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21250A - 제대기 - Google Patents

제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21250A
KR940021250A KR1019930005008A KR930005008A KR940021250A KR 940021250 A KR940021250 A KR 940021250A KR 1019930005008 A KR1019930005008 A KR 1019930005008A KR 930005008 A KR930005008 A KR 930005008A KR 940021250 A KR940021250 A KR 94002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ag
tube
belt
conveyors
outle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853B1 (ko
Inventor
안영준
Original Assignee
안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101993000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853B1/ko
Publication of KR94002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기로 절단된 튜브포대를 이송장치들을 통하여 재봉기까지 연속적으로 자동공급시킴으로써 중포장용 포대의 일관생산작업을 가능하게 한 제대기로서, 1대의 절단기(4)로 절단된 튜브포대를 4대의 재봉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의 출구단에 튜브포대를 상하로 안내이송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장착하고, 또한 이송되는 튜브포대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 및 90°방향전화시켜 이송하기 위한 방향전환장치를 컨베이어들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제대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대기의 요구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기를 구성하는 가이드 수단을 일부 파단시킨 일부 분해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

Claims (20)

  1. 롤지를 공급하는 지대기(1), 상기 롤지를 인쇄하는 인쇄기(2), 상기 인쇄된 롤지를 튜브(3a)로 만드는 튜빙기(3), 상기 튜브(3a)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4) 및 상기 절단기로 절단된 튜브포대(A1)(B1)의 일단부를 재봉하는 재봉기(10a)(10b)(10c)(10d)로 구성된 제대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4)의 출구단에 안내수단(4d)을 설치하고, 그것에 연하여 상하 1조로 된 제1밸트 컨베이어(11)를 설치하며, 상기 컨베이어(11)의 출구단에 인접하여 각각 상하 1조로 된 제2,3벨트 컨베이어(12)(3)를 상하로 설치하되, 제1벨트 컨베이어(11)의 출구단에 튜브포대(A1)(B1)를 제2,3벨트 컨베이어(12)(13)에 순차적으로 안내 이송하기 위한 제1가이드수단(31)을 장착하고, 또한, 제2벨트 컨베이어(12)의 출구단에 인접하여 제4,5벨트 컨베이어(14)(15)를 상하로 설치하되 제2벨트 컨베이어(12)의 출구단에 튜브포대(A1)를 상기 제4,5벨트 컨베이어(14)(15)에 순차적으로 안내 이송하기 위한 제2가이드 수단(32)을 장착하며, 제3벨트 컨베이어(13)에 연하여 튜브포대(B1)를 튜브포대(B1') 상태로 반전시키기 위한 제1반전기(6) 및 상기 반전된 튜브포대(B1')이송용 제6벨트 컨베이어(16)를 차례로 연설하며, 또한 제6벨트·체인 컨베이어(16)의 출구단에 인접하여 제7,8벨트 컨베이어(17)(18)를 상하로 설치하되 상기 제6벨트·체인 컨베이어(16)의 출구단에 튜브포대(B1')를 제7,8벨트 커베이어(17)(18)에 순차적으로 안내이송하기 위한 제3가이드 수단(33)을 장착하고, 제4,5,7,8벨트 컨베이어(14)(15)(17)(18)의 출구단에 연하여 각각 튜브포대(A1)(B1')를 90°방향 전환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1,2,3,4방향 전환장치(71)(72)(73)(74) 및 파레트(8)들을 차례로 설치하되 제1,2방향전환장치(71)(72)의 출구단에 연하여 튜브포대(A1)를 제1,2재봉기(10a)(10b)까지 이송시키는 제9,10체인 컨베이어(19)(20)를, 제3,4방향전환장치(73)(74)의 출구구단에 연하여는 튜브포대(B1")를 튜브포대(B1")의 상태로 반전시키기 위한 제2,3 반전기(61)(62) 및 상기 반전된 튜브포대(B1")를 제3,4재봉기(10c)(10d)까지 이송시키는 제11,12체인 컨베이어(21)(22)를 각각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기(4)는 절단면(44)을 형성하는 외날(41) 및 절단면(43a, 43b)을 형성하는 쌍날(42)이 외주면에 장착된 드럼(4a) 및 드럼(4b)을 가져, 상기 드럼(4a)(4b)의 회동에 따라 튜브(3a)를 전단부의 절단면(43a) 및 후단부의 절단면(44)을 가지는 튜브포대(A1)와, 전단부의 절단면(44) 및 후단부의 절단면(43b)을 가지는 튜브포대(B1)로 순차적으로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2,3가이드 수단(31)(32)(33)은 