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11858B1 -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858B1
KR940011858B1 KR1019910007663A KR910007663A KR940011858B1 KR 940011858 B1 KR940011858 B1 KR 940011858B1 KR 1019910007663 A KR1019910007663 A KR 1019910007663A KR 910007663 A KR910007663 A KR 910007663A KR 940011858 B1 KR940011858 B1 KR 94001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conduit
fluid transfer
housing
rele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359A (ko
Inventor
재이 노키 필립.
에이 복손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시릴 제이, 에드 워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릴 제이, 에드 워드스 filed Critical 시릴 제이, 에드 워드스
Publication of KR91002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85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각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하우징 내부지지면과 안내면을 나타내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로서 하우징부재와 도관부재가 결합되지 않고 밸브부재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와 비슷하지만 하우징부재와 도관부재가 결합되고 밸브부재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리테이너부재의 배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리테이너부재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에서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제2도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밸브부재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밸브부재의 정면도.
제11도는 제2도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해제부재의 배면도.
제12도는 해제부재의 측면도.
제13도는 해제부재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우징부재 21 : 실링조립체
22 : 밸브조립체 23 : 리테이너부재
24 : 금속도관부재 25 : 해제부재
26 : 협소선단부 27 : 유체이송도관
28 : 중간부 29 : 대경부
30 : 통로 31 : 제1확대부
32 : 제2확대부 33,34 : 슬롯트
36 : 안내면 35 : 지지면
37,38 : 부싱 37a : 환형돌기
38a : 환형돌기 37b : 환형홈
38b : 환형홈 39,40 : O-링
41 : 스페이서 42 : 밸브부재
43 : 스프링 44 : 몸체부
44a : 선단면 44b : 개방부
45 : 선단부 45a : 개방부
45b : 개방부 46 : 레그부
46b : 지지면 47 : 환형부
48,49 : 레그부 50 : 레그
51 : 제1절곡부 52 : 지지레그
52a : 윙 52b : 패드
53 : 제2절곡부 54 : 접힘부
55 : 선단 56 : 선단부
57,58 : 돌기 59,60 : 캠면
61 : 원통부 62 : 탭
63 : 유체이송통로 64 : 환형플랜지부
본 발명은 유체이송도관을 연결시키는데 사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 및 분리하기가 쉬우면서 자동차의 연료공급라인이나 공급조화시스템, 동력조향 및 브레이크시스템등에 적용시키기에 알맞도록된 유체이송도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의 종래 기술로서 하우징과, 이 하우징속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삽입도관, 하우징과 삽입도관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수단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있는 삽입도관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보유지지해 주기 위해 하우징내부에 배치되는 리테이너수단으로 이루어져, 빨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가 개발되어 있는 바, 미국특허 제4,819,908호 및 제4,846,506호와 GB 특허 제2,174,163호 및 WO 특허 8,808,938호에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 도관부재는 일반적으로 이 도관부재가 하우징부재에 결합될 때 하우징부재속에 끼워지게 되는 환형플랜지를 갖추고 있고, 또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일번적으로 이 도관의 환형플랜지와 하우징부재의 앞쪽을 향하면서 환형걸림턱형태로된 지지면 걸림턱사이에 삽입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이 커넥터에 압력유체가 가해지면 도관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가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유체에 의해 도관부재에 가해지는 힘은 이 도관의 환형플랜지와 하우징의 지지면에 걸려져 있는 리테이너를 통해 하우징에 전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커넥터의 하우징을 이루는 재질은 이 커넥터에 가해지는 요구압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지는바, 일반적으로 41.4N/mm2내지 206.8N/mm2범위내에서 작동하는 저압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부재를 플라스틱재질로 만들 수가 있지만 1034.2N/mm2내지 2068.4N/mm2범위내에서 작동하는 자동차의 동력조향 및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고압이 적용하는 곳에 적용시키고자 할때에는 하우징부재를 금속으로 만들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커넥터를 만드는데 있어서, 금속으로 된 하우징부재는 종래의 제조기를 이용해 공지의 방법으로 만들수가 있고, 상기 리테이너가 걸려 지지되는 지지면은 튜브형상으로 된 하우징의 선단을 반경의 안쪽방향으로 감아 환형 립(lip)을 형서시켜 줌으로써 앞쪽을 향하는 환형지지면을 쉽게 만들어 줄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잇점이 있기는 하지만 하우징부재를 플라스틱재질로 만드는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플라스틱하우징은 사출성형방법으로 만들때 이 플라스틱재질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한 바의 환형립을 형성시키도록 하우징의 선단이 반경의 안쪽방향으로 둥글게 감겨지지 못하게 된다. 