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4643B1 -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 Google Patents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643B1
KR940004643B1 KR1019900016239A KR900016239A KR940004643B1 KR 940004643 B1 KR940004643 B1 KR 940004643B1 KR 1019900016239 A KR1019900016239 A KR 1019900016239A KR 900016239 A KR900016239 A KR 900016239A KR 940004643 B1 KR940004643 B1 KR 94000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extrusion
furnace
motor
forc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366A (ko
Inventor
테루카즈 가와노
Original Assignee
테루카즈 가와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카즈 가와노 filed Critical 테루카즈 가와노
Publication of KR91000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3도는, 감속 모우터가 착설된 케이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탄환장진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강제압출회전부재
3 : 모우터 4 : 수납실
5 : 회전로 6 : 압출로
7 : 격벽 8 : 개폐 뚜껑
9 : 회전축 10 : 스프링
11 : 리미트 스위치 12 : 노즐
13 : 리미트 스위치 14 :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모델총의 매거진에 복수의 탄환을 장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델총의 매거진은, 복수의 탄환을 장진할 수 있다.
매거진에 장진된 탄환은,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압출되는 기구로 하고 있다.
탄환을 스프링으로 1발씩 압출하기 위하여, 매거진에는, 탄환을 1열로 나란히 수납하고 있다.
이 구조의 매거진은, 탄환을 강제적으로 밀어 넣을 필요가 있다. 탄환을 밀어넣는때에, 매거진의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환의 장진에 매우 힘들다는 결점이 있다.
탄환의 장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탄환을 매거진에 장진하려면, 탄환을 1발씩 밀어넣어 스프링을 압축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으로는 장진에 현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환의 장진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탄환장진장치는, 통형상의 케이싱에, 압출봉을 끼워통한 기구를 하고 있다.
이 탄환장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한다.
① 압출봉을 끌어당긴 상태에서, 케이싱에 탄환을 넣는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에는 1열로 나란하게 복수의 탄환이 장진된다.
② 케이싱으로부터 매거진에 탄환을 밀어넣기 위하여, 탄환장진장치의 케이싱 개구끝단을, 매거진의 탄환충전구멍에 댄다.
③ 이 상태에서, 압출봉을 통형상의 케이싱으로 밀어넣어, 내부의 탄환을 강제적으로 압축하여 매거진에 밀어 넣는다.
이러한 구조의 탄환장진장치는, 손으로 1발씩 탄환을 장진하는 것에 비교하여, 빠르게 장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탄환장진장치는, 통형상의 케이싱에 탄환을 넣는데에 수고가 든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매거진에 장탄하는데에 시간과 수고가 들기 때문에, 모델총과 한꺼번에, 복수의 매거진이 사용되고 있다.
즉, 장탄하는 때에는, 복수의 매거진에 한꺼번에 장탄하고, 모델총을 사용하는 때에는, 매거진의 탄환을 발사하고 난때마다, 별개의 매거진을 모델총에 장진하여 사용하고 있다.
매거진에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장탄할 수 있으면, 한개의 모델총에 복수의 매거진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매거진으로부터 탄환을 발사하고난 때마다, 단시간에 장탄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탄환장진장치의 결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또한 매우 짧은 시간에 탄환을 장진할 수 있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단일의 매거진을 사용하여, 모델총에 단시간에 장탄이 가능한 탈환장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을 갖추고 있다.
(a) 탄환장진장치는, 다수의 탄환을 넣는 케이싱(1)과, 탄환을 강제적으로 압출하는 강제압출회전부재(2)와, 강제압출회전부재(2)를 회전구동하는 감속 모우터(3)를 구비한다.
(b) 케이싱(1)은, 내부에, 다수의 탄환을 수납하는 수납실(4)과,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이 자유롭게 배열설치되어 있는 회전로(5)와, 탄환을 나란하게 보내는 압출로(6)을 구비한다.
(c) 수납실(4)에 비축된 탄환은, 1열로 나란하게 되고, 회전로(5)로부터 압출로(6)로 이송된다.
따라서, 회전로(5)는 수납실(4)에 연결되고, 압출로(6)는, 회전로(5)를 통하여 수납실(4)에 연결되어 있다.
