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의 명칭]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는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다음의 내용에 따라 얻어지게 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특정한 중요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의 일반적인 다이아그램.
제 59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내에 포함된 메모리의 메모리 레이아웃(layout).
제 2 도는 본 설명에서 시스템 I로 언급되며 미합중국 특허 제 4,322,843호에 언급된 시스템과 동일한 시분할스위칭 시스템의 다이아그램.
제 3 도는 시스템 I에 이용되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 및 연관 제어유니트의 상세한 다이아그램.
제 4 도는 시스템 I의 시간-다중화 스위치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타임 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유니트의 다이아그램.
제 5 도는 시스템 I의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다중화 스위치의 인터페이스 유니트의 다이아그램.
제 6 도는 시스템 I에 사용되는 데이타 워드 포맷의 다이아그램.
제 7 도는 시스템 I내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다이아그램.
제 8 도는 시스템 I내에 사용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에 대한 상태 다이아그램.
제 9 도 내지 제 13 도는 제 57 도에 따라 배열될 때의 시스템 I에 사용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에 대한 플로우챠트.
제 14 도 내지 제 18 도는 시스템 I내에 사용된 다수의 메세지, 데이타 구조, 데이타 관련부를 나타낸 도면.
제 19 도 내지 제 21 도는 제 22 도에 따라 배열될 때의 4개의 각각의 원격스위칭 모듈은 시스템내로 합체시키므로써 시스템 I상에 형성된 시스템 II로 언급되는 스위칭 시스템의 다이아그램.
제 23 도는 시스템 II내에 사용된 제 1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를 설명하는 기능 다이아그램.
제 24 도는 시스템 II내에 사용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에 대한 상태 다이아그램.
제 25 도 내지 제 29 도는 제 58 도에 따라 배열될 때의 시스템 II내에 사용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에 대한 플로우챠트.
제 30 도 및 제 31 도는 시스템 II내에 사용된 제 2 및 제 3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
제 32 도는 시스템 II내에 사용된 트겅메세지, 데이타구조,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를 나타낸 도면.
제 33 도 내지 제 35 도는 제 36 도에 따라 배열될때, 시스템 II에서처럼 4개의, 원격 스위칭 모듈을 가지나 각각의 모듈이기 보다는 하나의 집합체로서 언급되는 그룹화 형태로 상호접속되는 시스템 III으로 언급되는 스위칭 시스템의 다이아그램.
제 37 도 내지 제 39 도는 시스템 III내의 처리 시퀀스 호 내에 수반되는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
제 40 도는 시스템 III의 대안 실시예에서의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
제 41 도는 시스템 I 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조를 사용하나 종단단자 결정기능이 단지 스위칭 모듈의 협동처리에 의해 모든 호에 대해 행해지는 시스템 IV로 언급되는 스위칭 시스템의 다이아그램.
제 42 도는 시스템 IV내에 사용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동작을 규정하기 위해 제 25도 내지 제 29의 플로우 챠트에 대해 이루어진 특정변형의 다이아그램.
제 43 도 내지 제 47 도는 시스템 IV내에 사용된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의 기능 다이아그램.
제 48 도는 시스템 중앙제어가 호 처리기능을 완전히 면제할 수 있는 시스템 V로서 언급되는 스위칭 시스템의 다이아그램.
제 49 도는 시스템 V에 사용된 대안의 제어분산 유니트의 다이아그램.
제 50 도, 제 51 도 및 제 55 도에 따라 배열된 제 52 도 내지 제 54 도는 시스템 V내의 경로추적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 56 도는 시스템 V에 사용된 표본의 호 셋업 시퀀스의 기능 다이아그램.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호 셋업 기능이 시스템 제어유니트 사이에서 분산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축적 프로그램 제어 스위칭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메모리내에 축적된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스위칭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의 스위칭 시스템이 다수의 시스템 제어유니트 사이에 호 처리 기능을 분산시킨다해도, 호 셋업 내에 포함된 많은 시간-소비 타스크가 전형적으로 계속 중앙제어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예로, 하나의 공지된 디지탈 스위칭 시스템에서, 스위칭 기능은 다수의 스위칭 모듈사이에서 분산된다. 각 스위칭 모듈은 다수의 단자를 가지며, 그 모듈의 단자에 접속된 라인과 트렁크 사이에 접속부를 제공한다. 다른 모듈에 접속된 라인이나 트렁크에 수반되는 호는 그 모듈을 상호접속시키는 시간-다중화 스위치를 통해 완성된다. 각 스위칭 모듈은 그 모듈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시간-다중화 스위치의 스위칭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를 포함한다. 그와같은 시스템의 호 조정은 접속부 설정에 부가하여 다수의 기능실행을 필요로 한다. 호에 연관된 많은 실-시간 집중타스크가 스위칭 모듈 제어유니트에 의해 수행된다해도, 각 호에 대한 종단단자의 동일성 결정은 시스템 중앙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종단단자 결정기능은 라인이 요구되는가, 트렁크가 요구되는가를 결정하고, 다이열된 번호를 물리적인 시스템 어드레스로 번역하고, 트렁크 그룹 또는 라인 추적그룹중의 휴지부재를 추적하는 호 스크리닝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은 광범위한 데이타베이스 탐색 및 데이타 처리 등을 포함하는 시간-소비타스크이다.
이와같은 형태의 모듈러시스템의 중요한 장점중의 하나는 그의 용량이 특정응용의 요구에 알맞게 부합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시스템이 커지고, 스위칭 모듈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종단단자 결정기능에 연관된 호 타스크에 대한 시스템 중앙제어에 의한 수행은 전체 시스템 호 처리용량에 상한선을 부과하게 된다.
종단단자 결정기능이 분산되는 하나의 공지된 장치는 트렁크에 의해 상호접속된 다수의 PBX를 포함한다. 제공된 PBX는 그 PBX에 접속된 라인이나 트렁크에 대한 호에 대해 종단단자 결정기능을 완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른 PBX에 접속된 라인이나 트렁크에 대한 호에 대해, 종단단자를 결정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타는 제공된 PBX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제공된 PBX는 그들 사이의 접속된 목적지 PBX 및 타이 트렁크를 결정하기 위한 충분한 데이타를 축적한다. 목적지 PBX는 번호가 그 PBX에 접속된 라인상에 다이얼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호로서 다이얼된 번호에 응답하며, 종단단자에 대한 접속을 완성한다.
공지된 장치가 호가 중앙제어장치를 수반함이 없이 상호접속된 임의의 시스템에 접속된 라인이나 트렁크에 대해 완성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기는 하지만, 전체 호 처리용량이 내부 PBX호에 관련된 제 1PBX에 의해 행해진 처리가 호를 완성하는데 있어 제 2PBX에 의해 유리하게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감소된다. 오히려, 제 2PBX는 제 2PBX상에서 시작하는 호가 조정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호접속된 인접한 트렁크에 걸쳐 수신된 디지트를 처리한다. 따라서, 제 1PBX에 의해 행해진 처리작업은 상호접속된 시스템의 전체 처리 요구에 있어서의 실제적인 증가를 나타낸다.
상술된 관점에서, 상기 기술에서 인지된 문제점은 종단단자를 결정하는 과정에 연관된 시간-소비타스크가 시스템 중앙제어에 의해 수행되거나, 분산 제어유니트에 대한 상기 타스크의 분산이 시스템상의 전체 처리부하의 실제적인 증가를 초래한다는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에 제한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발명의 요약]
제 1 제어유니트가 종단단자를 완전히 결정하지 못했을 때 얻어진 부분적인 결과가 제 2 및 차순의 제어유니트에 의해 유리하게 사용되어 시간-소비 데이타베이스 엑세스 타스크가 불필요하게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그와같은 방법으로 두개 이상의 시스템 제어유니트가 종단단자 결정기능을 협동적으로 수행하는 스위칭 시스템내의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상술된 문제점이 해결되며 기술적인 진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단자를 갖는 스위칭 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제 1,제 2제어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 1 제어유니트는 다수의 제 1 데이타베이스 관련부 또는 테이블 및 다수의 상태를 가지며, 호에 대한 종단단자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의 판독을 규정하는 제 1 프로그램을 축적한다. 제 2 제어유니트는 유사하게 다수의 제 2 데이타베이스 관련부 및 제 1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상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상태를 가지며, 호에 대한 종단단자를 결정하기 위해 제 2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의 판독을 규정하는 제 2 프로그램을 축적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제 1 제어유니트에 의해 초기화되며, 제 1 데이타베이스 관련부 각각은 제 1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규정된 것으로 판독된다.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은 제 1 프로그램의 실행을 계속하는데 필요한 데이타가 주어진 제 1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결정됨에 따라 종단된다. 제어메세지는 주어진 제 1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의 규정된 판독전에 제 1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상태중의 하나를 규정하는 제 2 제어유니트로 전송된다. 제 2 제어유니트는 제어메세지에 의해 규정된 제 1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상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상태내의 제 2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며, 제 2 데이타베이스 관련부 각각은 제 2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규정된 것으로 판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표본의 제어장치는 다수의 단자를 갖는 스위칭 시스템내에서 사용된다. 제어장치는 대응하는 단자의 서브세트에 각각 연관된 다수의 스위칭 모듈을 포함한다. 각 스위칭 모듈은 다수의 데이타 베이스 관련부를 저장하며, 종단단자를 결정하기 위해 순차 데이타베이스의 엑세스를 규정하는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각 스위칭 모듈은 또한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관된 서브세트의 단자에서 수신된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는 프로세서를 갖는다.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타가 주어진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스위칭 모듈은 다른 스위칭 모듈중의 하나로 경로지정 연속요청을 전송한다. 경로지정 연속요청은 주어진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의 엑세스에 앞서 경로지정 프로그램내의 한점을 규정하며, 규정된 점에서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데 필요한 데이타를 규정한다. 가른 스위칭 모듈은 요청에 의해 규정된 점에서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므로써 경로지정 연속요청에 응답한다.
[일반적인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특정한 중요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900)의 일반화된 다이아그램이다. 스위칭 시스템(900)은 다수의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며 다수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상호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여기에서는 단지 제어유니트(917)(927)와 단자(911)(932)가 제 1 도에 도시된다. 단자는 아날로그나 디지탈 라인 및 공지된 다수의 형태중 임의의 형태의 트렁크에 접속 가능하다. 제어유니트(917)는 프로세서(918)와 메모리(919)를 포함한다. 메모리(919)용 메모리 레이아웃은 제 59 도에 도시된다. 프로세서(918)는 다른 프로그램중에 메모리(919)의 메모리 블럭(913)내에 축적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제 59 도). 프로세서(918)는 프로그램변수의 초기치와, 메모리 블럭(914)내에 축적된 데이타 구조세트 즉, ROBLK, CFBLK, GRPBLK, 및 GRPBLK 및 TERMBLK내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얻어진 결과로 이루어진 영구데이타를 기록한다. 블럭(913)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은 다수의 프로그램 상태로 이루어진 유한상태 기계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호에 대한 종단단자 결정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종단단자 결정기능은 라인이 요구되는가 트렁크가 요구되는가를 결정하고, 다이얼된 번호를 시스템 단자의 물리적인 시스템 어드레스로 번역하고, 트렁크 그룹 또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휴지부재를 추적하는 호 스크리닝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경로지정 프로그램은 다수의 데이타베이스 관련부, 즉, FIXE, DRI, SCRNING, DNTRAN, ROUTING, PORTGROUP, GROUPPORT, MHG, LNSTAT, TRKG, TKOWNER, TKQUE, TKSTAT MODTRAN 관련부의 판독을 규정한다. 그와같은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는 메모리 블럭(915)(제 59 도)내의 메모리내에 축적된다.
제어유니트(927)은 유사하게 프로세서(928)와 메모리(92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28)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929)내에 축적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은 실제적으로 메모리(919)내에 축적된 경로지정 프로그램과 동일하다. 메모리(929)는 또한 메모리(919)의 블럭(914)내에 축적된 구조에 대응하는 데이타 구조세트와 메모리(919)의 블럭(915)내에 축적된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에 대응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세트를 축적하는데, 데이타 구조 및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는 대응구조 및 관련부가 프로세서(918)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프로세서(928)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응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내에 축적된 각각의 데이타 소자나 터플이 다르다는 점을 주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로, 메모리(919)내에 축적된 DNTRAN 관련부가 특정 전화번호세트나 시스템 단자의 몇몇의 서브세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포함하는 반면 메모리(929)내에 축적된 DNTRAN 관련부는 다른 세트의 전화번호나 단자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가지거나 모든 시스템단자에 필요한 정보 및 그들의 지정된 전화번호를 갖는다. 또한, 다중-단자 추적그룹의 휴지부재를 추적하기 위해 요구되는 동적 통화중/휴지데이타 즉, 다중-라인 추적그룹용의 LNSTAT 또는 트렁크그룹용의 TKOWNER, TKQUE, TKSTAT 관련부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는 제어유니트의 단 하나에 축적된 주어진 추적그룹용의 그와같은 데이타를 갖을 것이다.
예로, 다이멀펄스의 연속, 이중론 다중주파수 시퀀스 또는 디지탈 메세지 등과 같은 다이얼틴 번호를 나타내는 신호가 단자(911)에서 수신된다고 가정한다. 수신된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며, 제어유니트(917)의 프로세서(918)는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한다. 그와같은 실행은 메모리블럭(915)내에의 축적된 특정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의 판독을 규정한다. 본 예에 따라, SCRNING 관련부가 판독되며, 그와같은 판독의 결과가 메모리(919)의 CFBLK 데이타구조내에 축적된다. 트렁크보다 라인이 종단으로 규정된다고 가정한다. SCRNING 관련부 판독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DNTRAN 관련부에 엑세스하기 위한 키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요구된 전화번호 번역정보는 메모리(919)의 DNTRAN 관련부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DNTRAN 관련부의 시도된 엑세스가 실패할 때, 프로세서(918)는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단하며 제어유니트(917)는 본원에서 일반화된 경로지정 요청 또는 RTGEN 메세지라 언급되는 경로지정 연속 요청을 제어유니트(927)로 전송한다. 경로지정 연속요청은 DNTRAN 관련부의 규정된 판독전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상태 및 상기 상태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초기화시키는데 필요한 임의의 변수값을 규정한다. 제어유니트(927)에서, 프로세서(928)는 요청에 의해 규정된 상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상태내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므로써 경로지정 연속요청을 응답한다. 즉, 프로세서(928)는 프로세서(918)가 중단되는 점에서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시작한다. SCRNING 관련부내에 재엑스하기보다는 대신, 경로지정 프로그램 변수는 프로세서(918)에 의해 얻어졌던 동일값으로 프로세서(928)내에서 초기화되며, 메모리(929)내의 DNTRAN 관련부가 그후 판독된다.
본 예에 대해, 메모리(29)내의 DNTRAN 관련부가 주어진 어드레스 신호에 필요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포함하며, 그와같은 정보는 단자(932)의 지구상의 단자 동일성을 규정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프로세서(928)는 이 호에 대한 종단단다의 결정을 완성한다. 그후 스위칭 시스템(900)의 여러가지 제어유니트는 시작단자(911)와 종단단자(932)사이에 통신선로를 설정하기 위해 협동한다.
제 2 예로서, 다른 어드레스 신호 단자(911)에서 수신되나 필요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는 메모리(919)의 DNTRAN 관련부내에 축적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SCRNING 및 DNTRAN 관련부의 엑세스는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프로세서(918)에 의한 실행동안 성공적이 된다. 그러나, DNTRAN 관련부를 판독하므로써 얻어진 결과는 특정한 수신 어드레스 신호에 연관된 라인인 각각의 라인이기 보다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부분이라는 것을 규정한다. PORTGROUP 관련부는 그후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번호를 얻기 위해 엑세스된다. 상기 번호는 차례로 특정그룹에 대한 추적데이타가 제어유니트(927)의 메모리(929)내에 저장된다는 것을 규정하는 MHG 관련부를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다중-라인 추적그룹에 대한 추적데이타를 축적하는 메모리(919)내의 LNSTAT 관련부가 엑세스되나 그 엑세스는 실패한다. 상술된 예에서처럼, 제어유니트(917)는 제어유니트(927)에 대한 경로지정 연속요청의 전송을 실행한다. 경로지정 연속요청은 LNSTAT 관련부의 규정된 판독전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상태 및 그 상태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변수치를 규정한다. 제어유니트(927)에서, 프로세서(928)는 요청에 의해 규정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내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므로써 경로지정 연속요청에 응답한다. 설명되는 예에서, 경로지정 연속요청을 MHG 관련부의 판독전의 프로그램 상태를 규정한다. 그후,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에 따른 프로세서(928)는 호에 대한 종단단자의 결정을 완성하기 위해 추적그룹에 대해 규정된 선정된 추적 알고리즘을 기초로 추적그룹의 유지부재를 선택한다.
분산 제어 스위치 시스템의 제어유니 사이에 종단단자 결정기능의 분배는 계층적이거나 비계층적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층적 구성은 시스템 중앙제어 및 다수의 분산 제어유니트를 포함한다. 분산 제어유니트중의 하나가 그의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중이 하나를 엑세스하는데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언제나, 경로지정 연속요청이 중앙제어의 높은 레벨까지 전송된다. 중앙제어가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를 엑세스하는데 성공하지 못한 경우, 중앙제어는 분산 제어유니트중의 하나로 경로지정 연속요청을 하향 재전송한다.
비계층적 구성에서, 모든 시스템 제어유니트는 동일한 레벨에서 동작한다. 제어유니트중의 임의의 유니트가 그의 데이타베이스 관련부중의 하나를 판독하는데 성공하지 못했을 때, 경로지정 연속요청은 다른 제어유니트중의 하나로 전송된다. 계층적 구성이나 비계층적 구성에서, 주어진 호에 종단단자를 결정하는데 포함하기 위한 차순의 제어유니트의 결정은 각 제어유니트내에 저장된 데이타베이스 관련부내에서 규정된다. 물론, 계층적 구성내의 분산 제어유니트중의 하나에 의한 비성공적 엑세스후에 포함될 차순의 제어유니트는 항상 시스템 중앙제어이다.
수반될 상세한 설명에서, 시스템 II 내지 V로 언급되는 4개의 표본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내의 종단단자 결정을 나타낸다. 시스템 II 및 III은 시스템 중앙제어를 포함하는 계층적 구성이다. 종단단가 결정기능이 이들 시스템내에 포함된 원격 스위칭 모듈에만 분산된다해도, 상기 기능이 시스템의 스위칭 모듈 모두에 유사한 방법으로 분산된다는 점은 명백하다. 시스템 IV 및 V는 비-계층적 구성으로서 이 경우에는 시스템 중앙제어가 종단단자 결정기능을 수행하는데 포함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
다음의 설명은 다섯개의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 처리기능이 시스템을 통해 분산되는 정도에 따라 시스템 I 내지 V자로 언급된다.
시스템 I는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으로, 스위칭 기능은 다수의 라인 및 트렁크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스위칭 모듈에 분산된다. 각 스위칭 모듈은 그 모듈에 접속된 라인과 트렁크 사이에 접속부를 제공한다. 다른 모듈에 접속된 라인이나 트렁크에 수반되는 호는 그 모듈을 상호접속하는 시간-다중화 스위치를 통해 완성된다. 각 스위칭 모듈은 그 모듈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시간-다중화 스위치의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를 포함한다. 시스템내의 모든 호는 어느 것이 네트워크 타임슬롯으로 언급되는가의 선택을 요구한다. 모듈간의 호에 대해, 네트워크 타임슬롯은 하나의 스위칭 모듈로부터 시간-다중화 스위치를 통해 다른 스위칭 모듈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모듈내의 호에 대해, 네트워크 타임슬롯은 하나의 라인이나 트렁크를 다른 라인이나 트렁크에 접속시키기 위해 스위칭 모듈내에 사용된다(본 실시예에서, 두개의 네트워크 타임슬롯은 모듈내의 호에 대해 사용되며, 하나는 각 전송방향에 대해 사용된다). 호 처리기능이 호에 관련된 실시간 집중타스크 즉, 신호 처리가 스위칭 모듈 제어유니트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I내에 분산된다해도, 종단단자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선택하며, 호가 모듈간의 호인 경우 시간-다중화 스위치 선로를 셋업시키는 기능으로 규정되는 경로지정기능 기능이 시스템 중앙제어에 의해 수행되어 집중화된다. 여기에 언급된 시스템 I는 미합중국 특허 제 4,322,843호에 언급된 시분할스위칭 시스템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시스템 II는 4개의 각각의, 원격스위칭 모듈을 시스템내로 합체시키므로써 시스템 I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시스템 II에서 경로지정기능은 원격스위칭 모듈 제어유니트와 시스템 중앙제어에 의해 분산방법으로 수행된다. 분산은 하나의 제어 실제물에 의해 행해진 작업, 특히, 시간 소비 데이타베이스 엑세스 타스크가 차순위 제어 실제물에 의해 반복될 필요가 없도록 효율적인 방법으로 행해진다.
시스템 III은 또한, 시스템내에 4개의 원격 스위칭 모듈을 가지나 각각의 모듈이기 보다는 시스템 III내의 4개의 원격모듈은 집합체로 언급되는 그룹화형태로 상호접속된다. 시스템 III에서, 경로지정기능은 다시 분산형태로 수행된다. 여기에 언급된 시스템 II 및 III은 1983년 5월 11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93,683호에 언급된 원격 스위칭 능력을 포함하는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과 많은 면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93,683호의 시스템에서, 경로지정기능은 분산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중앙제어에 의해 중앙적으로 수행된다.
시스템 III은 시퀀스호 즉, 진행된 호 또는 연속완성호를 처리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그와 같은 분산 제어 스위칭 시스템에서 시퀀스호는 항상 간단한 호 즉, 단지 두개의 단자에 수반되는 호로 감소된다.
시스템 IV는 시스템 I과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사용하나,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선택하고, 모듈내의 호에 대한 시간-다중화 스위치 선로를 설정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호 처리기능은 시스템 중앙제어에 수반되기보다는 스위칭 모듈에 분산된다. 특히, 종단단자를 결정하는 기능은 스위칭 모듈만의 협동적인 처리에 의해 모든 호에 대해 행해 질 수 있다.
시스템 IV에서, 전화번호 번역기능은 전화번호를 가입자세트에 지정하는 가용성을 허용하는 반면 각 스위치 모듈내에서 요구되는 저장능력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다수의 스위칭 모듈에 걸친 부재를 갖는 다중-단자 추적그룹은 각가의 다중-단자그룹에 대해 스위칭 모듈중의 하나를 그 다중단자 그룹에 대한 그룹 제어기로 할당함으로써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어된다.
시스템 V에서, 선로추적으로 언급되는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선택하는 기능과, 모듈간 호에 대해 시간-다중화 스위치 선호를 셋업하는 기능인 남은 호 처리기능이 스위칭 모듈에 분산된다. 시스템 V에서, 시스템 중앙제어는 호 처리기능에서 완전히 면제되며, 단지 관리 및 유지기능만을 수행한다.
[시스템 I]
시스템 I로 언급되는 제 2 도의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은 가입자세트(23 내지 26) 및 트렁크(43 내지 46)를 상호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며, 64개의 입력단말기와 64개의 출력단말리를 갖는 시간공간분할 스위치로 이루어진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포함한다. 또한, 29개의 타임슬록 상호교환 유니트가 포함되나,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12)가 특별히 도시되었다. 각 타임슬롯을 상호교환 유니트(11)(12)는 양방향 타임슬롯 상호교환기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각 타임슬록 상호교환 유니트(11)(12)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두 개의 입력단말기와 2개의 출력단말기에 접속된다. 시스템 I에서, 타임슬롯 상호 교환 유니트(11)는 시간-다중화 라인(13)(14)을 거쳐 두개의 시간-다중화 스위치 입력단말기에, 시간-다중화 라인(15)(16)을 통해 두개의 출력단말기에 접속된다.
수반되는 설명에서,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 및 출력단말기는 입력/출력단말기쌍으로 언급된다.
이는 주어진 입력/출력단자쌍의 입력단자에 대한 데이타워드용 소스가 상기 쌍의 출력단자로부터의 데이타워드용 목적지가 되기 때문에 사용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출력 단말기쌍 p1은 시간-다중화 라인(13)(15)에 연관된다. 각 시간-다중화라인(13 내지 16)은 각각 256개의 시간분리채널로 이루어진 125㎲ 프레임으로 디지탈 정보를 전송시킨다. 따라서, 각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는 각 125㎲ 프레임 동안 512채널의 디지탈 정보로 전송하고 수신한다.
