출한다. 또 통신제어장치에서는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는 바, 토큰을 수신하면 이 타이머를 기동시켜 시간을 계수하고, 계수하고 있는 중에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시간제한통지신호를 출력한다.
제8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21)는 고정된 대기시간을 기동신호에 의해 로드해서 시간의 계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21)는 정지신호에 의해 타이머에 의한 계수를 정지한다. 상기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21)가 계수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시간제한 통지신호를 출력해서 계수를 정지한다.
통신제어장치의 구체예로서 굿토큰타이머를 이용한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제9도에 나타낸다.
상기 프로토클제어용타이머(21)에 상당한 토큰파괴검출타이머(23; 이하, 굿토큰타이머로 칭함)의 기동 신호선 및 정지신호선은 모든 토큰검출신호와 접속되어 있고, 대기시간은 2.6초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굿토큰타이머(23)는 토큰을 검출하면 일단 정지하고, 그리고 재기동에 의해 계수를 재개한다.
여기서, 토큰링에서는 최대로 260국까지 접속시킬 수 있고, 또 1국당의 토큰유지시간은 10m초이기 때문에, 만약 260국이 존재하는 토큰링이라면, 토큰이 1주하는데에 필요한 최대시간은 10m초×260국=2.6초로 된다. 이 최대치=2.6초가 굿토큰타이머(23)의 대기시간으로서 고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토큰을 검출한 후 2.6초가 경과해도 다시 토큰이 검출되지 않으면, 굿토큰타이머(23)는 시간제한으로 되어 토큰파괴통지를 발생시키고, 이 토큰파괴통지에 의해 토큰의 AC, ED필드가 노이즈등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되어 토큰재송신등의 회복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굿토큰타이머(23)를 구비한 4국의 통신제어장치(A국~D국)로 구성되는 토큰링네트워크(25)상을 토큰이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모든 국에 구비된 굿토큰타이머(23)는 토큰을 수신할 때마다 계수를 재개해서 통신테이터를 송신완료한후 토큰을 인접한 국으로 송출한다. 주회하고 있는 토큰이 예컨대, A국으로 부터 B국으로 전송되는 도중에 노이즈등에 의해 파괴되면 B국의 굿토큰타이머(23)가 가장 과거에 재기동된 것으로 되고, 따라서 B국이 가장 빨리 시간제한으로 되어 토큰파괴통지를 출력한다.
만약, 4국중 어느하나가 통신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토큰은 각 국에서 대기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대단히 고속으로 주회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토큰파괴로부터 약 2.6초간 경과하지 않으면 토큰파괴통지가 출력되지 않고, 이 동안에 일제히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토큰링의 경우 1국이 토큰을 수신, 유지한 후, 수 10m초 동안에 통신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고, 이어서 토큰을 송신한다. 즉, 1국당 10m초의 대기시간이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제9도의 토큰링네트워크(25)의 경우에는 토큰이 1주하는데 필요한 최대시간은 10m초×4국=40m초이다. 따라서 굿토큰타이머(23)의 대기시간은 40m초이어도 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대기시간이 2.6초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4국으로 구성되는 작은 토큰링의 경우, 40m초에서 토큰파괴로 판단하여도 되는 것을 2.6초-40m초=2.56초의 여유를 갖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토큰파괴통지가 지연되고, 이 동안 송신불능으로 된다. 예컨대 4Mbps의 전송데이트를 갖춘 토큰링의 경우 약 10Mbit의 정보가 송신불능으로 되어 현저한 오버헤드를 초래하게 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의 대기시간을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토큰파괴통지의 대기시간을 단축해서 토큰의 회복처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통신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형상의 통신네트워크(9)상을 주회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한 다음 재수신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통신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하는 대기시간결정수단(5)과, 이 대기시간결정수단(5)에 의해 결정된 대기시간을 유지하는 대기시간유지수단(3) 및 상기 제어데이터의 수신에 의해 시간을 계수해서 상기 대기시간 유지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대기시간 경과후에 있어서도 제어데이터를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시간계수수단(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통신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각 국에서 송신된 존재통지신호의 수로부터 존재국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존재 국수로부터 필요한 최소한의 대기시간을 계산해서 대기시간 유지수단에 기록한다. 시간계수수단은 통신네트워크상을 전송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면 대기시간 유지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대기시간을 읽어들여 시간을 계수한다. 그리고 대기시간이 경과해도 제어데이터를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 제어데이터가 이상인 것을 알리는 파괴통지를 출력한다.
