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6256B1 -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256B1
KR940006256B1 KR1019920003769A KR920003769A KR940006256B1 KR 940006256 B1 KR940006256 B1 KR 940006256B1 KR 1019920003769 A KR1019920003769 A KR 1019920003769A KR 920003769 A KR920003769 A KR 920003769A KR 940006256 B1 KR940006256 B1 KR 94000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quaternary ammonium
ammonium salt
softener
fabric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922A (ko
Inventor
궁리환
이병민
박종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강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강박광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2000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256B1/ko
Publication of KR93001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4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06M13/256Sulfonated compounds esters thereof, e.g. sul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1Polyamines polyim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본 발명은 이미다졸린계(I)와 디아미드계(II)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지는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R은 탄소수가 12∼20의 알킬기이고, R1은 수소, 메틸기등이다.)
종래에 있어서 이미다졸린계 유연제는 지방산과 디에틸렌트리아민(DETA)을 탈수반응한 후 디메틸설페이트로 사차화하여 얻는다. 이 이미다졸린계 유연제는 유연성도 가지고 있지만, 그 보다는 대전성이 다른 양이온 유연제보다도 우수하다. 유연성이 우수한 유연제는 탄소수가 14∼18개인 알킬기가 한개이상 있어야 하며, 또한 섬유의 음전하 분자와 작용할 수 있는 양이 온전하를 가져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유연제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ADMAC)로서 유연성은 좋으나, 고농도형으로는 부적절하다. 이 DADMAC와 유사한 형으로 디아미드계 유연제로서 N, N'-디아실디에틸렌비스히드록시알킬트리아민메틸설페이트(II)가 개발되었다. 이 유연제(II)와 이미다졸린계 유연제를 조성하여 고농도형 섬유유연제의 조성물을 얻었다. 이 섬유유연제는 DADMAC나 이미다졸린 유연제보다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냈고, 대전방지성은 전기(II)의 물질보다 향상되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지방산과 DETA를 150℃, 1mmHg를 유지하면서 4시간 반응시켜 98%(UV로 확인)수율로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디알킬이미다졸린에 디메틸설페이트(DMS)를 작용시켜 이미다졸린 유연제(I)을 합성하였다. 또한, 이미다졸린제조시 생성되는 부산물인 디아미도아민은 생성된 이미다졸린을 가수분해하면 97%의 수율로 얻는다. 이 디아미도아민에 에폭사이드를 작용시킨후, DMS를 첨가하여 디아마이드계 유연제(II)를 합성하였다. 이 두 유연제(I)3 : 유연제(II)7의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의 유연성 및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던바, 유연성이 향상되었고, 대전방지성도 디아미드계 유연제보다 우수함을 알았다.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교반기, 환류냉각기. 딘스타크장치 및 온도계가 설치된 1ℓ 4구 등근바닥 플라스크에 올레인산 282gm(1mole)을 첨가하고, 온도를 60∼70℃로 올린후, 이에 52g (0.5mole)의 DETA를 천천히 첨가한후, 반응온도 및 압력을 150℃, 1torr로 유지하면서 5시간 탈수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의 온도를 40℃로 낮춘뒤 63g(0.5mole)DMS를 천천히 첨가하여 올레일이미다졸린메틸설페이트(OM)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한편 N, N'-디올레일디에틸렌비스히드록시프로필트리아민메틸설페이트(DOM)은 282gm(1mole)의 올레인산과 51.5g(0.5mole)의 DETA를 반응시켜 탈수시킨후 9g(0.5mole)의 물을 90℃에서 첨가후 3시간 반응시킨 것을 80∼90℃로 유지하면서 이에 58g(1mole)프로필렌옥사이드를 첨가한 후 4시간 더 반응시킨것을 약 40℃에서 63g(0.5mole)의 DMS를 첨가하여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OM 3 : DOM 7의 조성물을 조제하고 유연성과 대전방지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OM과 DOM의 혼합조성물의 물성시험표
(0.25% 용액)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올레인산 대신에 280g(1mole)우지지방산을, 프로필렌 옥사이드 대신 44g(1mole) 에틸렌 옥사이드를 사용한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TM과 DTM을 얻었다.
TM : 탈로우우지이미다졸린메틸설페이트,
DTM : N, N'-디탈로우우지디에틸렌비스히드록시에틸트리아민메틸설페이트
TM 3 : DTM 7의 조성물을 조제하고 유연성과 대전방지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DM과 DTM의 혼합조성물의 물성시험표
(0.25%)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올레인산 대신에 292g 탈로우를 사용한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TwM과 DTwM을 얻었다.
TwM : 탈로우이미다졸메틸 설페이트
DTwM : N, N'-디탈로우디에틸렌비스히드록시프로필트리아민메틸설페이트
TwM 3 : DTwM 7의 조성물을 조제하고, 유연성과 대전방지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TwM과 DTwM 혼합조성물의 물성시험표
(0.25%)
실시예 1, 2,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섬유의 유연성이 향상되었고, 대전방지성도 디아미드계 유연제보다 향상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N, N'-디아실디에틸렌비스히드록시알킬트리아민메틸설페이트 : 디알킬이미다졸린메틸설페이트 = 7 : 3으로 하여서 된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디알킬은 탄소수 12∼20의 아실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알킬은 히드록시에틸, 히드록시프로필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KR1019920003769A 1992-03-07 1992-03-07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KR94000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769A KR940006256B1 (ko) 1992-03-07 1992-03-07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769A KR940006256B1 (ko) 1992-03-07 1992-03-07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22A KR930019922A (ko) 1993-10-19
KR940006256B1 true KR940006256B1 (ko) 1994-07-13

Family

ID=1933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769A KR940006256B1 (ko) 1992-03-07 1992-03-07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920A1 (de) * 1996-08-16 1998-02-26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Textilausrüstungsmitt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920A1 (de) * 1996-08-16 1998-02-26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Textilausrüstung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22A (ko) 199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0272A (en) Alkoxylated quaternary ammonium surfactants
US3887476A (en) Quaternary ammonium derivatives of bisimidazoline compounds for use as fabric softeners
US476430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is-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6414170B1 (en) Preparation of cationic surfactants containing ester group in molecules
US4395373A (en) Phosphated amine oxides
KR940006256B1 (ko) 사차 암모늄염 섬유 유연제의 조성물
JPH1087576A (ja) ポリエステル化ポリ4級化合物、それらを含む組成物、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EP052527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aternary compounds
CN101885706B (zh) 一种高得率咪唑啉季铵盐型纸张柔软剂的制备方法
CA2019551A1 (en) Quaternize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JP3984406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KR100468620B1 (ko) 섬유 유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4341B1 (ko) 제미니형 계면활성제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US6180806B1 (en) Glyceryl phosphobetaine compounds
KR940006255B1 (ko) 섬유 유연제인 n, n'-디아실디에틸렌비스히드록시알킬트리아민메틸설페이트의 제조방법
CN106758211A (zh) 一种环保型柔软剂及其制备方法
KR100785086B1 (ko) 투명한 섬유유연제 제조용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
US5298656A (en) Ester quaternary compounds
KR100649306B1 (ko) 비대칭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함유 에스테르 아미드형암모늄염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섬유유연제 조성물
US5350858A (en) Imidazolinium ester quaternary compounds
KR100834483B1 (ko)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
JPS58201759A (ja) ベンタイン−アミンオキシド類、その製造方法および界面活性剤としてのその用途
KR100345192B1 (ko) 분자내에 에스테르기를 가지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
KR970011942B1 (ko) 액체 고농축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0797973B1 (ko)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6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