각 타임스롯 상호교환 유니트는 제어유니트와 유일하게 연관되는데, 제어유니트(17)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에 연관되며, 제어유니트(18)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에 연관된다. 부가적으로, 각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는 각각의 시간-다중화 라인을 거쳐 다수의 주변유니트에 접속되는데, 라인유니트(19 내지 22) 및 트렁크유니트(39 내지 42)가 제 2 도에 도시된다.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 및 연관 제어유니트 및 주변유니트를 함께 스위칭 모듈이라 언급한다. 라인유니트(19)(20) 및 트렁크유니트(39)(40)는 스위칭 모듈(201)내의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에 접속되며, 라인유니트(21)(22) 및 트렁크유니트(41)(42)는 스위칭 모듈(229)내의 타임슬롯을 상호교환 유니트에 접속된다. 각 라인유니트는 다수의 가입자세트에 접속되는데, 여기에서는 가입자세트(23 내지 26)가 도시된다. 각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에 연관된 라인유니트의 정확한 수와 각 라인유니트에 연관된 가입자세트의 정확한 수는 제공될 가입자의 수와 이들 가입자의 발신율에 의해 결정된다. 각 라인유니트는 다수의 가입자세트(23 내지 26)로부터 공지된 형태의 아날로그루프를 종단하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호 정보를 그의 연관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로 전송된 디지탈 데이타 워드로 변환시킨다. 또한, 각 라인유니트는 가입자세트로부터의 서비스요청을 검출하여 이들 가입자세트용 특정 시그널링정보를 발생한다. 특정 가입자세트로부터 음성샘플이 취해지고 인코드되며, 라인유니트와 그의 연관 타임슬록 상호교환 유니트 사이에 결과 코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시간-다중화 채널은 연관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의 제어유니트에 의해 결정된다.
트렁크유니트(39)(40)는 트렁크 포착을 검출하고, 다른 시스템과의 트렁크 시그널링을 제어하고 검출하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트렁크에 대해 수행한다. 트렁크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형태일 수 있다. 그와같은 디지탈 트렁크의 한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 4,059,731호에 언급된 T1 캐리어 시스템으로, 그 상에서 24개의 분리통신채널이 다중화된다.
가입자세트, 라인유니트 및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의 관계는 상호접속된 유니트의 그룹 각각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수반되는 설명이 직접 가입자세트(13), 라인유니트(19) 및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에 관련되는 동안, 이는 그와 같은 유니트의 모든 다른 그룹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유사한 관계가 트렁크, 트렁크유니트 및 타임 슬롯 상호교환 유니트 사이에 존재한다. 라인유니트(19)는 서리브세 대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해 각 가입자 세트에 접속된 라인을 주사한다. 하나의 요청이 검출될때, 라인유니트(19)의 요청가입자 세트의 요청 및 동일성을 지시하는 메세지를 제어유니트(17)로 전송한다. 상기 메세지는 통신선로(27)를 거쳐 제어유니트(17)로 전송된다. 제어유니트(17)는 요청된 서비스, 요청 가입자 세트의 동일성 및 유용한 장비를 기초로 필요한 번역을 수행하며, 그 메세지를 라인유니트(19)와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 사이의 다수의 시간분리채널중의 어느것이 가입자 세트(23)로부터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가를 규정하는 통신선로(27)를 거쳐 라인유니트(19)로 전송한다. 상기 메세지를 기초로, 라인유니트(19)는 가입자 세트(23)로부터의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탈 데이타워드로 인코드하여 지정된 채널내로 결과 데이타 워드를 전송한다. 라인유니트(19)는 또한 가입자 세트(23)에 연관된 가입자루프의 DC상태 즉, 개회로, 폐회로의 지시를 지정된 채널로 전송한다.
라인유니트(19)와 타임 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사이의 시간분리 채널이 주어진 가입자 세트에 지정된 후, 제어유니트(17)는 가입자 세트로부터의 시그널링정보를 검출하는 지정된 채널로 전송된 정보 샘플링한다. 이와같은 셈플링동작은 통신선로(28)을 거쳐 수행된다. 제어유니트(17)는 가입자채널로부터의 시그널링정보와 다른 제어유니트(18) 및 중앙제어유니트(30)으로부터의 제어메세지에 응답하여, 타임 슬롯 상호 교환 유니트(11)의 타임 슬롯상호교환기능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같이, 타임 슬롯상호교환 유니트와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의 각 시간-다중화 라인은 각각 125μS 프레임을 갖는다. 이들 채널은 발생되는 순서에 따라 1에서 256까지 지정된 숫자 목적지가 된다. 이와같은 채널의 시퀀스는 주어진 채널이 125㎲ 마다 유용하게 되도록 재발생된다. 타임-슬롯을 상호교환기능은 라인유니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타워드를 취하여 그들을 제어유니트(17)(18)의 제어하에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와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의 시간-다중화 라인상의 채널에 위치시킨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는 재발생되는 타임 슬롯의 프레임에서 동작한다. 각 타임 슬롯동안, 시간-다중화 스위치(10)는 제어메모리(29)내에 축적된 타임 슬롯 제어정보에 따라 그의 64개 입력단말기중의 임의의 단말기에서 수신된 데이타워드를 그의 64개 출력단말기중의 임의의 단말기에 접속시키게 된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통한 접속의 구성패턴은 256 타임 슬롯마다 자체적으로 재반복되며, 각 타임 슬롯은 1에서 256까지의 순서로 숫자목적지에 지정된다. 따라서, 제 1 타임 슬롯 TSI 동안, 시간-다중화 라인(13)상의 채널(1)내의 정보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에 의해 출력단자(964)로 스위치되며, 차순의 타임 슬롯 TS2 동안에는 시간-다중화 라인(13)상의 차순의 채널(2)내의 정보가 출력단자(P57)로 스위치된다. 타임 슬롯 제어 정보는 여러가지 제어유니트(17)(18)로부터 얻어진 제어메세지로부터의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중앙제어(30)에 의해 제어메모리(29)내로 기록된다.
중앙제어(30) 및 제어유니트(17)(18)는 타임 슬롯상호교환 유니트와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에 시간 다중화 라인의 선택된 채널인 착신제어채널을 사용하여 제어메세지를 교환한다. 각 제어메세지는 다수의 제어워드로 이루어지며, 각 제어채널은 256개의 시간분리채널인 프레임당 하나의 제어워드를 전송한다. 주어진 입력/출력 단자쌍에 연관된 두개의 시간-다중화 라인과 동일한 채널은 제어채널로서 이미 정의되었다. 부가적으로, 주어진 채널은 시간-다중화 라인의 단지 한쌍만에 대해 제어채널로 사용된다. 예로, 채널 1이 시간-다중화 라인(13)과 연관 시간-다중화 라인(15)상의 제어채널로 사용되는 경우, 어떠한 다른 시간-다중화 라인도 채널 1을 제어채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제어 채널과 동일한 숫자목적지를 갖는 각 타임 슬롯동안, 시간-다중화 스위치(10)는 상기 제어채널을 점유하는 데이타워드를 출력단말기(964)에 접속시키며, 입력 단말기(964)를 상술된 제어채널에 연관된 출력단자에 접속시킨다. 다음은 채널 1이 시간-다중화 라인(13)(15)에 대한 제어채널이고, 채널 2가 시간-다중화 라인(13)(15)에 대한 제어채널이고, 채널 2가 시간-다중화 라인(14)(16)에 대한 제어채널일때의 시스템 I의 동작의 예에 대한 설명이다. 타임 슬롯 TS1동안, 제어메모리(29)로부터의 정보는 다른 접속사이에서, 시간-다중화 라인(13)의 채널 1내의 제어워드가 출력단자(964)에 접속되며, 입력단말기(964)에서 채널 1내의 제어워드가 시간-다중화 라인(15)에 접속된다는 것을 규정한다. 유사하게, 타임 슬롯 TS2동안, 제어메모리(29)로부터의 정보는 시간-다중화 라인(14)의 제어워드가 출력 단말기(964)에 접속되고, 출력단말기(964)에서 채널 2내의 제어워드가 시간-다중화 라인(16)에 접속된다는 것을 규정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동작될때, 출력단말기(964)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부터 시간-다중화 스위치로 전송되었던 동일한 번호목적지를 갖는 채널내의 모든 제어워드를 수신한다.
또한, 각 제어채널은 그들에 연관된 제어채널과 동일한 숫자목적지를 갖는 타임 슬롯동안, 입력단말기(964)로부터 제어워드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된다. 출력단자(964)로 스위치된 제어워드는 그 제어채널에 연관된 위치에 상기 워드를 일시적으로 저장시키는 제어분배유니트(31)로 전송된다. 제어분배 유니트(31)내의 기억위치와 제어채널의 연관은 기억된 정보의 소스를 확인한다.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로부터의 각 제어 메세지는 시작캐릭터, 목적지부, 시그널링정보부, 종료캐릭터로 이루어진다. 목적지부는 유일하게 제어메세지의 예견된 목적지를 규정한다. 제어분배유니트(13)는 제어메세지에 대한 적당한 목적지를 결정하기 위해 각 제어메세지의 목적지부를 해독하여, 그 메세지를 목적지유니트에 연관된 제어채널과 동일한 숫자목적지를 갖는 채널내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단자(964)에 재전송한다.
상술된 바와같이 동작할때,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는 제어메세지를 타임 슬롯상호 교환유니트(12)로 전송하여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12)와 동일한 목적지부를 갖는 제어메세지를 형성하기 위해 그의 재발생제어채널동안 제어워드를 전송한다. 제어 분배 유니트(31)는 제어워드를 축적하고, 목적지부를 해독하고,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2)에 연관된 제어채널과 동일한 숫자 목적지를 갖는 채널동안 입력단말기(964)에 메세지를 재전송한다. 제어메세지는 또한 제어메시지의 목적지부내의 중앙제어(30)를 규정하므로써 중앙제어(30)로 전송된다. 이와같은 상황이 발생할때, 제어분배유니트(31)는 상기 메세지를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 복귀시키기 보다는 통신링크(32)를 거쳐 중앙제어(30)로 상기 메세지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메세지는 중앙제어로부터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증의 하나로 전송되며, 제어분배유니트(31)로 특정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를 규정하는 목적지부를 갖는 제어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같은 전송은 또한, 통신링크(32)를 사용하여 완성된다. 제어분배유니트(31)의 특정실시예의 동작은 미합중국 특허 제 4,322,843호에 상세하게 언급된다.
제어유니트(17)(18) 각각은 그의 연관 제어유니트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제어유니트의 1차 기능에 관련된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57)(제 3 도)와 연관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와 연관 가입자를 포함한다. 제어유니트(17)의 주처리 실제물은 메모리(57)내에 기억된 명령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66)(제 3 도)이다. 제어 유니트(17)는 프로세서(66)로부터 버스(59)를 거쳐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통신선로(27)를 거쳐 주변유니트 즉, 라인유니트(19)(20)와 통신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56)를 포함한다. 제어유니트(17)는 또한 신호 프로세서(65)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에 의해 수신된 각 데이타워드의 시그널링 부분(제 6 도의 비트 A 내지 G)을 수신하여 분석하므로써 프로세서(66)의 실시간 부가요구를 감소시킨다. 디지탈 서비스 유니트(67)는 타임 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에 의해 수신된 각 데이타 워드의 데이타부분(제 6 도)을 수신하여 PCM 신호로 변환되었던 가입자로부터의 톤 신호를 검출한다. 디지탈서비스유니트(67)는 또한 게이트(51)를 거쳐 가입자로 그리고 게이트(52)를 거쳐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 PCM 포맷인 톤 및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라인유니트(19)는 물론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56), 신호처리기(65) 및 디지탈 서비스유니트(67)의 동작은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4,322,843호에 상세히 언급된다. 트렁크유니트(39)의 예는 상기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93,683호에 언급된 T1 캐리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디지탈 설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주변유니트 각각은 각각 16비트인 32 또는 64개의 디지탈 채널로 이루어진 재발생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와같은 정보는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내의 멀티플렉스유니트(60)(제 3 도)로 전송된다. 멀티플렉스 회로(60)는 주변유니트로부터 재포맷형성된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각 125μS 프레임동안 512개의 채널을 갖는 출력 시간-다중화 라인(62)상에 전송한다. 유사하게, 디멀티플렉스 회로(61)는 시간-다중화 라인(63)상에 각각 16비트인 512개의 채널을 수신하는데, 상기 채널은 선정된 구성으로 라인유니트(19)와 같은 주변유니트에 분산된다. 또한, 멀티플렉스유니트(60)는 인입정보채널을 직렬형태에서 병렬형태로 변환시키고, 디멀티플렉서(61)는 그가 수신한 정보를 병렬형태에서 직렬형태로 변환시킨다. 시간-다중화 라인(62)상의 주어진 채널로 전송된 정보는 상기 주어진 채널에 유일하게 연관된 메모리 위치내의 수신 타임-슬롯 상호 교환기(50)내에 기억된다.
주어진 데이타워드가 기억되는 특정메모리위치는 타임 슬롯 카운터(54)에 의해 발생된 타임-슬롯 목적지 신호에 의해 규정된다. 타임 슬롯 카운터(54)는 타임 슬롯당 하나의 타임-슬롯 목적지의 속도로 512개의 타임-슬롯 목적지의 재발생시퀀스를 발생한다. 주어진 데이타워드가 수신되는 타임 슬롯동안 발생된 특정타임-슬롯 목적지는 상기 데이타워드를 저장하기 위한 수신 타임-슬롯 상호 교환기 교환기(50)내의 메모리위치를 규정한다. 데이타워드는 또한 타임 슬롯당 하나의 데이타워드의 속도로 수신 타임 슬롯 상호교환기(50)로부터 판독된다. 주어진 타임 슬롯동안 수신 타임 슬롯 상호교환기(50)로부터 판독될 데이타워드의 메모리어드레스는 제어 RAM(55)을 판독하므로써 얻어진다. 제어 RAM(55)는 타임 슬롯 카운터(54)로부터의 타임슬롯 목적지에 의해 규정된 어드레스에서 타임 슬롯당 한번 판독되면 그와같이 판독된 양은 상기 타임 슬롯 동안 판독어드레스로서 수신 타임 슬롯 상호교환기(50)로 전송된다. 수신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50)로부터 판독된 데이타워드는 시간-다중화 라인(68), 게이트(8), 시간 다중화 라인(68') 및 인터페이스유니트(69)를 거쳐 시간 다중화 스위치(10)로 전송된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부터의 데이타워드는 인터페이유니트(69)에 의해 타임-슬롯 산호교환유니트(11)에 수신되며, 시간-다중화 라인(70'), 게이트(9) 및 시간-다중화 라인(70)을 거쳐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로 전송된다.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에 접속된 주변유니트 사이의 호동안, 제어 RAM(55)은 게이트(8)(9)의 동작을 실행시켜 시간-다중화 라인(68)상의 수신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50)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워드를 게이트(18)(19) 및 시간 다중화 라인(70)을 거쳐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로 이동시킨다.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는 제어 RAM(55)으로부터의 어드레스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 인입 데이타워드를 기억시킨다. 데이타워드는 타임-슬롯 카운터(54)에 의해 규정된 어드레스에서 전송된 타임 슬롯 상호교환기(53)로부터 판독된다.
이와같이 판독된 데이타워드는 주변유니트 즉, 라인유니트(19)로의 전송을 위해 시간-다중화 라인(63)상에 전송된다. 제어 RAM(55)이 특정회로 즉, 전송 타임 슬록 상호교환기(53)에 연관된 다수의 제어 메모리로서 구성된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제어 메모리의 특정구성은 본 설명에 중요하지 않으며, 타임-슬롯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내의 타이밍 및 회로요구에 따라 변한다. 수신 타임 슬롯 상호교환기(50), 제어 RAM(55), 타임-슬롯 카운터(54) 및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에 의해 수행되는 타임 슬롯 상호교환의 일반적인 원리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세히 언급되지 않는다. 타임-슬롯 메모리내의 데이타 워드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035,584호에 상세히 언급된다.
현재 언급되는 시스템내의 제어정보교환의 1차모드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 및 제어 분배 유니트(31)를 통해 소스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로부터 제어메세지의 전송 및 다시 목적지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로의 전송이다. 통산의 2차모드는 또한 주어진 호에 대한 제어정보가 상기 호에 지정된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소스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로부터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거쳐 목적지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로 전송된다. 호 타임 슬롯내의 데이타워드의 E-비트위치는 2차 모드 통신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시그널링비트의 임의의 비트 또는 비트는 상기 2차 통신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E-비트는 통신선로연속체크 및 신호확인의 이중의 목적을 제공한다. 이들 이중의 목적을 수행하는데 도체(193)(194,195)를 거쳐 프로세서(66)와 통신하는 E-비트축적기(48) 및 E-비트체크회로(192)의 동작은 상기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4,322,843호에 언급된다.
다음은 스위칭시스템의 여러가지 제어 실제물간의 1차통신모드의 설명이다. 완전히 다이얼된 번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66)는 상기 다이얼된 번호에 대한 번역을 수행하여 호에 대한 휴지타임 슬롯이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통해 설정될 수 있도록 중앙제어(30)용 제어 메세지를 형성한다. 이와같은 제어메세지는 프로세서(66)에 의해 메모리(57)내에 기억된다. 기술분야에 공지된 형태의 DMA 유니트(58)는 프레임당 하나의 제어워드의 속도로 제어메세지를 판독하여 시간-다중화 스위치(10)에 대한 시간-다중화 라인상의 전송을 위해 인터페이스유니트(69)내의 제어워드 소스 레지스터(80)(제 4 도)에 상기 워드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제어 메세지는 인터페이스 유니트(69)내의 제어워드 목적지 레지스터(92)(제 4 도)에서 다른 제어유니트 및 중앙제어(30)로부터 수신되며, DMA 유니트(58)에 의해 메모리(57)로 전송되는데, 여기에서, 제어메세지는 프로세서(66)에 의해 판독된다. 제 4 도에 상세히 도시된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와 두개의 링크 인터페이스(78)(79) 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는 시간-다중화 라인(68')을 거쳐 수신 타임-슬롯 상호 교환기(50)로부터 데이타워드를 수신하기 위해 그리고 시간-다중화 라인(70')을 거쳐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에 데이타워드를 전송하기 위해 접속된다. 두개의 시간 다중화 라인(68')(70')이 125μS 프레임당 512개의 채널의 속도로 데이타 워드를 이동한다.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는 시간-다중화 라인(68')상에 수신된 정보를 두개의 시간-다중화 라인(76)(77) 으로 분할시켜 시간 다중화 라인(77) 상기 각 짝수번호의 채널에 데이타워드를 전송하고 시간-다중화 라인(76)상의 각 홀수번호의 채널에 데이타워드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시간-다중화 라인(76)(77) 각각은 프레임당 256채널의 속도로 정보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는 두 개의 256-채널 시간-다중화 라인(85)(86)상의 정보를 512-채널 시간-다중화 라인(70')상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결합은 시간-다중화 라인(85)(86)으로부터 데이타워드를 교대로 전송하므로써 발생되는데, 이때 시간-다중화 라인(85)으로부터의 데이타워드가 시간-다중화 라인(70')의 홀수번호채널내로 전송되는 반면, 시간-다중화 라인(86)으로부터의 데이타워드는 짝수번호 채널내로 전송된다. 시간-다중화 라인(75) (85)은 링크 인터페이스(78)에 접속되며, 시간-다중화 라인(77) (86)은 링크 인터페이스(79)에 접속된다. 타임 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가 프레임당 512개의 타임 슬롯(채널)의 기저로 동작되는 반면, 링크인터페이스(78) (79) 및 시간-다중화 스위치(10)는 프레임당 256 타임 슬롯(채널)의 기저로 동작한다. 또한,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로부터 수신되고, 전송된 데이타워드의 채널은 완전 동기상태에 있게 된다. 즉, 주어진 숫자 목적지를 갖는 채널이 링크 인터페이스(78)에 의해 타임-슬롯 상호 교환 유니트(11)로부터 수신될때는 언제나, 링크 인터페이스(78) (79)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11)에 대해 동일한 숫자목적지를 갖는 채널을 수신하고 전송한다. 분할후에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시간-다중화 라인(68')상의 모든 홀수번호 채널은 홀수번호 채널 및 즉시 따르는 짝수번호 채널이 시간-다중화 라인(76) (77)중의 각 하나상에 동시에 전송되도록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에 의해 지연된다.
유사하게 시간-다중화 라인(86)상의 링크인터페이스(79)로부터의 각 데이타워드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에 의해 지연되어,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회로(75)에 의해 데이타워드가 그들 사이에서 동시에 수신된 후 즉시 상기 각 데이타워드가 시간-다중화 라인(70')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다음 설명의 과정에서, 주어진 데이타 워드의 타임 슬롯은 링크 인터페이스(78) (79)와 시간-다중화 스위치(10)에 대한 타임 슬롯으로 언급된다. 예로, 시간-다중화 라인(68')의 채널(1)(2)로부터의 데이타워드는 링크 인터페이스(78) (79) 및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타임 슬롯 1에 모두 관련된다. 링크 인터페이스 유니트(78) (79) 각각은 시간-다중화 스위치(10)중의 하나의 입력/출력 단자쌍에 유일하게 연관된다.
링크 인터페이스(78)(제 4 도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부터 시간 다중화라인(15)을 거쳐 직렬로 전송된 데이타워드를 수신하여 이 정보를 직렬로 도체(83)상으로 재전송하는 수신기(82)를 포함한다. 클럭복구회로(84)는 도체(83)로의 접속에 의해 인입 빔 스트림을 수신하며, 그들로부터 312.768MHz 클럭신호를 복구한다. 이와같은 클럭신호는 링크 인터페이스 회로에 타이밍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후에 상세히 언급되는 것과 같은 이유로, 시간-다중화 라인(15)상에 수신된 정보는 시간-다중화 라인(13)상에 전송된 정보와 채널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다. 시간-다중화 라인(76)(85)상의 데이타워드간에 채널 동기를 이루기 위해, 도체(83)상의 인입데이타워드는 랜덤액세스메모리회로(87)내로 버퍼된다. 도체(83)상의 데이타워드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88)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서 RAM(87)내로 기록된다.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88)는 클럭 복구 회로(84)로부터 2.048MHz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도체(83)상의 인입 데이타워드와 동기로 순환되는 256기록 어드레스 시퀀스를 발생한다. 데이타워드는 순환되는 256판독어드레스 시퀀스를 발생하는 판독어드레스 발생기(89)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에서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로의 전송을 위해 RAM(87)으로부터 판독된다. 판독어드레스는 오프셋회로(90)로부터 수시된 정보로부터 유도된다. 오프셋 회로(90)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88)에 의해 발생된 기록어드레스를 수신하며, 그들로부터 선정된 수를 효율적으로 감산한다. 이와같은 감산의 결과는 그후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89)로 전송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판독어드레스 발생기(89)는 기록어드레스 발생기(88)에 의해 발생된 어드레스 뒤의 1/4 프레임(64타임슬롯)인 판독어드레스 시퀀스를 발생한다.
인터페이스유니트(69)의 링크 인터페이스(78) (79) 는 채널동기를 유지시키기위해 마스터/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 인터페이스(78)는 마스터이며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계속 동작한다. 그러나, 링크 인터페이스(79) 의 판독어드레스 발생기는 판독어드레스에 의해 링크 인터페이스(78)의 판독어드레스 발생기(89)로부터 구동된다. 시간-다중화 라인(15)(16)길이의 기능한 차에 의해, 정보의 1/4프레임보다 많거나 적은 프레임이 링크 인터페이스(79) 에 사용된 기록 어드레스 및 판독어드레스를 분리시킨다. 이는 시간-다중화 라인(85)(86)상에 전송된 데이타워드가 채널동기 상태에 있는 반면 시간-다중화 라인(15)(15)상에는 어떠한 동기도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된다.
동일한 채널이 제어메세지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해 주어진 링크 인터페이스내에 사용된다. 제어메세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주어진 링크 인터페이스 즉, 링크 인터페이스(78)에 의해 사용된 특정채널이 미리 설정되어 제어채널 리지스터(81)내에 기억된다.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89)에 의해 발생된 각 판독어드레스는 상기 판독된 어드레스와 제어 채널레지스터(81)내에 기억된 프리세트 제어채널 목적지와 비교하는 비교기(91)로 전송된다. 비교기(91)가 순간적인 판독어드레스가 제어 채널목적지와 동일하다는 것을 결정할때, 비교기는 제어워드 소스 레지스터(80)와 제어워드 목적지레지스터(92)로 전송되는 게이팅신호를 발생한다. 비교기(91)로부터의 게이팅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워드 목적지 레지스터(92)는 시간-다중화 라인(85)상에 정보를 기억시킨다. 특정 채널동안, 시간-다중화 라인(85)상의 정보는 제어유니트(17)에 의해 사용되어질 제어채널의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DMA 유니트(58)의 동작에 의해, 제어워드 레지스터(92)의 내용은 차순의 제어채널전의 메모리(57)로 전송된다. 유사하게, 제어워드 소스 레지스터(80)는 비교기(91)로부터의 게이팅신호에 응답하여 그의 내용을 시간-다중화 라인(76)으로 게이트아웃시키고 제어워드를 전송시킨다. 제어워드는 링크 인터페이스(79) 에 의해 실제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전송되고 수신되나, 링크 인터페이스(79) 에 연관된 특정 제어 채널 목적지는 링크 인터페이스(78)에 연관된 것과 다르다.