각 벨트컨베이어의 출구단 측의 다수의 로울러(11f, 11f)가 등간격으로 삽착된 상하의 축(11a, 11a)에 스페이서(113,113)를 개재시켜 상기 로울러(11f, 11f)와 교호로 축착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11b, 11b), 상기 축(11a, 11a)의 일단부에 축착되어 로드베어링(11d)을 통하여 연결되는 링크부재(11c, 11c), 측부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119)를 가지며 일단부가 스르링(112)으로 탄설되고 타단부는 하부의 축(11a)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레버(11e), 그리고 상기 레버(11e)의 로울러(119)와 접동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11b, 11b)를 상하 선회시키기 위한 2단 캠(111)이 축착된 캠축(11h)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4.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31)(32)(33)의 각 캠축(11h)은 절단기(4)의 드럼(4b)과 동기하여 연동하도록 제1,2,3전동 벨트(101)(102)(103)를 통하여 차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5. 제3항에 있어서, 2단 캠(111)은 튜브포대(A1)를 제2벨트 컨베이어(12)로 안내하기 위한 제1캠부(111a)와, 튜브포대(B1)를 제3벨트 컨베이어(13)로 안내하기 위한 제2캠부(111b)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6. 제1항에 있어서, 안내수단(4d)은 프레임(4c)에 지지된 상하의 축(51)(52)에 다수의 로울러(53)(54) 및 가이드부재(55)(56)를 각각 대응되게 교호로 축착하고, 상부의 축(51)의 일단부에 레버(57)를 수직으로 고착하며, 상기 축들(51)(52)의 타단부에는 로드베어링(11d)으로 연결된 링크부재(11c, 11c)의 일단부를 장착하여, 상기 레버(57)의 회동에 따라 가이드 부재(55)(56)가 연동하여 선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7. 제1항에 있어서, 안내수단(4d)의 하부에 모터(5a)에 의하여 회동되는 양 스크루우(5b,5b)에 수거함(5c)을 나합하여 상기 수거함(5c)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불량 튜브포대(C) 수거장치(5)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8. 제1항에 있어서, 반전기들(6)(61)(62)은 각각 축(6a)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축착되어 상기 축(6a)의 회동에 따라 튜브포대(B1) 또는 튜브포대(B1')를 반전시키기 위한 물레살(6b), 광센서(6d)에 의하여 직립한 튜브포대를 감지하면 회동하여 튜브포대의 상단부를 쳐서 넘기는 회전 실리더(6) 및 반전된 튜브포대를 이송시키기 위한 광센서(6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6벨트. 체인 컨베이어(16)의 하부의 체인 컨베이어(16b) 및 제11, 12체인 컨베이어(21)(22)는 각각 반전기들(6)(61)(62)의 물레살(6b)들 사이의 축(6a)의 하부를 통과하여 연설되고, 그 체인(162)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캐리어(161)를 각각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제4,5,7,8벨트 컨베이어(14)(15)(17)(18)의 입구단은 차례로 상하로 배설하고, 그 서들의 출구단은 같은 높이로 좌우 정렬시켜 연설하되 제5,7,8벨트 컨베이어(15)(17)(18)의 출구단은 경사 컨베이어(15a)를 개재시켜 제4벨트 컨베이어(14)와 같은 높이로 좌우 정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제4,5,7,8벨트 컨베이어(14)(15)(17)(18)의 입구단 상부에는 각각 튜브포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14a)과, 튜브포대들의 상호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장치(14b)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들(14)(15)(17)(18)의 출구단 상부에는 각각 튜브포대가 2장씩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송장치(14c)와, 튜브포대를 1장씩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14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71)(72)(73)(74)들은 각각 프레임(71d), 상기 프레임(71d) 하단에 연설되어 튜브포대를 90°방향 전환시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71c), 상기 이송장치(71c)의 입구단 로울러와 접동하는 로울러(71f), 상기 로울러(71f)를 프레임(71d)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71g), 그리고 상기 링크(71g)를 선회시키는 가압장치(71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들(71)(72)(73)(74)의 하단에 튜브포대를 방향전환시키지 않고 그대로 파레트(8)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71a)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장치(71a)의 출구단 측의 프레임(71d)에는 상기 이송장치(71a)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전이상 감지센서(71e)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4. 