또, 본 발명은 존재국수 입력수단으로부터 임의의 존재국수를 대기시간 계산수단으로 입력하고, 대기시간 계산수단은 입력된 존재국수로부터 필요한 최소한의 대기시간을 계산해서 대기시간 유지수단에 기록한다. 시간계수수단은 제어데이터를 수신하면 대기시간을 읽어들여 시간을 계수한다. 그리고 대기시간이 경과해도 제어데이터를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 파괴통지를 출력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존재통지신호의 수로부터 산출된 존재국수로부터 계산된 대기시간과 존재국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존재국수로부터 계산된 대기시간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긴 쪽의 대기시간을 필요한 최소한의 대기시간으로서 대기시간 유지수단에 기록한다. 시간계수수단은 토큰을 수신하면 대기시간을 읽어들여 시간을 계수한다. 그리고, 대기시간이 경과하여도 토큰을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 파괴통지를 출력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제어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1도에 나타낸 통신제어장치는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와, 대기시간 레지스터(3) 및, 대기시간계산부(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는 기동신호가 입력되면, 대기시간레지스터(3)에 기록되어 있는 대기시간을 읽어들여 타이밍에 의한 계수를 수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는 계수를 수행하는 중에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시간제한통지신호를 출력해서 계수를 정지하는 것이다.
상기 대기시간레지스터(3)는 대기시간계산부(5)에 의해 계산된 대기시간을 유지하여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로 인가하는 것이다.
또, 상기 대기시간계수부(5)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국수(局數)에 따라 대기시간을 계산하고, 계산결과를 대기시간 레지스터(3)에 기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통신제어장치는 타이머의 대기시간을 가변시키기 위해 대기시간계산부(5)가 설치되고, 이 대기시간계산부(5)에 의해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른 대기시간이 계산되며, 계산된 대기시간은 대기시간 레지스터(3)에 기록된다. 상기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에 기동신호가 입력되면, 대기시간 레지스터(3)에 기록된 대기시간이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에 읽어들어져 계수된다. 계수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로부터 시간제한통지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구체적인 통산제어장치로서 굿토큰타이머를 이용한 통신제어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2도는 굿토큰타이머를 이용한 통신제어장치의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통신제어장치에서는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1)로서 토큰파괴검출타이머(7; 이하, 굿토큰타이머로 칭함)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굿토큰타이머(7)는 토큰을 검출하면 타이머를 정지하고, 대기시간 레지스터(3)에 기록되어 있는 대기시간을 읽어들인 후 재기동하는 것이다.
대기시간계산부(5)는 AMP(액티브 모니터 제어프레임)수신과 SMP(스탠바이 모니터 제어프레임)수신의 2가지의 이벤트로부터 다음과 같이 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3도와 같이 4국의 통신제어장치로 구성되는 토큰링(9)의 경우를 고려한다. 이 토큰링(9)에서는 감시국으로 되는 AM(액티브 필터)국이 1국(A국)과, 굿토큰타이머(7)를 갖춘 SM(스탠바이 모니터)국이 3국(B국~D국) 존재하고 있고, 토큰링(9)은 AM국과 SM국간에 7초간마다 네버노티피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다. 네버노티피케이션을 제4도의 타이밍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네버노티피케이션은 AM국에 의한 제어프레임(AMP)의 송신으로부터 개시되어 7초간마다 AM국으로부터 송신이 반복된다. AM국에 인접하는 하류국인 SM국은 AM국으로부터 송신된 AMP를, 그 외의 SM국은 인접하는 상류의 SM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프레임(SMP)을 수신한 다음 20m초 후에 SMP를 송신한다. 제4도에 나타낸 타이밍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MP 수신이벤트로부터 다음의 AMP 수신이벤트간에 있는 SMP 수신이벤드의 수+1이 토큰링(9)에 존재하는 국수이다.
대기시간계산부(5)에는 이와 같은 AMP수신 및 SMP수신이벤트가 입력되어 있고, AMP수신직후에 존재 국수의 산출이 수행된다. 본 예에서는 AMP의 동안에 SMP가 3개 있기 때문에 존재국수=3-1=4국으로 구해지게 된다. 더욱이 굿토큰타이머(7)의 대기시간이 존재국수×10m초로부터 40m초로 계산된다.
