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0192B1 -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192B1
KR950000192B1 KR1019910015219A KR910015219A KR950000192B1 KR 950000192 B1 KR950000192 B1 KR 950000192B1 KR 1019910015219 A KR1019910015219 A KR 1019910015219A KR 910015219 A KR910015219 A KR 910015219A KR 950000192 B1 KR950000192 B1 KR 95000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reaker
carcass
assembly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057A (ko
Inventor
신정호
강정구
양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
윤양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 윤양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
Priority to KR101991001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192B1/ko
Priority to DE4228575A priority patent/DE4228575A1/de
Publication of KR93000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6Drums for the multip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is realised on one drum and the toroidal expansion is realised after transferring on anothe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제 1 도는 동작순서를 병기한 본 발명의 전체 정면도.
제 2 도는 비이드 세터와 1차 그린 케이스의 조합 부분을 나타낸 상태도.
제 3 도는 최종 조립용 드럼의 작동상태도.
제 4 도는 카카스 드럼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카스 드럼 4 : 비이드 세터
5 :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 7 : 브레이커 트랜스퍼링
9 : 최종 조립용 드럼 10 : 브레이커드럼
18 : 베드 프레임
본 발명은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일부 단면체(그린 케이스)를 만드는 1차 성형과 타이어의 외부를 구성하는 반제품들을 조합하여 성형하는 2차 성형을 한 대의 기계내에서 일괄하여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 신규의 타이어 성형기용 반제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의 타이어 제조에 있어서는 타이어의 내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기와 타이어의 외부 구성요소를 조합하는 2차 성형기로 분리구성되어 있고, 작업도 1차와 2차로 나뉘어 실시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2원화된 성형기의 구성하에서는 1차로 성형된 그린 케이스를 2차 성형기로 옮겨 타이어 외부를 조립 성형하는 과정에서 각 반제품들의 제위치를 정확히 잡는데 어려움이 많아 제품성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각 성형기당 한 사람씩 적어도 2인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만큼의 인건비 부담과 1 단계 작업과정에서 2단계 작업과정으로 옮길 때의 시간 지연등에 기인하는 경제적 손실 및 생산성 저하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본 발명자는 이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마침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의 완성을 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1,2차 성형기를 성형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단일체로 된 베드 프레임상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 한 사람만으로도 1,2차에 해당하는 타이어 반제품 조립 작업을 순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1차 성형물과 2차 성형물의 중심 맞추기에도 신속 정확성을 기하여 양질의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점을 꼽을 수가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과 관련지어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타이어 성형기는 단일구조체의 베드 프레임(18)상에 카카스부를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카카스 드럼(1)과 비이드 세터(4), 브레이커 조립용 브레이커 드럼(10)과 카카스 조립단면체 및 브레이커 조립단면체를 카카스 드럼(1)과 브레이커 드럼(10)으로부터 최종 조립용 드럼(9)으로 운반하는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 그리고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를 유기적으로 조합한 것이다.
타이어 내부를 이루는 부분의 일부 단면체를 조립하기 위한 카카스 드럼(1)은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그먼트(1a)부분이 수축된 상태에서 각 반제품들을 카카스 드럼(1)에 감고, 그 후에 세그먼트(1a)를 확장시켜 스티칭 롤(16)로 반제품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제거한다. 이어서 비이드 세터 링(3)에 장착된 비이드를 카카스 드럼(1)의 양측면에 세팅한 다음에 블레이더(2)를 팽창시켜 다시 비이드 세터 링(3)을 밀어줌에 따라 일부 조립단면체(22)를 얻게 된다.
이렇게 카카스 드럼(1)에서 만들어진 조립단면체(22)를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를 빌어 최종 조립용 드럼(9)까지 운반한다.
비이드를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비이드 세터(4)는 카카스 드럼(1)에서 일부가 조립된 조립단면체(2)를 분리 운반할 때에는 비이드 세터 링(3)이 제 1 도의 K선 위치로 상승한 후 실린더(14)에 의하여 비이드 세터의 축방향(J)으로 이송하게 된다. 또, 카카스 드럼(1)에서 제조된 조립 단면체(22)를 최종 조립용 드럼(9)까지 운반해 주는 1차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는 홀딩 세그먼트(6)가 상, 하, 좌, 우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조할 타이어의 규격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하면 된다.
