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0381B1 -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 Google Patents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381B1
KR950000381B1 KR1019900007088A KR900007088A KR950000381B1 KR 950000381 B1 KR950000381 B1 KR 950000381B1 KR 1019900007088 A KR1019900007088 A KR 1019900007088A KR 900007088 A KR900007088 A KR 900007088A KR 950000381 B1 KR950000381 B1 KR 950000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pindle
driven
drive
hol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222A (ko
Inventor
유끼오 다께우찌
아끼오 나까하시
신고 구보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노하라 시게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노하라 시게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와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90000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381B1/ko
Publication of KR91002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3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01H7/16Arrangements for coupling bobbins or like to 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2중 연사 스핀들의 주요부 개략 측단면도.
제 2 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한 제 1 도의 주요부 개략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한 A방향에서 본 주요부의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6 도는 감김부의 압접관계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제 7 도는 감김부 부근의 트래버스 기구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 1a : 중심구멍
1b : 실저장 회전판 3 : 볼스터
3a : 플랜지(flange)부 6 : 구동체
10 : 피구동체 12 : 정지판
14 : 구동축 27 : 구동롤러
42 : 감기보빈
본 발명은 1차 연사한 실 및 1차 연사하지 않은 복수개의 실가닥을 모아서 2차 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연사 및 타이어 코드용의 감기장치 부착 2중 연사스핀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주로 타이어 코드용등의 산업자재용 합성섬유의 연사기로서, 복수개의 실가닥에 각각 개별로 연사를 해서 1차 연사를 함과 동시에 1차 연사된 실가닥을 모아서 2차 연사한 후 감기장치에 감는 공정을 단일 직기에서 행하도록 한 것은, 통상, 직연기(다이렉트 게브라)라고 하여 보급하고 있는 것으로서 주지되어 있는 바와같다.
이 직연기에서 1차 연사, 2차연사 모두 2중 연사 스핀들을 채용한 것을 다른 링 연사 스핀들을 병용한 것등에 비교해서 연사효율이 좋고, 대단히 생산성이 높다. 이 직연기에 2차 2중 연사 스핀들에 감기장치를 내장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들어 일본국 특공소 56-38693호, 일본국 특공소 61-6173호, 일본국 특개소 57-42931호). 이 감기장치 부착 2중 연사 스핀들의 감기보빈은 그 구동원에서 직접적으로 적극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감기보빈의 구동원에 의해 원동측 장착의 영구자석과 피동측의 자성판을 마주보게 설치하고, 또 감김직경의 변화에 따른 회전수의 변화에 동반하여 무접촉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자동적으로 미끄러져서 감김직경에 맞는 회전수로 함과 동시에 감김직경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는 보빈의 인장력의 변화에 따르도록 감긴실 표면의 회전암(arm)선단에 장착 롤러를 접촉시키고, 또 이 롤러에 의한 검지신호로 감김직경의 변화에 따라 전술한 영구자석과 자성판의 간격을 조정하여 항상 일정한 장력하에서 실을 감도록 하고, 또 최초의 감김장력을 설정할 경우 실거는 기구를 바꿀때마다 자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기장치 부착 2중 연사 스핀들에는 감기보빈 자체를 그 구동원으로부터 직접 적극적으로 구동시키는 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감기보빈을 적극적으로 감기위해 연사된 실가닥을 일정속도로 감는데는 패키지(package)의 실층의 증대에 따라 감기보빈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 감기보빈의 구동원으로 되는 한쌍의 자석의 간격을 증가시켜서 구동회전력을 감소시켜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패키지는 실이 감김에 따라 자중도 증가하므로, 자중이 증가한 감기보빈을 일정한 감김장력으로 감는데는 구동 회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면, 감긴실층의 증가에 따라 회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구동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것고, 한편 자중의 증가에 따라 일정한 감김장력으로 감기위해 구동회전력을 증가시킨다는 이율 배반적인 기술과제를 조정하여 실제로는 구동원의 자석의 간격을 축소시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감기보빈의 구동회전력은 1차원적으로 변화하는데 비해 자석간격의 조정에 의한 구동회전력은 2차원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으로부터, 이 양자를 조정하는 관계가 잘 대응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실제로는 감김장력이 상승하여 실이 절단되거나 꼬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다음의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
즉, 먼저 감기보빈을 스핀들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실을 끼워 통과시키는 중심구멍을 갖는 중공스핀들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볼스터 플랜지(flange)부와, 중공스핀들 블레이드의 바깥둘레에 고정된 실저장회전판과의 사이에 기계구동원에 의해 적절한 전달수단을 통해 구동되는 영구자석을 갖는 구동체를 볼스터의 바깥둘레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 구동체와 대치하는 영구자석을 갖는 피구동체를 전술한 실저장회전판을 끼워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전술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의 바깥둘레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이 피구동체를 동력원으로서 구동되는 구동축을 전술한 중공스핀들 블레이드와 평행으로 전술한 실저장 회전판과 대치한 정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리고 이 구동축의 한쪽단부에는 전술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의 중심구멍을 거쳐 합해진 실가닥을 감기보빈으로 인도하기 위해서 트래버스 장치로 안내하는 안내 롤러와 오버피이드 롤러(overfeed roller)를 설치한다. 또한, 전술한 구동축의 중간부에 적절한 전도수단을 두고 구동롤러를 설치하여 구동롤러는 전술한 중공 스핀들 상부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감기보빈의 감김직경과 변화에 따라 그 표면을 항상 압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서 구성한다.