계산된 대기시간은 대기시간레지스터(3)에 기록되고, 기록된 대기시간은 토큰검출된 굿토큰타이머(7)에서 읽어들인다. 굿토큰타이머(7)에 의해 계수되고 있는 중에 40m초 경과하면, 토큰파괴통지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AMP 및 SMP 수신에 의해 존재국수를 구하고, 존재국수에 따른 대기시간을 계산함으로써 토큰파괴후에 회복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국수의 증감이 있었던 경우에도 7초간마다 대기시간 레지스터(3)의 갱신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최적대기시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존재국수가 4국인 경우, 종래의 통신제어장치에서는 토큰파괴로부터 검출할 때까지 2.6초가 걸렸지만,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에 의하면 검출할 때까지 0.04초로 완료된다. 이 때문에 시간차 2.56초는 4Mbps 토큰링의 경우 약 10Mbit의 전송능력에 상당하고, 본 발명에 의해 규모가 커진 데이터전송용량을 쓸데없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AMP 및 SMP수신이벤트를 입려한 대기시간계산부(5)에 의한 계산에 의해 존개국수를 구하였다. 그 외의 방법으로서 존재국수를 대기시간계산부(5)에 의해 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단말이나 제어프로세서등에 의해 존재국수를 직접 대기시간계산부(5)에 입력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제5도는 이 방법에 의한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통신제어장치에서는 사용자단말(11)이 추가되어 있다.
사용자단말(11)은 존재국수를 대기시간계산부(5)에 입력하는 것으로, 사용자단말(11)로부터 존재국수가 입력되면, 대기시간계산부(5)에 의해 굿토큰타이머(7)의 대기시간이 계산된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용국수가 항상 100국 이하로 되면, 국수의 상한치로서 국수=100국이 사용자단말(11)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따라 대기시간계산부(5)에 의해 대기시간=사용자지정국수×10m초=100국×10m초=1초로 계산된다.
계산된 대기시간은 대기시간레지스터(3)에 기록되고, 또 기록된 대기시간은 토큰검출된 굿토큰타이머(7)에 읽어들여지며, 굿토큰타이머(7)에 의해 계수되어 있는 중에 1초가 경과하면, 토큰파괴통지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존재국수의 상한치를 미리 사용자단말(11)로부터 입력하여 둠으로써 필요이상으로 긴 대기시간을 설정하지 않고서 완료된다.
[실시예 3]
또,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조합한 방법이 고려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통신제어장치에서는 2개의 대기시간계산부(5a, 5b)와, 시간비교기(13)가 구비되어 있다.
대기시간계산부(5a)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대기시간계산부(5)와 마찬가지로 AMP 및 SMP수신에 의해 존재국수를 구하고, 존재국수에 따른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대기시간계산부(5b)는 실시예 2에서 이용한 대기시간계산부(5)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단말(11)로부터 입력된 존재국수로부터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시간비교부(13)는 대기시간계산부(5a, 5b)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대기시간을 비교하고, 긴 쪽의 대기시간을 대기시간레지스터(3)에 기록하는 것이다.
7초간마다의 AMP 및 SMP수신에 의해 구해진 대기시간과, 사용자단말(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구해진 대기시간이 시간비교부(13)에 입력되고, 이들 2개의 대기시간은 시간비교부(13)에 의해 비교되어, 가장 긴쪽의 대기시간이 네트워크에 있어서 필요한 최소한의 대기시간으로 된다.