즉 이 플라스틱재질은 그 자체의 탄성적 성질 때문에 금속과 같이 둥글게 감겨진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즉 상기한 US 4,819,908호 및 US 4,846,506호, GB 2,174,163호는 베어링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트를 구성하지 못하였고, WO 8,808,938호는 하우징내에 횡방향 슬롯트 개구를 구성한 것 같이 보여지나 이 리테이너는 사실상 하우징의 외부에 본원과는 다른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고 특히 해제부재는 갖지 않아서 목적하는 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유체이송도관의 커넥터에서 하우징부재를 플라스틱재질로 만들되, 금속으로 하우징부재를 만들때 하우징선단을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감아 도관부재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을 하우징에 전달시켜주는 리테이너부재를 지지해 주기 위한 1개 이상 다수개의 지지면을 형성시키는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이 지지면을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하우징부재를 갖춘 유체이송도관 커넥터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유체이송도관의 커넥터를 개량하여 빠르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가 있으면서, 플라스틱하우징부재와, 이 하우징부재속에 삽입되는 금속도관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속에 배치되어 이 하우징부재와 금속도관부재를 결합관계로 유지시켜주는 금속리테이너로 이루어진 유체이송도관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르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가 있으면서 앞쪽으로 향한 지지면을 갖춘 플라스틱하우징부재와, 이 하우징부재속에 삽이되어 결합되면서 환형플랜지부를 갖춘 금속도관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속에 배치되면서 금속도관부재의 환형플랜지부와 하우징부재의 앞쪽을 향한 지지면사이에 끼워지는 해제가능한 리테이너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재를 종래의 방법에 비해 비교적 값싸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이송도관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13도의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의 커넥터는 하우징부재(20)와, 이 하우징부재(20)속에 배치되는 실링조립체(21), 하우징부재(20)속에 배치되면서 하우징과 실링조립체(21)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조립체(22), 하우징부재(20)속에 배치되는 리테이너부재(23), 하우징부재(20)속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금속도관부재(24) 및, 하우징부재(20)속에서 부분적으로 확장됨과 더불어 상기 리테이너부재(23)와 상호 작용하여 금속도관부재(24)를 하우징부재(20)로 부터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재(2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재(20)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이 있는 유체이송도관(27)에 끼워져 고정되는 협소선단부(26)와 밸브 및 실링조립체(21,22)를 수용하는 중간부(28) 및 리테이너부재(23)와 해제부재(25)를 수용하는 대경부(29)로 이루어지면서, 이들이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단면이 거의 4각형으로 된 제1 확대부(31)와 단면이 거의 4각형으로 된 제2 확대부(32)로 구성된 길이방향의 통로(30)가 뚫려져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재(20)의 상기 대경부(29)에는 제1도와 제2도 및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징부재의 길이방향축에 대한 양쪽측면에 1상의 가로방향 슬롯트(33,34)가 형성되고, 중간부(28)에는 그 원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지면(35)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 측에 대해 수직하는 평면에 구성되도록 배열형성되며, 지지면(35)옆에는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축에 평형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안내면(36)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재(20)는 커넥터를 사용하고자 하는데 따라서 적절한 재질로 사출성형 시킬 수가 있는바, 예컨대 이 커넥터를 자동차의 연료공급라인에 적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하는 재질이 고내열성과 고내화학성이 있어야 하고, 이러한 경우의 적절한 재질은 필립(Phillip)사에서 제조하여 리톤(RYTON)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폴리페놀 설파이드(Polyphenol Sulf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링조립체(2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양쪽선단을 이루는 1쌍의 부싱(37,38)과 이 부싱(37,38) 사이에 배치되는 1쌍 O-링(39,40) 및 이 O-링(39,40)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1)로 이루어지고 부싱(37,38)에는 환형돌출부(37a,38b)속에 끼워맞춰지도록 함으로써 부싱(37,38)이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되어 하우징부재가 입체적인 부품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O-링(39,40)은 부싱(37,38) 사이에 배치되어 스페이서(41)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바, 이 부싱(37,38)과 스페이서(41)는 나일론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O-링(39,40)은 시스템매체의 물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예컨데 연료공급라인에 적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플루오르카본과 플루오르실리콘 혼합물로 구성된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조립체(22)는 밸브부재(42)와 스프링(43)으로 이루어지는 바,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42)는 부싱(37,38)과 스페이서(41)속으로 끼워져 들어갈 수 있도록 부싱(37,38)과 스페이서(4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되어 부싱(37)에 의해 O-링(39)과 밀봉결합됨으로써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와 하우징부재(20) 사이에 이송되는 유체가 새지 못하도록 하는 원통형 몸체부(44), 이 몸체부(44) 보다 직경이 작은 선단부(45) 및 길이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1쌍의 레그부(46)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45)의 뒷쪽끝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려나간 다수개의 개방부(45b)가 형성되어, 밸브부재(42)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위치로 되어 있을 때 유체통로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몸체부(44)의 앞쪽끝에도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잘려나간 다수개의 