판독 어드레스 발생기(89)에 의해 발생된 판독 어드레스는 또한 프레인 시퀀스 발생기(93)로 전송된다. 프레임 시퀀스 발생기(93)는 이에 응답하여 채널당 하나의 비트속도로 유일한 프레임지시 비트 시퀀스를 발생한다. 각 채널동안, 프레임 시퀀스 발생기(93)에 의해 발생된 비트는 프레임지시비트를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로부터의 데이타워드의 G비트위치 내로 위치시키는 프레임 인입회로(94)로 전송된다. 이와같은 프레임지시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타워드는 그후 병렬-직렬 레지스터(95) 및 구동기회로(96)를 거쳐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유일한 입력단자에 접속된 시간-다중화 라인(13)으로 전송된다. 링크 인터페이스(78)에 의해 수신된 각 데이타워드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에 의해 발생되어 전송되는 프레임지시비트를 포함한다. 프레임 체커(97)는 시간-다중화 스위칭(10)로부터 각 데이타워드의 각 프레임지시비트를 판독하여 시간-다중화 스위치(10)와 차체 사이의 통신이 계속 동기되는가를 결정한다. 동기가 존재하는 경우, 어떠한 보정도 이루어지지 않으나, 동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기술에 공지된 방법으로 클럭 복구회로(84)와의 통신에 의해 제프레임지시가 수행된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 및 출력 단말기는 동일한 링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두개의 단자에 대해 쌍으로 간주된다. 또한,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 및 출력 단말기의 각 쌍은 링크 인터페이스(78)(79) 와 유사한 형태의 시간-다중화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링크 인터페이스(78)는 시간-다중화 라인(13)으로부터 데이타워드를 수신하고 이들 데이타워드를 시간-다중화 라인(103)을 거쳐 직렬-병렬 레지스터(102)로 전송하는 수신기(101)를 포함하는 시간-다중화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100)(제 15 도)에 접속된다. 시간-다중화 라인(103)으로부터의 비트스트림은 클럭 복구 회로(104)와 프레임 체크회로(105)에 인가되며, 여기에서, 상기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클럭신호를 유도하며, 각각 프레임동기가 존재하는가를 결정한다. 시간-다중화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100)는 또한 클럭 복구 회로(104)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기록 어드레스 시퀀스를 발생하는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106)를 포함한다. 직렬-병렬 레지스터(102)로 전송된 각 데이타워드는 그후 기록 어드레스 발생기(106)에 의해 발생된 어드레스에서 RAM(107)내로 기록된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0)는 또한 그의 입력 및 출력 단말기 사이에 선로를 완성하기 위해 488ns의 256타임 슬롯의 프레이메서 동작하는 시간-공유 공간 분할스위치(108)를 포함한다. 각 타임 슬롯동안 접속되어질 입력과 출력 단말기 사이의 스위칭 선로를 규정하는 제어정보는 이들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각 타임 슬롯을 판독하는 제어메모리(29)(제 2도)내에 기억된다. 각 타임 슬롯이 숫자목적지를 가지며, 주어진 타임 슬롯동안 동일한 숫자 목적지를 갖는 데이타 워드 채널이 워드 채널이 스위치된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숫자목적지를 갖는 채널내의 모든 데이타워드는 부정확한 스위칭을 피하기 위해 그들의 연관 타임 슬롯 동안 시간-공간 분할 스위치(108)로 전송되어야만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위해, 시간-다중화 스위치(10)는 각 시간-다중화 스위치링크의 각 RAM으로 동시에 전송되는 순환 256 판독 어드레스 시퀀스를 발생하기 위한 마스터 클럭회로(109)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든 다른 시간-다중화 스위칭링크내에 포함된 RAM(107) 및 대응 RAM은 실제적으로 동일한 시간에서 동일한 타임 슬롯에 연관된 데이타워드를 판독한다. RAM(107)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 워드는 병렬-직렬 시프트레지스터(110)로 전송되며, 여기에서 시간-공유 공간분할스위치(108)로 전송된다.
시간-다중화 라인(15)상에서 라인 인테페이스(78)로 전송되어질 모든 데이타워드는 시간-공유 공간분할스위치(108)내로의 전송인 하나의 슬롯내에서 시간-공유 공간 분할스위치(108)로부터 도체(111)상으로 수신된다. 시간-다중화 스위칭링크 인터페이스(100)는 타임 슬롯당 하나의 비트 속도로 프레임지시 비트의 시퀀스를 발생하는 프레임 시퀀스 발생기(112)를 포함한다. 프레임지시 비트는 도체(11)상의 각 데이타워드의 비트 위치 G내에 프레임비트를 위치시키는 프레임 인입회로(113)로 전송된다. 도체(111)상의 각데이타워드는 구동기회로(114)와 시간-다중화 라인(15)을 거쳐 링크 인터페이스(78)로 전송된다.
[중앙집중의 경로지정]
시스템 I에서, 전체 제어기능은 중앙제어 및 스위칭 모듈내의 제어유니트 즉, 스위칭모듈(201)내의 제어유니트(17)에 의해 협동적으로 수향된다. 수반되는 설명을 위해, 스위칭모듈제어유니트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기능은 간단히 스위칭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언급한다. 시스템의 전체 처리타스크는 다수의 주요타스크 착신 프로그램 처리내로 분류된다. 하나의 처리는 과정의 집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상기 처리중의 몇몇의 서브타스크를 수행한다. 하나의 처리에는 전체 처리에 응용가능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착신처리제어블럭과의 과정에 유용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착신스택블럭과 연관된다. 처리는 메세지를 거쳐 상호 통신한다. 동일한 형태의 메세지가 동일한 처리기내의 다른 처리 또는 다른 처리기내의 다른 처리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시스템 I에서, 두가지 형태의 처리 즉, 단말기처리와 시스템처리가 존재한다. 시스템 처리는 시스템이 동작가능한 동안 존재상태로 유지된다. 단말기 처리는 각각의 호동안에만 또는 진단테스트 또는 서비스평가등과 같은 서비트 이벤트 동안에만 존재상태로 유지된다. 각 호동안, 두개의 단말기처리가 발생되는데, 하나는 시작 라인이나 트렁크에 접속된 스위칭모듈내의 시작단말기처리이고, 또 하나의 종라인이나 트렁크에 접속된 스위칭모듈내의 종단 단말기처리이다. 예로, 스위칭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가 방금 오프-훅이 되었다고 하면, 라인유니트(21)내의 주사에 의해 오프-훅 상태가 검출된다. 호처리제어 시스템처리(2001)(제 7 도)는 가입자 세트(25)로의 발산음 전송 및 가입자 세트(25)로부터 다이얼된 순차 디지트의 수신등을 제어하는 책임이 있다. 시작 단말기 처리(2002)는 4개의 변수값 ; PI, DI, DIGENT 및 TREAT을 얻기 위해 다이얼된 디지트를 분석한다. 변수 PI는 접두어가 다이얼되었는가를 규정하는 접두어 인덱스로, 오퍼레이터 보조시의 호인 경우에는 0+접두어가 사용되며, 직접 다이얼된시외호인 경우에는 1+접두어가 사용된다. 변수 DI는 호에 다수의 가능한 목적지 카테고리중의 하나를 규정하는 목적지 인덱스로 7개 디지트 전화번호의 처음 세개의 디지트(nxx디지트)를 기초로, 목적지인덱스는 목적지가 근거리 라인인가 특정 다른 스위칭 시스템에 본 시스템을 접속시키는 다수의 트렁크그룹중의 하나를 거쳐 접근가능한 것인가를 규정한다.
변수 DIGENT는 간단히 다이얼된 디지트의 번호를 규정한다. 변수 TREAT는 다이얼된 디지트가 호를 환성하도록 처리되는가 또는 발신가입자가 의도된 번호를 부분적으로 다이어하는가를 규정하며, 적당한 아나운스먼트(announcement)가 가입자 세트(25)로 전송된다. 부가적으로, 시작 단자처리(2002)는 시작라인의 특성을 기초로, 즉, 시작라인이 전형적인 거주용라인인가 또는 PBX나 키시스템에 접속된 것인가에 따라 스크린 인덱스 SI값을 결정한다. 시작 단말기처리(2002)는 그후 메세지 버퍼내에 경로요청 메세지RTREQ를 형성한다.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RTREQ 메세지는 다섯개의 필드 즉, PATHDES, RTGDATA, DIALDATA, GPI 및 TREAT를 포함한다(여기에서 언급된 다른 데이타구조, 메세지 및 관련부에 따라, RTREQ 메세지는 부가적인 필드를 포함하나 본 설명을 이해하는데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PATHDES 필드는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스위칭시스템을 통한 선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선호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기억한다. 그와같은 선로는 시작주변 타임 슬록, 네트워크 타임 슬롯 및 종단주변타임 슬롯을 설명하므로써 완전하게 언급된다. 시작 주변 타임슬롯은 512개의 타임슬롯중 특정하나로서 여기에서, 시작 라인이나 트렁크로부터의 정보는 수신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0)(제 3 도)에 의해 수신되며,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제 3 도)로부터의 정보는 수신 라인이나 트렁크로 전송된다. 유사하게, 종단주변 타임슬롯은 종단라인이나 트렁크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512타임슬롯중의 하나이다. 네트워크 타임슬롯은 시작스위칭 모듈내의 수신-슬롯 상호교환기(50)에 의해 전송된 512타임슬롯과 목적지스위칭 모듈내의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53)에 의해 수신된 512타임슬롯중의 보통 유용한 주변타임슬롯과 선택된다. 완전한 선로를 설정하기 위해, 정보는 타임슬롯 상호교환에 의해 수행되어질 주변타임슬롯과 네트워크 타임슬롯 사이의 매핑(mapping)을 규정하는 시작 및 종단스위칭 모듈 모두내의 제어 RAM(55)(제 3 도)내에 기억되어야 한다. 모듈내호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듈간 호에 대해, 주어진 호에 대해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슬롯동안, 시간-다중화 스위치(10)가 시작스위칭 모듈로부터 종단 스위칭 모듈로 선로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는 정보가 제어메모리(29)내에 기억된다. 본 예에서, 시작단말기처리(2002)는 단지 이 시간에서의 호에 대한 시작주변 타임슬롯을 인지한다. PATHDES 필드의 나머지는 공백으로 남게 된다.
RTGDATA필드는 특정 호 처리 특성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다수의 변수를 기억시키는데 이용되는데, 본 설명을 이해하는 데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아 더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RTGDATA필드는 또한, 호에 대한 종단의 형태 즉, 라인, 트렁크 또는 아나운스먼트 종단등을 규정하는데 사용되는 변수 TERMTYP를 기억한다. DIALDATA 필드는 수신된 다이얼 디지트는 물론 시작단말기처리(2002)에 의해 결정된 변수PI, DI, SI 및 DIGCNT를 기억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GPI필드는 시작 가입자세트(25)에 접속된 단자의 전체단자일치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된다. 주어진 링크나 트렁크에서의 점은 제 2도의 스위치 시스템에 접속되는데 여기에서는 단자로 언급된다(다중-채널 디지탈 설비의 경우에서, 각 채널은 다른 단자에 접속된 것으로 간주한다.). 시스템의 각 단자는 유일한 전체 단자 일치를 갖는다. 디지탈 서비스유니트(67)(제 3 도)내에 포함된 다수의 아나운스먼트 회로 각각은 유일한 전체 단자 일치를 갖는다. 가입자 라인에 접속된 단자에 대해 , GPI필드는 또한 상기 라인상의 각 가입자를 확인한다. RTREQ 메세지에서, GPI필드는 시작단자의 전체 단자 일치를 규정한다. TREAT필드는 시작단말기처리(2002)에 의해 결정된 TREAT변수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단 RTREQ 메세지가 형성되면, 상기 메세지는 시작단말기처리(2002)에 의해 중앙제어(30)내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제7도)로 전송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경로지정 데이타블럭(ROBLK)(2101)으로 언급되는 데이타구조내에 RTREQ 메세지를 기억시킨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종단단자의 전체 단자 일치를 결정하기 위해, 여기에 상세히 언급된 방법으로, 중앙집중된 데이타베이스를 엑세스하는데 RTREQ 메세지내의 정보를 사용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또한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선택하며, 종단단자가 시작단자보다는 다른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경우, 선택된 타임슬롯을 규정하는 정보를 제어메모리(29)내로 기록한다. 경로지정시스템처리(2003)는 TERMTYP변수값, 라인 종단요청(LNTREQ)메세지, 트렁크 종단요청(TKTREQ)메세지 또는 메세지 버퍼내의 아나운스먼트 종단요청(ANTREQ)에 따라 형성된다.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TREQ 메세지는 4개의 필드 ; PATHDES, RTGDATA, FARPID 및 GPI를 포함한다. PATHDES및 RTGDATA필드는 RTREQ 메세지와 관련하여 이미 언급되었다. 그러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은 네트워크 타임슬롯은 PATHDES필드내로 가산된다. FARPID필드는 RTREQ메세지의 헤더로부터 결정된 것과 같은 시작단말기처리, 본예에서는, 시작단말기처리(2002)를 규정하는 프로세서 식별기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된다. GPI필드는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은 종단단자의 전체단자일치를 기억시킨다. 종단단자가 트렁크 또는 아나운스먼트 회로에 접속될때, TKTREQ 메세지 또는 ANTREQ 메세지가 형성된다.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KTREQ 메세지와 ANTREQ 메세지는 LNTREQ 메세지와 동일한 메세지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TKTREQ 메세지는 트렁크를 거쳐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될 디지트를 기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DIGDATA필드를 포함한다. 본에에서,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2)(제7도)에 의해 결정된 종단단자가 가입자세트(23)에 접속되었다고 가정한다. 버퍼내에 형성된 LNTREQ 메세지는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에 의해 스위칭 모듈(201)내의 종단 시스템처리(2004)로 전송된다. 이에 응답하며, 처리(2004)는 가입자세트(23)가 현재 통화중인가 휴지상태인 가를 결정하기 위해 스위칭 모듈내에 기억된 통화중/휴지상태 맵(또는 후에 언급되는 바와 같이 PORTSTATUS관련부라 칭함)을 판독한다. 가입자세트가 휴지상태인 경우, 처리(2004)는 종단 단말기 처리(2005)를 발생하여 LNTREQ 메시지내에서 수신된 정보를 라인종단(LNTERM) 메세지를 거쳐 처리(2005)로 진행한다(또는, TKTREQ 메세지 또는 ANTERQ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트렁크종단(TKTERM)메세지 또는 아나운스먼스종단(ANTERM)메세지 내에 수신된 정보를) 종단 단말기 처리(2005)는 링잉전압을 가입자세트(23)로 전송시키며, 상기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4,322,843호에 언급된 E-비트 연속 신호 및 가청호출신호를 전송한다. 종단 단말기 처리(2005)는 그후 셋업완성(SETUPCOMP)제어 메세지를 새로이 완성된 선로 디스크립터 PATHDES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듈(229)내의 시작단말기제어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시작단말기처리(2002)는 스위칭 모듈(201)로의 E- 비트연속신호 전송을 실행한다.
스위칭 모듈(201)이 스위칭 모듈(229)로부터 E-비트연속신호를 수신할때, 종단 단말기 처리(2005)는 가입자세트(23)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종단주변 타임슬롯을 결정하며, 종단주변 타임슬롯과 네트워크 타임슬롯사이에 매핑을 규정하는 스위칭 모듈(201)의 제어 RAM(55)내로 정보를 기록한다. 유사하게, 스위칭 모듈(229)이 스위칭 모듈(201)로부터 E-비트연속신호를 수신할 때, 시작단말기처리(2002)는 가입자세트(25)와 통신하는데 사용되어질 시작주변 타임슬롯을 결정하며, 시작주변 타임슬롯과 네트워크 타임슬롯 사이의 매핑을 규정하는 스위칭 모듈(229)의 제어 RAM(55)내로 정보를 기록한다. 가입자세트(25)와 (23)사이의 통신선로는 현재 셋업되어 있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가 상술된 예에서 세개의 기본기능-종단단자와 그의 전체 단자일치를 결정하는 기능,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선택하는 기능 및 모듈간 호에 대해, 시간-다중화스위치(10)를 통해 선로를 셋업하는 기능 즉, 제어메모리(29)내에 선택된 타임슬롯을 규정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전을 상기해야 한다.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에 의해 실행된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는 제 9 도 내지 제 13 도에 도시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의 동작 상태를 규정하는 상태 다이아그램은 제 8 도에 도시된다. 현재 언급되고 있는 시스템 I에서, 단일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시스템내의 모든 호에 대해 단자 결정 및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또한 모든 모듈간호에 대해 시간-다중화 스위치(10)선로 셋업의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한번에 한자의 호를 처리하는데, 이는 각 RTREQ 메세지에 응답하여 LNTREQ 메세지, TKTREQ 메세지 또는 ANTREQ 메세지를 발생하기 위해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 7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프로그램 실행동안 4개의 데이타 구조-경로지정 데이타블럭(ROBLK)(2101), 호 흐름블럭(CFBLK)(2102), 그룹블럭(GRPBLK)(2103) 및 종단블럭(TERMBLK)(2104)을 사용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는 또한 후에 언급될 12개의 관련부(2105 내지 2116)로 이루어진 중앙집중 데이타 베이스로의 엑세스를 갖는다.
연관 데이타베이스는 1981, 에디슨-웨슬리, 3차 C.J. 데이트에 의한 데이타베이스의 2개에 언급된 바와같이, 관련부의 수집으로 간주된다. 하나의 관련부는 직각테이블로서 고려될 수 있다. 테이블내의 행은 터플(tuple)이라 불리우며, 열은 유일한 명칭을 갖는 부속물이다. 특정터플내의 명명된 부속물은 아이템으로 언급된다. 키는 관련부의 터플을 유일하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갖는 부속물의 서브세트이다. 키는 하나의 부속물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콤포지트로 명명된다.
때때로, 관련부는 하나의 후보키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후보중의 하나의 관련부의 1차 키로 지시된다. 각 부속물은 부속물의 영역이라 불리우는 특정 값의 세트를 취할 수 있다. 설명된 PART라 명명된 관련부가 테이블 1내에 도시된다.
부속물 P#은 그의 값이 관련부의 터플만을 확인하는데 제공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관련부의 1차키가 된다. 예로, P#=P4가 나태내는 것은 터플(P4, 스크루, 청, 런던)이 된다.
경로지정 프로그램(제 9 도 내지 제 13 도)의 실행은 RTREQ 메세지가 수신될 때 START상태(3001)(제 8 도)에서 시작된다. 블럭(1010)(제 9 도)동안, 수신된 RTREQ 메세지는 경로지정 데이타 블럭 ROBLK(제 15 도)의 처음 두개의 필드 즉, HEADER필드와 TEXT필드내에 기억된다. 메세지 헤타가 분석되고, 시작단말기처리의 처리일치가 ROBLK의 ORIGTPI내에 기억된다. ROBLK의 RTGSTATE필드는 제 8 도의 상태 다이아그램내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이 현대 위치하는 상태를 규정한다. RTGSTATE필드는 각 상태전송이 발생되기 전에 차순의 상태를 규정하기 위해 갱신된다. RICOUNT필드는 후에 언급된 트렁크 경로지정과의 접속에 사용된다.
실행은 블럭(1025)으로 먼저 진행하는데(제 9 도), 여기에서, 다수의 프로그램 변수가 RTREQ 메세지에 따라 초기화되며, 그후 결정블럭(1030)으로 진행하여 RTREQ 메세지내이 수신된 변수 TREAT가 고정된 경로지정 즉, 번호가 부분적으로만 다이얼되었다는 것을 발신 가입자에게 알리는 아나운스먼트로의 경로지정에 대한 요청을 규정하는 가를 결정한다. 변수 TREAT가 고정된 경로지정을 규정하는 경우, 실행은 블럭(124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FIXEDRT상태(3002)(제 8 도)가 인입된다. 초기화된 변수중의 하나는 요청된 종단이 아나운스먼트 회로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TERMTYP이다. FIXEDRI관련부(제 16 도)는 적당한 아나운스먼트 회로의 전체 단자일치를 찾기 위해 순차적으로 사용되는 경로인덱스(RI)을 얻기 위한 키로서 TREAT를 사용하여 판독된다. 키 TREAT에 의해 규정된 FIXEDRI관련부의 터플은 호 흐름 블럭 CFBLK(제 15 도)에 기억된다.
그러나, 변수 TREAT가 고정된 경로지정을 규정하지 않는다면, 실행은 블럭(1030)으로부터 블럭(104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SCREEN상태(3003)(제 8 도)가 인입된다. 블럭(1050)에서, SCRNING관련부(제 16 도)는 콤포지트키로서 변수 DI, SI, PI를 사용하여 판독된다. SCRNING관련부는 부속물 RI, NOC 및 ROUTETYPE를 포함한다. ROUTETYPE부속물은 종단단자가 라인에 접속되는가 트렁크에 접속되는 가를 결정한다. 라인에 접속되는 경우에, NOC부속물은 종단단자의 정격화된 국(office)코드를 규정한다. 정격화된 오피스코드는 7비트 전화번호중의 처음 세개의 디지트(nxx)의 인코딩을 나타낸다. 예로, 전형적인 중심구의 nxx번호 355,357 및 420은 정격화된 국코드 1,2 및 3으로 인코드될 것이다.
ROUTETYPE부속물이 트렁크에 접속되는 경우를 결정할때, RI부속물은 특정 트렁크 그룹의 번호를 얻기 위해 순차적으로 판독되는 ROUTING관련부(제 16 도)내의 경로인덱스를 규정한다. 콤포지트키 DI, SI 및 PI에 의해 규정된 SCRNING관련부로 부터 판독된 터플은 CFBLK내에 저장된다(제 15 도).
실행은 결정블럭(106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ROUTETYPE부속물은 요청된 종단이 라인인가 트렁크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ROUTETYPE부속물이 라인을 규정하는 경우에, 실행은 블럭(1070)으로 진행하며, DNTRAN상태(3004)(제 8 도)로 인입된다. TERMTYP변수는 요청된 단자가 라인이라는 것을 규정하도록 세트된다. 발신가입자세트에 의해 다이얼된 디지트가 RTREQ 메세지의 부분으로 전송되며, 정격화된 국코드(NOC)는 SCRNING관련부를 판독하므로써 얻어졌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전화번호 번역목적을 위해 중앙제어(30)에 의해 기억된 전화번호(DNS)는 7비트 번호로 기억되지 않고 단일디지트의 NOC와 마지막 4개의 다이얼된 디지트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5디지트 번호로 기억된다. SCRNIGN관련부로 부터의 NOC와 RTREQ 메세지내에 수시된 마지막 4개의 다이얼된 디지트와의 조합에 의해 얻어진 DN은 DNTRAN관련부(제 16 도)를 판독하기 위한 키로 사용된다. DNTRAN관련부는 키에 의해 규정하는 라인이 각각의 라인인가 또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인 가를 규정하는 TERMCLASS와 라인의 전체단자일치를 규정하는 GPI부속물을 포함한다. 키 DN에 의해 규정된 DNTRAN관련부의 터플은 CFBLK(제 15 도)내에 기억되며, 실행은 결정블럭(1090)으로 진행한다.
블럭(1090)동안, TERMCLASS부속물에 따라, 규정된 라인이 단일 라인 추적그룹인가 또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일부인가를 결정하는 실행이 이루어진다. 단일 라인이 지시될때, 종단단자를 결정하는 기능이 완성되고 실행은 블럭(118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에서, 종단단자의 GPI는 TERM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GPI가 두개의 필드 즉, 스위칭 모듈이 종단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규정하는 MODULE필드와 스위칭 모듈상의 단자중 특정하나를 규정하는 PORT필드로 이루어진다.
실행은 블럭(1190)으로 진행하며 INTEGRITY상태(3012)(제 8 도)로 인입된다. 중앙제어(30)는 주기적으로 스위칭 모듈 각각의 제어유니트와 통신하며 그들의 동작상태를 입증하고 그와같은 상태정보를 상태테이블내에 유지시킨다. 블럭(1190)동안, 상태테이블은 규정된 스위칭 모듈내의 프로세서가 동작중인가를 입증하기 위해 TERMBLK내에 기억된 기억된 MODULE필드를 사용하여 판독된다. 블럭(1200)에서, NWCONN상태(3013)(제 8 도)로 인입된다. 블럭(1200)동안,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슬롯이 선택되고, 호가 모듈간호인 경우, 선택된 타임슬롯을 규정하는 명령이 제어메모리(29)내에 기억된다. 블럭(1210)에서, TERMTYP변수가 LNTREQ 메세지, TKTREQ메세지 또는 ANTREQ 메세지가 메세지 버퍼내에 형성되는 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당한 메세지가 RDBLK, CFBLK 및 TERMBLK 데이타구조내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블럭(1220)동안 구성된다. 그후, 실행은 블럭(123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에서, 메세지버퍼내에 기억된 메세지가 종단스위칭 모듈 및 DONE상태(3014)(제 8 도)로 인입된다.
