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12745A - 배터리의 충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충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2745A
KR940012745A KR1019920021813A KR920021813A KR940012745A KR 940012745 A KR940012745 A KR 940012745A KR 1019920021813 A KR1019920021813 A KR 1019920021813A KR 920021813 A KR920021813 A KR 920021813A KR 940012745 A KR940012745 A KR 94001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temperature
absolute
determination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1680B1 (ko
Inventor
노형문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2002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680B1/ko
Publication of KR9400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할 시 배터리의 충전조건에 따라 최적의 충전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충전 동작이 수행되면, 일정 주기로 충전전압 및 충전온도를 검출하여 샘플링하며, 샘플링 데이타들을 미리 설정한 절대값과 비교하여 충전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설정된 절대충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고 충전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절대충전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다시 공급하여 비정상적인 조건이 해제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재충전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판단과정에서 설정된 절대충전전압 또는 충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충전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충전과정에서 소정시간 이상 충전전압의 강하가 감지될 시 만충전으로 판단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중지시킨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충전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흐름도.
제3도는 제2도 중 충진 상태 검사과정의 상세 흐름도.
제4도는 배터리의 충전 특성도.

Claims (6)

  1.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재충전용 배터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와, 상기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원과, 상기 배터리와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충전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층전전압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온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충전 배터리의 삽입유무를 감지하며,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충전전압 및 충전온도 값을 샘플링하여 만충전 및 비정상조건 발생유무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비정상조건 발생시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이후 정상조건으로 환원될시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재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부가,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전압을 충전온도 값으로 변환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3.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삽입시 이를 감지하고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과정에서 배터리의 충전온도를 검출하여 비정상조건 발생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비정상조건 발생일시 충전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검사과정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정상조건일시 충전동작을 재개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4.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삽입 감지시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충전과정과, 상기 충전과정에서 일정 주기로 충전시간 및 충전온도를 검출하여 샐플링하며, 샘플링 데이타들을 미리 설정한 절대값과 비교하여 충전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충전 절대시간 초과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고 층전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설정된 절대 충전온도 초과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고 충전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대기상태에서 절대충전온도 이하로 떨어질시 상기 배터리로 충전전류의 공급을 재개하고 상기 판단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방법.
  5.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충전과정과, 상기 충전과정에서 일정 주기로 충전전압 및 충전온도를 검출하여 샘플링하며, 샘플링 데이타들을 미리 설정한 절대값과 비교하여 충전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설정된 절대충전온도 초과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고 충전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대기상태에서 절대충전온도 이하로 떨어질시 상기 배터리로 충전전류의 공급을 재개하고 상기 판단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설정된 절대충전전압 초과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판단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소정 시간 이상 충전전압의 강하가 감지될 시 만충전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판단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에서 충전시간이 설정된 절대충전시간을 초과할 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판단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1813A 1992-11-19 1992-11-19 배터리의 충전방법 KR014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813A KR0141680B1 (ko) 1992-11-19 1992-11-19 배터리의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813A KR0141680B1 (ko) 1992-11-19 1992-11-19 배터리의 충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745A true KR940012745A (ko) 1994-06-24
KR0141680B1 KR0141680B1 (ko) 1998-08-17

Family

ID=1934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813A KR0141680B1 (ko) 1992-11-19 1992-11-19 배터리의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6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877B1 (ko) * 1997-03-13 2000-02-01 윤종용 배터리 장착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방법
KR20020080947A (ko) * 2001-04-18 2002-10-26 주식회사 이오니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장치
CN104979596A (zh) * 2014-04-14 2015-10-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慢速充电方法及使用该方法的环保型车辆的车载充电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877B1 (ko) * 1997-03-13 2000-02-01 윤종용 배터리 장착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방법
KR20020080947A (ko) * 2001-04-18 2002-10-26 주식회사 이오니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장치
CN104979596A (zh) * 2014-04-14 2015-10-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慢速充电方法及使用该方法的环保型车辆的车载充电器
US9610855B2 (en) 2014-04-14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Slow charging method and on-board charger for environmentally-friendly vehic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1680B1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190B1 (ko) 배터리 충전기와 방전기,및 특성 평가 시스템
KR960003013A (ko)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27134A (ko) 만충전 배터리의 재충전 방지 기능을 갖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31144A (ko) 2차 전지팩(secondary battery pack)
KR970706638A (ko) 충전방법, 충전장치 및 집적회로(charging method, charg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US20200119574A1 (en) Charger circuit and intelligent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KR940012745A (ko) 배터리의 충전장치 및 방법
TW353243B (en) Charging apparatus
JP2524911B2 (ja) 充電装置
KR960027141A (ko) 재 충전용 밧데리의 충전제어 방법 및 회로
FR2670953B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charger un accumulateur.
US6100669A (en) Full-charge detecting method and charg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KR100320433B1 (ko) 이동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장치
JPH06343233A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装置
KR910002344Y1 (ko) 충전식 밧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930020803A (ko) 밧데리의 충전모드 절환회로
JPH0847177A (ja) 充電制御装置
KR940017034A (ko) 셀룰라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장치
KR960030507A (ko) 충전용 밧데리의 충전장치 및 방법
KR970004215A (ko) 급속 및 일반 겸용 충전장치 및 방법
KR940017033A (ko) 셀룰라폰 충전기 및 그것의 배터리 충전방법
JPH07147731A (ja) バッテリ充電器
KR970072788A (ko)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및 방법
JPS645917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90019832U (ko) 과전류 차단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08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