개방부(44b)가 형성되어 밸브부재(4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유체통로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부재(42)는 그 레브부(46)의 뒷쪽 지지면(46a)에 부싱(37)이 걸려져 축방향의 뒷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고, 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의 제1확대부(31)에 마련된 환형시이트와 밸브부재(42)의 앞쪽선단부(44a) 사이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43)에 의해 폐쇄위치로 밀어부쳐지게 되는 바, 여기서 밸브부재(42)는 나일론재질로 만들고 스프링은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 내지 제8도에는 환형부(47)와 대칭적인 1쌍의 레그부(48,49)로 구성된 리테이너부재(23)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환형부(47)는 그 외경이 이 리테이너부재(23)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38)의 뒷쪽끝과 결합될 수 있게 하는데 충분한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그 내경은 도관부재(24)의 선단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레그부(48)를 환형부(47)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절곡부(51)까지 바깥쪽으로 뻗어나와 있는 레그(50)와 상기 제1 절곡부(51)에서부터 상기 환형부(47)에 형성된 개구를 향해 축방향을 따른 반경의 안쪽으로 제2절곡부(53)까지 뻗어있는 탄성의 지지레그(52) 및 접힘부(5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레그(52)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윙(52a)이 구비되고, 이 윙(52a)에는 그 뒷쪽선단을 따라 형성된 패드(52b)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패드(52b)와 상기 레그부(49)의 패드(49b)는 환형부(47)의 길이방향축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리테이너부재(23)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의 제2 확대부(32) 속에 설치될때 상기 슬롯트(33,34)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로방향의 지지면(35)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리테이너부재(23)는 판금재를 적절한 형태로 스탬핑(stamping)하여 이 스탬핑한 부분이 상기 설명한 레그부(48,49)를 이루도록하며, 특히 이 커넥터를 설치하는 곳의 이송유체가 부식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부재(23)를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시켜주면 된다.
상기 도관부재(24)는 유체이송통로(63)를 갖춘 튜브형으로되어 그 선단(55)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곳의 원주면에 환형플랜지부(64)를 갖추고 있으며, 이 환형프랜지부(64)와 선단(55) 사이에서는 선단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제5도에 잘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56)는 밸브부재(4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갖추고서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하우지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졌을 때, 상기 환형플랜지부(64)가 리테이너부재(23)의 환경부(47)에 걸려지게 되며, 밸브부재(42)는 스프링(43)의 탄성반력에 대항하여 앞쪽으로 이동되어 개방위치로 됨과 더불어 상기 선단부(56)가 부싱(37,38)속으로 끼워져 상기 O-링(39,40)이 긴밀결합되면서 도관부재(24)와 하우징부재(20) 사이에 유체의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밀봉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속으로 삽입되어감에 따라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가 리테이너부재(23)의 지지레그(52)를 반경의 바깥쪽으로 밀어낸 상기 환형플랜지부(64)가 리테이너부재(23)의 지지레그(52)를 지나 리테이너부재(23)를 환형부(47)와 결합되게 되고, 일단 상기 환형플랜지부(64)가 리테이너부재의 지지레그(52)를 넘어 지나가면 이 지지레그(52)가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 뒷쪽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반경방향의 안쪽의 오무려져 들어와 상기 도관부재(24)가 뒷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이 도관부재(24)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에 결합관계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관부재(24)는 적절한 금속 또는 충분한 크기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들 수가 있으며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 역시 적절한 방법으로 만들어 줄 수가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는 앞쪽으로 돌출된 1쌍의 돌기(57,58)와 상.하에 경사진 캠면(59,60)을 갖춘 짧은 원통부(61)로 구성된 해제부재(25)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원통부(61)는 그 외경이 하우징부재(20)의 제2확대부(32)의 가로방향칫수 또는 최소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해제부재(25)를 하우징의 제2확대부(32)속으로 삽입시켜 밀어넣을 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그 내경은 해제부재(25)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의 제2 확대부(32)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환형플랜지부(64)를 갖춘 도관부재(24)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캠면(59,60)은 리테이너부재(23)의 레그부(48,49)의 각 레그(50)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하우징부재(20)의 제2확대부(32)에 삽입되어 있는 해제부재(25)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리테이너부재(23)의 지지레그(52)에 걸려질때 지지레그(52)가 반경의 바깥쪽으로 벌어져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가 리테이너부재(23)의 지지레그(52)를 지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하우징부재(20)에서 부터 도관부재(24)를 빼낼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해제부재(25)의 돌기(57,58)가 리테이너부재(23)의 환형부(47)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레그(52)의 과도한 변형이 '지지되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레그(52)와 접촉하고 있는 캠면(59,60)의 앞쪽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제부재(25)는 하우징부재(20)의 제2확대부(32) 내부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앞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57,58)와 캠면(59,60)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원통부(61)의 원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이 있는 1쌍의 탭(62)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게 되는데, 이 랩(62)은 하우징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트(33,34)의 길이 방향 안내면(36)과 결속되어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이동을 안내해줌과 더불어, 상기 캠면(59,60)이 리테이너부재(23)의 지지레그(52)와 일치되게 배열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자체의 회전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탭(62)은 가로방향의 지지면(35)에 걸려져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로 부터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며, 상기 슬롯트(33,34)의 전면에 걸려져 해제부재(25)의 앞쪽방향으로의 이동을 막아 주게 된다.
한편 해제부재(25)의 외경이 사각형으로된 제2확대부(32)의 최소직경 또는 가로방향의 칫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기는 하지만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탭(62)과 하우징부재(20)사이에 마찰이 일어나게 되므로 상기 탭(62)을 가요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 상기 탭(62)이 가로방향의 슬롯트(33,34)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부속으로 들어갈때까지 상기 해제부재(25)를 하우징부재(20)속으로 삽입시켜 감에 따라 상기 탭(62)이 굽혀질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슬롯트(33,34)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부란 상기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가로방향의 지지면(35)과 결속되고 상기 안내면(36)과 접촉하는 위치로 상기 탭(62)이 탄성복원되는 곳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해제부재(25)는 나일론이다. 충분한 강성을 가지기는 하지만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탭(62)이 굽혀질 수 있게 하는 기타의 적절한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커넥터는 먼저 밸브조립체(22)와 실링조립체(21)가 기구위에서 1개의 유니트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부싱(37,38)이 각각의 환형홈(37b,38b)에 끼워 맞춰질때까지 하우징부재(20)의 제1확대부(31)속으로 삽입시킨 다음, 리테이너부재(23)를 하우징부재(20)의 제2확대부(32)속으로 삽입시켜 이의 환형부(47)가 부싱(38)에 안착결속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해제부재(25)를 하우징부재(20)속으로 밀어넣되 굽혀진 탭(62)이 확대부(32)의 내벽에서 떨어져 나와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롯트(33,34)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속으로 돌출되어 나올때까지 하우징부재(20)속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커넥터의 조립이 완료되게 되고, 그 다음에는 이렇게 연결된 도관을 통해 유체를 이송시켜 주면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부재(20)는 유체이송도관에 있는 협소선단부(26)를 종래의 방법대로 단순히 삽입시킴으로써 유체이송관(27)과 연결시킬 수도 있고, 또 유체이송도관(27)에 유체압력이 가해지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와 밀봉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폐쇄밸브부재(42)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재(20)내부의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게 되며, 이 밸브부재(42)를 스프링(43)의 탄성력과 함께 압력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우징부재(20)가 밀봉상태로 폐쇄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관부재(24)를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유체이송라인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에는 상기 도관부재(24)를 해제부재(25)를 관통시켜 하우징부재(20)의 제2 확대부(32)에 삽입시켜줌으로써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가 리테이너부재(23)의 지지레그(52)에 걸려져 이 지지레그(52)를 반경의 바깥쪽으로 벌려준 다음, 상기 환형플랜지부(64)가 이들 지지레그(52) 사이를 지나 리테이너부재(23)의 환형부(47)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도관부재(24)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0)에 연결되게 된다.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속으로 삽입되면서 환형플랜지부(64)가 지지레그(52)를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구부려 줌으로써, 도관의 선단부(56)가 부싱(37,38)속으로 안내되어 끼워지면서 밸브부재(42)를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도관의 선단부(56)가 O-링(39,40)과 결합되게 되어, 이 O-링(39,40)이 도관부재(24)와 하우징부재(20)사이를 긴밀하게 밀봉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에 의해 밸브부재(42)가 제5도에 도시된 바의 상태로 밀려져 들어감에 따라 압력유체가 통로(30)와 제1 확대부(31) 및 개방부(44b)를 거쳐 밸브부재(42)의 몸체부(44)를 감아돌아서 이 밸브부재(42)의 개방부(45b)를 통해 도관부재(24)의 유체이송통로(63)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를 분리시키고자 할때에는 한쪽손으로 하우징부재(20)를 붙잡고 다른쪽손의 손가락으로 해제부재(25)를 앞으로 밀어주면, 상기 지지레그(52)가반경의 바깥쪽으로 벌려져 상기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에서 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즉, 지지레그(52)가 반경의 바깥쪽으로 벌려짐으로써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가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리테이너부재(23)를 통과해 하우징부재(20)로 