(d) 회전로(5)는, 회전하는 강제 암출회전부재(2)에서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원호형상을 하고 있다.
(e) 회전로(5)는, 수납실(4)로부터 넣어진 탄환을 수납실(4)로 되돌아가지 않고 압출로(6)로 압출할 수 있도록, 바꿔말하면, 압출로(6)와 수납실(4)을 구획하기 위하여, 원호형상의 회전로(5)에는, 일부에 격벽(7)이 형성되어 있다.
(f) 격벽(7)은, 회전로(5)에 압출로(6)와의 경계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g) 회전로의 격벽(7)이 형성된 부분은, 이것을 탄환이 통과할 수 없도록,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할 수 있거나, 탄환이 통과할 수 없는 폭으로 조정되어 있다.
(h) 회전로(5)는, 여기서 회전하는 강제압출회전부재(2)에서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바깥둘레로 탄환을 넣어 이송할 수 있는 길이로 조정되어 있다.
(i) 압출로(6)는, 탄환을 1발씩 매거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이송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정되어 있다.
(j)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바깥둘레에 탄환을 나란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바깥둘레에 끼워넣는 방을 형성한다.
(k)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끼워넣는 방은, 사이에 탄환을 넣어 이송할 수 있는 간격으로 조정되어 있다.
(l)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중심은, 감속 모우터(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감속 모우터(3)에서 수납실(4)로부터 압출로(6)로 향하여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장진장치는, 다음의 ① 또는 ②의 구성에 의하여, 탄환을 공급하는 모우터의 운전을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있다.
① 다음의 구성을 가지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a) 탄환장진장치는, 케이싱(1)과, 탄환의 압출로(6)에 형성된 노즐(12)과, 케이싱으로부터 탄환을 압출하는 강제압출회전부재(2)와, 강제압출회전부재(2)를 구동하는 모우터(3)와, 모우터(3)의 운전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13)를 구비하고 있다.
(b) 케이싱(1)은, 탄환의 수납실(4)과, 압출로(6)를 구비하고 있다.
(c) 노즐(12)은, 압출로(6)의 앞끝단에, 탄환의 압출방향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d)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탄환의 수납실(4)과 압출로(6)의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수납실(4)에 공급된 탄환을 압출로(6)로부터 압출한다.
(e) 리미트 스위치(13)는, 온, 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접점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f) 리미트 스위치(11)는, 접점전환부재를, 압출로(6)의 앞끝단에 형성된 노즐(12)의 이동검출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g) 매거진에 장탄이 완료하여, 노즐(12)이 압출되면,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전환부재가 노즐(12)의 이동을 검출하여 모우터(3)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따.
② 다음의 구성을 가지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a) 탄환장진장치는, 케이싱(1)과, 케이싱으로부터 탄환을 압출하는 강제압출부재와, 강제압출부재를 구동하는 모우터(3)와, 모우터(3)의 운전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11)를 구비하고 있다.
(b) 모우터(3)는, 탄성체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케이싱(1)에 착설되어 있다.
(c) 리미트 스위치는, 온, 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접점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 리미트 스위치는, 접점전환부재를, 모우터의 회전궤적으로 배열설치하고 있다.
(e)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탄환의 수납실(4)과 압출로(6)의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수납실(4)에 공급된 탄환을 압출로(6)로부터 압출한다.
(f) 매거진에 장탄이 완료하여 탄환이 삽출되면, 그 반작용으로 모우터가 회전되고, 모우터의 회전을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전환부재로 검출하고, 리미트 스위치가 모우터(3)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따.
본 발명의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는, 탄환을 매거진에 공급하는 상태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와 제4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탄환장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상태로 탄환을 매거진에 장진한다.
(1) 케이싱(1)의 수납실(4)에 탄환을 충진한다.
여기에 넣는 탄환은, 나란히 넣을 필요는 없고, 또한 밀어넣을 필요도 없다.
수납실(4)의 공급구멍으로부터 흘려 넣는 상태로 넣을 수 있다.
② 탄환장진장치로부터 매거진에 탄환을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압출로(6)의 앞끝단을, 매거진의 탄환공급구멍에 연결한다.