롤지를 공급하는 지대기(1), 상기 롤지를 인쇄하는 인쇄기(2), 상기 인쇄된 롤지를 튜브(3a)로 만드는 튜빙기(3), 상기 튜브(3a)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기(4) 및 상기 절단로 절단된 튜브포대(A2)(B2)의 일단부를 재봉하는 재봉기(10a')(10b')(10c')(10d')로 구성된 제대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4)의 출구단에 안내수단(4d)을 설치하고, 그것에 연하여 상하 1조로 된 제1'벨트 컨베이어(11')를 설치하며, 상기 컨베이어(11')의 출구단에 인접하여 각각 상하 1조로 된 제2',3'벨트 컨베이어(12')(13')를 상하로 설치하되 제1'벨트 컨베이어(11')의 출구단에 튜브포대(A2)(B2)를 제2',3'벨트 컨베이어(12')(13')에 순차적으로 안내 이송하기 위한 제1'가이드 수단(31')을 장착하며, 또한, 상기 제2', 3'벨트 컨베이어(12')(13')의 출구단에 인접하여 제 4',5',6',7'벨트 컨베이어(14')(15')(16')(17')를 차례로 상하로 설치하되 상기 제2', 3'벨트 컨베이어(12')(13')의 출구단에 각각 튜브포대(A2)(B2)를 순차적으로 상하 안내 이송하기 위한 제2',3'가이드 수단(32')(33')을 장착하며, 또한, 제4',5',6',7'벨트 컨베이어(14')(15')(16')(17')의 출구단에 연하여 각각 튜브포대(A2)(B2)를 90°방향전환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1',2',3',4'방향전환장치(71')(72')(73')(74') 및 파레트(8)들을 차례로 설치하되 제1', 2'방향전환장치(71')(72')의 출구단에 연하여 튜브포대(A2)를 제1',2'재봉기(10a')(10b')까지 이송시키는 제8', 9'체인 컨베이어(18')(19')를, 제3',4'방향전환장치(73')(74')의 출구단에 연하여는 튜브포대(B2)를 튜브포대(B2')의 상태로 반전시키기 위한 제1',2'반전기(61')(62') 및 상기 반전된 튜브포대(B2')를 제3', 4'재봉기(10c')(10d')까지 이송시키는 제10', 11'체인 컨베이어(20')(21')를 각각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3',4'재봉기(10c')(10d')를 제1',2'재봉기(10a')(10b')의 반대측에 위치시키고, 제1',2'반전기(61')(62') 없이 제3',4'방향 전환장치(73')(74') 및 제10', 11'체인 컨베이어(20')(21')를 상기 재봉기(10c')(10d')까지 차례로 연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6. 롤지를 공급하는 지대기(1), 상기 롤지를 인쇄하는 인쇄기(2), 상기 인쇄된 롤지를 튜브(3a)로 만드는 튜빙기(3), 상기 튜브(3a)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4) 및 상기 절단기로 절단된 튜브포대(A3)의 일단부를 재봉하는 재봉기(10a")(10b")(10c")(10d")로 구성된 제대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4)의 출구단에 안내수단(4d)을 설치하고, 그것에 연하여 상하 1조로 제1"벨트 컨베이어(11")를 설치하며, 상기 컨베이어(11")의 출구단에 인접하여 각각 상하 1조로 된 제2",3",4",5"벨트 컨베이어(12")(13")(14")(15")를 상하로 설치하되 제1"벨트 컨베이어(11')의 출구단에 튜브포대(A3)를 상기 컨베이어(12")(13")(14")(15")에 순차적으로 안내이송하기 위한 제1"가이드 수단(31")을 장착하며, 상기 제2",3",4",5"벨트 컨베이어(12")(13")(14")(15")의 출구단에 연하여 각각 제6",7",8",9"벨트 컨베이어(16")(17")(18")(19")를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들(16")(17")(18")(19")에 연하여는 각각 튜브포대(A3)를 90°방향전환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1",2",3",4"방향전환장치(71")(72')(73")(74")및 파레트(8)들을 차례로 설치하며, 또한 상기 방향전환장치들(71")(72")(73")(74")의 출구단에 연하여 각각 튜브포대(A3)를 제1",2",3",4"재봉기(10a")(10b")(10c")(10d")까지 이송시키는 제10",11",12",13" 체인 컨베이어(20")(21")(22")(23")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절단기(4)는 외날(41,41)이 외주면에 장착된 드럼(4a) 및 드럼(4b)을 가져, 상기 드럼(4a)(4)의 회동에 따|라 튜브(3a)를 전단부 및 후단부의 절단부(44, 44)를 가지는 튜브포대(A3)로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제1"가이드 수단(31")은 제1"벨트 컨베이어(11")의 출구단 측의 다수의 로울러(11f, 11f)가 등간격으로 |삽착된 상하의 축(11a, 11a)에 스페이서(113, 113)를 개재시켜 상기 로울러(11f, 