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4497Y1 -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497Y1
KR940004497Y1 KR2019910009052U KR910009052U KR940004497Y1 KR 940004497 Y1 KR940004497 Y1 KR 940004497Y1 KR 2019910009052 U KR2019910009052 U KR 2019910009052U KR 910009052 U KR910009052 U KR 910009052U KR 940004497 Y1 KR940004497 Y1 KR 940004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or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telephone signal
tele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663U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2019910009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497Y1/ko
Publication of KR930001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0Scan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다이어 그램.
제2도는 본 고안의 바코드 스캐너부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바코드 해독부와 전압발생기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1-U4: 집적회로 XT1: 수정진동자
Q1-Q2: 트랜지스터 LED1-LED2: 발광다이오드
R1-R17: 저항 SP1: 소리음 발생소자
L1-L2: 코일 D1-D5: 다이오드
C1-C2: 콘덴서 PD1: 수광다이오드
SW1-SW2: 누름스위치 2 : 스캐너부
4 : 중앙처리부 6 : 전화신호발생기
8 : 스피커 10 : 표시장치
12 : 밧데리 14 : 바코드 감지부
16 : 변환 증폭기 18 : 초기화 신호회로
20 : 동작주파수 회로 22 : 저주파 통과기
본 고안은 바코드화된 전화번호를 감지하여 이를 해독하는 회로를 통해 전화기 걸리도록 하는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를 걸고자 할때는 해당 번호를 다이얼로 돌리거나 전화기의 해당버튼을 누르는등의 방법을 통해 상대와 통화를 하는 통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의 실수나 기계자체의 고장 또는 오동작에 의해 통화가 되지 않거나 다른 가입자와의 통화등 불편한 점이 많았고, 특히 개량된 방법으로서 컴퓨터와 모뎀(MODEM)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이 방식은 전화번호가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모두 입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화 통화시 실수나 오동작의 확률은 적지만 컴퓨터가 전화를 위한 보조 수단으로만 이용될 수가 없고 상기 장치의 설치 비용이 고가이며 주변장치 및 설치 공간을 많이 요구 한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없고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의 검색여부는 키보드를 통해 모니터로 확인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같은 제반 결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전화신호 발생장치로서, 바코드화된 전화번호를 스캐너(Scanner)로 감지하여 해독을 하고 해독된 신호를 따라 상대자의 전화기를 출력 함으로서 통화가 가능하게 하되 전화번호 감지부터 전화신호 발생에 필요한 장치들을 일체화 함으로써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 공중전화기, 키폰(Car Phone), 핸드폰(Hand Phone)또는 통상의 가정용 전화기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번호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는 바코드(Bar Code)신호를 입력하는 스캐너부(2)와 스캐너부(2)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해독 처리하는 중앙처리부(4) 그리고 중앙처리부(4)로 부터 출력된 신호가 바코드 해독의 완료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와 전화통화신호를 발생하는 전화신호 발생기(6)에 각각 입력되어 표시장치(10)에서는 발광소자가 점등되고 전화신호 발생기(6)를 통해 스피커(8)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너(2), 중앙처리부(4)와 전화신호 발생기(6)는 밧데리(12)에 의해 각각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너부(2)는 제2도에서와 같이 스위치(SW1)를 누름으로서 전원이 공급되고 저항(R1)과 발광소자(LED1)는 직렬로 연결되며 수광소자(PD1)와 저항(R2-R4), 직접회로(U1A), 콘덴서(C1), 다이오드(D1)구성된 바코드 감지부(14)는 저항(R5, R6), 콘덴서(C2), 다이오드(D2, D3), 직접회로(U1B)로 구성된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 증폭기(16)에 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바코드해독부는 중앙처리장치(U2), 전화신호 발생기(6)와 저주파 통과기(22)로 구성되며 중앙처리장치(U2)의 핀 18, 52, 2번은 저항(R13)에 또한 핀 19번의 일측은 저항(R14)에 연결되어 각각 전원에 접속되며 핀 19번의 타측은 전압발생기(U4)의 핀 5번과 연결되어 밧데리(12)의 전압상태를 점검하고 전화신호 발생기(6)의 핀 8번은 트랜지스터(Q2), 저항(R16), 콘덴서(C8, C9)로 구성된 저주파 통과(22)를 통해 스피커(SP1)에 연결된다.
VPP는 스위치(SW1, SW2)를 눌렀을때 통하는 전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스위치(SW1)를 누르면 스캐너부(2)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소자(LED1)가 점등이 되고 발광소자(LED1)로 부터 외부로 투사된 빛은 바코드면에서 반사되어 수광소자(PD1)에 입력이 된다.
수광소자(PD1)에 입력된 신호는 바코드 감지부(14)의 집접회로(U1A)의 1번선을 통해 출력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증폭기(16)에 인가된 후 집접회로(U1B)의 7번을 통하여 출력된다.
