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6742Y1 -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42Y1
KR940006742Y1 KR92008952U KR920008952U KR940006742Y1 KR 940006742 Y1 KR940006742 Y1 KR 940006742Y1 KR 92008952 U KR92008952 U KR 92008952U KR 920008952 U KR920008952 U KR 920008952U KR 940006742 Y1 KR940006742 Y1 KR 940006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rods
chair
rod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08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399U (ko
Inventor
조점섭
Original Assignee
조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점섭 filed Critical 조점섭
Priority to KR92008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742Y1/ko
Publication of KR930025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3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4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제2a도는 머리받이를 사용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제2b도는 머리받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리받이 2a, 2b : 고정봉
3a, 3b : 걸림홈 4, 7 : 삽입돌부
5a, 5b : 연결봉 6, 9 : 삽입홈
6', 9' : 만곡면 8a, 8b : 주봉
10, 11 : 핀축 12a, 12b : 직립유지구
13a, 13b : 탄편 14 : 고정나사
15a, 15b : 판스프링 16a, 16b : 걸고리
17a, 17b : 손잡이 18 : 보울트
본 고안은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에 별도로 장착되도록 구성된 머리받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및 승합차의 의자는 탑승자의 체형(신장)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머리받이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의자의 등판을 뉘어 좌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차내 공간을 활용할 목적으로 머리받이를 분리, 결합되도록 별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머리받이는 의자와 결합한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측, 후방시야를 가리게 되거나 뒷좌석 탑승자의 전방시야를 가리게 되어 운전중의 돌발사태를 예측하지 못하게 되므로 대형 사고의 발생 빈도가 잦았던 것이다.
이러한 사고를 우려하여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머리 받이를 제거(특히, 운전석 옆자리의 조수석)한채 자동차를 운행하고 있어 이 의자에 사람이 탑승치 않았을 경우에는 사고의 우려를 어느정도 예방할수는 있었으나, 머리받이가 제거된 의자에 사람이 탑승할 경우 사고가 발발케되면 목뼈를 다치게 되는 등 오히려 더큰 위험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없었으며, 또한 머리받이를 결합하였다 하더라도 의자와 머리받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이 단순한 봉체로 구성되므로서 경미한 접촉사고의 경우에는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으나, 대형 충돌사고의 경우 머리의 중량과 머리받이 완충제의 탄력에 의해 반동력이 작용하여 머리가 머리받이에 반복해서 부딪히게 되므로 뇌 및 목뼈에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중대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없는 의자의 머리받이는 절첩하여 시야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탑승자가 있는 의자의 머리받이는 직립시키되 충돌사고 발생시 머리받이가 충격을 흡수하여 위험으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충재로 되는 머리받이(1)의 하부 양측에 고정보(2a)(2b)을 설치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고정봉(2a)(2b)을 연결봉(5a)(5b)과 주봉(8a)(8b)으로 분할하여 이들을 핀축(10)(11)으로 연결하되, 각 삽입홈(6)(9)에 각기 삽입돌부(4)(7)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주봉(8a)(8b)의 전방 상단과 연결봉(5a)(5b)의 후방 상단에는 각기 만곡면(6')(9')을 형성하고 주봉(8a)(8b)의 후방에는 탄편(13a)(13b)을 갖는 직립유지구(12a)(12b)를 고정나사(14)로 고정하며, 연결봉(5a)(5b)의 후방에는 순잡이(17a)(17b) 및 걸고리(16a)(16b)가 형성된 판스프링(15a)(15b)을 보울트(18)로 결합하되, 고정봉(2a)(2b)의 후방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3a)(3b)을 형성하여 판스프링(15a)(15b)의 걸고리(16a)(16b)가 선택 삽입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자동차 의자의 등판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의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자의 등판(19)에 주봉(8a)(8b)을 삽입고정하여 사용케 되는 것으로, 자동차를 운행하기 전에 탑승자가 없는 의자는 머리받이(1)를 앞으로 밀게되면, 도면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봉(5a)(5b)이 직립유지구(12a)(12b)의 탄편(13a)(13b)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핀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머리받이(1)가 전방으로 절첩되므로 운전자의 측후방시야와 뒷좌석 탑승자의 전방시야가 개방되어 돌발 사태로부터 대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고시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이때 고정봉(2a)(2b)은 하단이 연결봉(5a)(5b)의 상단과 긴밀히 접촉되고 후방은 판스프링(15a)(15b)으로 탄력지지된 상태이어서 고정봉(2a)(2b)은 연결봉(5a)(5b)과 일직선상을 유지하면서 연결봉(5a)(5b)만이 주봉(8a)(8b)의 만곡면(9')을 따라 회전절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의자에 탑승자가 있을 경우에는 머리받이(1)를 들어올리게 되면, 도면 제2a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봉(5a)(5b)이 탄편(13a)(13b) 사이로 강제 삽입되면서 머리받이(1)는 직립을 유지케 되는것으로 자동차 운행중 후방으로 부터의 충돌사고 발생시 관성에 의해 머리가 머리받이(1)를 가격하게 되는바, 이때 연결봉(5a)(5b)은 주봉(8a)(8b)의 후방상단과 직립유지구(12a)(12b)에 의해 후방으로의 절곡이 저지된 상태에서 고정봉(2a)(2b)이 