③ 감속 모우터(3)로 강제압출회전부재(2)를 회전시킨다.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되면, 바깥주위의 끼워넣는 방에 탄환이 흘러들어가고, 여기서 1열로 나란하게 회전로를 통하여 압출로(6)로 송출된다.
④ 회전로로부터 압출로(6)에, 차례차례로 탄환이 1열로 나란하게 송출된다.
⑤ 압출로(6)의 앞끝단으로부터 압출되는 탄환은, 매거진에, 1개씩 압출하여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매거진으로 탄환을 공급할 수 있는 탄환장진장치는, 압출로(6)의 앞끝단을 매거진의 탄환공급구멍에 닿아서, 감속 모우터(3)를 회전하여 장탄될 수 있다.
또한, 제3도와 제4도에 나타낸 탄환장진장치는, 매거진에 탄환을 충전하고 나면, 모우터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제3도에 나타내는 탄환장진장치는, 다음의 상태에서 모우터의 회전이 정지된다.
① 빈 매거진에 탄환을 밀어넣을때, 감속 모우터(3)는 비교적 가볍게 회전한다.
따라서, 모우터(3)는, 제3도의 위치로 된다.
② 매거진에 탄환이 장진종료되면, 압출로(6)로부터 탄환이 압출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모우터의 회전이 무게겁게 된다.
③ 모우터의 회전이 무겁게 되면, 모우터(3)는 반작용으로, 제3도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④ 감속 모우터(3)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돌게되면, 리미트 스위치(11)의 접점전환부재가 눌러진다.
⑤ 리미트 스위치(11)는, 접점전환부재가 눌려지면, 감속 모우터(3)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감속 모우터(3)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탄환장진장치는, 매거진에 탄환을 장진한 후 압출로(6)로부터 탄환이 압출할 수 없게 되면, 자동적으로 감속 모우터(3)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내는 탄환장진장치는, 다음의 상태에서 탄환의 충진이 완료되면 모우터의 운전이 정지된다.
① 매거진에 탄환을 장진할때, 노즐(12)을 매거진으로 눌러 붙인다.
이 상태에서 노즐(12)은 압출로(6)로 향하여 밀어 눌려 신축된다.
② 모우터가 회전하여, 압출로(6)로부터 차례로 탄환이 압출되고, 총의 매거진에 탄환이 충만하게 된다.
③ 매거진에 탄환의 충진이 완료하면, 탄환을 압출하는 반작용으로 케이싱(1)이 눌린다.
④ 케이싱(1)이 눌리면, 압출로(6)의 실질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되고, 노즐(12)이 압출로(6)로부터 압출된다.
⑤ 노즐(12)이 암줄로(6)로부터 암출되면, 이것에 점점번환부재가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13)가 오프로 된다.
⑥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로 되면, 여기에 연결된 모우터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상의 동작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탄환장진장치는,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매거진으로 장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장점은, 드문드문하게 수납한 탄환을,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1열로 나란하게, 또한 나란한 탄환을 1개씩 압출하여 매거진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실현된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탄환장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한개의 모델총에 한개의 매거진을 사용하여, 매거진으로부터 탄환을 발사한 후, 매거진에 단시간에 장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구성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를 이하의 구조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특허청구의 범위 기재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는, 특허청구의 범위가 이해되기 용이하도록, 실시예에 나타내는 부재에 대응하는 번호를 "특허청구의 범위 난"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난"중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작용효과등을 개시한 부분에서 나타내는 부재에 부기하고 있다.
단,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부재를, 실시예의 부재로 특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는, 케이싱(1)과, 강제압출부재인 강제압출회전부재(2)와, 감속 모우터(3)와를 구비하고 있다.
단, 제1도는 제4도에 나타내는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싱(1)은, 전체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싱(1)은, 별개로 성형된 2개의 케이스편을 서로 맞추어 고정하고, 내부에 다수의 탄환을 수납하는 수납실(4)과,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이 자유롭게 배열설치되어 있는 회전로(5)와, 탄환을 나란하게 송출하는 압출로(6)를 형성하고 있다.