결정블럭(1090)으로 되돌아가서, TERMCLASS부속물이 단일라인을 규정하기 보다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을 규정하는 경우, 실행은 블럭(1090)에서 블럭(1100)으로 진행한다. 다중라인 추적그룹은 동일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세트를 공유하는 라인의 그룹이다. 블럭(1100)에서, PORTGROUP관련부(제 16 도)는 DNTRAN관련부로 부터 얻어진 GPI를 키로서 사용하여 판독된다. PORTGROUP관련부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번호를 규정하는 GRPNUM부속물 및 주어진 그룹의 특정부재를 규정하는 MEMBER부속물을 포함한다. PORTGROUP관련부로 부터 판독된 터플은 GRPBLK(제 15 도)내에 기억되며, 실행은 블럭(1110)으로 진행하여, MLGRPEHUNT상태(3005)(제 8 도)로 인입된다. 블럭(1110)동안, MHG관련부(제 17 도)가 키로서 GRPNUM부속물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MHG관련부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에 대한 동적 통화중/휴지상태 데이타를 기억하는 다수의 관련부중 하나를 규정하는 HTYPE부속물을 포함하는데, 단지 LNSTAT관련부(제 17도)만이 본 설명에 포함된다. MHG관련부로 부터 판독된 터플이 GRP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HTYPE부속물이 LNSTAT관련부를 규정하는 경우에, 실행은 블럭(1120)으로 진행한다. 블럭(1120)동안, LNSTAT관련부가 키로 GRPNUM부속물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LNSTAT관련부는 추적그룹의 각 부재의 통하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GMFLAG 비트맵을 포함한다. 상기 비트맵에 대한 포인터는 전체 비트맵을 기억하기 보다는 GRP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실행은 블럭(1140)으로 진행하며, MLGHUNT상태(3006)(제 8 도)으로 인입된다. 블럭(1140)동안, 추적그룹의 휴지부재가 선택된다. 기억된 포인터를 거쳐 접근가능한 GMFLAG 비트맵은 휴지부재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HTYPE부속물에 기인한 선정된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진다. 실행은 블럭(115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블럭(1140)동안에 행해진 추적이 휴지 추적그룹 부재를 찾는데 성공적이었는 가를 결정한다. 어떠한 휴지부재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실행은 블럭(1160)으로 진행하며, MLGBUSY상태(3007)(제 8 도)로 인입되는 호는 실패한다. 그러나, 휴지부재가 발견된 경우, 실행은 블럭(1170)으로 진행하며, GROUPPORT관련부(제 16 도)가 종단단자의 GPI를 얻기 위해 키로서 휴지부재 및 GRPNHM부속물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종단단자를 결정하는 기능은 현재 완성되었으며, 실행은 블럭(1180)으로 진행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블럭(1190)(1200)(1210)(1220)(1230)을 통하여 계속 진행하게 된다.
결정블럭(1060)으로 되돌아가서, ROUTETYPE부속물이 라인을 규정하기 보다 트렁크를 규정하는 경우, 실행은 블럭(1060)으로부터 블럭(1250)으로 진행한다. 변수 TERMTYPE는 블럭(1060)으로부터 블럭(1250)에 도달하는 경우 요청된 종단이 트렁크라는 것을 규정하도록 세트된다. 블럭(1250)은 또한 블럭(1240)으로부터 도달된다. 블럭(1250)에서, RTING상태(3008)(제 8 도)로 인입되며, ROBLK내의 RICOUNT변수는 증가되고 실행은 결정블럭(1260)으로 진행한다. 블럭(1260)동안, 고정된 수 즉 4이상의 경로인덱스(RIS)가 호를 완성하기 위해 시도되었는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실행은 블럭(1270)으로 진행하고 호는 실패한다. 그러나, 4개 이하의 RIS가 시도된 경우, 실행은 블럭(128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ROUTING관련부(제 16 도)가 키로서 RI를 사용하여 판독된다. ROUTING관련부는 특정 트렁크 그룹의 번호인 GRPNUM부속물과 호가 규정된 트렁크 그룹에 대해 완성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2차 경로 인덱스인 SECRI부속물을 포함한다. ROUTING관련부로 부터의 터플은 CF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실행은 블럭(1290)으로 진행하며, TRKPREHUNT상태(3009)(제 8 도)로 인입된다. TRKG관련부(제 18 도)가 키로서 GRPNHM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TRKG관련부는 그룹에 대해 사용되어질 추적형태를 규정하는 HTYPE부속물을 포함한다. 판독된 TRKG터플은 GRPBLK(제 15 도)내에 기억되며, 실행은 결정블럭(130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HTYPE부속물이 FIFO그룹, 회전그룹을 규정하는가 또는, 순방향/역방향그룹을 규정하는가가 결정된다. 본 예에서, 추적그룹은 일방향 출력트렁크의 경우에 FIFO그룹, 아나운스먼트 회로의 경우에는 회전 그룹이 되거나 양방향 트렁크의 경우에 순방향/역방향그룹이 된다. FIFO 추적그룹에서, 트렁크는 휴지상태가 되도록 지정된다. 회전추적그룹에서, 아나운스먼트 회로는 이들의 사용이 동일하게 분배되도록 회전 기저에 따라 지정된다. 순방향/역방향그룹 추적그룹에서, 주어진 스위칭 시스템은 항상 그룹리스트의 초기에서 시작하는 휴지그룹부재를 추적하는 반면, 트렁크의 다른 당부에 접속된 스위칭시스템은 섬광의 기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리스트의 끝에서 시작하는 휴지그룹부재를 추적한다. HTYPE가 FIFO그룹 또는 회전 그룹을 규정하는 경우, 실행은 블럭(1310)으로 진행하며, TRKHUNT상태(3010)(제 8 도)로 인입된다. TKOWNEN관련부(제 18 도)는 TKQUE관련부(제 18 도)를 판독하기 위해 키로서 사용되는부속물 QKEY를 얻기 위해 먼저 판독된다. TKQUE관련부는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휴지그룹부재의 전체 단자일치를 규정하는 GPI부속물을 포함한다. TKQUE관련부는 또한 TKQUE관련부가 엑세스되는 다음 시간에 사용될 차순의 휴지그룹부재를 규정하는 NIM부속물을 포함한다. TKOWNER관련부 및 TKQUE관련부로 부터의 터플에 대한 포인터는 GRP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결절블럭(1300)으로 다시 돌아가서, HTYPE가 순방향/역방향그룹을 규정하는 경우, 실행은 블럭(133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TKSTAT관련부(제 18 도)가 키로서 GRPNUM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TKSTAT관련부가 트렁크그룹의 각 부재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GMFLAG 비트맵을 포함한다. 상기 비트맵에 대한 포인터는 전체 비트맵을 저장하기 보다는 GRP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실행은 블럭(1350)으로 진행하며 TRKHUNT상태(3010)(제 8 도)로 인입된다. 블럭(1350)동안, 트렁크 그룹의 휴지부재는 기억된 포인터를 거쳐 접근가능한 GMFLAG를 사용한 선정된 순방향 또는 역방향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된다. 콤포지트기로 GRPNUM 및 선택된 휴지부재를 사용하여, GROUPPORT관련부(제 16 도)가 GPI를 결정하기 위해 판독된다.
블럭(1350)이나 블럭(1310)의 완성후, 실행은 결정블럭(137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블럭(1350) 또는 (1310)에서 행해진 추적이 휴지트렁크그룹부재를 찾는데 성공적이었는 가를 결정한다. 휴지부재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실행은 블럭(1380)으로 진행하며, TRKBUSYI상태(3001)(제 8 도)로 인입된다. ROUTING관련부로 부터 판독된 2차 경로인텍스(SECRI)가 차순의 경로인덱스(RI)에 대히 이루어지며, 실행은 다시 블럭(1250)으로 복귀된다. 그러나, 휴지부재가 발견된 경우, 종단단자를 결정하는 기능이 완성되고, 실행은 블럭(1180)으로 진행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블럭(1190)(1200)(1210)(1220)(1230)을 통해 계속 진행한다.
[시스템 II]
원격스위칭 능력을 포함하는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이 제 22 도에 따라 배열될때, 제 19 도 내지 제 21 도에 도시된다. 시스템 II로 언급되는 시스템은 호스트 스위칭 시스템(800)(제 19 도 및 제 20 도)와 4개의 단일 원격스위칭 모듈(501)(502)(503)(504)(제 21 도)을 포함한다. 호스트 스위칭 시스템(8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제 2 도의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과 두개의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302)로 이루어지며, 모듈(301)은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출력 단말기상(959)(960)에 접속되며, 모듈(302)은 입력/출력 단말기쌍(961)(962)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원격스위칭 모듈이 미합중국 특허원 제 4,059,731호에 언급된 TI캐리어 시스템과 같은 양방향의 디지탈 전송설비를 거쳐 호스트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다. 특히,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은 전송설비(421 내지 424)에 의해 모듈(501)에, 전송설비(431 내지 434)에 의해 모듈(502)에 접속되며,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은 전송설비(441 내지 444)에 의해 모듈(503)에 그리고, 전송설비(451 내지 454)에 의해 모듈(504)에 접속된다.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은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와 제어유니트(17) 각각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1)및 연관 제어유니트(317)를 포함한다.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1)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출력 단말기쌍(959)(960)에 접속된 두개의 256 채널 시간-다중화 라인을 거쳐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다. 입력/출력 단말기쌍(59)에서의 제어채널(59)과 입력/출력 단말기쌍(960)에서의 제어채널(60)은 제어유니트(317)와 제어분배유니트(31)사이에 제어메세지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1)와 전송설비(421 내지 424)와 (431 내지 434)를 상호접속시키는 다지탈 설비 인터페이스(321 내지 328)는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언급된 디지탈 설비 인터페이스(321)는 상기 인용된 U.S출원번호 제493,683호에 언급된다.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2). 제어유니트(318) 및 디지탈 설비 인터페이스(331 내지 338)로 이루어진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제어유니트(318) 및 제어분배유니트(31)는 입력/출력 단말기쌍(961)에서 제어채널(61)과 입력/출력 단말기쌍(962)에서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제어메세지를 교환한다.
4개의 원격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은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각 원격스위칭 모듈은 본 실시예에서, 호스트 스위칭 모듈로부터 4개의 디지탈 전송설비와 연결되는 설비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포함한다. 예로, 원격스위칭 모듈(501)(제 21 도)은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로부터 설비(421 내지 424)와 연결되는 설비 인터페이스 유니트(505)를 포함한다. 설비 인터페이 유니트(505)는 이에 접속된 4개의 전송설비상에 수신된 정보를 멀티플렉스하여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511)에 접속된 256-채널 시간-다중화라인(515)(516) 쌍상의 선정된 채널내로 전송하며, 256-채널 시간-다중화라인(513)(514) 쌍상의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5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멀티플렉스하여 4개의 전송설비상의 선정된 채널내로 전송한다. 설비 인터페이스 유니트(505)는 상기 인용된 U.S출원 제493,683호에 상세히 언급된다. 원격스위칭 모듈(531)은 또한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511)에 연관된 제어유니트(517)과 다수의 주변유니트 즉, 트렁크(543)(544)에 접속된 가입자세트(528)(529)와 트렁크 유니트(539)(540)로 작용하는 라인유니트(519)(520)를 포함한다. 시간-다중화 라인(513 내지 516),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511), 제어유니트(517), 라인유니트(519)(520),가입자세트(528)(529), 트렁크유니트(539)(540) 및 트렁크(543)(544)의 관게는 시간-다중화라인 (13 내지 16),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 제어유니트(17), 라인유니트(19)(20), 가입자세트(23)(24), 트렁크유니트(39)(40) 및 트렁크(43)(44)의 관계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주어진 원격 스위칭 모듈(501)을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에 상호 전송하는 4개의 전송설비중의 두개상의 채널 1을 제어채널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4개의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과 제어 분배유니트(31)사이에는 8개의 제어채널이 존재한다. 전송설비(421 내지 424)(431 내지 434)로부터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1)에 의해 수신된 4개의 제어 채널은 입력/출력 단말기쌍(959)에서의 채널(63)(64)과 입력/출력 단말기쌍(960)에서의 채널(65)(66)내의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 이동한다. 유사하게, 전송설비(441 내지 444)(451 내지 454)로부터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2)에 의해 수신된 4개의 제어채널은 입력/출력 단말기쌍(961)에서의 채널(67)(68)과 입력/출력 단말기쌍(962)에서의 채널(961)에서의 채널(67)(68)과 입력/출력 단말기쌍(962)에서의 채널(69)(70)내의 시간-다중화 스위칭(10)로 이동된다. 중앙제어(30)는 입력단말기(959)에서의 채널(63)(64), 입력단말기(960)에서의 채널(65)(66), 입력단말기(961)에서의 채널(67)(68) 및 입력단말기(961)에서의 채널(69)(70)이 항상 출력단말기(964)를 거쳐 제어분배 유니트(31)로 전송되고, 입력단말기(964)에서의 채널(63)(64)이 출력단말기(959)로 전송되고, 입력단말기(964)에서의 채널(63)(64)이 출력단말기(964)에서의채널(67)(68)이 출력단말기(961)로 전송되고 , 입력단말기(964)에서의 채널(69)(70)이 출력단말기(962)로 전송되도록 제어메모리(29)내에 적당한 명령을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분배 유니트(31)는 시스템 I의 제어분배 유니트 (31)에서 처럼 단지 58개 보다는 입력/출력 단말기쌍(964)에서 256의 기능한 제어채널중 70개를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과 호스트 스위칭 모듈사의 제어통신의 1차모드가 언급된 시간-다중화 스위치(10)와 제어 분배유니트(31)의 제어채널을 거쳐 존재한다해도, 전송설비(421 내지 424)상의 유도된 데이타링크로서 언급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인용된 U.S출원 제493,683호내에 언급되는 방법으로 제어통신이 발생한다. 상기 유도된 데이타링크는 U.S특허 제 4,245,340호에 언급된다.
[분산 경로지정]
경로지정 기능이 중앙제어(30)에 의해 중앙적으로 수행되는 시스템 I에 비해, 시스템 II에서의 경로지정 기능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로 분배된다. 시스템 I에서는 중앙제어(30)만이 경로지정 시스템처리(2003)(제 7 도)와 그의 연관 데이타 구조 즉, ROBLK(2101), CFBLK(2102), CRPBLK(2103) 및 TERMBLK(2104)와 FIXEDRI관련부(2105), SCRNING관련부(2106), DNTRAN관련부(2107), ROUTING관련부(2108), PORTGROUP관련부(2109), GROUPPORT관련부(2110), MHG관련부(2111) LNSTAT관련부(2112), TRKG관련부(2113), TKOWNER관련부(2114), TKQUE관련부(2115) 및 TKSTAT관련부(2116)등으로 이루어진 중앙집중데이타베이스를 갖는다. 시스템 II에서, 중앙제어(30)는 유사하게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제 23 도)와 그의 연관 데이타구조 즉, ROBLK(3101), CFBLK(3102), GRPBLK(3103) 및 TERMBLK(3104)와 FIXEDRI관련부(3105), SCRNING관련부(3106), DNTRAN관련부(3107), ROUTING관련부(3108), PORTGROUP관련부(3109), GROUPPORT관련부(3110), MHG관련부(3111), LNSTAT관련부(3112), TRKG관련부(3113) TKOWNER관련부(3114), TKQUE관련부(3115) 및 TKSTAT관련부(3116)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타베이스를 갖는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각 원격 스위칭 모듈은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와 연관 데이타 구조 및 데이타베이스를 갖는다. 예로, 원격 스위칭 모듈(501)은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제 23 도)와 연관데이타 구조 즉, ROBLK(3201), CFBLK(3202), GRPBLK(3203)및 TERMBLK(3204)와 FIXEDRI관련부(3205), SCRNING관련부(3206), DNTRAN관련부(3207), ROUTING관련부(3208), PORTGROUP관련부(3209), GROUPPORT관련부(3201), MHG관련부(3211), LNSTAT관련부(3212), TRKG관련부(3213) TKOWNER관련부(3214), TKQUE관련부(3215) 및 TKSTAT관련부(3216)으로 이루어진 데이타베이스를 갖는다. 원격 스위칭 모듈(502,503,504)각각은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와 연관 데이타구조 및 데이타베이스를 갖는다. 시스템 II에서, ROBLK데이타구조는 RESTEQ필드와 SWREQ필드를 가지며, MHG 및 TRKG관련부 각각은 제 32 도에 도시된 MODULE필드를 갖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언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FIXEDRI, SCRNING, ROUTING, MHG 및 TRKG관련부는 중앙 제어(30)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사이에서는 용장하다. 이들 관련부에 각각에 대해, 시스템에 대한 모든 영구한 데이타는 중앙제어(30) 및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각각에 기억된다. 중앙제어(30)내의 DNTRAN관련부(3107)는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해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기억한다.
그러나, 원격 스위칭 모듈 각각내의 DNTRAN관련부 즉,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DNTRAN관련부(3207), 는 그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라인만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기억한다. 유사하게, 중앙제어(30)내의 PORTGROUP관련부(3109)및 GROUPPORT관련부(3110)는 스위칭 시스템 단자 모두에 대해 그룹번역정보를 기억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 각각내의 대응관련부, 즉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PORTGROUP관련부(3209) 및 GROUPPORT관련부(3210)는 상기 스위칭 모듈상의 단자에 필요한 정보만을 기억한다.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한 통화중/휴지상태 데이타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되는 각 원격 스위칭 모듈내 즉,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관련부, 다중라인 추적 그룹에 대한 LNSTAT관련부(3212)와 TKOWNER관련부(3214), TKQUE관련부(3215)와 트렁크 그룹에 대한 TKSTAT관련부(3216)는 상기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라인 또는 트렁크 모두를 갖는 그룹만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한다. 시스템내의 다른 다중-단자 추적그룹에 대한 동적데이타는 중(30)내의 LNSTAT관련부(3112), TKOWNER관련부(3114), TKQUE관련부(3115) 및 TKSTAT관련부(3116)내에 기억된다. MHG 및 TRKG관련부 내의 MODULE필드(제 32 도)는 각 다중-단자추적 그룹에 대해,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중의 하나는 또는 중앙제어(30)를 상기 그룹에 대한 동적데이타의 위치로서 규정한다.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 모두(3603,3602)는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인 동일한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에 연관된 상태다이아그램은 제 24 도에 도시된다.
제 1 예로, 가입자세트(528)가 방금 오프-훅으로 되었다고 가정한다. 오프-훅 상태는 라인유니트(519)내에서 주사에 의해 검출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호 처리 제어시스템처리(3601)(제 23 도)는 그와같은 오프-훅 검출을 알리며, 이에 응답하며 시작 단말기처리(3604)를 발생한다. 시작단말기처리(3604)는 가입자시트(528)로의 발신음의 전송 및 가입자세트(528)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의 순차수신을 제어하는 책임을 갖는다. 시작 단말기 처리(3604)는 접두어 인덱스(PI), 목적지 인덱스(DI, 디지트 카운트(DIGCNT) 및 취급(TREAT)변동등의 값을 얻기 위한 다이얼된 디지틀 분석한다. 시작단말기 처리(3604)는 시작라인의 특성을 기초로 스크린인텍스(SI)의 값을 결정한다. 그후, 시작단말기 처리(3604)는 메세지 버퍼내의 경로요청 메세지 RTREQ를 형성한다. RTREQ메세지(제 14 도)는 시스템 I의 설명에서 먼저 언급되었다.
RTREQ메세지가 일단 형성되면, 이는 시작 단말기 처리(3604)에 의해 원격 스위칭 모듈(581)내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제 23 도)로 전송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는 ROBLK(3201)내에 RTREQ메세지를 기억시킨다. 경로지정시스템처리(3602)는 그의 연관 데이타베이스로의 액세스를 위해 RTREQ메세지내의 정보를 사용한다. 본예에서의 가입자세트(528)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접속된 가입자세트(529)의 전화번호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DNTRAN관련부(3207)는 종단단자가 시작단자와 동일한 원격 스위칭 모듈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필요한 전화 번호 번역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원격 스위칭 모듈(3602)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시킬 수 있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는 또한 종단 단자에 시작 주변 타임슬롯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신 타임슬롯 상호교환기와 송신타임슬롯 상호교환기 사이에 유용한 타임슬롯을 선택한다. 그후,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는 메시지 버퍼내의 TERMTYP변수, 라인 종단요청(LNTREQ)메세지, 트렁크종단 요청(TKTREQ)메세지, 또는 아나운스먼트 종단요청(ANTREQ)메세지의 값에 따라 형성된다. 이들 메세지 각각은 제 14 도에 도시되며, 이미 언급되었다. 본 예에서, LNTREQ메세지가 형성된다. LNTREQ메세지의 PATHDES필드는 수신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와 전송 타임슬롯 상호교환기상의 선택된 호 타임슬롯의 정의를 포함한다. 메세지 버퍼내에 형성된 LNTREQ메세지는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에 의해 전송시스템처리(3606)로 전송된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3606)는 가입자세트가 현재 통화중인가 휴지 상태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에 저장된 통화중/휴지상태 맵을 판독한다. 가입자세트(519)가 휴지상태인 경우, 처리(3606)는 종단단말기 처리(3605)를 발생하며, 라인 종단(LNTERM)메세지를 거쳐 LNTREQ메세지내에서 수신된 정보를 처리(3605)로 진행시킨다(또는 TKTREQ메세지는 또는 ANTREQ메세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트렁크종단(TKTERM)메세지 또는 아나운소머트 종단(ANTERM 메세지내로). 종단단말기처리(3605)는 가입자세트 (529)에 링잉전압의 전송을 실행시키며 가입자세트(528)로 다시 가청 호출신호의 전송을 실행시킨다. 종단단말기처리(3605)는 그후 현재 완성된 선로디스크립터 PATHDES를 포함하여 시작 단말기처리(3604)로 SETUPCOMP메세지를 전송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3604) 및 종단 단말기처리(3605)는 시작 주변 타임슬롯과 경로지정시스템처리(3602)에 의해 선택된 유용한 타임슬롯사이의 매핑과 종단주변타임슬롯과 선택된 유용타임슬롯 사이의 매핑을 규정하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511)내의 제어 RAM내에 정보를 기록한다. 가입자 세트(528)과 (529)사이의 통신선호가 이제 설정되었다.
제 23 도에 대해 방금 언급된 것과 매우 유사한 시나리오가 또한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에서 제어된 다중-단자 추적그룹 즉,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접속된 모든 부재를 갖는 라인이나 트렁크의 그룹에 대한 호에 대해 작용될 수 있다.
