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1174Y1 -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174Y1
KR950001174Y1 KR2019890005536U KR890005536U KR950001174Y1 KR 950001174 Y1 KR950001174 Y1 KR 950001174Y1 KR 2019890005536 U KR2019890005536 U KR 2019890005536U KR 890005536 U KR890005536 U KR 890005536U KR 950001174 Y1 KR950001174 Y1 KR 950001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signal
transistor
resistor
n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523U (ko
Inventor
황정환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5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174Y1/ko
Publication of KR900019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제1도는 종래의 화상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도.
제2도는 종래회로에 따른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신호입력부 나 : 전류 조절 회로부
다 : 고주파 레벨차 디텍트부 라 : 신호 출력부
마 : 신호 보상 회로부 Q1~Q20 : 트랜지스터
R1~R19 : 저항 C1, C2 : 콘덴서
VR : 가변전원
본 고안은 화면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제어방식을 통해 VCR녹화 재생벽의 찌그러진 화면을 보상하기에 적당하도록한 화상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제어회로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입력된 비디오 휘도신호(Y)는 직접 가산기(A)의 '+'단자로 인가되는 동시에 저항(R2), 콘덴서(C)의 로우패스필터(B)를 거쳐서 가산가(A)의 '-'단자로 인가되어 두신호의 차이만큼 보상되는데 외부에서 바이어스를 조절하여 이 크기를 조절하였다.
즉 가산기(A)의 '+'단자에는 제2도 ①번 파형과 같은 비디오 입력신호가 그대로 인가되고 가산기(B)의 '-'단자에는 로우패스필터(B)에 의해 필터링되어 제2도 ②번 파형과 같이 고주파 부분이 깎인 파가 입력되어 가산기(A)에서 그차이 만큼 증폭되어 Vout 출력된다.
이 Vout을 원래 시그날과 더하여 고주파의 찌그러진 부분을 보상한다.
즉 제2도에서 ①번 파와 ②번파의 차이인 빗금부분이 디프(dift) 입력되어 Vout으로 출력된다.
그런데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부분이 현단계에서 IC 집적화되기 곤란하고 또 종래 기술 장치는 단순히 입력차이를 증폭하여 더해줌으로써 원래의 휘도(Y)신호가 고르게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또한 고주파 피크(peak)가 들어올때는 이를 반대로 죽여주게 구성되어야하는데 종래 회로에서는 다르게 설계된 장치를 다시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비디오 휘도신호(Y)입력은 트랜지스터(Q19, Q11)의 베이스로 공통입력(노드1)되고 트랜지스터(Q19, Q18)의 콜렉터는 전원(Vcc)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8)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 전압(V1)이 인가되며 트랜지스터(Q18, Q19)의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와 저항(R5, R6)의 일측 접속단과 공통 접속(노드2)되고 바이어스 전압(V2)은 트랜지스터(Q20, Q7, Q8, Q13, Q14, Q16)의 베이스단으로 동시 인가되며 트랜지스터터(Q20, Q7, Q8, Q13, Q14, Q17)의 각 에미터는 각각 저항(R18, R9, R19, R14~16)을 거쳐 접지로 연결되고 저항(R5)의 다른 한측단(노드3)은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와 연결되는 동시에 콘덴서(C1)를 거쳐 접지로 연결되고 저항(R6)의 다른 한측단은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노드4)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5, Q6)의 각 에미터는 저항(R8)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7, Q8)의 각 콜렉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 Q2)의 에미터 접속단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3, Q4)의 에미터 접속단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노드6)는 저항(R3)과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2, Q3)의 베이스는 접속되어(노드7) 저항(R19)와 연결도는 동시에 저항(R4)과 연결되고 저항(R19)의 다른 일측은 콘덴서(C2)와 가변전원(VR)에 의해 접지되고 저항(R4)의 다른 일측은 저항(R3)의 나머지 일측과 연결되는 동시에 저항(R1)을 거쳐서는 Vcc전원과, 저항(R2)을 거쳐서는 접지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2, Q4)의 콜렉터는 Vcc전원과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 Q3)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노드5)로 연결되는 동시에 저항(R7)을 거쳐 Vcc 전원과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9, Q10)의 콜렉터는 Vcc전원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로는 바이어스 전압(V4)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9, Q10)의 에미터는 접속되어 저항(R11)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는 Vcc전원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는 Vout출력이 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15)의 콜렉터와 저항(R17)을 통하여 Vcc 전원에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 전압(V3)이 인가되며 트랜지스터(Q11, Q12)의 에미터는 저항(R12)과 공통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11) 에미터는 저항(R13)을 거쳐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6)의 베이스와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와 저항(R11)의 한측단 및 트랜지스터(Q14)의 콜렉터와 동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6)의 콜렉터는 Vcc전원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5, Q16)의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7)의 콜렉터와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서 트랜지스터(Q18~Q20)와 저항(R18)으로 구성된 부분은 입력 비디오 휘도신호(Y)에서 바이어스 전압(V1)에 의해 잡힌 전압에 따라 어떤 일정레벨 이하를 컷-오프시켜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로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전달하는 신호입력부(가)이고 저항(R1~R4, R19), 콘덴서(C2), 가변전원(VR)로 구성된 부분은 인가된 가변전원(VR)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 Q4)와 (Q2, Q3)의 바이어스에 차등을 두어 트랜지스터(Q5, Q6)의 콜렉터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회로부(나)이고 트랜지스터(Q1~Q8), 저항(R5~R10), 콘덴서(C1)로 구성된 회로는 고주파 레벨의 차이를 디텍트하는 고주파 레벨차 디텍트부(다)이며 트랜지스터(Q11~Q14), 저항(R11~R15, R17)으로 구성된 회로는 원래의 입력 휘도신호(Y)와 고주파 부분의 차등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합하여 증폭해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라)이며 트랜지스터(Q15~Q17)과 저항(R16)으로 구성된 부분은 (나)(다)회로에서의 출력과 원래 입력 휘도신호(Y)와의 보상을 한번더 해주기 위한 신호보상회로부(마)이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된 비디오 휘도신호가 그대로 트랜지스터(Q19)의 베이스로(노드1)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8)의 베이스 전위(V1)에 따라 일정레벨 이하가 클램핑되고 클램핑된 노드2의 파형은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노드4)로는 그대로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노드3)로는 저항(R5), 콘덴서(C1)의 로우 패스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파형이 인가된다.