스핀들에 내장되어 소극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감기보빈은 구동롤러와 의 표면마찰 구동 방식으로 되므로, 감김이 진행되어 패키지의 감김직경이 증가해도 구동롤러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항상 일정한 감김속도로 감기고, 또 그 구동원으로 되는 한쌍의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체와 피구동체와의 사이는 어떤 변화없이 일정한 회전력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감기장치 부착 2중 연사 스핀들을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을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로, 블레이드의 좌측은 실을 통과시키는 중심구멍(1a)을 가지며, 또한 그 중간부 바깥둘레에는 원형의 실저장 회전판(1b)이 부착되고, 한편 우측의 선단부 바깥둘레에는 타이밍 풀리(2)가 부착되어 있고, 이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 자신은 볼스터(3)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볼스터(3)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부재(4)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그 플랜지부(3a)가 볼트(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6"은 영구자석을 갖는 원통형상의 구동체로, 그 구동체는 전술한 스핀들 블레이드(1)의 바깥둘레 고정된 실저장 회전반(1b)과, 전술한 볼스터(3)의 플랜지부(3a)와의 사이에서 전술한 볼스터(3)의 바깥둘레에 베어링(7)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부호 "8"은 전술한 구동체(6)의 바깥둘레에 고정된 타이밍 풀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풀리는 기계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적당한 전도수단을 통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9)와 걸리는 것이다. 도면부호 "10"은 전술한 영구자석을 갖는 구동체(6)와 쌍을 이루는 영구자석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피구동체로 피구동체는 전술한 원형의 실저장 회전판(1b)의 내부에서 전술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1)의 좌측의 바깥둘레에 베어링(1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여기서 전술한 실저장 회전판(1b)의 안쪽 바닥을 피구동체(10)와 전술한 구동체(6)사이에 끼우고 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대치하고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12"는 전술한 원형의 실저장 회전판(1b)의 내부에 대치하고 있고 전술한 피구동체(10)의 바깥둘레에 베어링(11)을 통하여 장착되고 항상 자중과, 무게추(13)(제 4 도 참조)에 의해 정지하고 있는 정지판을 나타낸다. 이 정지판에는 감기보빈(42)을 지지하는 지지대(14)와 구동축(14)(후술한다)을 지지함과 동시에 벌룬(balloon) 조절링(16)을 부착한 기둥부(15)(제 2 도 참조)와, 트래버스 캠축(32)(후술한다)이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지지대(14)는 원통대부(14a)와 중공관부(1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관부(14b)는 그 내부에 실의 삽입 통과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그 바깥둘레부에서 감기보빈(42)을 지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둥부(15)는 제 2 도에 나타낸 것처럼 2개의 막대형 부재(15a)와 단면이 ㄷ자형의 채널(channel)(15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대형부재(15a)와 채널(15b)과는 벌룬 조절링(16)으로 한쪽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17"은 전술한 피구동체(10)의 선단 바깥둘레에 고정된 타이밍 풀리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18"은 그 한쪽 단부가 전술한 타이밍 풀리(17)와 걸어맞춰지는 타이밍 벨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타이밍 벨트의 다른쪽 단부는 구동축(14)의 한쪽단부에 부착된 타이밍 풀리(20)와 걸어맞춰지는 것이다. 전술한 구동축(14)은 전술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1)와 평행으로 전술한 정지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으로 그 구동축의 한쪽 단부에는 전술한 것처럼 타이밍풀리(20)가 부착되고 한편 반대측의 다른쪽 단부에는 증속기어기구(21)를 통해 오버피이드 롤러(22)와 안내롤러(23)가 부착되고 또 그 중간부에는 타이밍풀리(24)가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오버피이드 롤러(22)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소 47-34268호와 같이 주지의 미끄럼식 표면 마찰을 이용한 한쌍의 교차부를 갖는 마찰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안내 롤러(23)는 제 3 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술한 구동축(14)의 한쪽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부안내 아암(25)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이 안내 롤러(23)는 전술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의 중심 구멍(1a)을 거쳐 합쳐진 실가락을 오버피이드 롤러(22)를 통해 트래버스 정치(후술한다)로 안내하는 것이다.