제 2 예로, 가입자세트(528)에 의해 다이얼된 디지트가 앞에서처럼, 가입자세트(529)에 의해 다이얼된 디지트가 앞에서처럼, 가입자세트(529)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나, 가입자세트(529)는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제어(30)에 의해 제어되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부분이다. 호처리제어시스템처리(3601)(제 30 도)는 앞에서 처럼 오프-훅 검출을 알리며 시작 단말기처리(3611)를 발생한다. 시작단말기처리(3611)는 그후 RTGEQ메세지를 RDBLK(3201)내에 수신된 RTREQ메세지를 기억시키는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로 전송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12)는 그후 그의 경로 지정프로그램(제 25 도 내지 제 29 도)를 실행한다. 프로그램 실행이 LNSTAT관련부(3212)가 액세스되어질 점에 도달될때, 가입자세트(529)를 포함하는 다중-라인추적그룹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동적데이타를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화된 경로지정 메세지 RTREQ(제 32 도)가 메세지버퍼내에 형성된다. RTGEN메세지는 RTREQ메세지와 관련하여 설명된 PATHDES, RTGDATA 및 DRIGTIPI필드를 포함하다. RTGEN메세지는 또한 경로지정이 차순의 프로세서의 의해 계속될때 인입될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상태와 차순의 관련부를 판독하는데 필요한 키의 값을 정의하는 REQTERM필드를 포함한다. RTGEN메세지는 또한 경로지정이 계속될때 불필요한 작업이 반복되지 않도록,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3602)에 의해 이미 결정된 다수의 변수, 예로, CFBLK(3202)내에 기억된 변수의 값을 규정하는 RTCONTDA필드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RTREQ메세지는 또한 시작단자와 종단단자 각가의 전체단자일치를 기억하는 ORIGGPI필드와 TERMGPI필드를 포함한다. 물론, TERMUPI필드는 종단단자의 결정이 완성된 후까지 주입될 수 없다. RTREQ메세지REQTERM필드에 의해 규정된 점에서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인입시키는 중앙제어(30)내의 경로지정시스템처리(3603)로 전송된다. RTREQ메세지로부터의 정보는 RDBLK(3101)과 CFBLK(3102)내의 적당한 필드내에 기억된다. 가입자세트(529)를 포함하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동적 데이타가 LNSTAT관련부(3112)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는 종단단자의 결정을 완성할 수 있다.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세트(23)가 가입자세트(529)가 존재하는 다수의 동일 다중라인 추적그룹이며, 가입자세트(23)는 경로지정시스템처리(3603)에 의해 실행되는 추적의 결과로 호에 지정된다고 가정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는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선택하며, 종단단자가 시작단자보다 여러개의 스위칭 모듈에 접속되기 때문에 선택된 타임슬롯을 규정하는 정보를 제어메모리(29)내로 기록한다. 경로지정시스템처리(3603)는 그의 PATHDES필드내에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포함하며, 완성된 TERMGPI필드를 포함하는 RTREQ메세지를 스위칭 모듈(2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3601)으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3601)는 가입자세트(24)가 현재 통화중인가 휴WL상태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스위칭 모듈(201)내에 기억된 통화중/휴지맵을 판독한다. 가입자세트(23)가 현재 휴지상태인 경우, 처리(3610)는 종단 단말기처리(3612)를 발생하며, RTREQ메세지내의 정보를 LNTERM메세지를 거쳐 처리(3612)로 진행시킨다. 종단단말기처리(3612)는 가입자세트(23)로의 링잉전전압전송과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로의 E비트 연속신호 및 가청호출신호의 전송을 수행한다. 종단단말기처리(3612)는 그후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시작 단말기 처리(3611)로 SETUPWMP메세지를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시작 단말기 처리(3611)는 전송설비(421 내지 424)(제 20 도)중 하나, 즉 (421)상의 호에 대한 타임슬롯의 선택을 실행하며, 또한,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1)가 전송설비(421)상의 호에 대한 타임슬롯의 선택을 실행하며, 또한, 타임 슬롯 상호교환유니트(311)가 전송설비(421)상의 선택된 호타임슬롯을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슬롯에 접속하도록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과의 제어통신을 실행한다.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과의 그와같은 제어통신은 상기 인용된 코드로우등에 의한 출원 제493,683호에 언급된다. 일단, 스위칭 모듈(201)로부터의 E비트 연속신호가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를 거쳐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의해 수신되면, 시작단말기 처리(3611)는 시작주변 타임 슬롯과 전송설비(421)상의 선택된 호 타임슬롯사이의 매핑을 규정하는 타임슬롯 상호교환 유니트(511)의 제어 RAM내로 정보를 기록한다. 유사하게, 일단 E비트 연속신호가 스위칭 모듈(201)에 의해 수신되면, 종단 단자처리(3612)는 종단 주변 타임슬롯과 네트워크 타임슬롯을 사이의 매핑을 규정하는 타임슬롯 상호교환유니트(11)의 제어 RAM(55)내에 정보를 기록한다. 가입자세트(528)와 (23)사이의 통신선로가 이제 설정되었다.
제 30 도에 대해 방금 언급된 것과 유사한 시나리오가 또한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접속되지 않는 단일라인으로 호를 인가하며,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트렁크그룹으로 호를 인가시킨다.
제 3 예로서,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세트(24)가 방금 오프-훅으로 되었다고 하면, 호처리 제어시스템 처리(3609))(제 31 도)가 오프-훅 검출을 알리며, 이에 응답하여, 시작단말기 처리(3621)를 발생한다. 시작단말기 처리(3621)는 PI. DI, DIGCNT 및 TREAT의 값을 얻기 위해 가입자세트(24)에 의해 다이얼된 디지트를 분석하여, 시작라인의 특성을 기초로 SI를 결정한다. 스위칭 모듈(201)이 경로지정 시스템처리를 갖지 않는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작단말기처리(3621)는 중앙제어(30)내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로 RTREQ메세지를 전송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는 RDBLK(3101)내에 RTREQ메세지를 기억시키며,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제 25 도 내지 29 도)을 시작한다. 가입자세트(24)에 의해 다이얼된 디지트가 원력 스위칭 모듈(501)에 접속된 트렁크 즉, 트렁크(543)(544)그룹의 사용을 요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트렁크 그룹이 FIFO그룹이라고 가정한다. 그룹이 중앙제어(30)보다는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트렁크 그룹내의 트렁크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동적데이타가 중앙제어(30)내의 TKOWNER메세지(3114)와 TKQUE메세지(3115)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이 TKOWNER메세지(3114) 및 TKQUE메세지(3115)가 액세스될 점에 도달될때, 요구된 데이타가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RTREQ메세지가 형성된다. TRKG메세지(3113)의 MODULE필드는 그룹용 동적 데이타가 원 스위칭 모듈(501)내에 위치된다는 것을 규정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는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시간-다중화 스위칭(10)를 통해 네트원크 타임슬롯을 선택하며, 그후,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로 RTREQ메세지를 전송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는 RTREQ메세지내의 REQTERM필드에 의해 규정된 점에서 그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으로 인입한다. RTREQ메세지로부터의 정보는 ROBLK(3201)과 CFBLK(3202)내의 적당한 필드내에 기억된다. 요구된 트렁크 그룹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동적데이타가 TKOWNER메세지(3214)와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TKQUE메세지(3215)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는 종단단자의 결정을 완성시킬 수 있다. 트렁크(543)가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에 의해 실행된 추적의 결과로 호에 지정된다.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2)는 그후 완성된 TERMGPI필드를 포함하는 RTREQ메세지를 종단시스템처리(3606)으로 전송GKS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3606)는 종단단자 처리(3622)를 발생하며, RTREQ메세지내의 정보를 TKTERM메세지를 거쳐 처리(3622)로 진행시킨다. 종단단말기처리(3622)는 트렁크와 통신을 위해 사용될 종단주변 타임슬롯을 결정한다. 종단 단말기처리(3622)는 전송설비(421 내지 424)(제 20 도)중 하나(422)상의 호 타임슬롯의 선택을 실행하며, 타임슬롯 상호 교환유니트(311)가 전송설비(422)상의 선택을 호 타임슬롯을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슬롯에 접속시키도록 호스트 스위칭 모듈(311)과의 제어 통신을 수행한다. 종단 단말기처리(3622)는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을 거쳐 스위칭 모듈(201)로 E-비트연속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며, 스위칭 모듈(201)내의 시작 단말기처리(3621)로 SETUSMP메세지를 전송한다. SETUPCOMP메세지에 응답하여, 시작 단말기처리(3621)는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을 거쳐 원격스위칭 모듈(501)로 다시 E비트연속신호의 전송을 시작한다. E비트 연속신호에 응답하여, 시작단말기처리(3621) 및 종단 단말기 처리(3622)는 각 제어 RAMS내에 정보를 기록하여, 시작주변타임슬롯이 네트워크 타임슬롯에 맵되고 종단 주변 타임 슬롯이 전송설비(422)상의 선택된 호 타임슬롯에 맵된다. 가입자세트(23)와 트렁크(543)사이에 통신선로가 이제 완성되었다.
제 31 도에 관련하여 방금 언급된 것과 매우 유사한 시나리오가 스위칭 모듈(201)로부터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의해 제어되는 다중-라인 추적그룹으로의 호에 적용된다. 중앙 제어(30)내에 기억된 DNTRAN관련부(3107)가 시스템의 모든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갖기 때문에, 종단단자의 결정이 스위칭 모듈(201)로부터 단일 라인으로의 모든 호에 대해 중앙제어(30)내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3603)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중앙제어(30)내 그리고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각각내에 기억된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은 시스템 I내의 중앙집중경로지정에 사용되는 제 9 도 내지 제 13 도의 경로지정프로그램의 변형이다. 따라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이 수행되는 플로우챠트의 블럭은 두개의 플로우챠트내의 동일한 번호로 확인된다. 유사하게, 하나의 부가적인 상태와 제 8 도의 상태 다이아그램에 대한 부가적인 상태전송의 번호를 포함하는 제 4 도의 상태 다이아그램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된 대응상태를 갖는다.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제 9 도 내지 제 13 도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요구된 변형의 항으로 언급된다.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의 경로지정프로그램은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에 의해 RTREQ메세지나 RTREQ메세지중의 임의의 메세지 수신에 따라 시작 상태(3001)(제 24 도)로부터 초기화된다. 블럭(1010)(제 25)동안, 수신된 메세지는 ROBLK내에 기억된다. ROBLK의 RTGSEQ필드(제 32 도)는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현 실행이 RTREQ메세지에 응답하였는가 또한 RTREQ메세지에 응답하였는가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행은 결정블럭(102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수신된 메세지의 형태에 따른 진행분할이 발생된다. 수신된 메세지가 RTREQ메세지였다면, 엑세된 관련부의 하나가 요청된 데이타존재를 갖는 경우에 제 9 도 내지 제 13 도의 경로진행프로그램에 대해 먼저 언급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이 진행된다. FIXEDRI, SCRNING, ROUTING, MHC 및 TRKG관련부가 중앙제어(30)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사이에서 용장하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따라서, 에러가 없다면, 이들 관련부의 시도된 엑세스가 항상 성공적이 된다. 그러나 중앙제어(30)내의 DNTRAN관련부가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기억하는 반면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각각내의 DNTRAN관련부는 상기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라인만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기억한다. 따라서,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DNTRAN관련부에 액세스하기 위한 시도가 단지 이에 접속된 라인에 대해 성공적이 될 것이다. 이는 결정블럭(1080)의 부가에 의해 플로우챠트에 반영되며, 상기 결정블럭(1080)에서는 블럭(1070)동안에 시도된 DNTRAN관련부로의 엑세스가 성공적이었는가가 결정된다. 필요한 데이타가 유용하지 않는 경우, 실행은 결정블럭(1080)으로부터 블럭(1400)으로 진행하며, SWITCH상태(3015)(제 24 도)로 인입된다. 블럭(1400)동안, SWREQ변수가 차순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에 의해 인입될 제 24 도의 상태다이아그램의 프로그램상태를 규정하는 RDBLK(제 15 도)내에 기억된다. 결정블럭(1080)로부터 블럭(1040)에 도달될때 , 기억된 SWREQ변수가 차순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에 의해 인입될 프로그램상태로 DNTRAN상태(3004)(제 24 도)를 규정한다. 실행은 블럭(1109)으로 진행하며, 프로그램은 스위치상태(3015)로부터 INTERGRITY상태(3012)(제 24 도)로 이동한다. 블럭(1190)동안, 차순의 프로세서가 결정된다. 현재 프로세서가 원력 스위칭 모듈내에 존재하는 경우, 차순의 프로세서가 항상 중앙제어(30)가 된다. 현재의 프로세서가 중앙제어(30)인 경우, TERMBCK내의 MODULE필드가 차순의 프로세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차순의 프로세서가 동작가능한가를 입증하기위해 상태 테이블은 이 체크되며, 실행이 블럭(120)으로 진행한다. 블럭(1200)동안, NWCONN상태(3013)로 인입된다. 원격 스위칭 모듈에서 종단단자가 중앙제어(30)와의 통신없이 결정되었다면, 종단 주변 타임슬롯에 시작주변타임슬롯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신 타임슬롯상호교환기와 전송 타임슬롯 상호 교환기사이에 공통으로 유용한 타임슬롯의 선택이 블럭(1200)동안 이루어진다. 중앙제어(30)에서, 호에 대해 공통으로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슬롯이 선택되고, 호가 모듈내호인 경우에 정보가 블럭(1200)동안 네트워크선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메모리(29)내에 기록된다. 실행은 블럭(1210)으로 진행하며, 차순의 프로세서로 전송될 메세지의 형태가 결정된다. RDBLK내에 RTGSEQ가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현실행이 RTREQ메세지의 수신으로부터 이루어졌는가 또는 RTREQ메세지의 수신으로부터 이루어졌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행이 RTGEN메세지의 수신으로 이루어졌다면, RTGEN 메세지가 구성된다. 실행이 RTREQ메세지의 수신으로부터 이루어졌으나 스위치가 발생하였다면, 다시 RTREQ메세지가 구성된다. 어떠한 스위치도 발생되지 않은 경우, RTGDATA필드 (RDBLK내의 TEXT필드의 부분으로 기억된)내의 TERMTYP변수가, LNTREQ, TKTREQ메세지가 구성되는가 또는 ANTREQ메세지가 구성되는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실행은 블럭 (122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적당한 메세지형태가 RDBLK, CFBLK 및 TERMBLK내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메세지가 메세지버퍼내에 기억된다. 실행은 블럭(1230)으로 진행하며, 메세지 버퍼내의 메세지가 전송되며, 실행은 DONE상태(3014) (제 24 도)내에 포함된다.
다중라인 추적구룹, 즉 다중-라인 추적그룹 또는 트렁크 그룹에 대한 동적 통화중/휴지상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관련부가 상기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그들의 라인이나 트렁크 모두를 갖는 그룹만에 대해 그와 같은 데이타를 저장한다. 시스템내의 모든 다른 다중-단자 추적그룹에 대한 동적 데이터가 중앙제어(30)내에 기억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는 임의의 주어진 추적그룹에 대한 동적데이터가 단지 하나의 위치에 기억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DNTRAN관련부모로 엑세스 실패는 원격스위칭모듈내에서만 발생되는 반면, LNSTAT, TKOWNER, TKQUE 또는 TKSTAT관련부로의 엑세스 실패는 원격 스위칭 모듈이나 중앙제어(30)내에서 발생한다. LNSTAT관련부로의 엑세스 실패 가능성은 LNSTAT관련부가 시도될때 블럭(1120)후 결정블럭(1130)을 포함하므로써 프로그램 플로우챠트 내에 반영된다. LNSTAT관련부로부터의 요청된 데이타가 유용하지 않은 경우, 실행은 블럭(1130)에서 블럭(1390)으로 진행한다. 블럭(1390)동안, MHC관련부(제 32 도)가 판독되었을대 블럭(1110)동안 얻어진 MODULE필드가 TERMBLK내에 기억되며, 실행은 블럭(1400)으로 진행한다. 블럭(1400)에서, SWITH상태(3105)(제 24 도)로 인입되며, 차순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에 의해 인입될 상태로 MLGPREHUNT상태 (3005)(제 24 도)를 규정하는 SWREQ변수가 RDBLK내에 저장된다. 실행은 블럭(1190)(1200)(1210)(1220)(1230)을 통해 진행하며, RTGEN메세지가 구성되어 앞에서처럼 전송된다.
유사하게 TKOWNER 및 TKQUE메세지가 시도된 엑세스가 발생되는 블럭(1310)후에 결정블럭(1320)이 삽입되며, 결정블럭(1340)은 TKSTAT관련부의 시도된 엑세스가 발생되는 블럭(1330)후에 삽입된다. 블럭(1390)(1400)(1190)(1200)(1210)(1220)(1230)을 거쳐 결정블럭(1320) 또는 (1340)중의 임의의 결정블럭으로 부터 앞에서처럼 진행한다. 두개의 경우에, 블럭(1400)동안, RDBLK내에 기억된 SWREQ변수는 차순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에 의해 인입될 프로그램상태로 TRKPREHUNT상태(3009)(제 24 도)를 규정한다.
방금 언급된 것은 RTREQ메세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이다. RTGEN메세지가 수신될때, 실행은 결정블럭(1020)으로부터 블럭(1410)으로 진행한다. 블럭(1410)동안, RTGEN메세지내의 REQTERM필드가 실행이 시작되는 프로그램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REQTERM필드는 또한 엑세스될 제 1 관련부에 대한 키의 값을 기억한다. RTGEN메세지내의 RTCONTDA필드는 하나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내에서 이미 완성된 작업이 차순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내에서 반복되지 않도록 다른 작업이 차순의 경로지정 시스템처리내에서 반복되지 않도록 다른 필요한 변수의 값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정보는 순차적으로 CFBLK내로 주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REQTERM필드는 인입될 프로그램상태로서 DNTRAN상태(3004), MLGPREHUNT상태(305) 또는 TRKPREHUNT상태를 규정한다. 플로우챠트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은 블럭(1410)으로부터 REQTERM필드내의 정의에 따라 블럭(1070), 블럭(1110) 또는 블럭(1290)으로 진행한다.
시스템 II에서, 경로지정 기능이 단지 원격 스위칭 모듈로 분배된다해도, 분배된 경로지정의 개념은 시스템 스위칭 모듈 모두로 유사한 방법으로 경로지정기능을 분배시키므로 확장될 수 있다.
[시스템 III]
원격 스위칭모듈(501,502,503 및 504)가 집합체로서 공지된 그룹화 방법으로 상호 접속된 시스템 II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시스템 III으로 언급된 시분할 스위칭 시스템은 제 36 도에 따라 배열될때 제 33 도 내지 제 35 도에 도시된다. 시스템 III에서, 원격 스위칭 모듈의 각 쌍은 상기 언급된 T1 캐리어 시스템과 같은 디지탈, 양방향 전송 설비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모듈(501)(제 35 도)은 전송 설비(425,426 및 427)에 의해 모듈(501,502,503 및 504)에 접속되며, 모듈(502)은 전송 설비(435,436)에 의해 듈(503,504)에 접속되며, 모듈(503)(504)은 전송 설비(445)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시스템 III에서, 각 설비 인터페이스 유니트(505)는 7개의 전송 설비와 연결된다.
시스템 II에서처럼, 두개의 원격 스위칭 모듈간의 제어 통신의 1차 모드는 다시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거쳐 제어 채널과 제어 분배 유니트(31)가 된다. 그러나, 원격 스위칭 모듈의 집합체가 스탠드-얼론(stand-alone)모드에서 조차 합체 실재물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제어 통신은 또한 원격 스위칭 모듈을 직접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 설비상에서 또한 가능하다. 그와 같은 제어 통신은 상기 언급된 U.S 특허출원 제493,683호에 상세히 언급된다. 상기 출원에서 언급된 것처럼, 제어 통신은 직접 상호 접속하는 전송 설비상의 24개 채널중의 하나를 사용하거나 상기 설비상의 유도된 데이타 링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시스템 II내에서 또한 사실이었던 것처럼, 시스템 III내의 경로지정 기능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로 분배된다. 각 원격 스위칭 모듈은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 연관 데이타 구조 RDBLK, IFBLK, GRPBLK 및 TERMBLK,FIXEDRI,SCRNING,DNTRAN,ROUTING,PORTGROUP,GROUPPORT,MHG,LNSTAT,TRKG,TKOWNER,TKQUE 및 TKSTAT관련부로 이루어진 데이타 베이스를 갖는다.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 모두는 시스템 II에서와 동일한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는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에 도시된다. 이들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에 연관된 상태 다이아그램은 제 24 도에 도시된다. 시스템 II에서처럼, FIXEDRI,SCRNING,ROUTING,MHG및 TRKG관련부는 중앙 제어(30)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사이에서 용장하다.
이들 관련부 각각에 대해, 시스템에 대한 모든 영구 데이타는 중앙 제어(30)내에 그리고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 각각내에 기억된다. 다시, 중앙 제어(30)내의 DNTRAN관련부는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해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다. 그러나, 각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DNTRAN관련부가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라인만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 시스템 II에 비해, 시스템 III에서는 각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DNTRAN관련부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의 전체 집합체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다. 그러므로, 집합체내의 임의이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단일라인으로 주어진 원격 스위칭 모듈상에서 시작하는 호에 대해, 종단 단자를 결정하는 기능은 주어진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원격 스위칭 모듈내에 기억된 PORTGROUP 및 GROUPPORT관련부는 또한 스위칭 모듈의 집합체상의 모든 단자에 대한 정보를 기억한다.
시스템 II에서처럼,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한 동적 통화중/휴지상태 데이타를 저장하는데 각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관련부, 즉, 다중-라인 추적 그룹에 대한 LNSTAT관련부 및 트렁크 그룹에 대한 TKOWNER,TKQUE 및 TKSTAT관련부는 하나의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라인이나 트렁크 모두를 갖는 이들 그룹만에 대한 데이타를 기억한다. 따라서, 제 2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다중-단자 그룹으로 제 1 원격 스위칭 모듈상에서 시작하는 호에 대해, 제 1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는 동적데이타가 액세스되는 점까지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RTGEN메세지(제 32 도)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하는 제 2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경로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RTGEN메세지(제 32 도)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하는 제 2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로 전송된다.
두개의 원격 스위칭 모듈 사이의 주어진 전송 설비상의 채널 또는 타임 슬롯의 3/20은 이들 모듈 사이의 호에 대해 이용된다. 24번째 채널은 다른 3개의 채널에 대한 시그널링 비트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시스템 III의 본 실시예에서, 23개의 채널중의 하나보다는 전송 설비상의 유도된 데이타 링크가 스탠드-얼론 모드 동작내의 제어 통신에 대해 사용된다). 두개의 원격 스위칭 모듈 각각은 그들 사이의 전송 설비상의 23타임 슬롯중 11 또는 12타임 슬롯인 제어기이다. 예로, 원격 스위칭 모듈(501)은 전송 설비(435)상의 타임슬롯(1 내지 12)인 제어기이며, 원격 스위칭 모듈(502)은 타임 슬롯(13 내지23)인 제어기이다. 각 원격 스위칭 모듈은 이에 접속된 각 전송 설비상의 각 타임 슬롯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타임 슬롯 상태 맵을 유지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1)은 호에 전송 설비(435)상의 타임 슬롯을 지정하기 위해 요구된다면, 먼저, 타임 슬롯(1 내지 12)중의 하나가 그의 타임 슬롯 상태 맵을 판독하므로써 유용하다. 하나이상의 타임 슬롯(1 내지 12)이 유용하다면, 호에 하나가 할당된다.
그러나, 어떠한 것도 유용하지 않다면, 원격 스위칭 모듈(301)은 원격 스위칭 모듈(502)에 요구된 할당을 알리면, 모듈(502)은 타임 슬롯(13 내지 23)중의 하나가 유용한가를 결정하기 위해 그의 타임 슬롯 상태 맵을 판독한다. 하나이상의 타임 슬롯(13 내지 23)이 유용하다면, 유용한 타임 슬롯중의 하나가 호에 대해 선택된다. 어떠한 것도 유용하지 않다면, 원격 스위칭 모듈(501 및 502)가 호를 확립하기 위해 중앙 제어(30)와 통신한다. 호는 전송 설비(421 내지 424)중의 하나, 전송 설비(431 내지 434)중의 하나 및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을 거쳐 완성된다. 또한, 원격 스위칭 모듈이 호스트 스위칭 모듈(301)에 접속된 원격 스위칭 모듈(501)과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에 접속된 원격 스위칭 모듈(503)로서 여러가지 호스트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경우, 호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사용하여 완성된다.
시듈스 호는 원래의 종단 단자에 대해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 다른 종단 단자에 대해 완성된 호이다. 시스템 III에서, 시퀀스 호는 최종 종단 단자로의 접속이 완성되기 전에 간단한호 즉 단자 두개의 단자에 수반되는 호로 그와 같은 호를 감소시키므로써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공된다. 이는 복잡성을 피하게 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궁극적인 종단 단자를 제공하는 스위칭 모듈이 호가 시퀀스 호인가 간단한 호인가에 따라 상이하게 호를 처리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시퀀스 호의 2개 예는 제 1 번호가 휴지 상태가 통화중인가에 무관하게 고객-제공번호에 대해 완성된 호와 제 1 번호가 통화중일때만 다른 번호대로 완성되는 시리즈 완성 호이다. 모듈간 제어 메세지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스템 III내에 사용된 호 셋업 시퀀스는 최종 종단 단자가 결정될때까지 원격 스위칭 모듈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 설비상의 타임 슬롯 할당을 연기시킨다. 상기 종단 단자에 접속한 원격 스위칭 모듈은 호가 간단한 호인가 시퀀스 호인가를 염려함이 없이 종단 단자에 대한 호를 완성한다. 시퀀스 호를 간단한 호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특성을 여기에서는 종결(clowure)로 언급된다.
시스템 III내의 시퀀스 호의 제 1 예로, 원격 스위칭 모듈(503)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548)의 원격 스위칭 모듈(502)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의 전화번호를 다이얼 한다고 간주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3)(제 37 도)에서, 오프-훅 상태의 검출에 응답하여 호 처리 제어 시스템 처리(4001)에 의해 생성된 시작 단말기 처리(4003)는 다이얼된 전화번호를 수신한다(간단성을 위해, 원격 스위칭 모듈(504)과 모듈(504)에 접속된 전송설비가 제 37 도에서 삭제된다). 시작 단말기 처리(4003)는 접두어 인덱스(PI), 목적지 인덱스(DI), 디지트카운트(DIGCNT), 및 취급(TREAT)변수의 값을 얻기 위해 다이얼된 디지트를 분석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4003)는 또한 시작 라인의 특성을 기초로 스크린 인덱스(SI)의 값을 결정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4003)는 메세지 버퍼내에 경로 요청 메세지 RTREQ를 형성한다. RTREQ메세지(제 14 도)는 이미 시스템 I의 설명에서 언급되었다.