이때 가변전원(VR)에 의해 노드6과 노드7의 바이어스를 다르게 잡는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5, Q6)의 입력파에 차등이 생기면 트랜지스터(Q5, Q6)의 콜렉터 전류(IC)가 다르게 되고, 이때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전류(IC)는 트랜지스터(Q1, Q2)로 부터 뽑는 전류이고,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 전류(IC)는 트랜지스터(Q3, Q4)에 의해 뽑는 전류이므로 노드6과 노드7의 바이어스가 다르면 노드5의 출력이 달라진다.
즉 노드6의 바이어스 전위가 노드7의 바이어스 전위보다 클경우에는 노드5에 제4도 (a)의 ⑤같은 파형이 출력되고 노드6의 바이어스 전위가 노드7의 바이어스 전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노드5에 제4도 (b) ⑤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따라서 가변전원(VR)을 조정함으로써 노드3과 노드4 입력파형의 차이를 양ㆍ음으로 다르게 뽑아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력된 제4도의 (a)(b)의 ⑤파형은 트랜지스터(Q9)를 거쳐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를 입력되어 원래의 비디오 휘도신호(Y)가 그대로 입력된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파형과 합쳐져서 Vout으로 최종출력된다.
이와같이 가변전원(VR)을 조정하여 화상이 ‘로우’로 찌그러지는 것과 아울러 ‘하이’로 찌그러지는 것도 동시에 조절가능한다.
이때의 최종 출력 파형은 제5도와 같다.
제4도의 (a)는 노드6의 전압이 노드7의 전압보다 클경우의 파형도이고 제5도 (b)는 노드6의 저압이 노드7의 전압보다 작을 경우의 파형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디오 신호 처리계에서 녹화후 재생시에 찌그러지는 부분을 보상하기 위해 본 고안을 응용하여 휘도처리 신호용 IC에 내장함으로서 간단히 화상제어가 가능하고 IC 집적화되어 부품감소가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18~Q20), 저항(R18)으로 구성되어 바이어스전압(V1)에 따라 입력 비디오 휘도 신호중 어떤 일정레벨 이하를 컷-오프시켜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입력부(가)와, 저항(R1~R4, R19), 콘덴서(C2), 가변전원(VR)으로 구성되어 트랜지스터(Q1, Q4)(Q2, Q3)의 바이어스 전압에 차등을 두어 트랜지스터(Q5, Q6)의 콜렉터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조절회로부(나)와, 트랜지스터(Q1~Q8), 저항(R5~R10), 콘덴서(C1)로 구성되어 고주파 레벨의 차이를 디텍트하는 고주파 레벨차 디텍트부(다)와, 트랜지스터(Q11~Q14), 저항(R11~R15, R17)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주파 레벨차 디텍트부(다)의 출력을 트랜지스터(Q9)를 통해 인가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라)와, 트랜지스터(Q15~Q17)로 구성되어 상기 고주파 레벨차 디텍트부(다)를 출력과 원래의 입력 휘도신호(Y)를 합해서 한번더 보상해주는 신호 보상회로부(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KR2019890005536U 1989-04-29 1989-04-29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536U KR950001174Y1 (ko) 1989-04-29 1989-04-29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536U KR950001174Y1 (ko) 1989-04-29 1989-04-29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23U KR900019523U (ko) 1990-11-09
KR950001174Y1 true KR950001174Y1 (ko) 1995-02-24

Family

ID=1928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536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174Y1 (ko) 1989-04-29 1989-04-29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1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523U (ko) 199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2566B2 (ko)
US5801555A (en) Correlative double sampling (CDS) device
KR950001174Y1 (ko) 화상 신호 찌그러짐 보상회로
US4641206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noise reduction circuit
JP2661607B2 (ja) 差動出力を有する差動増幅器
KR0155616B1 (ko) 영상 신호 클램프 회로
JPH0211067A (ja) ビデオ信号処理システム
JPS5949728B2 (ja) 可変インピ−ダンス回路
JP2738431B2 (ja) ホールド装置
KR0127536B1 (ko) 진폭 제한 기능을 갖는 영상 신호 증폭 장치
KR910006481Y1 (ko) 텔레비젼의 비데오 시그널 입력회로
JPH0145173Y2 (ko)
JPH0154913B2 (ko)
KR900006362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성 및 영상신호 보정회로
KR910007623Y1 (ko)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레벨차를 감소하기 위한 회로
KR910005231Y1 (ko) Tv영상 신호의 입출력 레벨 등화 회로
KR910005808Y1 (ko) 색차 신호의 증폭 및 분리 회로
JP3087522B2 (ja) 色信号処理装置
JP3016942B2 (ja) 利得切換回路
KR950002761Y1 (ko) 콘트롤신호의 기록 및 재생회로
KR96001048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캡션신호 발생회로
JPH0221783Y2 (ko)
JPS6145633Y2 (ko)
JPH05274787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2603647Y2 (ja) 記録再生切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4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2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42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7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72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