상기 축방향(J)으로의 이송은 비이드 세터(4)에 설치된 실린더(15)와 그 기구자체에 조립되어 있는 실린더(13)와의 협동에 의하여 카카스 드럼(1)과 최종 조립용 드럼(9)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운반거리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그래서,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는 분리하여 자체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한편, 타이어의 외부 구성물인 일부 조립단면체(22) 운반용 브레이커 트랜스퍼링(7)은 브레이커 조립 단면체(22)를 홀딩하는 세그먼트가 여러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원주상에 배치돼 있어 방사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조정이 가능하며, 축방향(J)으로의 이송은 또 다른 실린더(11)에 의해 이뤄진다.
또한 타이어의 외부 구성용 개개의 요소들을 일부 조립 단면체를 조립하는 브레이커 드럼(10)도 상기 세그먼트와 같이 향심방향으로의 수축과 원심방향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조립시에는 확장되고 분리시에는 수축된다.
개개의 일부 조립 단면체(22)를 최종적으로 조립완성하는데 활용하는 최종 조립용 드럼(9)의 세그먼트(8)도 상기 세그먼트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며, 카카스드럼(1)에서 제조된 일부 조립 단면체(22)를 집는데 쓰인다.
이와 같은 각 기구와 장치를 이용하여 각 부의 여러 반제품을 타이어의 형상에 가깝도록 조립하게 되며, 그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작동개시 버튼을 누르면 브레이커 조립 드럼(10)과 카카스 드럼(1)에서 동시에 각 반제품이 일부 조립 단면체(22)로 조립된다. 이 일부 조립단면체(22)는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로 최종 조립용 드럼(9)에 운송되는데, 카카스 드럼(1)에서 일부 반제품의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는 비이드 세터 링(3)이 작업 축방향에서 K위치로 상승하고, 그후에 실린더(14)(15)(16)가 작동하여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를 제 1 도의 d위치에서 카카스 드럼(1)의 중심(A)위치로 운반한다.
이렇게 해서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의 중심이 카카스 드럼(1)의 중심(A)에 일치하면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의 홀더(6)가 실린더(23)에 의해 조여들면서 카카스 드럼(1)에서 조립된 일부 조립 단면체(22)를 홀딩하게 된다. 홀딩되고 나서 카카스 드럼(1)의 세그먼트(1a)가 수축되고 후속 지시신호에 따라 실린더(13)(14)(15)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D)로 되돌아가 카카스 드럼(1)에 의한 다음 작업을 반복 재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움직임에 따라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에 일부 조립 단면체(22)가 준비됐을 때 다른 지시신호에 따라 실린더(11)가 작동하여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을 제 1 도의 E위치에서 브레이커 드럼위치( G)로 옮기는 동시에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는 실린더(13)(15)의 도움으로 최종 조립용 드럼(9)의 위치(F)로 이송된다.
이 같은 브레이커 드럼(10)과 그쪽으로 이동한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이 일치하면 그 홀더가 수축하여 조립 단면체를 집고, 브레이커 드럼(10)은 수축된다.
그리고,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과 동시에 최종 조립용 드럼(9)으로 이송된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가 최종 조립용 그림(9)과 일치하면 최종 조립용 드럼(9)의 세그먼트(8)가 확정하여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에 홀딩돼 있는 조립 단면체(22)를 클램핑하고, 클램핑이 완료되면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의 홀더(6)가 확장되어 홀딩된 조립 단면체를 놓아 주고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는 다시 본래의 위치(D)로 복귀한다.
이때, 브레이커와 트레드를 홀딩하고 있는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은 후속신호에 의하여 최종 조립 드럼(9)으로 이송하여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과 최종 조립용 드럼(9)이 (F)위치에서 일치하게 되면 최종 조립용 드럼(9)에 이미 장착된 카카스 조립단면체가 부풀어 오름에 따라 카카스 고무와 브레이커 고무와의 접착이 이뤄지며, 브레이커와 트레드를 홀딩하고 있는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의 세그먼트를 확장해 놓고 본래의 위치(E)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에 의해서 조립 단면체가 분리돼 나가면 브레이커 드럼(10)에서는 다음의 새로운 동작을 되풀이 한다.
최종 조립용 드럼(9)에서 조합된 카카스부의 조립 단면체와 브레이커부의 조립 단면체는 접착롤(12)에 의해서 최종 조립이 완료된다.
