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4829B1 -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829B1
KR940004829B1 KR1019880011932A KR880011932A KR940004829B1 KR 940004829 B1 KR940004829 B1 KR 940004829B1 KR 1019880011932 A KR1019880011932 A KR 1019880011932A KR 880011932 A KR880011932 A KR 880011932A KR 940004829 B1 KR940004829 B1 KR 94000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isplay
control signal
signal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434A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8001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829B1/ko
Publication of KR90000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 회로도.
제3a도의는 릴센서회로도.
제3b도 및 c도는 각각 종래 및 본 발명의 릴플레이트.
제4도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 스위치 구성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플레이트(Reel Plate PT1: 포토트랜지스터
LED1-LED7, LED10: 발광다이오드 OR1-OR4: 오아게이트
AND1-AND4: 앤드게이트
본 발명은 브이씨알 구동중 테이프의 잔량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중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탑로딩(Top-Loading) 방식의 브이씨알에서는 테이프 잔량이 어느정도인지를 육안으로 대강 알 수 있었으나, 근래의 프론트로딩(Front-Loading) 방식의 브이씨알에서는 테이프를 볼 수 없기 때문에 테이프 잔량 정도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하던 테이프로 녹화할 때, 특히 예약녹화 할 때 녹화하려는 프로그램시간에 대해 테이프 잔량이 충분한지를 알수 없어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최근에는 테이프의 잔량에 따라 달라지는 공급릴의 회전주기를 감지한 후 파형 정형회로, 미분기, 분주기, 카운터 및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순차로 통해 샘플링/홀드하고, 그 신호값에 따라 제어마이컴에서 테이프 잔량시간을 계산한 후 그 잔량시간을 표시하여 주는 기술이 알려졌으나, 이는 그의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그 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테이프의 잔량을 시간으로 표시하여 주므로 시각적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공급릴 펄스수 및 권취릴 펄스수의 차이로부터 테이프의 잔량을 검출하고, 그 테이프 잔량 검출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순차 누적 점등시켜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이씨알의 권취릴 및 공급릴에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릴센서를 설치하면, 릴플레이트(1)가 회전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10)의 빛은 릴플레이트(1)에 의해 반사 및 투과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1)가 온, 오프되므로 각각의 릴센서에서 릴펄스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권취릴펄스 및 공급릴펄스를 소정시간동안 계수한 값을 각각 권취릴펄스수(B), 공급릴펄스수(A)라 할 때, 테이프의 주행속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권취릴 및 공급릴에 감겨있는 테이프의 양이 달라지면 권취릴펄스수(B) 및 공급릴펄스수(A)의 값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릴에 감겨있는 테이프의 양, 즉 테이프의 잔량에 따라 공급릴펄스수와 권취릴펄스수의 차(A-B)가 달라지므로 A-B의 값을 일정간격으로 8등분하여, 그 각각을 테이프 잔량 설정값
Figure kpo00001
(K=0, 1, 2, 3, 4, 5, 6, 7)이라 하고,
Figure kpo00002
은 테이프 잔량이 최대임을 나타내고,
Figure kpo00003
은 최소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테이프 종류에 따라 서로다른 테이프 잔량이 설정값(
Figure kpo00004
)을 마이콤에 기억시킨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의 표시방법 흐름도 및 표시장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이씨알의 구동시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표시장치 스위치를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온시키면, 그 테이프종류에 따라 테이프 잔량 설정값(
Figure kpo00005
)이 얽혀져 소정시간동안의 공급릴펄스수(A)와 권취릴펄스수(B)의 차, 즉 A-B가 어느 테이프 잔량 설정값(
Figure kpo00006
)에 해당되는지 판단된 뒤 테이프 잔량 설정값(
Figure kpo00007
)의 K에 대한 2진데이타(xyz)2가 마이콤의 각 비트신호 출력단자(X), (Y), (Z)로부터 출력된다.
또, 테이프 잔량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표시장치를 구성한다. 즉 출력단자(X)의 비트(x) 신호는 오아게이트(OR1-OR3) 및 앤드게이트(AND2-AND4)의 입력단자에, 출력단자(Y)의 비트(y)신호는 오아게이트(OR1, OR2, OR4) 및 앤드게이트(AND1, AND3, AND4)의 입력단자에 출력단자(Z)의 비트(z)신호는 오아게이트(OR11, OR4) 및 앤드게이트(AND1, AND4)의 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게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신호 및 오아게이트(OR4)의 출력신호가 상기 오아게이트(OR3) 및 앤드게이트(AND2)의 입력단자에 각각 인가되게 접속하여, 상기 오아게이트(OR1),(OR2),(OR3)의 출력단자측에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를 각기 접속하고, 출력단자(X)에 발광다이오드(LED4)를 접속하여, 상기 앤드게이트(AND2),(AND3),(AND4)의 출력단자측에 발광다이오드(LED5), (LED6), (LED7)를 각각 접속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테이프 잔량이 최대일 때 발광다이오드 (LED1-LED7)는 모두 소등되고, 최소일 때 발광다이오드 (LED1-LED7)가 모두 점등된다. 예를 들면, 소정시간동안의 공급릴펄스수가 권취릴펄스수의 차, A-B가 T3일 때 K=3이므로 (xyz)2=(Φ11)2이다. 이때 오아게이트(OR1-OR3)의 출력단자로만 고전위신호가 출력되어 발광다이오드(LED1-LED3)가 점등된다. 또 A-B=T6일 때 K=6이므로 (xyz)2=(11Φ)2이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LED1-LED6)에 고전위신호가 인가되어 그들이 점등된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3b도와 같은 종래의 릴플레이트를 제3c도와 같은 릴플레이트로 교체하면 릴플레이트의 1회전에 대한 릴펄스수가 증가되므로 소정시간동안의 공급릴펄스수와 권취릴펄스수의 차, A-B가 정확해져 표시장치가 보다 더 정확하게 동작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화시 시간배분이 용이하고, 특히 예약녹화시에 방송프로그램을 모두 녹화할 수 있으며, 2개의 릴센서로 일정주기 릴카운트하여 테이프 잔량 범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그 테이프 잔량을 발광다이오드의 순차 누적 점등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시각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테이프의 잔량 표시를 위한 스위치가 온되면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에 대한 테이프 잔량 설정값을 읽는 단계와, 소정시간동안의 공급릴펄스수와 권취릴펄스수의 차를 계산하여 상기 테이프 잔량 설정값중 어느값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테이프 잔량 설정값을 대표하는 대표값에 대한 2진데이타를 출력하여 테이프 잔량을 점등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2. 공급릴과 권취릴의 회전주기를 각기 감지하는 릴회전 감지수단과, 이 릴회전 감지수단에서 출력되어 데이타로 변환된 릴펄스값을 입력받고 테이프의 종류에 따른 테이프 잔량을 계산하여 이진테이타의 표시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이진 데이타로 출력되는 표시 제어신호를 논리조합하여 순차 누적표시 구동신호로 변환출력시키는 제어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어신호 변환수단으로 출력되는 순차 누적 표시 구동신호에 따라 순차 누적 표시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변환수단은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x, y, z)중 표시제어신호(x)를 4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직접 출력하고, 상기 표시제어신호(x, y, z)를 논리합하여 1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1)와, 상기 표시제어신호(x, y)를 논리합하여 2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2)와, 상기 표시제어신호(y, z)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신호 및 상기 표시제어신호(x)를 논리합하여 3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3)와, 상기 표시제어신호(y, z)를 논리합하는 오아게이트(OR4)의 출력신호 및 상기 표시제어신호(x)를 논리곱하여 5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D2)와, 상기 표시제어신호(x, y)를 논리곱하여 6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D3)와, 상기 표시제어신호(x, y, z)를 논리곱하여 7차 누적표시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D4)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잔량 표시장치.
KR1019880011932A 1988-09-15 1988-09-15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KR94000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932A KR940004829B1 (ko) 1988-09-15 1988-09-15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932A KR940004829B1 (ko) 1988-09-15 1988-09-15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434A KR900005434A (ko) 1990-04-14
KR940004829B1 true KR940004829B1 (ko) 1994-06-01

