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10812B1 -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812B1
KR940010812B1 KR1019860008721A KR860008721A KR940010812B1 KR 940010812 B1 KR940010812 B1 KR 940010812B1 KR 1019860008721 A KR1019860008721 A KR 1019860008721A KR 860008721 A KR860008721 A KR 860008721A KR 940010812 B1 KR940010812 B1 KR 94001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rack
button
information
trac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442A (ko
Inventor
사토미 다나카
에이이치 이치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8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플로차트.
제 3 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표시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 5 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는 디스크 구동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재생헤드 6 : 표시기
7 : RF검출회로 8 : 데이터 다중검출회로
9 : 중앙처리장치(CPU) 10 : RAM
39 : 서치버튼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자기시트데스크와 같은 원반상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이것을 재생할 경우등에 사용하여 적합한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원반상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헤드의 출력으로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판별하고, 그 판별출력에 따라 각 기록트랙에 대응한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에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기억시키고, 이것을 서치버튼을 눌러 독출함으로써 전체 트랙의 기록상태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다시 기록할 수 있는 아날로그 비데오신호 기록매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원반상 기록매체에 어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표현하는 방법도 제한되어 있지 않다.
트랙정보를 사용자가 필요로 했을 경우, 버튼 1개의 조작으로 알기쉬운 표시가 표시기에 표현되는 것이 소망된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반상기록매체의 사용여부, 어느 트랙이 비어있는지 또는 사용이 끝난 트랙은 필드기록인가 프레임기록인가 등을 정보로서 표시기상에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는 원반상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원반상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는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기록트랙을 갖는 기록매체에 대해 반경반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재생헤드(1A),(1B)와, 이들 재생헤드의 출력을 받아 상기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판별하는 판별수단(7),(8)과, 이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각 기록트랙에 대응한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10)를 구비하고, 상기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킴으로써 전체 기록트랙의 기록 상태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재생헤드(1A),(1B)에 의해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기록트랙을 갖는 기록매체를 반경방향으으로 주사하고, 재생헤드의 출력에서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 즉 기록이 끝난 트랙인가 빈 트랙인가, 기록이 끝난 트랙이면 필드기록인가 프레임기록인가 등의 정보를 판별수단(7),(8)으로 판별하여 대응한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10)에 기억한다. 그리고, 특정버튼 예를 들면 서치버튼(39)을 누름으로써 전체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한꺼번에 표시기(6)에 의해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원반상기록매체에 어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즉시 식별표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실시예의 전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동 도면에 있어서, (1A),(1B)는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기록트랙을 갖는 기록매체(26)(제 6 도)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재생헤드(2)는 재생헤드(1A),(1B)에서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재생앰프이며, 재생앰프(2)로부터의 신호는 비데오처리회로(3)에서 신호처리된 다음 가산기(4)의 한쪽의 입력측에 공급되며, 이 가산기(4)의 다른 쪽입력측에 표시제어회로(5)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와 가산되어, 표시기(6)에 표시된다.
(7)은 재생앰프(2)의 출력에서, RF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RF검출회로, (8)은 RF검출회로(7)의 출력에서 그 내용이 필드기록정보인지 프레임기록정보인지, 디지탈데이터정보인지 또는 오디오정보인지 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다중검출회로이다. 데이터다중검출회로(8)로부터의 각 정보는 중앙처리장치(CPU)(9)의 제어하에 RAM (10)에 기억된다. (11)은 입출력회로, (12)는 헤드액세스회로이며, 이 헤드액세스회로(12)에 의해 재생헤드(1A),(1B)를 구동하는 모터(27)(제 6 도)가 제어된다.(13)은 헤드가 액세스하는 최초의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원점위치검출회로, (14)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ROM 이다.
지금, 디스크(26)가 사용이 끝난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고 하자. 또 사용이 끝났다면 어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빈 트랙은 있는지를 알고 싶으면,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가)에서 장치의 전원스위치버튼(21)(제 5 도)을 넣는다. 그리고 스텝(나)에서 재킷(22)(제 5 도)에 디스크(26)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삽입되기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디스크(26)가 삽입된 스텝(다)에서 로딩(loading)을 하고, 로딩하면 스텝(라)에서 자동적으로 RF신호의 서치를 하여, RF검출회로(7)에서 RF신호를 검출하며, 다시 데이터다중검출회로(8)에서 각 정보를 검출하여 RAM(10)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마)에서 서치버튼(39)(제 5 도)가 눌렸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눌려지지 않았으면 눌려질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서치버튼(39)이 눌려지면 스텝(바)에서 CPU(9)의 제어하에 RAM(10)에 기억되어 있는 각 정보가 독출되어 표시기(6)에 의해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 제 3 도에 있어서, a는 필드기록이 끝난 트랙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첫번째와 6번째와 8번째의 트랙에는 각기 필드정보가 기록되어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b,c는 프레임기록이 끝난 트랙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제 2와 제 3번째의 트랙, 제 20과 제 21번째의 트랙 및 제 22와 제 23번째의 트랙은 각기 2트랙에서 하나의 프레임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d는 디지탈데이터정보, e는 오디오 정보의 기록이 끝난 트랙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제 26번째와 제 27번째의 트랙에는 디지탈데이터정보가 기록되고, 제 29번째의 트랙에는 오디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트랙은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빈 트랙임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스텝(사)에서 서치버튼(39)의 가압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가 검출되고, 해제되지 않았으면 표시상태가 지속한다. 서치버튼(39)의 가압이 해제되면 스텝(아)로 나아가 표시기(6)에 의한 표시를 정지시킨다.