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도관부재(24)가 빠져나옴에 따라 상기 스프링(43)이 밸브부재(42)를 뒷쪽으로 밀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위치로 되게 함으로써 이 하우징부재(20)를 통해 더 이상의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커넥터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상태로 있고 유체이송도관(27)에 압력유체가 가해지며 이 압축 유체의 힘이 도관부재(24)에 작용하여 하우징부재(20)에서 부터 도관부재(24)를 밀어낼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때 도관부재(24)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환형플랜지부(64)와 지지레그(52), 이 지지레그(52)에 형성된 윙(날개:52a) 부분 및, 상기 지지편(35)에 걸려지는 날갭분의 뒷쪽끝에 형성된 탭(62)을 통해 하우징부재(20)로 전달되게 되는바,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지지레그(52)의 제1절곡부(51)가 하우징부재(20)의 어떠한 부분과도 길이방향으로 걸려져 있지 않으므로 리테이너부재(23)에 가해지는 하중이 피로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제1 절곡부(51)를 통해 하우징부재(2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면(35)에 가로로 걸려져서 리테이너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더 많이 분산시켜주기 위해 더 많은 지지면(35)를 제공하는 리테이너부재(23)의 패드(52b)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제외한 나머지의 하중은 전부 하우징부재(20)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재(20)에 가로방향의 슬롯트(33,34)를 형성시킨 것을 여러가지 목적을 위해서인 바, 이 슬롯트(33,34)는 분산하중을 하우징부재(20)로 전달해 주는 리테이너패드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여러개의 지지면(35)을 제공하고,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이동을 안내해주는 안내면(36)을 제공하며, 상기 리테이너부재(23)에 대해 해제부재(25)가 어긋나게 배열되게 하는 해제부재(25)의 회전을 저지해주는 한편,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해주고, 이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로 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것이다.

Claims (40)

  1.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추고서 이 공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1개 이상의 가로방향 개구부 및 여기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1개 이상의 지지면(35)을 갖춘 하우징부재(20)와; 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속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선단부(56)와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체이송로(63) 및 하우징부재(20)의 내부공간속에 삽입위치되면서 하우징부재(20)와 결합되었을 때 지지면(35)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환형플랜지부(64)를 갖춘 도관부재(24); 이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하우징부재(20)속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하우징부재(20)와 도관부재(24) 사이를 밀봉시켜 주는 밀봉수단; 상기 하우징부재(20)속에 배치되어 이 하우징부재(30)에 결합되어 있는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해주면서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와 하우징부재(20)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탄력성의 지지레그(52)를 갖춘 1개 이상의 레그부(48,49)를 구비하고, 이 레그부(48,49)는 하우징부재(20)속에 결합되어 있는 도관부재(24)를 밀어낼려는 압력유체가 가해질때, 이 압력유체에 의한 힘이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와 지지레그(52) 및 하우징부재(20)의 지지면(35)에 걸려지는 패드(52b)를 통해 하우징부재(20)로 전달해 주는 패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리테이너수단(23) 및; 상기 지지레그(52)를 가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부려 하우징부재(20)에서 도관부재(24)를 뽑아낼 수 있게 하는 해제수단으로 구성된 유체 이송도관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개구부(30)가 슬롯트(33,3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30)가,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축의 양측면에 형성되면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둔 다수개의 지지면(35)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에 세로방향으로 개구부의 각각 이 슬롯트(33,3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수단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개구부의 환형내벽과 결합되면서 도관부재(24)가 밸브부재(42)의 선단부(45)에 하우징부재(20)와 결합되어 밸브부재(42)의 선단부(45)를 수용할때 환형플랜지부(64)가 걸려져 맞닿게 되는 환형부(47)와, 이 환형부(47)로 부터 반경의 바깥뒷쪽으로 뻗어나와 있는 레그(50)와 이 레그(50)에서 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환형부(47)의 개구부를 향해 전방안쪽을 향해 뻗어 있는 지지레그(52)를 갖추는 한편, 이 지지레그(52)가 지지면(35)에 걸려지는 1개 이상의 패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레그부(48,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50)와 지지레그(52)의 인접선단이 하우징부재의 인접부와 길이방향으로 일치되지 않게 배열되는 절곡부(51)를 이루게하여 하우징부재(20)에 가해지는 압력유체가 이 하우징부재(20)속에서 결합되어 있는 도관부재(24)를 밀어내려할때 상기 절곡부(51)를 통해 하우징부재(20)로 압력유체에 의한 힘이 전달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 그 한쪽선단이 거의 4각형단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부재(20)에는 그 길이방향측에 대한 양측면에 길이방향개구부 한쪽선단과 교차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하우징부재(20)에 가로방향의 지면(35)을 제공해주며, 또 상기 리테이너수단이 지지면(35)에 걸려지는 패드부를 갖춘 2개의 레그부(48,49)를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레그(50)와 지지레그(52)를 연결시키는 절곡부(51)가 하우징부재(20)와 