RTREQ메세지가 일단 형성되면, 이는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로 전송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 (4002)는 그의 연관 RDBLK내에 RTREQ메세지를 기억한다(각 통로 지정 시스템 처리는 연관 데이타 구조 RDBLK, CFBLK, GRPBLK 및 TERMBLK와 FIXEDRI, SCRNING, DNTRAN, ROUTING, PORTGROUP, GROUPPORT, MHG, LNSTAT, TRKG, TKOWNER, TKQUE 및 TKSTAT관련부로 이루어진 데이타 베이스를 갖는다).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그의 연관된 데이타 베이스를 엑세스 하기 위해 RTREQ메세지내의 정보를 사용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에 기억된 DNTRAN관련부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가 가입자 세트(538)에 접속된 단자의 전체 단자 일치(GPI)의 결정을 완성할 수 있다. GPI의 MODULE필드는 가입자 세트(538)가 원격 스위칭 모듈(502)에 접속된 것을 규정한다.
그러나, 원격 스위칭 모듈(503)에 이번에 모듈(502)에 모듈(503)을 접속하는 전송 설비상에 어떠한 호 타임 슬롯 할당도 만들지 않는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제 32 도에 도시된 일반화된 경로 지정 요청(RTGEN)메세지를 원격 스위칭 모듈(502)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4005)로 전송한다. 처리(4005)는 GPI를 키로서 사용하여 제 32 도에 도시된 PORTSTATUS관련부를 엑세스 하므로서 응답한다. PORTSTATUS관련부는 GPI필드와, GPI필드에 의해 규정된 단자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BUSY/IDLE필드와, 호진행이 효율적으로 그 단자에 대해 존재하는가를 규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그 호에 대한 전화번호가 진행되어야만 하는 CF필드와 호가 시리즈 완성되는 가를 규정하며, 적당한 전화번호를 규정하는 SC필드를 포함한다. 주어진 원격 스위칭 모듈내의 PORTSTATUS 관련부는 그 원격 스위칭 모듈상의 모든 단자에 대한 영구 데이타를 포함한다.
본 예에 대해, 가입자 세트(538)에 접속된 라인에 대한 PORTSTATUS관련부의 터플은 호 진행이 효율적인가를 그리고 호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528)에 연관된 전화번호로 진행되는가를 규정한다. PORTSTATUS관련부 판독에 응답하여, 종단 시스템 처리(4005)는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07)를 발생하며, 처리(4007)로 호 진행(CF)메세지를 전송한다. CF메세지는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로부터 수신된 RTGEN 메세지내에 존재했던 호의 시작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CF메세지에 응답하여,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07)는 핑링(ping ring)으로 언급되는 것을 발생하기 위해 가입자 세트(538)에서의 누군가에 인입 호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알린다.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07)는 그후 경로(RERTE) 메세지를 원격 스위칭 모듈(502)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6)로 전송한다.
이점에서, 호는 간단한 호로 간소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6)는 RTREQ메세지에 대한 동일한 방법으로 RETRE메세지에 응답하며, 종단 단자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의 집합체중의 하나에 접속되기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6)는 가입자 세트(528)에 접속된 종단 단자의 GPI의 결정을 완성한다. GPI의 MODULE필드는 원격 스위칭 모듈(501)을 규정한다. 따라서,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6)는 RTGEN메세지를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4008)로 전송한다. 종결 특징 때문에, 처리(4008)에 의해 수신된 RTGEN메세지는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에 의해 전송된 RTGEN메세지내에 존재했던 호 시작에 관련된 동일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단 시스템 처리(4008)의 응답은 호가 간단한 호인가 시퀀스 호인가와 동일하다. 종단 시스템 처리(4008)는 PORT STATUS관련부(제 32 도)를 판독하며, 본 예에 따라, 가입자 세트(528)가 현재 휴지상태인가를 결정한다. 처리(4008)는 그후 종단 단말기 처리(4010)를 생성하며 먼저 언급된 LNTERM메세지(제 14 도)내의 위치로 호 정보를 진행시킨다. 이점에서, 호에 대한 종단 단자를 알고, 시작 단자가 원격 스위칭 모듈(503)에 접속된 것을 안다면, 처리(4010)는 원격 스위칭 모듈(501)(503)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 설비(416)상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타임 슬롯 상태 맵을 판독한다. 12개의 타임 슬롯중의 하나가 유용하다고 가정하면, 처리(4010)는 호에 대한 타임 슬롯 할당을 하게 한다(12개 타임 슬롯중의 어느 것도 유용하지 않는 경우의 대안이 상기에 언급되었다). 호 셋업 시퀀스의 나머지가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의 시작 단말기 처리(4003)으로의 SETUPCOMP메세지 전송 및 전송 설비(1425)상에 호 타임 슬롯에 대한 시작 주변 타임 슬롯과 종단 주변 타임 슬롯의 매핑을 포함하는 원격 스위칭 모듈간의 세개의 메세지만이 요구되었다는 점에 주위해야 한다. 호 진행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인지한 후 먼저 할당된 호 타임 슬롯을 탈-위치(de-allocate)시키기 위해 원격 스위칭 모듈(503)으로 복귀되는 경우에 4개의 메세지가 필요하게 된다.
제 2 예로, 가입자 세트(548)가 앞에서처럼, 가입자 시트(538)에 연관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나 PORTSTATUS관련부의 적당한 터플이 호가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3)의 전화번호에 대해 시리즈-완성된다는 것을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예는 시작 단말기 처리(4201)(제 38 도)의 생성, 원격 스위칭모듈(503)내로 시스템 처리(4002)를 경로 지정하므로써 원래의 종단 단자의 결정과 원격 스위칭 모듈(502)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4005)로의 RTGEN메세지의 전송등을 포함하는 앞의 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처리(4005)는 PORTSTATUS관련부 판독에 따라 가입자 세트(538)가 현재 통화중이며, 가입자 세트(538)에 대한 가입자 세트(23)에 연관된 전화번호에 대해 시리즈-완성된다는 것을 안다. 따라서, 처리(4005)는 시리즈-완성 단말기 처리(4022)를 생성하며, 처리(4022)로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시리즈-완성(SC)메세지를 전송한다. 처리(4022)는 순차적으로 RERTE메세지내로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4006)에 대한 시작 정보와 시리즈-완성 정보를 진행시킨다. 이점에서, 호는 간단한 호로 감소된다. 가입자 세트(23)에 유지하는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원격 스위칭 모듈(502)내에 기억된 DNTRAN관련부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경로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제 25 도 내지 제 29 도)은 DNTRAN관련부의 시도된 엑세스가 실패하기 때문에 RTGEN메세지의 전송을 초래한다.
시스템 II에 대해 언급된 바와 같이, RTGEN메세지는 차순의 프로세서에 의해 경로지정이 계속될때 인입될 경로 지정 프로그램의 상태 및 차순의 관련부를 판독하는데 필요한 키의 값을 규정하는 REQTERM필드를 포함한다. RTGEN메세지는 또한 불필요한 작업이 경로 지정이 계속될때 반복되지 않도록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6)에 의해 이미 결정된 다수의 변수치를 규정하는 RTCONTDA 필드를 포함한다. RTGEN메세지는 중앙 제어(30)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제어(4004)로 전송된다. 중앙 제어(30)내에 기억된 DNTRAN관련부가 시스템의 모든 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갖기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에 접속된 시작 단자가 원격 스위칭 모듈(503)상에 존재한다는 것과 종단 단자가 스위칭 모듈(201)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네트워크타임 슬롯(스위칭 모듈(201)과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을 접속시키는 시간 다중화 스위치(10)를 통한)을 할당하며, 따라서 선로가 셋업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갱신된 PATHDES필드와 완성된 TERMGPI필드를 포함하는 RTGEN메세지를 스위칭 모듈(201)내의 전송 시스템 처리(4011)로 전송한다.
가입자 세트(23)가 현재 휴지상태라고 가정하면, 처리(4011)는 종단 단말기 처리(4023)를 생성하며, 이에 LNTERM메세지를 전송한다.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은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의 시작 단말기 처리(4021)로의 SETUPCOMP메세지의 전송,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할당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에 종단 주변 타임 슬롯의 매핑, 원격 스위칭 모듈(503)과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 설비 (441 내지 444)중 하나(441)상에 호에 대한 시작 주변 타임 슬롯의 매핑 및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할당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에 대한 전송설비(441)상의 호 타임 슬롯의 매핑을 포함한다.
제 3 예로소, 원격 스위칭 모듈(503)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548)가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3)에 연관된 전화번호를 다이얼한다. 또한, 스위칭 모듈(201)내에 기억된 PORTSTATUS관련부의 적당한 터플은 호 진행이 가입자 세트(23)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과 호가 원격 스위칭 모듈(502)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에 연관된 전화번호로 진행한다는 것을 규정한다고 가정한다.
시작 단말기 세트(4031)(제 39 도)가 생성되고, 이에 의해 RTREQ메세지가 상술된 방법으로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로 전송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3)에 의해 기억된 DNTRAN관련부는 가입자 세트(23)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경로지정 프로그램이 경로 시스템 처리(4002)에 의해 실행될때 DNTRAN관련부의 시도된 엑세스는 실패하며, RTGEN메세지는 중앙 제어(30)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로 전송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가입자 세트(23)에 접속된 종단 단자의 GPI의 결정을 완성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또한, 스위칭 모듈(201)과 호스트 스위칭 모듈(302)사이의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호에 대해 할당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그후 스위칭 모듈(2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4011)로 갱신된 PATHDES필드와 완성된 TERMGPI필드를 포함하는 RTGEN메세지를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4011)는 PORTSTATUS관련부를 판독하며, 가입자 세트(23)에 대한 호가 가입자 세트(538)에 관련된 전화번호로 진행되는 것을 결정한다. 처리(4011)는 그후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32)를 생성하고, 이에 CF메세지를 전송한다.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32)는 가입자 세트(23)로 단주기 링잉 전압의 전송을 수행하며, 중앙 제어(30)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로 다시 RETRE메세지를 전송한다. RETRE메세지에 응답하여,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먼저 할당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탈-위치시키고, 가입자 세트(538)에 접속된 종단 단자의 GPI의 결정을 완성한다. 이점에서, 호는 간단한 호로 감소된다.
GPI의 MODULE필드는 종단 단자가 원격 스위칭 모듈(502)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규정한다. 시작 단자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상에 존재하는 것을 알면,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4)는 호에 대한 새로운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할당하지 않고 완성된 TERMGPI필드를 포함하는 RTGEN메세지를 원격 스위칭 모듈(502)내의 종단처리(4005)로 전송한다. 처리(4005)는 가입자 세트(538)가 현재 휴지상태를 나타내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PORTSTATUS관련부를 판독하고, 그후, 원격 스위칭 모듈(502)(503)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설비(435)상의 타임 슬롯 1 내지 12중 유용한 타임 슬롯을 호 타임 슬롯을 선택한다. 처리(4005)는 종단 단말기 처리(40033)를 생성하고, LNTERM메세지를 전송한다.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은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의 시작 단말기 처리(4031)로 SETUPCOMP메세지의 전송 및 전송 설비(435)상의 호 타임 슬롯에 대한 시작 주변 타임 슬롯과 종단 주변 타임 슬롯의 매핑을 포함하는 정상 방법으로 진행한다.
각 원격 스위칭 모듈의 모듈(501 내지 504)의 집합체에 접속된 모든 단일 라인에 대한 호에 대해 종단 단자 결정 기능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스위칭 모듈을 결정한 후에, 시작 원격 스위칭 모듈이 즉시 선택될 수 있으며, 상호 접속되는 전송설비상에 호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III의 대안 실시예에서 행해진다. 일단 종단 원격 스위칭 모듈이 호가 시퀸스호라는 것을 결정한다. 그러나, 셋업 시퀀스가 시작 원격 스위칭 모듈로 복귀되어 먼저 할당된 호 채널이 간단한 호로 호를 감소시키기 위해 탈-위치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III의 대안 실시예에서의 시퀀스 호의 예로, 원격 스위칭 모듈(503)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548)가 원격 스위칭 모듈(502)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538)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한다고 고려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3)(제 40 도)에서, 오프-훅 형태의 검출에 응답하여 호 처리 제어 시스템 처리(4001)에 의해 생성되었던 시작 단말기 처리(4043)는 다이얼된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4043)는 PI, DI, DIGCNT 및 TREAT의 값을 얻기 위해 다이얼된 디지틀를 분석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4043)는 또한 시작 라인의 특성을 기초로 SI값을 결정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4043)는 그후 RTREQ 메세지를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로 전송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그의 연관 데이타 베이스를 엑세스 하기 위해 RTREQ메세지내의 정보를 사용한다.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에 기억된 DNTRAN 관련부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가입자 세트(538)에 접속된 단자의 GPI의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GPI의 MODULE 필드는 가입자 세트(538)가 원격 스위칭 모듈(502)에 접속된 것을 규정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그후 모듈(503)(502)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 설비(435)상의 채널(13 내지 23)중의 하나가 유용한가를 결정한다. 본예에 대해, 채널13이 유용하며, 처리(4002)는 RTGEN 메세지(선택된 채널13)을 포함)를 원격 스위칭 모듈(502)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4005)로 전송한다. 처리(4005)는 키로GPI를 사용하여 PORTSTATUS 관련부를 엑세스 하므로써 응답한다. 가입자 세트(538)에 전송된 라인에 대한 PORTSTATUS 관련부의 터플은 호 진행이 유효하며, 호가 원격 스위칭 모듈(501)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528)에 연관된 전화번호로 진행하는 가를 규정한다. PORTSTATUS 관련부 판독에 응답하여, 종단 시스템 처리(4005)는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47)를 생성하며, 호 진행(CF) 메세지를 처리(4047)로 전송한다. CF 메세지에 응답하여,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47)는 핑링을 발생하기 위해 가입자 세트(538)로의 단주기 링잉 전압의 전송을 실행한다.
호 진행 단말기 처리(4047)는 그후 원격 스위칭 모듈(503)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로 RETRE메세지를 전송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가입자 세트(528)에 접속된 종단 단자의 GPI의 결정을 완성한다. GPI의 MODULE 필드는 원격 스위칭 모듈(501)을 규정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그후 전송 설비(435)의 미리 위치된 호 채널(13)의 탈-위치 시킨다. 이점에서, 호는 간단한 호로 감소되었다. 다음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채널(13 내지 23)중의 하나가 모듈(503)(501)을 상호 접속시키는 전송 설비(426)상에서 유용한가를 결정한다. 채널(18)이 유용하여 선택되고,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에 의해 호에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4002)는 RTGEN 메세지(선택된 호 채널 (18)을 포함하는)를 원격 스위칭 모듈(5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4008)로 전송한다. 처리(4008)에 의해 수신된 RTGEN 메세지가 종단 시스템 처리(4005)에 의해 수신된 RTGEN 메세지내에 존재했던 것과 동일한 호 시작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이 제 37 도에 대해 언급된 앞의 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시스템 IV]
시스템 IV(제 41 도)는 먼저 언급된 시스템 I(제 2 도)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시스템 IV에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고, 모듈간 호에 대한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선로를 셋업하는 기능을 제외한 호 처리 기능 모두는 시스템 중앙 제어에 수반되기 보다는 스위칭 모듈에 분배된다. 특히, 종단 단자 결정 기능은 스위칭 모듈만의 협동 처리에 의해 모든 호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IV내의 중앙 제어(30')는 두개의 시스템이 29개의 스위칭 모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시스템 I의 중앙제어(30)와 비교될때 다루어야 하는 처리 부하의 실제적인 감소 때문에 비교적 값싼 프로세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동일한 프로세서가 많은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IV에서,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 각각은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 연관 데이타 구조 RDBLK, CFBLK, GRPBLK 및 TERMBLK와 FIXEDRI, SCRNING, DNTRAN, ROUTING, PORTGEOUP, GROUPPORT, MHG, LNSTAT, TRKG, TKOWNER, TKQUE 및 TKSTAT 관련부로 이루어진 데이타 베이스를 갖는다. 각 스위칭 모듈은 또한 MDDTRAN 관련부(제 32 도)를 갖는다. 경로 지정 시스템처리 모두는 동일 경로 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 II 및 III의 프로그램에 대해 변형된다(이에 대한 플로우챠트는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에 도시된다). 변형은 제 42 도에 도시되며, 후에 언급된다. 이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에 연관된 상태 다이아그램은 MWCONN 상태(3013)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 24 도의 상태 다이아그램과 동일하다. 중앙 제어(30')는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를 갖지 않으며, 선로 추적 시스템은 단지 네트워크 타임 슬롯의 선택 및 모듈간 호에 대한 시간-다중화 스위치(10)선로를 확립하는 책임을 갖는다.
[전화번호 대역]
FIXEDRI, SCRNING, ROUTING, PORTGROUP, GROUPPORT, MHG, TRKG 관련부가 스위칭 모듈(201 내지 209) 각각내에서 용장하다. 이들 관련부 각각은 전체 시스템에 대한 영구 데이타를 기억한다. DNTRAN관련부는 스위칭 모듈 사이에서 변화한다. 예로, 스위칭 모듈(201)내의 DNTRAN관련부는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모든 라인에 대해 그리고, 부가적으로, 1800 DNS 세트(10000 내지 11799)에 대해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다(ON의 제 1 디지트는 NOC이고 DN이 마지막 4개의 디지트는 마지막 4개의 다이얼된 디지트이다). 스위칭 모듈(202)내의 DNTRAN관련부는 스위칭 모듈(202)에 접속된 모든 라인의 1800 DNS 세트(11800 내지 13599)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다. 유사하게, 다른 스위칭 모듈 각각내의 DNTRAN 관련부는 상기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모든 라인과 부가적으로 테이블 2에 정의된 1800 DNS 세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다.
물론, DNS의 동일한 번호가 각 스위칭 모듈에 연관되어야 한다는 요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시스템내의 스위칭 모듈당 1800 DNS의 할당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또한, 주어진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가 1800 DNS의 특정 세트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해도, 상기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에 할당된 1800 DNS 세트의 DNS 세트 사이의 교차를 최대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스위칭 모듈에서는 용장하며, NOCD 403 부속물과 MODULE 부속물을 포함하는 MODTRAN 관련부(제32 도)는 필요한 정보가 시작 스위칭 모듈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작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저장하는 스위칭 모듈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본예에 대한 MODTRAN 관련부의 내용은 테이블 3에 요약된다.
NOCD 403부속물은 NOC와 다이얼된 디지트중 1000자리 디지트 D4와 100자리 디지트 D3의 조합을 나타내다. 예로, 스위칭 모둘(201)의 DNS(1000 내지 11799)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하기 때문에, MOTRAN관련부는 NOCD 403 값이 100 내지 117인 시작에 대해, 필요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스위칭 모듈(201)내에 존재하다는 것을 규정한다(스위칭 모듈로의 DNS 의 할당이 1000자리 그룹에 의해 행해진 경우, 단지 NOC+1000자리 디지트 D4만이 정보의 위치를 규정하기에 충분하다). 다중-다중 추적 그룹에 대한 동적 데이타 즉, LNSTAT, TKOWNER, TKQUE 및 TKSTAT 관련부의 분배는 후에 언급된다.
시스템 IV에 대해 요구되는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의 플로우챠트에 대한 변형은 제 42 도에 도시된다. 블럭(1085)은 결정블럭(1080)과 블럭(1400) 사이에 삽입된다. 블럭(1070)에서, DNTRAN 관련부가 키로서 DN을 사용하여 판독하며, 결정블럭(1080)에서는 요청된 데이타가 DNTRAN 관련부에서 유용한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제 4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된 데이타가 블럭(1080)에서 결정된 것처럼 유용하지 않다면, 실행은 블럭(1085)으로 진행한다. 블럭(1085)동안, MODTRAN 관련부(제 32 도)가 필요한 데이타가 저장되는 스위칭 모듈을 규정하는 MODULE 필드를 얻기 위해 키로서 NOCD 403 부속물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MODULE 필드는 TERMBLK 내에 기억되며, 실행은 블럭(1400)으로 진행한다. 블럭(1400)에서, SWITCH 상태(3014)(제 24 도)로 인입되며, 변수 SWREQ는 차순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에 의해 인입될 프로그램 상태로서 DNTRAN 상태(3004)를 규정하는 RDBLK 내에 기억된다. 실행은 블럭(119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차순의 프로세서가 결정된다. 종단 단자를 결정하는 기능이 완성된 경우에, 차순의 프로세서는 항상 중앙 제어(30')가 된다. 그러나, 종단 단자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면, 차순의 프로세서는 TERMBLK 내의 차순의 프로세서에 의해 규정된 스위칭 모듈내에 존재한다. 차순의 프로셋의 동작 상태는 그후 입증되고 실행은 블럭(121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에서, 전송될 메세지의 형태가 결정된다. 차순의 프로세서가 스위칭 모듈중의 하나내에 존재하는 경우, 먼저 언급된 RTGEN 메세지(제 32 도)가 구성된다. 차순의 프로세서가 중앙 제어(30')인 경우, 선로 요청(PR) 메세지(제 32 도)가 구성된다. PR 메세지는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기 위해 중앙 제어(30')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며, 호가 모듈간 호인 경우에,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선로를 셋업하기 위해 사용된다. PR 메세지는 REQTERM 및 RTWNTDA 필드가 PR메세지내에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RTGEN 메세지와 동일한 필드를 포함한다. 실행은 그후 블럭(1220)으로 진행하며, 적당한 메세지가 RDBLK, CFBLK 및 TERMBLK 내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그 메세지가 전송된다.
시스템 IV내의 호 셋업의 제 1 예로,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가 방금 오프-훅 상태로 되었다고 간주한다. 오프-훅 상태는 라인 유니트(21) 내로의 주사에 의해 검출된다. 스위칭 모듈(229)내의 호 처리 제어 시스템 처리(5001)(제 43 도)는 오프-훅 검출을 알리며, 이에 응답하여 시작 단말기 처리(5008)를 생성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5008)는 가입자 세트(25)로의 발신음 전송 및 가입자 세트(25)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의 순차 수신을 제어하는 책임을 갖는다. 본 예에 대해, 번호 355-2289가 다이얼 되었다고 가정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5008)는 접두어 인덱스(PI), 목적지 인덱스(DI), 디지트 카운트(DIGCNT), 취급(TREAT)변수 값을 얻기 위해 다이얼된 디지트를 분석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5005)는 시작 라인의 특성을 기초로 스크린 인덱스(SI)값을 결정한다. 시작 단말기 처리(5008)는 그후 메세지 버퍼 내에 경로요청 메세지 RTREQ(제 14 도)를 형성한다.
RTREQ 메세지가 일단 형성되면, 이는 시작 단말기 처리(5008)에 의해 스위칭 모듈(229)내의 시스템처리(5002)(제 42 도)로 전송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그의 연관 RDBLK 내에 RTREQ 메세지를 기억시킨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그후 경로 지정 프로그램(제 42 도에서 처럼 변형된 제 25 도 내지 제 29 도)에 따라 그의 연관 데이타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엑세스한다. nxx 디지트 355가 본예에서 1의 NOC로서 인코드 되기 때문에, 다이얼된 번호 355-2289는 DN 12289로 표현된다.
DN 12289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는 스위칭 모듈(229)내의 DNTRAN 관련부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DNTRAN 관련부가 키로서 DN 12289를 사용하여 경로 지정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엑세스 될때, 그 엑세스는 실패한다. MODTRAN 관련부(제 32 도)는 필요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하는 스위칭 모듈의 일치를 얻기 위해 키로서 122의 NOCD 403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본예에 따라, 정보가 스위칭 모듈(202)내에 기억되는가가 결정된다(테이블 3 참조).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차순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에 의해 인입될 프로그램 상태로서 DNTRAN 상태(3004)(제 24 도)를 규정하는 REQTREM 필드와 DNTRAN 관련부를 엑세스하기 위해 키로서 사용될 DN 12289를 포함하는 일반화된 경로지정(REGEN) 메세지(제 32 도)를 형성한다. 경로 지정 프로그램 처리(5002)는 그후 스위칭 모듈(202)내의 경로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그후 스위칭 모듈(202)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로 RTGEN 메세지를 전송한다.
RTGEN 메세지의 REQTERM 필드에 응답하여,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는 DNTRAN 상태(3004)(제 24 도)내의 그의 경로 지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시작한다. DNTRAN 관련부는 키로서 DN 12289를 사용하여 엑세스된다. 이는 스위칭 모듈(229)내에서 판독된 MODTRAN관련부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이,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는 시간이다. 본예에 대해, DN 12289가 가입자 세트(23)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201)의 단자의 전체 단자 일치로 번역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가 호에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했기 때문에, 처리(5004)는 가입자 세트(25)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229) 단자를 규정하는 ORIGGPI 필드와 가입자 세트(23)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201) 단자를 규정하는 TERMGI 필드를 포함하는 선로 요청(PR) 메세지(제 32 도)를 형성한다. 처리(5004)는 중앙 제어(30')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로 PR메세지를 전송한다.
중앙 제어(30')는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의 시간-다중화 라인 모두의 모든 타임 슬롯인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네트워크 맵을 기억한다. 각 스위칭 모듈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에는 두개의, 256타임 슬롯 시간-다중화 라인 쌍이 존재한다는 점을 상기하라.