완전조립이 종료되며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이 다시 최종 조립용 드럼(9)으로 이동하여 완성된 조립 단면체를 홀딩하게 되고, 홀딩후에 최종 조립용 드럼(9)의 세그먼트(8)가 수축하고 브레이커 트랜스퍼 링(7)은 본래의 위치(E)로 복귀하여 완성된 조립 단면체를 인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베드 프레임(8)에 설치된 그 축의 가이드 레일(17)상에서 각 구성의 기구 장치들이 서로 어울려서 작동하므로서, 타이어의 제품 품질에 자대한 영향을 주는 각각의 반제품을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단일 구조체로 된 장척 베드 프레임(18)상에 카카스부 조립용 카카스 드럼(1)과 비이드 세터(4)로 이뤄지는 1차 성형기와 브레이커부 조립용 브레이커 드림(10) 및 최종 조립용 드럼(9)으로 이뤄지는 2차 성형기를 설치하고, 카카스 드럼(1)과 브레이커 드럼(10)으로부터 최종 조립용 드럼(9)까지 카카스 조립 단면체와 브레이커 조립 단면체를 운반하는 브레이커 링(7) 및 1차 그린 케이스 운반장치(5)도 상기 베드 프레임(18)상에서 카카스 드럼(1)과 브레이커 드럼(10)사이에 함께 설치하여서 된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KR1019910015219A 1991-08-31 1991-08-31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KR95000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219A KR950000192B1 (ko) 1991-08-31 1991-08-31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DE4228575A DE4228575A1 (de) 1991-08-31 1992-08-27 Vorrichtung zum zusammenfuegen von halbfabrikaten zur ausbildung bzw. formgebung von fahrzeugreif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219A KR950000192B1 (ko) 1991-08-31 1991-08-31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57A KR930004057A (ko) 1993-03-22
KR950000192B1 true KR950000192B1 (ko) 1995-01-11

Family

ID=1931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219A KR950000192B1 (ko) 1991-08-31 1991-08-31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50000192B1 (ko)
DE (1) DE42285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507B1 (ko) * 2010-07-12 2012-03-1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턴-업/턴-다운 겸용 1차 케이스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918B1 (ko) * 1991-12-23 1994-10-18 주식회사금호 타이어 성형용 비드 셋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39A (ja) * 1981-07-03 1983-01-17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装置におけるバンド及びビ−ドの移送供給装置
JP2707285B2 (ja) * 1988-09-06 1998-01-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構成部材の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507B1 (ko) * 2010-07-12 2012-03-1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턴-업/턴-다운 겸용 1차 케이스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28575A1 (de) 1993-03-04
KR930004057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07152A (en) Method for building pneumatic tires
US2814331A (en) Process for building pneumatic tires
US5354404A (en) Control for integrated tire building system
US2818907A (en) Tire building machinery
GB1479407A (en) Transport apparatus for carcasses of unfinished tyres
JPS6233942B2 (ko)
US3212951A (en) Adjustable band applier
US20050161162A1 (en) Method and plant for the manufacture of green tyres
ES2090185T3 (es) Maquina y aparato para fabricar cubiertas de neumatico.
JP2668400B2 (ja) タイヤ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H08332677A (ja) タイヤ成形機
KR950000192B1 (ko)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조립장치
US3700526A (en) Tire building machine having means advancing a plurality of drums through a plurality of assembly stations
KR100987411B1 (ko) 차량 바퀴용 타이어의 생산 방법 및 장치
KR0145515B1 (ko) 생타이어 성형장치 및 생타이어 성형 방법
US4584049A (en) Radial tire forming blank supply apparatus
SK13172003A3 (sk) Sústava zariadení na výrobu nevulkanizovaných radiálnych autoplášťov a spôsob výroby týchto autoplášťov
JP3750758B2 (ja) シングルステージ式タイヤ成型装置
US10265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rcass for a pneumatic vehicle tire
JP2655273B2 (ja) タイヤ成形装置
KR940004807B1 (ko) 타이어 성형기
JP3217455B2 (ja)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タイヤ構成材料の折り返し装置
JP4658492B2 (ja) タイヤ成形装置およびタイヤ成形システム
JP3817353B2 (ja) タイヤ成形装置
RU2002632C1 (ru) "Агрегат дл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типа "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12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