본 실시예 3에 의하면, 사용자단말(11)로부터 입력된 존재국수보다도 국수가 많아진 경우에도 AMP 및 SMP수신에 의해 최적의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의 대기시간을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가변시키고, 네트워크에 따른 최적의 타이머대기시간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토클제어용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토큰파괴통지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제어데이터의 회복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링형상의 통신네트워크(9)상을 주회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한 다음 재수신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통신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결정하는 대기시간결정수단(5)과, 이 대기시간결정수단(5)에 의해 결정된 대기시간을 유지하는 대기시간유지수단(3) 및, 상기 제어데이터의 수신에 의해 시간을 계수해서 상기 대기시간유지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대기시간경과후에 있어서도 제어데이터를 재수신할 수 없는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시간계산수단(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결정수단은 통신네트워크상에 배치되는 각 통신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존재통지신호(AMP, SMP)를 수신하고, 이 존재통지신호(AMP, SMP)로부터 통신네트워크상에 배치되는 통신제어장치의 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통신제어장치의 수로부터 상기 통신네트워크에 필요로 되는 최소한 대기시간을 계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결정수단은 통신제어장치의 수를 임의로 입력하는 존재국수입력수단(11)과, 이 존재국수입력수단(11)에 의해 입력된 통신제어장치의 수로부터 이 통신네트워크에 필요로 되는 최소한의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대기시간계산수단(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결정수단은 통신네트워크상에 배치되는 각 통신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존재통지신호(AMP, SMP)를 수신하고, 이 존재통지신호(AMP, SMP)로부터 통시너네트워크상에 배치되는 통신제어장치의 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통신제어장치의 수로부터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제1대기시간계산수단(5a)과, 통신제어장치의 수를 임의로 입력하는 존재국수입력수단(11), 이 존재국수입력수단(11)에 의해 입력된 통신제어장치의 수로부터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제2대기시간계산수단(5b) 및, 상기 제1대기시간계산수단(5a)에 의해 계산된 대기시간과 상기 제2대기시간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대기시간을 비교해서 긴 쪽의 대기시간을 상기 통신네트워크에 필요로 되는 최소한의 대기시간으로 하는 대기시간 비교수단(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KR1019910014589A 1990-08-29 1991-08-23 통신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40790 1990-08-29
JP02-225407 1990-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535A KR920005535A (ko) 1992-03-28
KR950001265B1 true KR950001265B1 (ko) 1995-02-15

Family

ID=168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589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265B1 (ko) 1990-08-29 1991-08-23 통신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87357A (ko)
KR (1) KR950001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0882B2 (en) 2007-05-21 2010-08-10 Wind Hill Concep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826B2 (ja) * 1998-11-24 2001-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管理ノード
US9565032B2 (en) * 2014-12-03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Monitoring and controlling bus ring performan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7777A (en) * 1983-02-03 1985-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tocol for determining physical order of active stations on a token ring
US4494233A (en) * 1983-02-14 1985-01-15 Prim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regeneration of a lost token in a token based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4566098A (en) * 1984-05-14 1986-01-21 Northern Telecom Limited Control mechanism for a ring communication system
US4745598A (en) * 1985-11-27 1988-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ynamic logical ring in a token passing LAN
JP2585306B2 (ja) * 1986-11-07 1997-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ループ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制御方法
KR920001576B1 (ko) * 1987-09-09 1992-02-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토큰패싱 버스 방식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US4860284A (en) * 1988-04-20 1989-08-22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 of a lost token signal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JP2522392B2 (ja) * 1988-08-05 1996-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クリックデ―タ伝送方法
US5048014A (en) * 1988-12-30 1991-09-10 Datapoint Corporation Dynamic network reconfiguration technique for directed-token expanded-address LAN
JP2603717B2 (ja) * 1989-03-09 1997-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クリックデータ伝送方法
CH677568A5 (ko) * 1989-03-21 1991-05-31 Datawatt Bv
JPH06103888B2 (ja) * 1989-10-14 1994-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レスポンス制御方法
US5051986A (en) * 1989-12-01 1991-09-2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synchronous priority select logic
US5119374A (en) * 1990-05-29 1992-06-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ple levels of asynchronous priority in FDDI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0882B2 (en) 2007-05-21 2010-08-10 Wind Hill Concep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87357A (en) 1994-02-15
KR920005535A (ko) 199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65B1 (ko) 통신제어장치
JPH09219720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障害検出方法及び装置
JPH08307438A (ja) トークンリング型伝送システム
JP2501977B2 (ja) 通信制御装置
JP3910903B2 (ja) 制御パケット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2618890B2 (ja) 異常送信検出方式
JP2659994B2 (ja) モデム監視方式
JP3015478B2 (ja) 移動通信装置
JPH0482345A (ja) 複数親局の検出方法
JPH04367944A (ja) 故障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0156803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충돌 감소 장치
JPH01209835A (ja) 同報応答制御方式
JP2510288B2 (ja) 通信機器の試験処理方式
JPH0322647A (ja) ループ状光伝送路障害検出方式
JP2772165B2 (ja) 同報通信方式
JPH0595363A (ja) 二重化リングバス障害検出装置
JPH03250941A (ja) ポーリング無応答監視方式
JP2002101113A (ja) 通信システム
JP2643832B2 (ja) 伝播遅延量測定方式
JPH0414934A (ja) 分散形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路故障検出方法
JPH05268293A (ja) データ通信処理装置の故障検出方法及び装置
JPH0311842A (ja) 不正トークン検出除去装置
JPH02272847A (ja) トークン最小周回時間検出装置
JPS6340382B2 (ko)
JPH0646422A (ja) Catvネットワーク監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2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21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