수납실(4)은, 다수의 탄환, 예를 들면, 수십내지 수백의 탄환을 수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진다.
제2도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실(4)의 폭(d)은, 탄환의 직경보다도 다소 크고, 탄환의 직경의 2배보다는 작게 조정된다.
제2도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환을 단일의 평면에 수납하기 때문이다.
단일평면에 수납하는 탄환은, 원활하게 브릿지로 되지 않고 회전로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로(5)의 폭은, 수납실(4)의 폭과 같고, 안지름은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끼워넣은 방에서 탄환을 이송할 수 있는 길이로 조정되어 있따.
회전로(5)는, 수납실(4)로부터 넣어진 탄환을 수납실(4)로 되돌아가지 않고 압출로(6)를 압출한다.
바꿔말하면, 압출로(6)의 수납실(4)을 구획하기 위하여, 원호형상의 회전로(5)에는, 일부에 격벽(7)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7)은, 회전로(5)에 압출로(6)와의 경계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로의 격벽(7)이 형성된 부분은, 이것을 탄환이 통과할 수 없도록,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회전가능하지만, 탄환은 통과할 수 없는 폭,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실(4)의 개구부에는, 탄환을 공급하는 개폐 뚜껑(8)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실(4)에 축적된 탄환은, 1열로 나란하게 되어, 회전로(5)로 보내어 넣어진다.
따라서, 수납실(4)의 바닥부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가 좁은 테이퍼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회전로(5)는, 수납실(4)의 바닥부에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로(5)는, 회전하는 강제압출회전부재(2)에서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압출로(6)로 이송한다.
회전로에서 회전하는 강제압출회전부재(2)에서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이송가능하도록, 회전로(5)는 원호형상을 하고 있다.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두께보다 0.2 내지 수 밀리미터 넓게, 탄환의 직경보다는 좁게 조정되어 있다.
압출로(6)는, 회전로(5)로부터 탄환이 공급된다.
따라서, 압출로(6)는, 회전로(5)의 배출측에 연결되고, 회전로(5)를 통하여 수납실(4)에 연결되어 있다.
압출로(6)는, 탄환을 1개씩 매거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이송가능한 크기, 바꿔 말하면, 탄환의 바깥지름보다 0.2 내지 수 밀리미터 크게 만들어져 있다.
압출로(6)의 앞끝단에는, 탄환을 매거진에 원활하게 눌려 들어갈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이것이 회전로(5)에서 회전함에 의하여, 바깥둘레에서 탄환을 나란하게 이송한다.
따라서,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바깥둘레에는 끼워넣는 방이 형성되어 있다.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끼워넣는 방은, 사이에 탄환을 넣어 이송할 수 있는 간격으로 조정되어 있다. 끼워넣는 방은, 여기에 원활하게 탄환을 안내할 수 있도록, 탄환의 직경보다, 예를 들면 0.2 내지 수 밀리미터 크다.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감속 모우터(3)로 회전된다.
따라서,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중심에는 회전축(9)이 고정되고, 회전축(9)은, 감속 모우터(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감속 모우터(3)는, 강제압출회전부재(2)를, 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방향으로 회전되는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수납실(4)의 탄환을 회전로로부터 압출로(6)로 송출한다.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탄환을 1개씩 나란하게, 차례차례로 강제적으로 압출한다.
매거진에 탄환이 장진완료하면, 압출로(6)로부터 탄환이 압출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매거진에 탄환이 장진완료되면, 자동적으로 감속 모우터(3)를 정지할 수 있다. 이것을 실현하는 기구를 제3도에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탄환장진장치는, 감속 모우터(3)를 다소 회전 간증한 상태로 케이싱(1)에 착설하고 있다. 감속 모우터(3)와 케이싱(1)을, 스프링(10)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감속 모우터(3)가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반작용으로 회전되면, 접점전환부재인 플런져가 눌리는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11)를 배열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탄환장진장치는, 다음의 상태에서, 매거진에 탄환이 장진완료되면, 감속 모우터(3)의 회전이 정지된다.
①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하여, 비어있는 매거진에 탄환을 밀어넣는 상태에서는, 감속 모우터(3)는 제3도의 위치에 있다.