Family

ID=1927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932A KR940004829B1 (ko) 1988-09-15 1988-09-15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78B1 (ko) * 2006-03-15 2007-08-01 강태천 카세트테이프플레이어의 카세트테이프 잔량 표시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434A (ko) 199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2574A (en) Digital display tape measure with photoelectric sensing of tape displacement
US4406996A (en) Intensity compensator circuit for optical sensor in bank note machine
US4890392A (en) Digital tape measure
US4065968A (en) Liquid level measuring apparatus
US7146743B2 (en) Length measuring instrument
US3987278A (en) Moving object identifying system
US4217615A (en) Tape measurement and position system
US3936745A (en) Method of measuring the duration of a discontinuous signal
KR940004829B1 (ko)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EP0168640A2 (en) Electronic thermometer detecting and displaying rising; falling, and stable temperature conditions
US4369365A (en) Correction for scan period variation in optical image scanners
US4373796A (en) Film end detector for use in automatic film winding camera
US4600959A (en) Tape measuring method
US4315329A (en) Load measuring device for the gear train of a timepiece
JPS55124010A (en) Voice outputting type measuring device
GB2236858A (en) Dual encoder for electronic tape measure
KR100200844B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종료 판단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100206779B1 (ko) 테이프 잔량 연산 방법 및 장치
JPS6128420Y2 (ko)
US3482441A (e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timing method and device
JPH0329749Y2 (ko)
JP2946703B2 (ja) トリガ発生装置
SU452001A1 (ru) Измерительно-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параметров быстропеременных и пульсирующих потоков жидкостей
JPS6129478A (ja) カセツトテ−プのテ−プ厚さ自動判別方法
JPH08159817A (ja) 小型データ収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9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09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3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3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40831

Appeal identifier: 1994201000116

Request date: 1994012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1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309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504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4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4032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