따라서, 주어진 스위칭 모듈과 시간-다중화 시작 단말기 처리(10) 사이에 유용한 512 타임 슬롯이 존재하게 된다. 중앙 제어(30')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는 스위칭 모듈(229)과 스위칭 모듈(201)사이에 유용한 타임 슬롯을 선택하므로써 PR메세지에 응답한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는 또한 중앙 메모리(29)내로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규정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처리(5007)는 그후 PATHDES 필드내의 규정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LNTREQ 메세지(제 14 도)를 스위칭 모듈(2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5005)로 전송한다.
LNTREQ 메세지에 응답하여, 종단 시스템 처리(5005)는 가입자 세트(23)가 현재 통화중인가 휴지상태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스위칭 모듈(201)내에 기억된 PORTSTATUS 관련부(제 32 도)를 판독한다. 가입자 세트(23)가 휴지상태인 경우, 처리(5005)는 종단 단말기(5009)를 생성하며, LNTREQ 메세지내에 수신된 정보를 LNTERM 메세지를 거쳐 처리(5009)로 진행시킨다. 종단 단말기 처리(5009)는 가입자 세트(23)로의 링잉 전압 전송과 스위칭 모듈(229)로의 E-비트 연속 신호 및 가청 호출 신호의 전송을 수행한다. 종단 단말기 처리(5009)는 그후 셋업 완성(SETUPCOMP) 메세지를 완성된 선로 디스크립터 PATHDES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229)내의 시작 단말기 처리(5008)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시작단말기 처리(5008)는 스위칭 모듈(201)로 E-비트 연속 신호의 전송을 실행한다. 스위칭 모듈(201)의 스위칭 모듈(229)로부터 E-비트 연속 신호를 수신할때, 종단 단말기 처리(5009)는 가입자 세트(23)와 통신하는데 사용되어질 종단 주변 타임 슬롯을 결정하고, 종단 주변 타임 슬롯과 네트워크 타임 슬롯 사이의 매칭을 규정하는 스위칭 모듈(201)의 제어 RAM(55)내에 정보를 기록한다. 유사하게, 스위칭 모듈(229)이 스위칭 모듈(201)로부터 E-비트 연속 신호를 수신할때, 시작 단말기 처리(5008)는 가입자 세트(25)와 통신하는데 사용되어질 시작 주변 타임 슬롯을 결정하고, 시작 주변 타임 슬롯과 네트워크 타임 슬롯 사이의 매핑을 규정하는 스위칭 모듈(229)의 제어 RAM(55)내에 정보를 기록한다. 가입자 세트(25)와 (23)사이의 통신 선로가 이제 셋업되었다.
제 2 예로, 번호 493-5433이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로부터 다이얼 되었다고 간주한다. 오프-훅 상태의 검출을 알린 후 호 처리 제어 시스템 처리(5001)에 의해 생성되었던 시작 단말기 제어(5018)(제 44 도)는 다이얼된 디지트를 수신하며, 그후, RTREQ 메세지를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그의 경로 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한 것으로, DN 65433이 동일한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착신 가입자 세트 즉, 가입자 세트(26)에 할당되는데, 상기 스위칭 모듈에 DN 65433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기억된다(테이블 2 참조), 따라서, 경로 지정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DNTRAN 관련부의 엑세스는 성공적이며, 종단 단자의 결정은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에 의해 완성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그후 PR 메세지(제 32 도)를 중앙 제어(30')내의 선호 추적 시스템 처리(5007)로 전송한다. PR 메세지의 두개의 ORIGGPI 필드 ; TERMGPI 필드가 스위칭 모듈(229)을 규정하기 때문에,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는 수신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50)를 스위칭 모듈(229)내의 전송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에 접속시키는데 사용되어질 두개의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한다. 하나의 네트워크 타임 슬롯은 각 전송 방향에 대해 사용된다. 호가 모듈내 호인 경우, 어떠한 시간-다중화 시작 단말기 처리(10) 선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처리(5007)는 제어 메모리(29)내의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다. 처리(5007)는 PATHDES 필드내의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LNTREQ 메세지를 종단 시스템 처리(5010)로 전송한다.
종단 단말기 처리(5019)의 생성, 처리(5001)로부터 처리(5019)로 LNTERM 메세지 전송, 처리(5019)로부터 SETUPWMP 메세지를 시작 단말기 처리(5018)로 전송 및 네트워크 타임 슬롯에 대한 시작 및 종단 주변 타임 슬롯의 매핑을 규정하기 위해 스위칭 모듈(229)내 제어 RAM(55)의 기록 등을 포함하는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은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진행한다.
제 3 예로, 번호 493-5552가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로부터 다이얼 된다고 간주한다. DN 65552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스위칭 모듈(229)(테이블 2 참조)의 DNTRAN 관련부내에 기억되기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제 45 도)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 예에 대해, DN 65552가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 카세트(23)에 지정된다고 가정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완성된 TERMGI 필드를 포함하는 PR 메세지를 중앙 제어(30')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5007)는 스위칭 모듈(229)과 (201)사이에 공통으로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고, 제어 메모리(29)내에 기록하므로써 선로를 확립한다. 가입자 세트(25)(23)를 접속시키기 위한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을 상술된 방법으로 완성된다.
제 4 예로서, 번호 355-1566이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로부터 다이얼 된다고 간주한다. DN 11566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스위칭 모듈(229)의 DNTRAN 관련부내에 기억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블 2 참조),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제 46 도)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할 수 없게 된다. 경로 지정 프로그램의 실행동안, DNTRAN 관련부의 엑세스가 실패할때, MODTRAN 관련부가 키로서 NOC D4, D3인 115를 사용하여 요구된 전화번호 번역 정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판독된다. 본예에 따라서, 요구된 정보가 스위칭 모듈(201)(테이블 3 참조)내에 기억되어 있는가가 결정된다. 따라서, DNTRAN 관련부에 대한 키로서 DNTRAN 상태(3004)(제 24 도)와 DN 11566을 규정한 REQTERM 필드를 포함하는 RTGEN 메세지가 형성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스위칭 모듈(201)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6)로 RTGEN 메세지를 전송하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6)는 DNTRAN 상태(3004)내의 그의 경로 지정 프로그램으로 인입된다. DN 11566을 사용한 DNTRAN 관련부의 액세스는 스위칭 모듈(229)내의 MODTRAN 관련부의 판독을 기초로 예견된 것처럼 성공적이 된다. 본예에서, DN 11566이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3)에 지정된다고 가정한다. 다시, 본예는 DN 11566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동일한 스위칭 모듈(201)내에 기억되기 때문에, DN 11566이 지정하는 가입자 세트가 접속되는 바람직한 할당을 나타낸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6)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처리(5006)는 PR 메세지를 중앙 제어(30')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로 전송된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5007)는 스위칭 모듈(201)과 (229)사이에 공통으로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여,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선로를 셋업한다. 처리(5007)는 그후 LNTREQ 메세지를 스위칭 모듈(2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5005)로 전송한다.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이 가입자 세트(23)(25)를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진행한다.
제 32 도에 지시되지 않았으나, MODTRAN 관련부는 전화번호 번역 정보의 두개의 2차 위치를 부속물로 포함하는데, 상기 2차 위치는 MODULE 부속물에 의해 규정된 스위칭 모듈이 동작적이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주어진 1800DNS 그룹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세개의 스위칭 모듈 즉, 1차로 지정된 하나와 2차로 지정된 2개의 모듈의 DNTRAN 관련부내에 기억된다. INTEGRITY 상태(3012)(제 24 도)가 블럭(1190)(제 42 도)동안 인입될때, 그리고 1차로서 지정된 스위칭 모듈내의 프로세서가 동작적이지 않는 것이 결정될때, RTGEN 메세지가 2차로서 지정된 스위칭 모듈중의 하나인 동작 프로세서로 전송된다.
언급되고 있는 시스템 IV에서, 스위칭 모듈 각각내의 DNTRAN 관련부는 상기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모든 라인 및 부가적으로, 테이블 2내에 정의된 1800DNS 세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각 스위칭 모듈내의 DNTRAN 관련부는 1800 DNS 세트만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를 기억하고 1800 DNS의 선정된 세트외의 지정된 전화번호는 스위칭 모듈의 모든 라인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정보는 기억하지 않는다. DNTRAN 관련부 판독에 실패한 후에만 MODTRAN 관련부를 판독하기보다는, MODTRAN 관련부가 전화번호 번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 MODTRAN 관련부가 판독되고 DNTRAN 관련부를 판독하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경로 지정이 MOTRAN 관련부에 의해 규정된 스위칭 모듈내에서 계속된다.
[다중-단자 추적 그룹 제어]
시스템 I에서, 다중-단자 추적 그룹 모두 즉 다중-라인 추적 그룹 및 트렁크 그룹의 제어가 중앙 제어(30)내에서 배타적으로 위치되었다는 점을 상기하라. 시스템 II 및 III에서는, 특정 다중-단자 추적그룹에 대한 제어 능력이 원격 스위칭 모듈(501 내지 504)로 분산되었다는 점을 상기하라. 그러나, 그와같은 제어기능을 하나의 원격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모든 부재를 갖는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해서만 분배되었다. 두개 이상의 모듈에 걸친 부재를 갖는 다중-단자 추적 그룹의 제어는 계속 중앙 제어(30)내에 존재한다. 현재 언급되는 시스템 IV에서, 모든 다중-단자 추적 그룹의 제어는 스위칭 모듈(201 내지 209)로 분배된다. 각 다중-단자 추적 그룹은 그의 그룹제어기로서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중의 하나에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특정 규칙이 할당을 형성하는데 적용된다. 하나의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 모든 부재를 갖는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해, 그 스위칭 모듈에 대해 그룹 제어기의 할당이 이루어진다. 두개이상의 모듈에 걸친 부재를 갖는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해, 이에 접속된 최대의 그룹 부재를 갖는 모듈이 그룹 제어기로 할당된다. 그룹의 부재에 접속된 모든 모듈이 동일한 수의 부재에 접속되는 경우, 그후 모듈중의 하나가 임의로 그룹 제어기로 선택된다. 부가적으로, 다중-라인 추적 그룹을 호출하기 위해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는 파이롯트(pilot) DN은 그룹 제어기에 접속된 그룹 부재에 할당된다. 이들 할당 규칙의 사용이 시스템 IV내의 모듈간 제어 메세지의 수에 관련된 특정 효율을 초래한다해도, 완전히 임의적인 할당을 포함하는 다른 규칙이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한 기준은 각 그룹이 제어기에 할당된다는 것이다.
다중-단자 추적 그룹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는 동적 데이타 즉, 다중-라인 추적 그룹에 대한 LNSTAT 관련부와 트렁크 그룹에 대한 TKOWNER, TKQUE 및 TKSTAT 관련부가 그룹 제어기에 의해 기억된다. 테이블 4에 도시된 표본의 그룹을 고려하라.
[표 4]
다중 라인 추적 그룹 A는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모든 부재를 갖는다. 따라서, 스위칭 모듈(201)은 그룹 A의 그룹 제어기로 지정되며, 그룹 A에 대한 LNSTAT 관련부는 스위칭 모듈(201)내에 기억된다. 다중-라인 추적 그룹 B는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두개의 부재, 스위칭 모듈(202)에 접속된 12개 부재 및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두개의 부재를 갖는다. 스위칭 모듈(202)은 그룹 B의 그룹 제어기로 지정되며, 그룹 B에 대한 LNSTAT 관련부는 스위칭 모듈(202)내에 기억된다. 다중-라인 추적 그룹 C는 스위칭 모듈(201 내지 209) 각각에 접속된 하나의 부재를 갖는다. 스위칭 모듈(208)은 그룹 C의 그룹 제어기로 지정되며, 그룹 C에 대한 LNSTAT 관련부가 스위칭 모듈(208)내에 기억된다. 트렁크 그룹 A는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모든 부재를 갖는 FIFO 그룹이다. 스위칭 모듈(201)은 그룹 제어기로 지정되며, 트렁크 그룹 A에 대한 TKOWNER 및 TKQUE 관련부는 스위칭 모듈(201)내에 기억된다. 트렁크 그룹 B는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16개의 부재와 스위칭 모듈(202)에 접속된 32개의 부재를 갖는 순방향/역방향그룹이다. 스위칭 모듈(202)은 그룹 제어기로 지정되며. 트렁크 그룹 B에 대한 TKSTAT 관련부는 스위칭 모듈(202)내에 기억된다.
그룹 제어기보다 다른 스위칭 모듈로부터 시작하는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한 모든 호는 그룹 제어기로 제어 메세지의 전송을 필요로 한다. 그룹 제어기는 그룹에 대한 동적 통화중/휴지상태 데이타를 사용하여 특정화된 추적 알로리즘을 수행하며, 휴지그룹 부재를 하나가 유용한 경우, 그 호에 할당한다. 그룹 제어기는 그후 제어 메세지를 할당된 부재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로 전송하여 그 부재에 대한 셋업을 완성한다. 할당된 부재가 다시 유용하게 될때, 제어 메세지는 할당된 부재가 휴지상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그룹 제어기로 다시 전송된다.
그와같은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수단되는 호 셋업의 제 1 예로서, 번호 355-1922가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에 다이얼되며, 상기 355-1922는 스위칭 모듈(202)에 접속된 12개의 부재,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두개의 부재 및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두개의 부재(테이블 2 및 4 참조)를 갖는 다중-라인 추적 그룹 B의 파이롯트 전화번호이다. DN 11922를 사용하여 스위칭 모듈(229)내의 경로 지정시스템 처리(5002)(제 43 도)에 의한 DNTRAN 관련부의 시도된 액세트는 실패한다. MODTRAN 관련부(제 32 도)는 요구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스위칭 모듈(202)(테이블 3 참조)내에 기억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키로서 119의 NOC D4 D3을 사용하여 판독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차순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에 의해 인입될 프로그램 상태로서 DNTRAN 상태(3004)(제 24 도)와 DNTRAN 관련부는 액세스 하는데 사용되어질 키로서 DN 11922를 규정하는 REQTERM 필드를 포함하는 RTGEN 메세지를 형성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그후 RTGEN 메세지를 스위칭 모듈(202)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로 전송하다.
RTGEN 메세지에 응답하여,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는 DNTRAN 상태(3004)내의 경로 지정 프로그램으로 인입하며, 키로서 DN 11922를 갖는 DNTRAN 관련부를 판독한다. 상기 언급된 할당 규칙에 따라, 파이롯트 DN 11922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는 스위칭 모듈(202)내에 기억되며, 그룹 B부재중의 하나에 접속된 스위칭 모듈(202)단자의 전체단자 일치를 규정한다. 따라서, 스위칭 모듈(202)내의 DNTRAN 관련부는 엑세스는 성공적이다. 회수된 DNTRAN 터플의 TERMCLASS 부속물은 DNTRAN 11922가 단일 라인보다는 다중-라인 추적 그룹에 할당되는 것을 규정한다. PORTGROUP과 MHG 관련부는 순차적으로 그의 경로 프로그램에 따라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에 의해 판독된다. MHG 터플의 MODULE 부속물은 스위칭 모듈(202)이 지정된 그룹 제어기라는 것을 규정한다. 그후, 다중-단자 라인 그룹 B의 모든 부재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하며, LNSTAT 관련부내에 기억된 동적 데이타가 판독된다. 스위칭 모듈(202)이 그룹의 제어기이기 때문에, LNSTAT 관련부의 액세스는 성공적이며, 휴지 그룹 부재는 선정된 추적 알고니즘에 따라 호에 할당된다. 그 부재는 즉시 통화중 상태로 표시된다. 본예에 따라, 스위칭 모듈(201)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3)가 다중-라인 추적 그룹 B의 부재이고 가입자 세트(23)가 그 호에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가 종단단자의 결정을 완성하기 때문에, 처리(5004)는 PR 메세지를 중앙 제어(30')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로 전송한다.
PR메세지의 ORIGGPI 및 TERMGPI 필드를 기초로, 선호 추적 시스템 처리(5007)는 호에 대해 스위칭 모듈(229)과(201) 사이에 공통으로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며, 시간-다중화 스위칭(10) 선로를 셋업하기 위해 제어 메모리(29)내에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규정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는 그후 PATHDES 필드내의 규정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LNTREQ메세지 스위칭 모듈(201)내의 중단 시스템 처리(5005)로 전송하며, 호 셋업 시퀀스의 나머지는 상술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가입자 세트(23)가 온-훅으로 되돌아갈때, 종단 단말기 처리(5009)는 그룹을 동적데이타가 갱신될 수 있도록 그룹 제어기 스위칭 모듈(202)내의 호 처리 제어 시스템 처리(도시되지 않음)로 제어 메세지를 알리며, 전송한다. 다중-라인 추적 그룹 B의 파이롯트 전화번호 335-1922가 다시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로부터 다이얼 된다. DN 11922에 대한 전화번호 번역 정보는 스위칭 모듈(테이블 2참조)의 DNTRAN 관련부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제 47 도)가 그의 경로 지정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DN 11922를 갖는 DNTRAN 관련부는 액세스가 실패한다. MODTRAN 관련부가 그후 키로서 119의 NOCD 403에 따라 판독된다. 이에 의해, 스위칭 모듈(202)은 요구된 전화번호 번역 정보(테이블 3 참조)를 기억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차순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에 의해 인입된 프로그램 상태로서 DNTRAN 상태(3004)와 DNTRAN 관련부를 판독하는데 사용될 키로서 DN 11922를 규정하는 REQTERM 필드를 포함하는 RTGEN 메세지를 형성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2)는 스위칭 모듈(202)내지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로 REGEN 메세지를 전송한다.
RTGEN 메세지에 응답하여,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는 DNTRAN 상태(3004)에서 그의 경로 지정 시스템으로 실행한다. 키로서 DN 11922를 사용한 DNTRAN 관련부의 액세스는 스위칭 모듈(229)내의 MODTRAN 관련부 판독을 기초로 예건된 것처럼 성공적이다. 회수된 DNTRAN 터플의 TERMCLASS 부속물은 DNTRAN 11922가 단일 라인보다 다중-라인 추적 그들에 할당된다는 것을 규정한다. PORTGROUP 및 MHG관련부는 그의 경로 지정 프로그램에 따라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MHG 터플의 MODULE 부속물은 스위칭 모듈(202)이 지정된 그룹 제어기라는 것을 규정한다. 그후, 다중-라인 추적 그룹 B의 모든 부재의 통화중/휴지상태를 규정한다. LNSTAT 관련부내에 기억된 동적 데이타가 판독된다. 스위칭 모듈(202)이 그룹의 제어기이기 때문에 LNSTAT 관련부의 액세스가 성공적이며, 휴지 그룹 부재가 선정된 추적 알고리즘에 따라 호에 할당된다. 부재는 즉시, 통화중 상태로 표시된다. 2개의 예에 따라,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6)는 다중-라인 추적 그룹 B의 부재이며, 가입자 세트(26)는 그 호에 할당된다.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5004)가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했기 때문에, 처리(5004)는 PR 메세지를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로 전송한다. PR 메세지의 ORIGGPI 및 TERMGPI 필드 모두가 스위칭 모듈(229)를 규정하기 때문에, 어떠한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선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5007)는 스위칭 모듈(229)내의 전송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53)에 수신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50)를 접속시키는데 사용되어질 유용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의 PATHDES 필드내의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LNTREQ 메세지를 종단 시스템 처리(5010)로 전송하다. 호 셋업 모듈의 균형은 상승된 방법으로 진행한다.
제 32 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MHG 및 TRNG 관련부는 또한 각 다중-단자 추적 그룹에 대한 "새도우(shadow)"그룹 제어기로서 스위칭 모듈중의 하나를 규정한다. 새도우 그룹 제어기는 또한 추적 그룹에 대한 동적 데이타를 유지한다. 즉, 이는 모든 통화중/휴지상태 변화인 그룹 제어기로부터의 메세지를 거쳐 통보된다. 그룹 제어기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그룹에 대한 추적이 새도우 그룹 제어기에 의해 실행된다.
[시스템 V]
시스템 V (제 48 도)는 먼저 언급된 시스템 I (제 2 도)와 동일한 하드 웨어 구성을 사용한다. 그러나, 시스템 V는 대안의 제어 분배 유니트(31')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30)가 통신 선로(49)를 거쳐 제어 메모리(29)내에 명령을 기록하므로써 시스템 I내의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제어한다는 점을 상기하가. 시스템 V(제 48 도)에서,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 각각은 물론 중앙 제어(30')는 제어 분배 유니트(31')에 제어 메세지를 전송하므로써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및 진단 액세스 링크(9049)를 거쳐 제어 메모리(29)내로 명령을 기록하므로써 응답하는 제어 분배 유니트(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선로 추적과 셋업 기능은 중앙 제어(30")로부터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로 시스템 V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스위칭 모듈(201 내지 209)이 중앙 제어(30")에 수반됨이 없이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 V내의 중앙 제어(30")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세서는 시스템 IV(제 41 도)내의 중앙 제어(30')의 프로세서에 비해 더욱 많은 가격 감소를 나타낸다. 시스템 V내의 중앙 제어(30")가 호를 셋업하는데 수반되는 호에 의한 마스크 처리 타스크에서 완전히 면제되며, 상기 프로세서상에 부과된 신뢰도 요구는, 시스템이 중앙 제어(30")의 완전한 실패동안조차 전화 호를 스위치하도록 계속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하게 감소된다.
[제어 분배 유니트 31]
제어 분배 유니트(31')는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출력 단말기(964)에 접속된 시간-다중화 라인(150)을 거쳐 스위칭 모듈(201 내지 209)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분배 유니트(31')는 시간 다중화 스위치(10)의 입력 단말기(964)에 접속된 시간-다중화 라인(151)상의 스위칭 모듈(201 내지 209)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분배 유니트(31')내의 시간-다중화라인(150)(151)은 링크 인터페이스(78)내의 제어워드를 추출 및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가 링크 인터페이스(9001)내에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스템 I에 대해 상술된 링크 인터페이스(78)(제 4 도)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링크 인터페이스(9001)(제 49 도)에 결합된다. 시간-다중화 라인(150)(151) 각각은 256개의 채널이나 타임 슬롯을 갖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단지 58개의 제어 채널 즉,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 각각에 2개의 제어 채널이 요구된다. 링크 인터페이스(9001)는 신호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시간-다중화 스위치로부터 시간-다중화 라인(150)상에 수신된 정보를 메세지 인터페이스(9003)로 전송한다. 링크 인퍼페이스(9001)는 또한 시간-다중화 스위치(10)에 대한 시간-다중화 라인(151)상의 전송을 위한 메세지 인터페이스(9003)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메세지 인터페이스(9003)을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부터 제어 분배 유니트(31')에 의해 수신된 제어 정보를 주변 처리기중의 3개의 공동체로 분배하는데, 상기 공동체중 제 1 공동체는 4개의 모듈 메세지 프로세서(9201 내지 9204)로 이루어지며, 제 2 공동체는 4개의 모듈 메세지 프로세서(9301 내지 9304)로 이루어지며, 제 3 공동체는 기초 주변 제어기(9101)로 이루어진다.
메세지 인터페이스(9003)는 또한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의 전송을 위해 공동체로부터 제어 정보를 멀티플렉스한다. 공동체는 32-채널 직렬 메세지 인터페이스 버스(9110,9210,9310)를 거쳐 메세지 인터페이스(9003)와 통신한다. 각 모듈 메세지 프로세서는 스위칭 모듈(201 내지 229)중 8개와 연관되며, 선정된 링크-레벨 프로토콜 즉, HDLC 프로토콜을 거쳐 그의 연관 스위칭 모듈과 통신한다. 기초 주변 제어기(9101)는 제어 분배 유니트(31')의 다수의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나 특히,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선로를 규정하기 위해 제어 메모리(29)에 의해 기억될, 제어 및 진단 액세스 링크(9110)를 거쳐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기초 주변 제어기(9110)에 의해 메세지 인터페이스(9003)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은 제어 및 진단 액세스 링크(9049)를 거쳐 제어 메모리(29)내로 기록된다.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는 주변 프로세서의 공동체와 중앙 제어(30")사이의 정보 전달을 제어하므로써 패킷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 제어 기억부(9501)내에 기억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는 I/O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페이스(9502)를 거쳐 주변 프로세의 공동체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9502)는 공동체 데이타/어드레스 버스(9100,9200,9300)를 거쳐 공동체에 결합된다. I/O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페이스(9502)에 어드레스 버스(9503)상의 소스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기록하므로써,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는 모듈 메세지 프로세서중의 하나(9301)로부터 다른 모듈 메세지 프로세서 또는 기초 주변 제어기(9101)로의 제어 정보 전달을 실행한다. 그와같은 제어 정보의 전달은 중앙 제어(30")에 수반됨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는 유사하게, 모듈 메세지 프로세서(9301)로부터 16비트 데이타 버스(9504)로 제어 정보의 전달을 실행하는데, 상기 정보는 순차적으로 중앙 제어(30")로 이동된다. 버스 인터페이스 제어기(9505)에 어드레스 버스(9503')상의 소스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기록하므로써,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는 버스 인터페이스 제어기(9505)에 의해 수신된 제어 정보의 중앙 제어(30")로부터 데이타 버스(9504) 및 I/O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페이스(9502)를 거쳐 주변 프로세서의 공동체로의 전달을 실행한다.