② 매거진에 탄환이 장진완료되면, 압출로(6)로부터 탄환이 압출될 수 없다.
이 상태에서는,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되지 않는다.
③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되지 못하면, 감속 모우터(3)는 반작용으로, 제3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방향으로 감속 모우터(3)가 회전되면, 한쪽의 스프링(10)은 탄성적으로 늘어난다.
④ 감속 모우터(3)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돌면, 리미트 스위치(11)의 접점전환부재가 눌린다.
⑤ 리미트 스위치(11)는, 접점전환부재가 눌리면, 감속 모우터(3)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감속 모우터(3)에 접속되어 잇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탄환장진장치는, 매거진에 탄환을 장진한 후, 압출로(6)에서 탄환이 압출되어 나오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감속 모우터(3)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로(6)의 앞끝단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노즐(12)을 고정하고, 이 노즐(12)의 움직임으로 리미트 스위치(13)를 온, 오프시켜서, 모우터의 운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할 수도 있다.
노즐(12)은 코일 스프링(14)으로 압출되고 있다.
노즐(12)은, 압출로(6)의 앞끝단에 고정된 통체에 출입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4)은 통체와 노즐(12)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구조의 탄환장진장치는, 매거진에 탄환을 장진할때는, 노즐(12을 매거진으로 밀어 붙인다. 이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4)이 압축되고, 노즐(12)은 압출로(6)로 향하여 밀어 붙여진다.
압출로(6)로부터 차례로 탄환이 압출되어 총의 매거진에 탄환이 가득차면, 탄환의 반작용으로 케이싱(1)이 눌린다.
케이싱(1)이 눌리면, 압출로(6)의 실제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되어, 노즐(12)이 압출로(6)로부터 압출된다.
노즐(12)이 압출되면, 여기에 접점전환부재인 플런져가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13)가 오프로 되고, 여기에 연결된 모우터의 회전이 정지된다.

Claims (3)

  1. (a) 케이싱(1)과, 강제압출회전부재(2)와, 모우터(3)를 구비하며, (b) 케이싱(1)은, 탄환의 수납실(4)과,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이 자유롭게 배열설치되어 있는 회전로(5)와, 탄환을 나란하게 송출하는 압출로(6)를 구비하며, (c) 회전로(5)는 수납실(4)에 연결되고, 압출로(6)는 회전로(5)를 통하여 수납실(4)에 연결되며, (d) 회전로(5)는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며, (e) 원호형상의 회전로(5)는, 일부에 격벽(7)이 형성되어 있으며, (f) 격벽(7)은, 회전로(5)에 압출로(6)와의 경계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g) 회전로와 격벽(7)이 형성된 부분은, 강제압출회전부재(2)가 회전가능하지만, 탄환은 통과되지 않는 폭으로 조정되어 있으며, (h) 회전로(5)의 직경은,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바깥둘레에 탄환을 넣어 이송가능한 길이로 조정되어 있으며, (i) 압출로(6)는, 탄환을 1열로 나란하게 이송할 수 있는 크기로 조정되어 있으며, (j)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바깥둘레에 탄환을 끼워넣는 방이 형성되어 있으며, (I) 강제압출회전부재(2)의 끼워 넣는 방법, 사이에 탄환을 넣어 이송가능한 간격으로 조정되어 있으며,(1)강제암출 회전부재(2)의 중심은, 모우터(3)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모우터(3)에서 수납실(4)로부터 압출로(6)로 향하여 회전되는 구성을 가지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2. (a) 케이싱(1)과, 탄환의 압출로(6)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12)과, 케이싱으로부터 탄환을 압출하는 강제 압출부재와, 강제압출부재를 구동하는 모우터(3)와, 모우터(3)의 운전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13)를 구비하며, (b) 케이싱(1)은, 탄환의 수납실(4)과, 압출로(6)를 구비하며, (c) 노즐(12)은, 압출로(6)의 앞끝단에, 탄환의 압출방향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으며, (d) 강제암출회전부재(2)는, 탄환의 수납실(4)과 입출로(6)의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수납실(4)에 공급된 탄환을 압출로(6)로부터 압출하며, (e) 리미트 스위치(13)는 온, 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접점전환부재를 구비하며, (f) 리미트 스위치(11는, 접점전환부재를, 압출로(6)의 앞끝단에 형성된 노즐(12)의 이동검출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g) 매거진에 장탄이 완료하여, 노즐(12)이 