제 4 도는 제 2 도의 스텝(라)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것으로서, 스텝(자)에서 소정의 트랙 예를 들면 50번째의 트랙을 지정하고, 스텝(차)에서 그 트랙에 RF신호가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RF검출회로(7)에서 검출하고, 기록되어 있으면 스텝(카)로 나아가 그 RF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필드정보, 프레임정보, 디지탈데이터정보 또는 오디오정보 등의 어느 것에 속하는 지를 데이터다중검출회로(8)에서 검출한다. 그리고, 스텝(타)에 있어서 CPU(9)의 제어하에 그 검출한 정보를 ROM(10)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파)로 나아가 다음 트랙 즉 49번째의 트랙을 지정한다. 그리고, 스텝(차)에서 그 트랙에 아무 RF신호도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 스텝(파)로 나아간다. 그리고, 스텝(하)로 나아가 N=0인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스텝(차)로 되돌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N=0이 되면 즉 첫번째의 트랙까지의 체크가 종료하면, 스텝(카)로 나아가 서브루틴의 동작을 종료한다.
제 5 도는 본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동 도면에 있어서, (20)은 본체, (21)은 전원스위치버튼, (22)는 재킷이며, 이 재킷(22)안은 제 6 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6 도에 있어서, (23)은 스핀들모터, (24)는 이 스핀들모터(23)와 연결하는 축, (25)는 축(24)에 부착된 디스크받이, (26)은 이 디스크받이(25)에 장착되는 자기시트디스크, (27)은 헤드이송모터, (28)은 이 모터(27)에 연결된 축, (29)는 헤드(1A),(1B)가 부착되며, 디스크(26)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헤드지지체이다.
다시 제 5 도로 되돌아가 (30)은 이젝트(EJECT)버튼, (31)은 정지(STOP)버튼, (32)는 플레이(PLAY)버튼, (33) 및 (34)는 헤드이송시에 사용하는 마이너스(-)버튼 및 플러스(+)버튼, (35)는 기록(REC)버튼, (36)은 스탠바이(STANDBY)버튼이다.
(37),(38) 및 (39)는 표시기표시(CRT DISPLAY)용 버튼이며, (37)은 식별(ID)버턴, (38)은 트랙(TRACK) 버튼, (39)는 서치(SEARCH)버튼이다. 식별버튼(37)을 누르면, 기록, 스탠바이 모드시 다중기록하고자 하는 식별번호가 표시되며, 플레이모드일 때 디스크 재생중의 트랙에 다중기록되어 있는 식별번호가 표시된다. 또, 트랙버튼(38)이 눌려지면, 기록, 스탠바이모드시나 플레이모드시나 모드 현재 헤드가 있는 트랙번지가 표시된다. 서치버튼(39)을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서치한 결과가 각 정보마다 한꺼번에 표시기에 표시된다.
(40),(41),(42) 및 (43)는 기록모드일 때 사용하는 버튼이며, (40)은 필드(FIELD)버튼, (41)은 프레임(FRAME)버튼, (42)는 레뷰(REVIEW)버튼, (43)은 연속(CONT)버튼이다. 기록모드중, 필드버튼(40)을 누르면 기록정보는 필드기록되고, 프레임버튼(41)을 누르면 기록정보는 프레임기록된다. 또, 레뷰버튼(42)이 눌려지면, 현재 트랙에서 기록을 한 다음 헤드는 현재 트랙에 멎어 즉시 플레이모드로 되어 기록한 신호를 재생한다. 연속버튼(43)이 눌리고 있으면 현재 트랙에서 기록을 한 다음, 헤드는 다음의 트랙으로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정보를 기록한다.
(44),(45) 및 (46)은 입력선택용의 버튼이며, (44)는 비데오입력버튼, (45)는 RGB 입력버튼, (46)은 더빙입력버튼이다. (47)은 프레임에서 재생중인 화면을 강제적으로 필드에서 보고싶을때 눌려지는 강제필드(FIELD ONLY)버튼이며, 이 버튼(47)이 눌려지면, 메모리상태가 무시되어 모두 단독(필드)이라고 간주된 재생모드로 된다. 즉 지정트랙과 재생트랙이 일치하게 된다.