판스프링(15a)(15b)을 강제로 밀면서 핀축(10)을 중심으로 회전, 절곡되므로 판스프링(15a)(15b)의 탄력이 머리받이(1)의 완충효과와 더불어 머리의 충격을 흡수하여 머리가 반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탑승자의 뇌의 손상이나 목뼈의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인데, 충돌시 후방으로 절곡되는 고정봉(2a)(2b)은 충격정도에 비례하여 판스프링(15a)(15b)이 휘어지면서 걸고리(16a)(16b)가 걸림홈(3a)(3b)을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되어 머리받이(1)는 임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케되므로, 이를 다시 원상복귀시키기 위하여는 머리받이(1)를 약간만 뒤로 밀면서 손잡이(17a)(17b)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걸림홈(3a)(3b)으로 부터 걸고리(16a)(16b)가 이탈되게 한 다음 머리받이(1)를 직립시켜 손잡이를 놓게 되면 탄력에 의해 걸고리(16a)(16b)가 최하단의 걸림홈(3a)(3b)에 삽입되면서 고정봉(2a)(2b)을 직립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판스프링(15a)(15b)은 평상운행시 탑승자의 체중을 받쳐줄 정도의 탄력을 가지면서도 후방으로의 충돌이가해지는 순간 충격에 의해 적절한 정도로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탄력 및 강도를 가져야 하는바, 이를위하여는 겹판스프링이 바람직함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의자에 설치되는 머리받이를 절첩 또는 탄력절곡도도록 하므로서, 머리받이의 사용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전,후,측방의 시야를 넓혀주어 돌발사고로 부터 탑승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함은 물론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사고시에도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지대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완충제로 되는 머리받이(1)의 저부 양측에 고정봉(2a)(2b)을 설치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고정봉(2a)(2b)을 연결봉(5a)(5b)와 주봉(8a)(8b)으로 분할하여 각기 핀축(10)(11)으로 연결하고, 주봉(8a)(8b)의 후방에 탄편(13a)(13b)을 갖는 직립유지구(12a)(12b)를 설치하며, 연결봉(5a)(5b)의 후방에는 손잡이(17a)(17b)와 걸고리(16a)(16b)가 형성된 판스프링(15a)(15b)을 설치하여 고정봉(2a)(2b)의 후방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한 걸림홈(3a)(3b)에 탄력지지되도록 하여서 된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KR92008952U 1992-05-23 1992-05-23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952U KR940006742Y1 (ko) 1992-05-23 1992-05-23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952U KR940006742Y1 (ko) 1992-05-23 1992-05-23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399U KR930025399U (ko) 1993-12-20
KR940006742Y1 true KR940006742Y1 (ko) 1994-09-28

Family

ID=1933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952U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742Y1 (ko) 1992-05-23 1992-05-23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41B1 (ko) * 2008-07-03 2011-04-29 김우성 완충기능이 구비된 헤드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41B1 (ko) * 2008-07-03 2011-04-29 김우성 완충기능이 구비된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399U (ko) 199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0156B2 (en) A vehicle seat
EP1078811B1 (en) Seatback for automobile
JP2660115B2 (ja) 幼児用座席を受ける起立可能な中央部品を具備する自動車用座席ユニット
EP1368210B1 (en) Safety headrest for a motor vehicle
EP0769414A3 (en) Automatic safety car seats and sheet-type safety-belt
KR940006742Y1 (ko)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JPH10309968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リバウンド抑制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2000201769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US5857751A (en) Airbag barrier cage
JP3595692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0201770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10031807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JPH0665076U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842327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조
JP2000236985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0127826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970005896Y1 (ko)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JP2000210156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0139796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완충장치
KR100551780B1 (ko) 자동차의 서브마린 방지용 승객 구속장치
JP3578920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3595693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JP3595694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H10295489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リバウンド抑制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5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05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2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2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