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5263Y1 -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 Google Patents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263Y1
KR940005263Y1 KR92006433U KR920006433U KR940005263Y1 KR 940005263 Y1 KR940005263 Y1 KR 940005263Y1 KR 92006433 U KR92006433 U KR 92006433U KR 920006433 U KR920006433 U KR 920006433U KR 940005263 Y1 KR940005263 Y1 KR 940005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opening device
tappet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06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659U (ko
Inventor
최민영
Original Assignee
최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영 filed Critical 최민영
Priority to KR92006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263Y1/ko
Publication of KR930023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6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83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linking to the drive syste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종광개구 장치의 카바를 분리한 설치상태 평면도.
제3(a)도, 제3(b)도는 제2도의 A-A'선에 대한 작동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싱 5, 5' : 기어
6, 6' : 구동축 7, 7' : 작동레버
8, 8' : 작동축 10 : 종광틀
12, 12' : 결속구
본 고안은 태핏직기의 종광 개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것이다.
종래의 종광개구 장치는 다수의 캠들로 구성하여 이들의 연관작동에 의해 종광틀이 교호로 개구되게 하였으므로, 종광틀의 유동이 심하고 캠 및 그 주변부품의 마모, 고장이 빈발하며, 개구조절이 어려움은 물론 작업속도가 제한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유발된다.
이를 개선할수 있는 것으로서 본 출원서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제 91-4870호에서는, 승강간의 작동에 연동하는 연결간의 축봉상하부에 작동레버를 설치하여, 이들의 축봉을 중심으로하여 소정구간 왕복회동하며 각각의 종광틀을 교호로 개구비시키게 함으로써 기구적 구성을 최소화하고 개구조절이 용이하게 된 종광개구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며, 실제사용결과 매우 우수한 기능을 나타냄이 입증되었다.
본 고안은 이를 좀더 개량하여 그 설치공간을 최소화 함으로써 비교적 복잡한 태핏직기의 다양한 구조적 형태에 구애됨 없이 설치 사용할수 있는 호환성을 확대하고, 종관틀을 교호로 개구시키기 위한 상대적 왕복작동은 기어의 치합에 의해 동일한 비교운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작동신뢰도를 대폭향상 시킬수 있게된 태핏직기의 종광 개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본 고안 종광개구장치(1)는 제1도 이하에서와 같이, 외면에 다수의 고정구(2a)를 구비하여 태핏직기(3)의 프레임(4) 상단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싱(2)의 내부에, 기어(5)(5')로 치합되어 서로 대향 회동하는 한쌍의 구동축(6)(6')을 설치하여 그 어느 일측구동축의 돌출단에 승강간(13)에 의해 피동하는 연결간(14)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구동축(6)(6')에는 각각 등간격으로 다수의 작동레버(7)(7')가 서로 어긋나게 대칭적으로 형성된 작동축(8)(8')을 끼워 일정각도로 고정시킨후 작동레버(7)(7')의 걸림홈(9)(9')에 종광틀(10)과 연결된 연결로우프(11)(11')의 결속구(12)(12')가 걸리도록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카바이고, 15는 안내풀리이며, 16은 스프링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 종광개구장치(1)는 제3(a)도에서와 같이 상승간(13)에 의해 연결간(14)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작동축(8)(8')에 구비된 작동레버(7)(7')들이 엇갈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우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는 결속구(12')를 당기지 않은 상태(종광틀의 하강)가 되고, 좌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는 결속구(12)를 최대로 당긴상태(종광틀의 개구)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간(13)에 의해 연결간(14)이 하강하여 구동축(6')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기어(5)(5')로 치합된 타측의 구동축(6)은 반시계 방향으로 대향구동하게 되며, 이때에는, 제3(b)도에서와 같이 우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가 하강된 종광틀(10)측으로 연결된 연결로우프(11')의 결속구(12')를 최대로 당기게되고, 좌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는 개구된 연결로우프(11)의 결속구(12)를 원위치(종광틀의 하강)로 복귀시키게 된다.
결국, 연결간(14)의 승강회동은 기어(5)(5')로 치합된 양구동축(6)(6')의 비교방향 구동을 유발하고, 이 구동축(6)(6')에 고정된 작동축(8)(8')의 각 작동레버(7)(7')도 비교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결속구(12)(12')를 당기게 되므로 연결로우프(11)(11')가 연결된 각종광틀(10)은 교호로 승강하며 개구시키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 종광개구장치(11)에 의하면, 작동레버(7)(7')들이 프레임(4)의 상부에서 교호로 설치되어 설치공간이 최소화 되므로 프레임(4)하부에 설치되는 다른 기구적 장치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고도 종광틀(10)을 승강작동시키게 되어 태핏 직기(3)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수 있는 호환성이 대폭 확대되고, 작동레버(7)(7')의 작동이 기어(5)(5')에 의해 동일 구간 대향적으로 되므로 작동이 원활함은 물론 고장발생 우려가 낮아 작동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으며 구조가 간편하여 제작하기가 좋은 등의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승강간에 연동하는 연결간에 동기되어 종광틀에 고정된 연결로우프의 결속구를 당기거나 복귀시켜 종광을 개구시키게 된 개구장치에 있어서, 태핏직기의 프레임 상단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싱(2)의 내부에, 서로 대향 구동하도록 기어(5)(5')로 치합되는 한쌍의 구동축(6)(6')을 설치하여 양측구동축(6)(6')에 각각 작동레버(7)(7')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작동축(8)(8')을 끼워 고정하고 일측구동축(6') 외측단에 승강간(13)의 연결간(14)을 접속시킨 태핏직기의 종광 개구장치.
KR92006433U 1992-04-15 1992-04-15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5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433U KR940005263Y1 (ko) 1992-04-15 1992-04-15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433U KR940005263Y1 (ko) 1992-04-15 1992-04-15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59U KR930023659U (ko) 1993-11-26
KR940005263Y1 true KR940005263Y1 (ko) 1994-08-06

Family

ID=1933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433U Expired - Fee Related KR940005263Y1 (ko) 1992-04-15 1992-04-15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2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59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460B1 (ko) 직조기를위한구동장치
EP1516947B2 (de) Schaftantrieb für Webmaschinenschäfte
US4936369A (en) Vertical blind with louver rotation control
KR102217223B1 (ko)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KR940005263Y1 (ko) 태핏직기의 종광개구장치
CN1186880A (zh) 旋转式多臂机构及装有该多臂机构的织布机
CN211171102U (zh) 针织机械的起底板锁定装置
CN211284786U (zh) 针织机械中牵拉机构的控制装置
CN109629946B (zh) 一种基于凸轮传动的人员闸门驱动机构
CN209083928U (zh) 一种机械式自动换向机构
EP0882824B1 (en) Mechanism to select the slow running condition and find the pick in weaving looms
KR100213137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3136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265291B1 (ko) 레피아직기의 위입조절장치
KR920006577Y1 (ko) 환편기의 스팃취 캠(Stitch Cam)조절장치
RU2090675C1 (ru) Ремизоподъемная каретка к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KR100200792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CN209694938U (zh) 烹饪器具的上盖组件和烹饪器具
KR200178247Y1 (ko) 전자 도비기
KR920007638Y1 (ko) 원형직기의 캠원통 구동장치
SU598983A1 (ru) Механизм розыска "раза" к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DE102005010807B3 (de) Schaftantrieb für Webmaschinenschäfte
RU1802002C (ru) Кулачковый зевообразова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к бесчелночному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KR0153144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로킹장치
KR100218956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4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032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7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0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10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