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14057A - 자동차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4057A
KR940014057A KR1019920027256A KR920027256A KR940014057A KR 940014057 A KR940014057 A KR 940014057A KR 1019920027256 A KR1019920027256 A KR 1019920027256A KR 920027256 A KR920027256 A KR 920027256A KR 940014057 A KR940014057 A KR 94001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vehicle
steering
driving
actuato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790B1 (ko
Inventor
염영일
정완균
정규원
김민철
박종훈
한길용
Original Assignee
박태준
학교법인 제철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준, 학교법인 제철학원 filed Critical 박태준
Priority to KR101992002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790B1/ko
Publication of KR94001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및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무인 차량 주행 및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는 각각의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상에 위치되는 각각의 작동아암과, 상기 작동아암을 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 수단과,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인 주행장치와 ; 핸들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조핸들과, 상기 보조핸들을 회전시키는 조향 액츄에이터 수단과 ; 상기 조향 액츄에이터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인 조향장치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성능시험시 운전자 없이도 자동차를 주행 및 조향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극한 상황에서도 성능시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의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무인 조향장치의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Claims (8)

  1. 각각의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상에 위치되는 작동아암, 상기 아암을 작동시키는 가속 및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무인 주행장치와 ; 핸들과 일체로 회전하는 보조핸들과, 상기 보조핸들을 회동시키는 조향 액츄에이터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무인 조향장치와 ; 상기 자동차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및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수단이 작동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아암이 일측단에 볼트공을 갖는 제1링크와, 일측단에 나사산을 갖는 제2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단이 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이 가속 및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와 회동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액츄에이터 수단이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조행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액츄에이터 수단과 상기 보조핸들사이에 타이밍 벨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한 사선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안착부를 포함하는 새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핸들이 핸들상에 U자형 보올트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인 주행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7256A 1992-12-31 1992-12-31 자동차 무인 주행장치 KR95001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56A KR950010790B1 (ko) 1992-12-31 1992-12-31 자동차 무인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56A KR950010790B1 (ko) 1992-12-31 1992-12-31 자동차 무인 주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057A true KR940014057A (ko) 1994-07-16
KR950010790B1 KR950010790B1 (ko) 1995-09-23

Family

ID=1934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256A KR950010790B1 (ko) 1992-12-31 1992-12-31 자동차 무인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278A (ko) 2014-08-13 2016-02-23 국방과학연구소 원격통제 기반 무인로봇의 작동모드 할당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66B1 (ko) * 2009-10-16 2012-06-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자동차 등판능력 시험 장치 및 전기 자동차 등판능력 시험 방법
KR101579672B1 (ko) * 2014-02-28 2015-12-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자동차용 조향 및 브레이킹장치
KR101965166B1 (ko) * 2018-11-01 2019-04-03 신준승 즉석 시래기 해장국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278A (ko) 2014-08-13 2016-02-23 국방과학연구소 원격통제 기반 무인로봇의 작동모드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90B1 (ko) 199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6353A (ko) 파워스테어링 제어장치
KR940014057A (ko) 자동차 무인 주행 및 조향장치
EP0148670A3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amplificateur pneumatique de freinage sur un véhicule automobile
KR900017862A (ko) 모터구동식전후륜조향장치
KR920702297A (ko) 자주식 작업차량
JPH0239236Y2 (ko)
JP3123412B2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217673B1 (ko) 무인자율주행 차량용 차속제어장치
JPS6085228A (ja) ワイヤ式アクセルコントロ−ル機構
KR960010340A (ko) 운전핸들을 이용한 자동차의 주행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48666B1 (ko) 자동차의 가.감속 및 제동 페달을 겸용하는 조향 조작기구
KR970041007A (ko) 파워 핸들 구동 장치
KR970039965A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960022073A (ko)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 장치
FR2768824B1 (fr) Unite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eventuellement a changements de rapports de vitesses pilotes par le conducteu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KR970011826A (ko) 충돌시험차량의 속도제어장치
FR2737174B1 (fr) Arbre intermediaire de dire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H0324457Y2 (ko)
JPS6043486U (ja) 自動車用エアダム装置
JPS601937U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S6080954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KR960007353A (ko) 차량용 후륜조향장치의 구조
KR930002230A (ko) 모터 구동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90052795A (ko) 차량 선회에 따른 무게 중심 제어 장치
JPH0243765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8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