셀렉터(9507)는 중앙 제어(30")로부터 채널(32)을 거쳐 정보를 수신하며, 스탠드 바이(stand by)중앙 제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 2 이중 직렬 채널(32')을 거쳐 정보를 수신한다. 셀렉터(9507)는 중앙 제어(30")가 현재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가 스탠드 바이 중앙 제어가 제어하는가에 따라, 채널(32) 또는 채널(32')를 선택한다. 셀렉터(9507)는 중안 제어(30") 또는 스탠드 바이 중앙 제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직렬에서 병렬 포맷으로 변환시키며, 32비트 병렬 버스(9506)상의 변환된 정보를 버스 인터페이스 제어기(9505)로 전송한다. 버스 인터페이스 제어기(9505)는 32비트 셀렉터(9507)와 16비트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사이의 버퍼로 작용한다. 버스 인퍼테이스 제어기(9505)는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9500)에 의한 액세스동안 두개의 16비트 필드내로 분리되는 32비트 FIFO(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16워드를 포함한다.
[분산 선로 추적]
주어진 스위칭 모듈 즉, 모듈(201)(제 48 도)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에는 512개의 타임 슬롯이나 채널이 존재한다는 점을 상기하라. 스위칭 모듈(201)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의 두쌍의 시간-다중화 라인 즉, 입력/출력 단자쌍(P1)에 접속된 라인(13)(15)과 입력/출력 단자쌍(P2)에 접속된 라인(14)(16) 각각은 그들상에 256채널을 갖는다. 따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주어진 스위칭 모듈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의 512채널을 채널 TS1내지 TS 512로 언급된다. 시간-다중화 스위치(10)는 채널 각각을 주어진 스위칭 모듈로부터 다른 스위칭 모듈중의 임의의 모듈상의 대응 채널에 접속시킬 수 있다. 예로, 시간-다중화 스위치는 TS1를 스위칭 모듈(201)로부터 스위칭 모듈(202 내지 209)중의 임의의 모듈의 TS1에, TS2를 스위칭 모듈(201)로부터 스위칭 모듈(202 내지 229)중의 임의의 모듈의 TS2에 접속시킬 수 있다. 시스템 I 내지 시스템 IV에서처럼,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 그리고 다중화 스위치(110)로부터 모든 채널의 전체 시야를 유지시키고, 호에 대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는 중앙 제어(30")보다는, 시스템 V내에서는 그와같은 전체 시야가 유지되지 않는다. 오히려 각 스위칭 모듈은 상기 스위칭 모듈로부터 시간-다중화 스위치(10)로 채널(TS1 내지 TS512) 각각의 상태를 규정하는 TIMESLOT 관련부를 규정하며, 각 모듈간 호내에 수반되는 두개의 스위칭 모듈은 상기 호에 대해 사용되어질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선택하기 위해 협상한다. 일단, 네트워크 타임 슬롯이 선택되면, 스위칭 모듈중의 하나는 중앙 제어(30")에 수반됨이 없이 제어 분배 유니트(31')를 거쳐 제어 메모리(29)로 CONNECT 명령을 전송한다.
종단 단자 결정 기능은 먼저 언급된 시스템 IV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템 V에서 수행된다. 종단 단말기 처리가 선정된 스위칭 모듈에서 생성되면, 상기 단말기 처리는 선로 요청(PR)메세지를 스위칭 모듈내에 위치한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로 전송한다. PR 메세지에 응답하여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의 프로우챠트는 제 50 도에 도시된다. PR 메세지는 블럭(6010)동안 수신된다. 실행은 결정 블럭(602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PR 메세지내에 규정된 종단 및 시작 스위칭 모듈이 동일한 스위칭 모듈인가 상이한 스위칭 모듈인가에 기초로 호가 모듈간 호인가 그렇지 않은가가 결정된다. 호가 모듈간 호가 아닌 경우, 실행은 블럭(6030)으로 진행한다. 스위칭 모듈에 의해 기억된 TTMESLOT 관련부가 액세스되며, 채널 TS 1 내지 TS 512둥의 유용한 하나가 선택되어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서 통화중으로 표시된다. 어떠한 선로도 시간-다중화 스위치(10)를 통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은 스위칭 모듈내의 수신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를 전송 타임 슬롯 상호 교환기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호가 모듈간 호인 경우, 실행은 결정 블럭(6020)으로부터 블럭(6040)으로 진행한다. 블럭(6040)에서, 선로 추적 요청(PHR)메세지가 형성되는데, 이는 64 옥텟(octet)으로 이루어는 필드에 의해, 스위칭 모듈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의 512개의 채널 TS 1 내지 TS 512의 유용도를 규정한다. (PHR 메세지는 분석되지 않은 호에 대한 후보 세트 부분으로 보유되는 임의의 채널은 물론, 확립된 호에 대해 사용되는 채널 즉, 통화중 채널 모두에 유용하지 않다 상기 채널의 보유는 후에 언급된다). 실행은 블럭(6040)으로부터 블럭(6050)으로 진행하며, 형성된 PHR 메세지는 시작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로 전송된다.
PHR 메세지에 응답하여 주어진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플로루챠트는 제 51 도에 도시된다. PHR 메세지는 블럭(6110)동안 수신되며, 실행은 블럭(6120)으로 진행한다. TTMESLOT 관련부 액세스되며, 타임슬롯의 후보 세트가 상기 호에 대해 선택된다. 후보 세트내의 각 타임 슬롯은 다음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 (1) 타임 슬롯이 주어진 스위칭 모듈의 TIMESLOT 관련부내에서 유용하다. (2) 타임 슬롯을 모듈간 호내에 수반된 다른 스위칭 모듈로부터 PHR 메세지내에서 유용한 것으로 규정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후보 세트의 크기는 선정되며, 예로, 4개의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진다. 블럭(6130)에서, 타임 슬롯의 후보 세트는 특정 호가 분석될때까지 또는 적어도 후보 세트로부터 자유롭게 될때까지 임의의 다른 후보 세트의 일부로서 주어진 스위칭 모듈에 의해 선택되지 않도록 보유된다. 블럭(6130)내에 보유된 타임 슬롯이 다른 스위칭 모듈과 주어진 스위칭 모듈 사이의 다른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 선택될 수 있다. 블럭(6130)내의 보유는 단지 보유된 타임 슬롯이 후보 세트로부터 자유롭게 될때까지 다른 후보 세트의 일부로서 주어진 스위칭 모듈에 의해 선택되지 않을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행은 블럭(6130)으로부터 블럭(614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후보 세트의 4개의 타임 슬롯중의 하나가 제 1 선택(FC) 타임 슬롯으로 선택된다. 그후, 블럭(6150)에서, 후보 세트(CS) 메세지가 형성되는데, 이는 4개의 타임 슬롯중의 어느것이 FC 타임 슬롯인가 뿐만 아니라 후보 세트의 4개의 타임 슬롯을 규정한다. 형성된 CS 메세지는 블럭(6160)동안 다른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로 전송된다.
CS메세지에 응답하여 주어진 스위칭 모듈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는 제 52 도 내지 제 54 도에 도시된다. CS 메세지는 블럭(6210)동안 수신되며, 실행은 블럭(6215)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타임 슬롯의 후보세트는 타임 슬롯이 다른 호에 대한 후보 세트의 일부로 주어진 스위칭 모듈에 의해 선택되지 않도록 보유된다. 실행은 블럭(6215)으로부터 블럭(6240)으로 진행하며, 주어진 스위칭 모듈내의 TIMESLOT 관련부는 후보 세트인 4개의 타임 슬롯중의 임의의 타임 슬롯이 통화중인가 , 즉, 4개의 타임 슬롯중의 임의의 타임 슬롯의 이미 다른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 선택되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된다. 블럭(6250)동안, 수신된 CS 메세지에 의해 규정된 FC 타임 슬롯이 주어진 스위칭 모듈의 TIMESLOT 관련내에서 통화중을 표시하는가가 결정된다. FC 타임 슬롯이 통화중인 경우, 이는 이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서 선택될 수 없으며, 실행은 블럭(6310)으로 진행한다. FC 타임 슬롯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 실행은 결정 블럭(6260)으로 진행하며, FC 타임 슬롯이 주어진 스위칭 모듈과 다른 스위칭 모듈 사이의 다른 분석되지 않은 호에 대한 FC 타임 슬롯으로 이미 지정되었는가가 결정된다. 그렇지않다면, 실행은 블럭(6270)으로 진행하며, FC 타임 슬롯은 통화중으로 표시되며, 후보 세트의 다른 타임 슬롯이 TIMESLOT 관련부내에 유용한 것으로 표시된다.
그후, 블럭(6280)에서, CONNECT 메세지 및 선로 추적 완성(PHC) 메세지가 형성되는데, 이는 호에 대해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 FC 타임 슬롯을 규정한다. 블럭(6280)동안, WNNECT 메세지가 제어 메세지(29)내로 전송되는데, 상기 제어 메모리(29)는 CONNECT 메세지에 응답하여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동안 두개의 스위칭 모듈 사이에 시간-다중화 스위치(10)가 통신 선로를 제공되는가를 규정한다. 블럭(6280)동안, PHC 메세지는 종단 단말기 처리로 전송되는데, 여기에서, 호에 대해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알때, 시스템 IV에 대해 상기 언급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 셋업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결정 블럭(6266)에서 FC 타임 슬롯이 다른 분석되지 않은 호에 대한 FC 타임 슬롯으로 이미 지정되었는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면, 실행은 블럭(6300)으로 대신 진행하며, FC 타임 슬롯이 후보 세트로부터 제거되며, 주어진 스위칭 모듈의 메모리내에 기억되며, 충돌(wllision) 리스트로 언급되는 리스트에 부가된다. 충돌 리스트는 이들이 거의 동일하게 다른 분석되지 않은 호에 대한 FC타임 슬롯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FC 타임 슬롯으로 지정된다.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 선택되지 않았던 후보 세트인 타임 슬롯 리스트로 이루어진다. 블럭(6250)내에서 FC 타임 슬롯이 통화중인가 또는 블럭(6260)에서 다른 분석되지 않은 호에 대한 FC 타임 슬롯으로 지정되었는가가 결정되어, 동일한 결과 즉, FC 타임 슬롯이 상기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 선택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얻어진다. 실행은 결정 블럭(6310)으로 진행한다. 결정 블럭(6310)에서, 후보 세트가 현재 비어있는가가 결정된다. 후보 세트가 비지 않았다면, 실행은 블럭은(6340)으로 진행하며, 후보 세트중 나머지 타임 슬롯중 하나가 새로운 FC 타임 슬롯으로 선택된다. 블럭(63560)에서, 후보 세트 감소(CSR) 메세지가 형성되는데, 이는 새로운 FC 타임 슬롯과 프로그램의 실행인 블럭(6240)동안 후보 세트로부터 제거된 임의의 타임 슬롯으로 규정한다. 형성된 CSR 메세지는 블럭(6360)동안 다른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로 전송된다.
그러나, 결정 블럭(6310)동안, 후보 세트가 비었다는 것이 결정되면, 실행은 대신 결정 블럭(6370)으로 진행한다. N은 후보 세트가 주어진 호에 대해 비었던 횟수의 번호를 지시하는 기억된 변수이다. 결정 블럭(6370)에서, 후보 세트가 선정된 수의 횟수 즉 3번 비었는가가 결정된다. 그런 경우, 실행은 결정 블럭(638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충돌 리스트가 또한 비었는가가 결정된다. 충돌 리스트가 빈 경우, 실행은 다시 블럭(6430)으로 진행하며, 호는 실패한다. 그러나, 충돌 리스트가 비지 않은 경우, 실행은 블럭(6390)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충돌 리스트가 그 호에 대한 새로운 후보 세트로 된다. 블럭(6400)동안, 충돌 리스트는 클리어 되고, 블럭(6410)동안, 변수 N이 증가된다. 블럭(6340), (6350), (636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실행되며, CRS 메세지가 다른 스위칭 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로 전송된다.
주어진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는 제 52 도 내지 제 54 도에 도시된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써 CRS 메세지에 응답한다. CRS 메세지는 블럭(6220)에 수신되고, 그후 블럭(6230)동안에, 다른 스위칭 모듈에 의해 통화중 상태로서 제거된 것으로, CRS 메세지내에서 규정된 타임 슬롯이 주어진 스위칭 모듈에 의해 선택된 후보 세트내의 차순의 내용물에 대해 자유롭다. 실행은 그후 블럭(6240)으로 진행하며, CS 메세지에 대해 상기 언급된 동일한 방법으로 계속된다.
임의의 주어진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 선택은 종단 스위칭 모듈이나 시작 스위칭 모듈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종단 스위칭 모듈내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CONNECT 메세지가 제어 메모리(29)에 대한 상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에 의해 전송되며, 선로 추적 완성(PHC) 메세지가 종단 단말 처리에 대한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에 의해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작 스위칭 모듈내에서 선택이 이루어지며, 시작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는 PHC 메세지를 종단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에 전송한다. 종단 스위칭 모듈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는 네트워크 타임 슬롯 선택에 대해 이루어진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다. 시작 스위칭 모듈이 네트워크 타임 슬롯이 호에 대해 선택되었다는 것을 알때, 후보 세트의 다른 부재는 상기 시작 스위칭 모듈에 의해 선택된 다른 후보 세트내에 포함되어질 유용한 것으로 표시된다.
시스템 V내의 호 셋업의 제 1 예로, 시스템 IV에 대해 제 43 도에 도시된 예가 다시 참조된다. 번호 355-2289가 스위칭 모듈(229)에 접속된 가입자 세트(25)에서 다이얼된다고 가정한다. 종단 단자의 결정까지 진행되는 초기 단계는 시스템 IV예에서와 동일하다. RTREQ 메세지를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7002)로 전송하는 시작 단말기 처리(7008)(제 56 도)가 생성된다. 처리(7002)는 종단 단자의 결정을 완성할 수 없으나, MODTRAN 관련부를 판독하므로써, 요구된 전화번호 번역 정보가 스위칭 모듈(202)내에 기억되는가를 결정한다. 처리(7002)는 그후 RTGEN 메세지를 스위칭 모듈(202)내의 경로 지정 시스템 처리(7004)로 전송시키는데, 상기 처리(7004)에서 종단 단자가 시스템(201)의 가입자 세트에 접속되는가가 결정된다. 시스템 IV내에서처럼 중앙 제어(30)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대신, 처리(7004)는 RTGEN 메세지를 스위칭 모듈(201)내의 종단 시스템 처리(7005)로 전송한다. 처리(7005)는 가입자 세트(23)가 휴지상태인가를 결정하고, 종단 단말기처리(7009)를 발생하고 LNTERM 메세지를 처리(7009)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처리(7009)는 스위칭 모듈(201)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3)로 선로 요청(PR)메세지를 전송한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3)는 PR 메세지내의 ORIGGPI 및 TERMGPI 필드를 기초로, 호가 모듈간 호인가를 결정한다. 따라서, 처리(7013)는 그의 TIMESLOT 관련부를 액세스하며, 스위칭 모듈(201)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의 512채널 TS 1 내지 TS 512의 유용도를 규정하는 선로 추적 요청(PHR) 메세지를 형성한다. 본예에서, 상기 채널중 78개가 유용하다. 즉, 통화중이거나 보유되지 않은 상태라고 가정한다. 처리(7013)는 그후 PHR 메세지를 시작 스위칭 모듈(229)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1)로 전송한다.
처리(7011)는 PHR 메세지에 의해 규정된 78개의 유용한 채널중의 어느것이 스위칭 모듈(229)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에 또한 유용한 대응 채널을 갖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그의 TIMESLOT 관련부를 액세스한다. 이 예에 대해, 49개의 그와 같은 채널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1)는 호에 대한 후보 세트로 49개의 채널중의 4개 즉, 채널 TS 14, TS 99, TS 349 및 TS 410을 선택하여 보유한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1)는 또한, 제 1 선택(FC) 타임 슬롯으로 4개의 채널중 하나 즉, 채널 TS 99를 선택한다.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1)는 그후, 후버 세트와 FC 타임 슬롯을 규정하는 후보 세트(CS) 메세지를 형성하며, CS 메세지를 종단 스위칭 모듈(201)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3)로 전송한다. 처리(7013)는 TS 는 99가 통화중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TS 99가 임의의 다른 호에 대한 FC 타임 슬롯으로 지시되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그의 TIMESLOT 관련부 액세스 한다. 본 예에서, 상기 TS 99가 통화중이 아니며, 임의의 다른 호에 대한 FC 타임 슬롯으로 지정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처리(7013)는 TS 99를 통화중으로 표시하며, TS 14, TS 349 및 TS 410을 TIMESLOT 관련부내에서 유용한 것으로 표시하며, 시간-다중화 스위치(10)가 TS 99에 연관된 특정 타임 슬롯동안 스위칭 모듈(201)과 스위칭 모듈(229)을 접속시키는가를 규정하는 제어 메모리(29)에 대한 CONNECT 메세지를 형성한다(시간-다중화 스위치(10)가 256 타임 슬롯을 기초로 동작하나 두개의 시간-다중화 라인쌍에 의해 주어진 스위칭 모듈에 접속된다는 점을 기억하라. 따라서, 시간-다중화 스위치(10)의 각 타임 슬롯은 채널 TS 1 내지 TS 512중 두개의 채널에 연관된다).
처리(7013)는 또한 선택된 채널 TS 99를 규정하는 선로 추적 완성(PHC) 메세지를 형성한다. 처리(7013)는 그후 CONNECT 메세지(제 56 도에 도시되지 않음)를 제어 메모리(29)로 전송하며, PHC 메세지를 종단 단말기 처리(7009)로 전송한다. 처리(7009)는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규정하는 시작 단말기(7008)로 SETUPWMP 메세지를 전송시키므로써 응답한다. 처리(7008)는 TS 99를 통화중으로 표시하고, 후보 세트의 남아 있는 타임 슬롯 즉, TS 14, TS 349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TIMESLOT 관련부를 액세스하며, 이들 타임 슬롯이 후보 세트의 일부로서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1)에 의한 선택에 적당하게 된다. 호 셋업 시퀀스의 균형은 시스템 IV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가입자 세트(25)(23)사이에 통신이 확립된다.
제 2 예로, 앞의 예에 대한 다음의 변형이 고려하자. TS 14, TS 99 , TS 349 및 TS 410으로 이루어진 후보 세트를 규정하고 TS 99를 FC 타임 슬롯으로 규정하는 CS 메세지가 스위칭 모듈(201)내의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3)에 의해 수신될때, 스위칭 모듈(201)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의 TS 99가 통화중 상태라는 것이 결정된다. 즉, PHR 메세지가 스위칭 모듈(229)로 전송된 후 다른 호에 대해 TS 99가 선택된다. 처리(7013)는 후보 세트로부터 TS 99를 제거시키고, 새로운 FC 타임 슬롯으로 TS 14를 선택한다. 처리(7013)는 그후 TS 99가 다른 호에 대한 후보 세트내의 선택동안 스위칭 모듈(201)내에서 자유로와야 하며, TS 14가 새로운 FC 타임 슬롯이라는 것을 규정하는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1)로 후보 세트 감소(CSR)메세지(제 56 도에 도시되지 않음)를 전송한다.
그러나, TS 14가 아직 통화중 상태가 아니라해도, 스위칭 모듈(229)은 다른 스위칭 모듈, 예로, 스위칭 모듈(208)로부터 방금 CS 메세지를 수신했으며, 이에 응답하여, TS 14가 새로운 FC 타임 슬롯으로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이와같은 상황은 '충돌'로 언급된다. 모듈(229) 과 (221) 사이에서 언급될 호에 대해, TS 14가 충돌 리스트로서 언급되는 리스트상에 기입된다. 선로 추적 처리(7011)는 새로운 FC 타임 슬롯, 예로 TS 410을 선택하며, FC 타임 슬롯 TS 410을 규정하며, TS 14가 후보 세트로부터 제거되어 충돌 리스트에 부가되어야 하는 것을 규정하는 CSR 메세지(도시되지 않음)를 선로 추적 시스템 처리(7013)로 전송한다. 예로, TS 410과 TS 349 모두가 스위칭 모듈(201)내에서 방금 통화중으로 되었다고 가정한다. 후보 세트가 비었기 때문에, 처리(7013)는 충돌 리스트를 사용하는데, 이는 본 예에서, 새로운 후보 세트로 TS 14로 이루어진다. 충돌 리스트는 그후 클리어 된다. 처리(7013)는 규정된 FC 타임 슬롯 TS 14를 포함하는 CSR 메세지(도시되지 않음)를 스위칭 모듈(229)내의 처리(7011)로 전송한다. TS 14가 방금 스위칭 모듈(229)내에서 유용해졌다고 가정한다. 처리(7011)는 그후 TS 14를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선로 추적 완성(PHC) 메세지(도시되지 않음)을 처리(7013)로 전송한다. 호 셋업의 균형이 앞에서 처럼 진행한다.
시퀀스 호가 시스템 III에 대해 상기 언급된 동일 방법으로 시스템 V내에 처리된다. 선로 추적은 최종 종단 단자가 결정되어, 호가 간단한 호로 감소될때까지 초기화 되지 않는다.
전화번호 번역 기능 및 다중-라인 추적 그룹 제어 기능은 모두 시스템 IV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템 V내에서 수행된다.
[시스템 V의 제 1 대안 실시예]
방금 언급된 시스템 V의 실시예에서, 각 스위칭 모듈이 다중 호에 대한 선로에 대해 다수의 다른 스위칭 모듈과 동시에 협상할 수 있다. 시스템 V의 제 1 대안 실시예에서, 각 스위칭 모듈에는 한번에 하나의 호만에 대한 선로에 대해 추적이 수반된다. 제 1 대안 실시예에서, 종단 스위칭 모듈이 상기 스위칭 모듈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 사이의 휴지 채널을 규정하는 주어진 호에 대한 선로 추적 요청을 전송하면, 주어진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이 선택될때까지 더이상의 선로 추적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종단 스위칭 모듈은 또한 주어진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이 선택될때까지 임의의 인입 선로 추적 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연기한다. 따라서, 시작 스위칭 모듈은 주어진 호에 대한 선로 추적 요청에 의해 규정된 휴지 채널중 임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채널이 아직 종단 스위칭 모듈로부터 휴지상태인 것을 보증한다. 채널이 호에 대해 선택되면, 시작 스위칭 모듈은 선택된 채널의 종단 스위칭 모듈에게 통보하며, 종단 스위칭 모듈은 그후 인입 선로 추적 요청에 자유롭게 응답하고, 차순의 호에 대한 선로 추적 요청을 자유롭게 전송한다. 종단 스위칭 모듈이 선로 추적 요청 전송후 선정된 시간내에 호에 대한 선택된 채널을 통보하지 않는 경우, 이는 먼저 다른 스위칭 모듈로부터 수신했던 임의의 인입 선로 추적 요청에 응답하며, 채널의 상태에서의 임의의 변화를 반영시키기 위해 변형된 선행의 선로 추적 요청을 재 전송한다.
[시스템 V의 제 2 대안 실시예]
시스템 V의 제 2 대안 실시예에서, 512 채널 TS 1 내지 TS 512는 4개의 그룹으로 분할되는데, 그룹 1은 채널 TS 1 내지 TS 128로 이루어지며, 그룹 2는 채널 TS 129 내지 TS 256로 이루어지며, 그룹 3은 채널 TS 257 내지 TS 384로 이루어지며, 그룹 4는 채널 TS 385 내지 TS 512로 이루어진다. 제 2 대안 실시예는 주어진 스위칭 모듈이 4개의 호를 위한 선로에 대한 추적을 동시에 채널의 각 그룹에 대해 한번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대안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 2 대안 실시예에서, 각 선로 추적 요청은 단지 그룹의 하나로부터 휴지 채널을 규정한다. 종단 스위칭 모듈이 종단 스위칭 모듈과 시간-다중화 스위치(10)사이의 휴지 그륩, 채널을 규정하는 주어진 호에 대한 선로 추적 요청을 전송하면, 이는 주어진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이 선택될때까지 그룹 1채널을 규정하는 더 이상의 선로 추적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종단 스위칭 모듈은 또한 주어진 호에 대한 네트워크 타임 슬롯이 선택될때까지 그룹 1채널을 규정하는 인입선로 추적 요청에 응답사는 것을 연기한다. 그러므로, 시작 스위칭 모둘은 주어진 호에 대한 선로 추적 요청에 의해 규정된 휴지 그룹 1채널중의 임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채널은 계속 종단 스위칭 모듈로부터 휴지상태라는 것을 보증한다. 선로에 대한 추적은 유사한 방법으로 다른 그룹 각각내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언급된 스위칭 시스템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영역에서 이탈됨이 없이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