길이방향을 따라 일치되게 않고 벗어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52)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1개 이상의 윙(52a)을 갖추고, 이 윙(52a)에 상기 패드(52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해제수단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 개구부속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해제부재(25)로 구성되고 이 해제부재(25)는 리테이너수단이 지지레그(52)와 걸려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에 대해 축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해감에 따라 이 지지레그(52)를 반경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구부려 도관부재(24)를 해제시켜 주도록 된 상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가 리테이너수단의 환형부(47)에 걸려지며, 이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해 줌과 더불어 지지레그(52)와 캠면(59,60)의 걸림정도 및 지지레그(52)의 구부려짐 정도를 제한해 주는 돌기(57,58)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의 최소한 한쪽면과 결합하여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이동을 안내해 주는 탭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 공간내부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될때 이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수용되어지도록된 두개의 부싱(37,38)과, 이들 부싱(37,38)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부재(20)와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 사이를 밀봉시켜 주는 1개 이상의 O-링(39,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7,38)이 하우징부재(20)에 대해 스냅맞춤식으로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공간속에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1쌍의 환형홈(37b,38b)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37,38)에는 이 환형홈(37b,38b)속에 끼워 맞춰지게 된 환형돌기(37a,3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7,38) 사이에 1쌍의 O-링(39,40)이 환형의 스페이서(41)에 의해 분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7,38)중의 하나가 리테이너수단과 걸려져 이 리테이너수단이 앞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가 고내열성 및 고내화학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가 폴리페놀 설파이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수단이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1.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추고서, 한쪽선단에 이 길이방향 내부공간과 교차하는 1개 이상의 가로방향 개구부가 향상됨과 더불어, 1개 이상의 가로방향 지지면(35)과 1개 이상의 길이방향 안내면(36)을 구비한 하우징부재(20); 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속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선단부(56)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체이송통로(63) 및 상기 하우징부재(20)의 내부공간속에 삽입위치되면서 하우징부재(2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지지면(35)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환형플랜지부(64)를 갖춘 도관부재(24); 이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하우징부재(20)속에 끼워져 결합되었을때 하우징부재(20)와 도관부재(24) 사이를 밀봉시켜주는 밀봉수단 상기 하우징부재(20)속에 배치되어 이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해 주면서 상기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와 하우징부재(20)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탄력성의 지지레그(52)를 갖춘 1개 이상의 레그부(48,49)를 구비하고, 이 레그부(48,49)는 하우징부재(20)속에 결합되어 있는 도관부재(24)를 밀어낼려 하는 압력유체가 가해질 때 이 압력유체에 의한 힘이 상기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와 지지레그(52) 및 상기 하우징부재(20)의 지지면(35)과 결합되는 패드(52b)를 토해 하우징부재(20)로 전달해주는 패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리테이너수단 및; 상기 지지레그(52)를 반경의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구부려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된 도관부재(24)를 뽑아낼 수 있게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재(25)로 이루어지면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지지레그(52)가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64) 바깥쪽으로 벌러지게 하여 이 도관부재(24)를 빼낼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하우징부재(20)의 안내면과 결합되어 상기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이동을 안내해주는 탭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유체이송수단과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의 축 방향이동을 규제해 주는 수단이 안내면(3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탭(6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가로방향개구부에 상기 해제부재(25)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해주는 탭(62)이 걸려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가로바향을 따라 배열된 지지면(35)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탭(62)이 해제부재(25)의 축방향이동을 규제해주는 가로방향의 지지면(35)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가 이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해 줌과 더불어 이 해제부재(35)의 캠 작용 및 지지레그(52)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해 주는 리테이너에 걸려지는 