11f)와 교호|로 축착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11b, 11b), 상기 축(11a, 11a)의 일단부에 축착되어 로드 베|어링(11d)을 통하여 연결되는 링크부재(11c, 11c), 축부 중앙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119)를 가지며 일단부가 스프링(112)으로 탄설되고 타단부는 하부의 축(11a)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11e), 그리고 상기 레버(11e)의 로울러(119)와 접동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11b, 11b)를 상하 선회시키기 위한 4단 캠(111")이 축착된 캠축(11h")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가이드 |수단(31")의 캠축(11h")은 절단기(4)의 드럼(4b)과 동기하여 연동하도록 제1"전동벨트(101")를 통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20. 제18항에 있어서, 4단 캠(111")은, 튜브포대(A3)를, 제2"밸트 컨베이어(12")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캠부(111a"), 제3"벨트 컨베이어(13")로 안내하기 위한 제2캠부(111b"), 제4"벨트 컨베이어(14")로 안내하기 위한 제3|캠부(111c") 및 제5"벨트 컨베이어(15")로 안내하기 위한 제4캠부(111d")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05008A 1993-03-29 1993-03-29 제대기 KR95001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008A KR950011853B1 (ko) 1993-03-29 1993-03-29 제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008A KR950011853B1 (ko) 1993-03-29 1993-03-29 제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250A true KR940021250A (ko) 1994-10-17
KR950011853B1 KR950011853B1 (ko) 1995-10-11

Family

ID=1935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008A KR950011853B1 (ko) 1993-03-29 1993-03-29 제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452B1 (ko) * 2019-05-20 2020-07-15 주식회사 모엔 제대기 및 이를 이용한 포대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53B1 (ko)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5394A (en) Device for the perpendicular change in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a foodstuff, in particular cheese, sausage and similar product in slice form
US4881357A (en) Packaging machine for the continuous packaging of products having a variable size
US2729324A (en) Horizontal turns for conveyers
US4896475A (en) Rocker frame
EP1167247B1 (en) Conveyor assembly
FI87758B (fi) Anordning foer avskiljning av ett skivformigt material
CN100402397C (zh) 一种纸张加工设备的收纸机构
KR940021250A (ko) 제대기
GB2134891A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stacks of paper sheets or the like
US5123522A (en) Sealing head bridging conveyor
CN217894096U (zh) 一种皮带转弯机
US6357742B1 (en) Paper conveying mechanism including a device for altering the direction of the paper
KR19990019086U (ko) 이송물의 방향전환용 롤러콘베이어의 유도롤러장치
CA2047602A1 (en) Roll infeed conveyor
JP2002002945A (ja) 袋体の方向転換装置
KR100525019B1 (ko) 파프리카 이송용 컨베이어
JPH065282Y2 (ja) 方向転換装置
US4524961A (en) Paper discharge apparatus for use in paper folders of rotary presses
CA2062748C (en) Three-way transfer conveyor
JPS6175725A (ja) 長尺物の整列搬送装置
JP2634527B2 (ja) 刷本類の搬送装置
JP4569202B2 (ja) 仕分け設備
JP2790055B2 (ja) コンベアにおける横送り装置
JPH0366212B2 (ko)
JPH06183611A (ja) 給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9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0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