제 6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26"은 그의 한쪽단부가 전술한 구동축(14)의 중공부에 고정된 타이밍풀리(24)와 걸어맞춰지는 타이밍 벨트를 나타내며, 타이밍 벨트의 다른쪽 단부에는 구동롤러(27)가 부착된 타이밍 풀리(28)와 걸어맞춰지는 것이다. 전술한 구동롤러(27)는 전술한 구동축(1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29)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30"은 전술한 구동축(14)의 바깥둘레부에 장착된 중공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공관의 한쪽단부에는 전술한 구동롤러(27)를 부착한 아암(29)이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한편 다른쪽단부에는 전술한 구동롤러(27)와 감기보빈과의 사이의 압접을 하도록 하는 압접기구(31)가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압접기구(31)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술한 중공관(30)과 일체적으로 부착된 아암(31a)이 철선(31b), 안내롤러(31c)를 통해 스프링(31d)의 복원력으로 항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음으로써 감기보빈(42)과 구동롤러(27)를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7 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32"는 홈부착 트래버스 캠축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안내기구의 홈에 슬라이더(slider)(32a)가 느슨하게 붙어있다. 도면부호 "33"은 전술한 슬라이더(32a)에 고정된 트래버스 안내기구, "34"는 전술한 캠축(32)에 부착된 베벨기어로 그 베벨기어는 감속기구(36)에 연결된 베벨기어(35)와 걸어맞춰지는 것이다. 도면부호 "37"은 전술한 감속기구(36)의 회전축(35a)에 부착된 평기어, "38"은 전술한 평기어(37)와 맞물리는 평기어로 이 평기어는 보빈 홀더(bobbin holder)(39)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보빈 홀더(39)는 원통형상체로 되고 그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중공부에 전술한 지지대(14)의 중공관부가 장착되고 베어링(40)(제 1 도 참조)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도면부호 "41"은 전술한 보빈홀더(39)의 바깥둘레에 끼워진 바구니 형상의 스프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에 감기보빈(42)은 끼워져 감기보빈을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의 한 예는 전술한 것처럼 구성된 것으로, 다음에 이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제 1 도에 있어서 중공 스핀들 블레이브(1)는 기계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타이밍 벨트를 통해 타이밍풀리(2)가 구동됨으로써 볼스터(3)내를 회전한다. 이 때문에,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1)에 고정된 원형의 실저장 회전판(1b)이 회전한다. 중공스핀들(1) 및 실저장 회전반(1b)이 회전해도 정지판(12)쪽은 그 자중 및 무게추(13)에 의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기계구동원에 의해 타이밍벨트(9)를 통해 영구자석을 갖는 구동체(6)가 구동되어 볼스터(3)의 바깥둘레부에서 회전되어 실저장 회전판(1b)의 바닥판을 끼우고 또 적절한 간격을 두고, 이 구동체(6)와 마주보는 피구동체(10)가 구동되어 스핀들 블레이드(1)의 바깥둘레부에서 회전한다. 이 피구동체(10)가 회전하면 피구동체(10)부착된 타이밍풀리(17)와 맞추어진 타이밍벨트(18)를 통해 구동축(14)이 회전한다.
그래서, 이 구동축(14)이 회전하면, 이 구동축(14)에 부착된 타이밍 풀리(24)와 걸어 맞춰진 타이밍 벨트(26)를 통해 구동롤러(27)가 회전한다. 이 결과, 구동롤러(27)와 압접기구(31)에 의해 항상 압접되어 있는 감기보빈(42)이 그 표면 마찰력으로 구공된다. 또, 이 구동축(14)의 선단부에 부착된 롤러(22)도 구동된다.
한편, 감기보빈(42)이 구동되면 감기보빈(42)을 바구니 형상의 스프링(41)에 의해 고정된 보빈홀더(39)가 구동되기 때문에 보빈홀더(39)에 부착된 평기어(38), 평기어(37)를 통해 감속기구(36) 및 베레기어(34)(35)가 구동되고 이 결과 트래버스 캠축(32)이 구동됨으로서 트래버스 안내기구(33)가 곡선운동을 한다. 그런데 1차 연사를 실시한것 또는 1차 연사하지 않는 실가닥(Y)은 합해져서 실눈(thread eye)(43)을 거쳐 풍선모양을 그리면서 실저장 회전판(1b)으로 인도된다. 이어서, 실가닥(Y)은 실저장 회전판(1b)의 바닥부 바깥둘레에 1/2∼2회정도 돌아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1)의 중심구멍(1a)을 통해서 보빈홀더(39)의 가운데를 거쳐 안내롤러(23)로 인도된다. 그래서, 전술한 실눈(43)으로부터 안내 롤러(23)의 사이에서 실가닥은 2차 연사가 실시된다. 그래서 안내 롤러(23)를 거친 실가닥(Y)은 오버피이드롤러(22)에 의해 빼내져서 여기에서 트래버스 안내기구(33)를 거쳐 감기보빈(42)에 감겨진다.