집적회로(U1B)로 부터 출력된 신호가 전원이 인가되어 초기화된 중앙처리장치(U2)에 입력되므로 동작주파수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초기화 신호는 저항(R10), 콘덴서(C5), 다이오드(D4)로 구성된 초기화 회로(18)를 통해 발생하며 동작주파수는 수정진동자(XT1), 저항(R11), 콘덴서(C6, C7)로 구성된 회로(20)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초기화 신호는 중앙처리장치(U2)의 핀17번(RESET)에 입력되고, 상기 동작주파수의 1, 2측은 중앙처리장치(U2)의 핀 7.8번에 입력됨으로서 중앙처리장치(U2)내부의 회로와 동조되어 중앙처리장치(U2)의 8번을 통해 정현파가 출력되게 하며 동작 주파수의 제3측은 전화신호 발생기(6)의 핀4번에 접속되어 다이얼러(Dialer)신호를 발생시킨다.
해독완료 표시로서 사용되는 발광소자(LED2)는 중앙처리장치(U2)의 핀20번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직력로 연결된 저항(R17)을 통하여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회로의 동작 상태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U2)는 대기 상태에 머물게 되며 이때 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U2)의 22번, 23번, 21번을 통해 신호가 출력되어 전화신호 발생기(6)에 입력된다.
전화신호 발생기(6)에 입력된 신호중 상기 중앙처리장치(U2)의 23번은 저항(R15)을 통하여 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통상태에서는 "High"상대를 유지하여 상기 전화 신호 발생기(6)를 동작시키지 않으나 전화통화 신호를 발생 중에는 "Low"신호를 전화신호 발생기(6)에 인가 함으로서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22번이 동기신호를 전화신호 발생기(6)에 출력시켜 전화신호 발생기(6)의 핀 17번을 통해 "Low"신호가 "High"로 변할때 중앙처리장치(U2)의 핀 21번에서는 전화신호 발생기(6)의 핀 6번에 신호를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U2)로 부터 입력된 신호는 전화신호 발생기(6)내부의 파형 분주기 및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거쳐 전화신호 발생기(6)의 핀 8번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저주파 통과기(22)를 통해 스피커(SP1)에 입력됨으로 해서 Tone신호(DTMF)가 출력된다.
최종 출력신호의 주파수는 공지의 전화기에서 울리는 신호와 같으며 상대의 전화기가 통화중일 경우는 스위치(SW2)를 다시 누름으로서 재 발신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전화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바코드 신호를 입력하는 스캐너부(2), 스캐너부(2)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해독하는 중앙처리부(4), 중앙처리부(4)의 출력을 입력하여 바코드 해독의 완료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 중앙처리부(4)의 출력을 입력하여 전화통화 신호를 발생하는 전화신호 발생기(6), 전화신호 발생기 출력측에 연결된 저주파 통과기(7), 저주파 통과기(7)에 연결되어 톤(tone)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중앙처리부(4)와 전화신호 발생기(6)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2)는 저항(R1)과 발광소자(LED1)가 직렬로 연결되며 수광소자(PD1), 저항(R2-R4), 직접회로(U1A), 콘덴서(C1), 다이오드(D1)구성된 바코드 감지부(14)는 저항(R5, R6), 콘덴서(C2), 다이오드(D2, D3), 직접회로(U1B)로 구성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증폭기(16)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신호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처리부(4)는 중앙처리장치(U2)를 포함하고 중앙처리장치(U2)의 일측은 전압 발생기(U4)에 접속되고 타측은 전화신호 발생기(6)에 접속되며 전화신호 발생기(6)는 트랜지스터(Q2), 저항(R16), 콘덴서(C8, C9)로 구성된 저주파 통과기(22)를 통해 스피커(SP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신호 발생장치.
KR2019910009052U 1991-06-18 1991-06-18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052U KR940004497Y1 (ko) 1991-06-18 1991-06-18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052U KR940004497Y1 (ko) 1991-06-18 1991-06-18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63U KR930001663U (ko) 1993-01-21
KR940004497Y1 true KR940004497Y1 (ko) 1994-07-04

Family

ID=1931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052U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497Y1 (ko) 1991-06-18 1991-06-18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4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63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61426A (en) Multipurpos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n automatic telphone message device
KR940004497Y1 (ko) 바코드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신호 발생장치
US20040184596A1 (en) Shortened dialing device and phone combined a frame
JPH05103068A (ja) 多機能電話機
KR930001224Y1 (ko) 스캐너가 내장된 자동전화 다이얼러
NL8503533A (nl) Inrichting voor het via een telefoonnet vormen van een verbinding.
KR930010278B1 (ko) 전화장치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유지 방법
US4469915A (en) Beeper simulator for a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KR920001540Y1 (ko) 전화기의 전용회선 시험장치
KR970003984B1 (ko) 700국과 장거리 전화 자동 제어 방법
KR950002320A (ko) 키폰 시스템의 일반 전화기 접속장치
JPS63203045A (ja) 電話機
KR940005533B1 (ko)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이용한 호출장치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JP2728942B2 (ja) 通信装置
KR930009851B1 (ko) 단축 다이알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960001113B1 (ko) 유선전화기의 훅크스위치 회로
CN1065097C (zh) 电话拨号语音装置
JPS63136866A (ja) 電話機
KR970003134B1 (ko) 전화기의 재발신시의 다이얼링 인지회로
KR940008346A (ko) 전화 설문 조사 장치
KR920009335B1 (ko) 전화기용 발신처 표시장치
KR920006147B1 (ko) 전화로 타이머예약 기능을 갖는 텔레콘트롤 방법
JPS61108247A (ja) 電話器
KR19980011884U (ko) 바코드(bar code)인식기가 내장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6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02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2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12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