돌기(57,5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탭(62)이 하우징부재(20)속으로 도관부재(24)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굽혀질 실린더 있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탭(62)이 하우징부재(20)의 가로방향객부 표면에 걸려져 상기 해제부재(25)가 뒷쪽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또 하우징부재(2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가로방향개구부에 끼워질 때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에 형성된 1쌍의 가로방향개구부가 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측에 대항 양쪽측면에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개의 가로방향 지지면(35)과 길이방향의 안니면(36)을 이루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리테이너수단이 하우징부재(20)에 구비된 길이방향내부공간의 환형내벽에 걸려짐과 더불어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속에 삽입되어 이 도관부재(25)의 선단부(56)가 관통하면서 끼워질 때 이 도관부재(24)의 환형플랜지부(24b)가 걸려지는 환형부(47)와, 상기 환형플랜지부(64)와 하우징부재(20) 사이에 배열되어 반경의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된 지지레그(52)를 갖추고, 이 지지레그(52)에는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1쌍의 가로방향 지지면과 결합하도록 된 패드부를 갖추고 있는 1쌍의 레그부(48,49)로 구성되며; 상기 해제부재(25)가 도관부재(24)쪽에 위치하면서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공간속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5)가 지지레그(52)와 걸려지도록 된 1쌍의 캠면(59,60)을 갖추고서 이 해제부재(25)가 도관부재(24)를 해제시켜 주기 위해 하우징부재(20)에 대해 축방향의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레그(52)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가 원통부(61)의 앞쪽을 향해 캠면(59,60)을 지나 앞쪽으로 돌출된 돌기(57,58)를 갖추고서 리테이너수단의 환형부(47)와 걸려져 지지레그(52)에 대한 캠면(59,60)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가 하우징부재(20)에 대해 이 해제부재(25)를 축방향으로 안내해주기 위해 길이방향의 안내면(36)과 결하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탭(6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탭(62)이 가로방향 지지면(35)에 걸려져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내부공간에서부터 해제부재(25)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주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탭(62)이 하우징부재(20)속으로 도관부재(24)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굽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탭(62)이 하우징부재(20)이 가로방향개구부의 한쪽면에 걸려져 상기 해제부재(25)가 뒷쪽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또 하우징부재(2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가로방향개구부에 끼워질 때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이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 공간내부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될때 이 도관부재(24)가 하우징부재(20)에 결합될 때 이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수용되어지도록 된 1쌍의 부싱(37,38)과, 이들 부싱(37,38)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부재(20)와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 사이를 밀봉시켜 주는 1개 이상의 O-링(39,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7,38)이 하우징부재(20)에 대해 스냅맞춤식으로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길이방향공간속에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1쌍의 환형홈(37b,38b)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37,38)에는 이 환형홈(37b,38b)속에 끼워 맞춰지게된 환형돌기(37a,3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37,38)사이에 1쌍의 O-링(39,40)이 환형의 스페이서(41)에 의해 분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내부공간속에 폐쇄위치로 밀어부쳐진 밸브부재(42)가 설치되고, 이 밸브부재(42)는 도관부재(24)의 선단부(56)가 삽입됨에 따라 선단부(56)에 의해 개방위치로 변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수단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4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25)가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KR1019910007663A 1990-05-10 1991-05-09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940011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521,391 1990-05-10
US07/521,391 US5054743A (en) 1990-05-10 1990-05-10 Fluid connector
US521,391 1990-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359A KR910020359A (ko) 1991-12-20
KR940011858B1 true KR940011858B1 (ko) 1994-12-27

Family

ID=2407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663A Expired - Fee Related KR940011858B1 (ko) 1990-05-10 1991-05-09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54743A (ko)
EP (1) EP0456375B1 (ko)
JP (1) JPH05118485A (ko)
KR (1) KR940011858B1 (ko)
AU (1) AU649248B2 (ko)
DE (1) DE69113316T2 (ko)
ES (1) ES207844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418289A (da) * 1989-08-24 1991-02-25 Micro Matic As Sikringssystem for anstikker
EP0734999B1 (en) * 1995-03-31 1997-07-09 Micro Matic A/S Safety arrangement for keg coupling