다음에, 기록모드일 때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전원스위치버튼(21)을 눌러, 디스크를 재킷(22)에 삽입한다. 디스크가 삽입되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RF서치가 실시되고, 빈 트랙정보가 메모리에 기억된다. 다음에 스탠바이버튼(36)을 누른다. 그리고 기록하고자 하는 번지에 헤드를 보낸다. 디스크의 내주방향으로 1트랙만큼 헤드를 보낼 경우 플러스버튼(34)을 1회 누르고, 디스크의 외주방향으로 1트랙만큼 헤드를 보낼 경우는 마이너스 버튼(33)을 1회 누른다. 다음에 기록버튼(35)을 눌러 기록상태로 들어간다. 그리고 기록이 종료하고 나서 정지버튼(31)을 누르면 스탠바이모드가 해제된다.또, 플레이모드를 누르면, 직접 플레이모드로 되고, 이젝트버튼(30)을 누르면, 스탠바이모드에서 직접 디스크가 이젝트된다.
다음에 재생모드일 때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전원스위치버튼(21)을 눌러, 디스크를 재킷(22)에 삽입한다. 다음에 플레이버튼(32)을 누른다. 헤드의 현재 트랙에서 플레이모드로 되어 플레이램프가 점등한다. 필드에서 기록되고 있는 트랙을 재생하고 있을 때 필드가 점등하고, 프레임에서 기록되고 있는 트랙을 재생하고 있을 때 프레임램프가 점등한다. 어느 모드도 재생시는 장치가 RF신호를 식별하여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다음에 재생하고자 하는 트랙번지에 헤드를 보낸다. 플러스버튼(34) 또는 마이너스버튼(33)을 계속 누르면 최초의 트랙은 1트랙당 소요속도, 2번째의 트랙 이후는 최초의 1트랙의 경우보다 빠른 소정속도로 헤드를 계속해서 보내므로, 표시기화면상에서는 픽쳐서치를 할 수 있다.
재생이 종료되면 정지버튼(31)을 누른다. 스탠바이, 이젝트도 받아들인다. 정지모드에서는 스핀들모터는 정지하고, 헤드의 디스크에 대한 터치는 해제된다.
그리고 재생모드에서는 트랙을 지정했을 때, 메모리에서 지정되고 있는 것이 어느것과 한쌍인지 단독인지에 따라 재생모드가 결정된다. 즉 필드정보와 프레임정보가 혼재하고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재생헤드는 최단시간으로 지정트랙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판별하여 메모리에 기억하고, 서치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전체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현재 기록매체에 어떤 정보가 어떤 상태로 기록되어 있는지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서 취급상 편리하다.

Claims (1)

  1.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기억트랙을 갖는 기록매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재생헤드와, 이 재생헤드의 출력을 받아 상기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 기록트랙에 대응한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각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킴으로써 전체 기록트랙의 기록상태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19860008721A 1985-10-23 1986-10-17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10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236570 1985-10-23
JP60236570A JPH0762949B2 (ja) 1985-10-23 1985-10-23 円盤状記録媒体を使用する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42A KR870004442A (ko) 1987-05-09
KR940010812B1 true KR940010812B1 (ko) 1994-11-16

Family

ID=1700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721A Expired - Fee Related KR940010812B1 (ko) 1985-10-23 1986-10-17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62949B2 (ko)
KR (1) KR9400108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1102A (ja) * 1982-10-15 1984-04-21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42A (ko) 1987-05-09
JPH0762949B2 (ja) 1995-07-05
JPS6297189A (ja) 1987-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4911A (en) Still imag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237180Y2 (ko)
JP2581786B2 (ja) 記録情報再生方式
KR940010812B1 (ko)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US5781689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and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areas of a medium
JPH02152084A (ja) 記録情報再生方式
KR950005107B1 (ko)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JP2940872B2 (ja) 記録情報再生装置
JPS5848282A (ja) ビデオデイスクの再生装置
JPH09198853A (ja) 再生装置
JP2696843B2 (ja) 再生方法
KR940010811B1 (ko) 원반상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
JP2697821B2 (ja) 再生装置
JPS62180686A (ja) スチル画デイスクの音声記録方式
JP2843323B2 (ja) 再生装置
JP3149215B2 (ja) スチルビデオ再生装置
US533309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an audio signal
JPH035029Y2 (ko)
JPH0250352A (ja)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
JPH0535490Y2 (ko)
EP0458372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signals from both sides of discs
JPS62223877A (ja) Vtrのデ−タ記録再生装置
JPH06309797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589638A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312858A (ja) 記録媒体再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11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1117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