압출되면,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전환부재가 노즐(12)의 이동을 검출하여 모우터(3)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3. (a) 케이싱(1)과, 케이싱으로부터 탄환을 압출하는 강제압출부재와, 강제압출부재를 구동하는 모우터(3)와, 모우터(3)의 운전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11를 구비하며, (b) 모우터(3)는, 탄성체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케이싱(1)에 부착되어 있으며, (c) 리미트 스위치는, 온,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접점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d) 리미트 스위치는, 접점전환부재를, 모우터의 회전 궤적으로 배열설치하고 있으며, (e) 강제압출회전부재(2)는, 탄환의 수납실(4)과 압출로(6)의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수납실(4)에 공급된 탄환을 압출로(6)로부터 압출하며, (f) 매거진에 장탄이 완료하여 탄환이 압출되면, 그 반작용으로 모우터가 회전되고, 모우터의 회전을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전환부재로 검출하고, 리미트 스위치가 모우터(3)의 통전은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KR1019900016239A 1989-10-13 1990-10-13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20158U JPH05702Y2 (ko) 1989-10-13 1989-10-13
JP1-120158 1989-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366A KR910008366A (ko) 1991-05-31
KR940004643B1 true KR940004643B1 (ko) 1994-05-27

Family

ID=1477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239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643B1 (ko) 1989-10-13 1990-10-13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702Y2 (ko)
KR (1) KR940004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156B1 (ko) * 2001-07-09 2004-05-04 주식회사 안다미로 게임기의 탄환공급장치
KR200317340Y1 (ko) * 2003-03-25 2003-06-25 문태근 자동탄창을 갖는 완구용 권총
JP3958765B2 (ja) * 2005-02-22 2007-08-15 勝美 永吉 玩具銃用マガジンと連続発射機能を有する玩具銃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94U (ja) * 1984-06-26 1986-01-25 ミネベア株式会社 弾倉回転型拳銃
JPS61186797A (ja) * 1985-02-14 1986-08-20 マルシン工業株式会社 モデルガ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702Y2 (ko) 1993-01-11
JPH0364386U (ko) 1991-06-24
KR910008366A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125B2 (en) Magazine for bullet pneumatic arms and case for said bullet magazine of a pneumatic arm
US5261384A (en) Toy gun with a shooting control structure
US6978776B2 (en) Multiple column helical feeder
US3503300A (en) High firing rate hypervelocity gun and ammunition therefor
EP0483981A1 (en) Caulking gun
ES2137798B1 (es) Cargador helicoidal orientador
EP0105101A3 (en) Automatic ammunition loading system for a large caliber cannon
US20200256630A1 (en) Speed loader for firearm magazines
US5905224A (en) Pulley belt magazine
KR940004643B1 (ko) 모델총의 탄환장진장치
US11635267B1 (en) Speed loader for firearms magazine
US4028989A (en) Bullet extractor
KR100575082B1 (ko) 전동식 완구총
KR940004644B1 (ko) 모델총의 탄환장전장치
US3467276A (en) Article dispensing means and automatic gun system embodying same
KR100395473B1 (ko) 장약통 적치대 개폐장치
JPS61143700A (ja) 外力駆動火砲のための遅延点火の監視装置
JPH07180992A (ja) モデル銃のマガジンに弾を装填する給弾装置
CN112611254A (zh) 一种用桥夹夹持整理子弹的装弹器
SK13182000A3 (sk) Zásobník strelnej zbrane
JPH06307798A (ja) 玩具銃の弾収納マガジン
CN115031575B (zh) 全自动弹丸弹射器
CN110802557A (zh) 一种机械式泡钉打钉器
CN217636980U (zh) 一种用于使用弹轮供弹的气枪的上弹机构
CN212620368U (zh) 水弹玩具枪的电动供弹弹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5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5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