US6347815B1 (en) 1995-08-31 2002-02-19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components positioned to provide continuous insertion resistance
US6129361A (en) * 1998-07-06 2000-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luid conduit seal
GB9906299D0 (en) * 1999-03-19 1999-05-12 British Broadcasting Corp Watermarking
GB2370332B (en) * 2000-12-22 2005-02-02 James Jeor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mbined connector and valve
GB2405138A (en) * 2003-07-24 2005-02-23 Bw Technologies Ltd Valves for portable flexible drinking vessels
US7850208B2 (en) * 2005-12-14 2010-12-14 Parker-Hannifin Corporation Stamped collet for push-to-connect tube fittings
FR2895058B1 (fr) * 2005-12-20 2008-03-14 Parker Hannifin France Sas Soc Coupleur rigide pour conduites de fluide sous pression, permettant la connexion de ces conduites alors que du fluide sous pression subsiste dans l'une d'elles
US20080054635A1 (en) * 2006-08-31 2008-03-06 Dayco Products, Llc High pressure fluid connector and seal
US9376789B2 (en) 2011-03-08 2016-06-28 As Ip Holdco, Llc Quick connection coupling
MX355106B (es) 2011-08-24 2018-04-05 As Ip Holdco L L C Montaje de grifo de combinación interna sin herramientas, kits y método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7175A (en) * 1968-10-08 1971-03-02 Stile Craft Mfg Inc Quick release coupling
US4601497A (en) * 1980-10-29 1986-07-22 Proprietary Technology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ES8702623A1 (es) * 1985-04-24 1987-01-01 Schmelzer Corp Un conjunto de acoplamiento de conexion para conectar de manera liberable un par de conductos de fluido entre si.
US4660803A (en) * 1986-02-26 1987-04-28 Suncast Corporation Quick coupling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liquid conduits
US4905964A (en) * 1986-08-29 1990-03-06 Fujipura Seiko Co., Ltd. Swivelable connector for tubular conduits
IT1234898B (it) * 1988-03-04 1992-06-02 Caledonia Spa Raccordo rapido per tubi.
US4846506A (en) * 1987-09-04 1989-07-11 U.S. Plast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4915421A (en) * 1988-03-30 1990-04-10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assembly
US4943091A (en) * 1988-04-07 1990-07-24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US4819908A (en) * 1988-04-12 1989-04-11 Edwards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FR2637958B1 (fr) * 1988-10-14 1990-12-28 Anoflex Flexibles Raccord, notamment pour circuit hydraulique haute pression
US4923228A (en) * 1988-12-12 1990-05-08 Aeroquip Corporation Integral quick-connect tub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6375A1 (en) 1991-11-13
DE69113316T2 (de) 1996-04-18
EP0456375B1 (en) 1995-09-27
AU649248B2 (en) 1994-05-19
AU7536491A (en) 1991-11-14
KR910020359A (ko) 1991-12-20
ES2078441T3 (es) 1995-12-16
DE69113316D1 (de) 1995-11-02
JPH05118485A (ja) 1993-05-14
US5054743A (en) 199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858B1 (ko) 유체이송도관 커넥터
US5056756A (en) Fluid connector
US5161834A (en) Fluid connector with cartridge member and release mechanism
US6916007B2 (en) Closure valve apparatus for fluid dispensing
US5897142A (en) Push-to-release quick connector
US5692784A (en) Tubing joint
CA1324627C (en) Quick connector assembly
US5161833A (en)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4934655A (en) Shutoff valve assembly
US7845684B2 (en) Quick connector
KR100314314B1 (ko) 2개의 유체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접속식 커플링
EP0667943A4 (en) QUICK CONNECTION TO EFFORTS TRANSITION AREA.
US5100182A (en) Fluid connector
US20090008927A1 (en) Coupling part for a plug connector arrangement
US20020140226A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es conduction pressure medium
US20010043833A1 (en) Coupling device of a plug-in coupling and plug-in coupling with such a coupling device
US4932431A (en) Coupling with heat fusible actuator member
US5098136A (en) Small-diameter pipe connector
KR100533816B1 (ko) 일방향 체크 밸브가 있는 퀵 커넥터
US5758905A (en) Tube joint
GB2146400A (en) Pipe coupling
US7401818B2 (en) Quick connector
EP0740755A1 (en) Releasable coupling
JP4746388B2 (ja) 高圧用途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EP1191272B1 (en) Quick coupling for hoses and pipelines with increased diffusion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12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