감겨짐이 진행하여 감기보빈(42)의 감김직경이 증가해도 구동롤러(27)가 감김직경의 증가에 따라 압력을 받아서 아암(29)이 회전하므로 아암(29)에 부착된 구동롤러(27)와 감기보빈(42)과는 항상 접촉한 상태이기 때문에 실가닥(Y)은 항상 일정한 속도로 보빈(42)에 감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처럼 2중 연사 스핀들에 내장한 감기보빈을 정지판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감기보빈과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는 구동롤러를 패키지의 감긴 직경의 증대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또 이 구동롤러를 한쌍의 영구자석을 갖는 구동체를 동력원으로 구동하도록 한것으로, 종래의 감기보빈 자체를 그의 구동원에 의해 직접 구동시키는 것에 비해 패키지의 직경이 증가해도 감는 속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일정속도로 공급되는 실가닥과 감기보빈의 감속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감김장력의 불안정함이 완전히 해소되어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안정되게 감김과 동시에 자석 간격을 조정하는 복잡한 기구를 불필요로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2중 연사 스핀들의 선단부에 스핀들에게 연사된 실가닥을 감는 감기보빈을 구비한 감기장치 부착 2중 연사 스핀들에 있어서, 실을 끼워 관통하는 중심구멍을 갖는 중공스핀들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볼스터의 플랜지부와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의 바깥둘레에 고정된 실저장 회전판과의 사이에 기계 구동원에 의해 적절한 전달수단을 통해 구동되는 영구자석을 갖는 구동체를 전술한 볼스터의 바깥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별도로 그 구동체와 대치하는 영구자석을 갖는 피구동체를 전술한 실저장 회전판을 끼워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전술한 중공 스핀들 블레이드의 바깥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피구동체를 동력원으로서 구동되는 구동축을 전술한 중공스핀들 블레이드와 평행으로 전술한 실저장 회전판과 대치한 정지판을 지지하고, 한편 구동축과 적당한 전도수단을 통해 구동롤러를 설치하고, 이 구동롤러를 전술한 중공스핀들의 선단에 회전자유롭게 장착된 감기보빈의 감긴 직경의 변화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장치 부착 2중 연사 스핀들.
KR1019900007088A 1990-05-15 1990-05-15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Expired - Fee Related KR95000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088A KR950000381B1 (ko) 1990-05-15 1990-05-15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088A KR950000381B1 (ko) 1990-05-15 1990-05-15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22A KR910020222A (ko) 1991-12-19
KR950000381B1 true KR950000381B1 (ko) 1995-01-16

Family

ID=1929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088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0381B1 (ko) 1990-05-15 1990-05-15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3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22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8223B (zh) 复合倍捻的捻线机
US53035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lastic corespun yarn
US5085045A (en) Double twist spindle apparatus
US3377790A (en) Spinning frames
KR950000381B1 (ko) 감기장치가 붙은 2중 연사(撚絲) 스핀들
US6718748B1 (en) Yarn covering apparatus and method
JP3278403B2 (ja) 撚り線機
US3969884A (en) Twister
CA1045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lse twisting yarn
US2795102A (en) Twister spindles
JPH07122176B2 (ja) 巻取り装置付二重撚糸スピンドル
US3724195A (en) Spindle assembly for textile machine
CN223017066U (zh) 一种具有主动转动匀捻器的直捻机
JPH0243882Y2 (ko)
CN217459699U (zh) 碳纤维单锭旋转加捻装置
JPH04263627A (ja) ねん糸機械
JPH07268732A (ja) 糸条の撚糸スピンドル
KR200176971Y1 (ko) 합연기능을 갖는 스핀들 구조
KR200191733Y1 (ko) 복합 연사기
US2880567A (en) Double-twist spindle for high speed up-twisting of fine-denier yarns
WO2022167991A1 (en) Apparatus for detwisting wires or cables wound in spools
JPH0544123A (ja) 巻取り装置付二重撚糸スピンドル
JP2000303274A (ja) 多重撚糸機
JPS6323400Y2 (ko)
JPH02286574A (ja) カバリングマシン等のスピンドル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1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11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