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3705A -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05A
KR940003705A KR1019920013904A KR920013904A KR940003705A KR 940003705 A KR940003705 A KR 940003705A KR 1019920013904 A KR1019920013904 A KR 1019920013904A KR 920013904 A KR920013904 A KR 920013904A KR 940003705 A KR940003705 A KR 94000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pipe
plastic
core nozzle
explosion
di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훈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오재덕
한국화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덕, 한국화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재덕
Priority to KR101992001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705A/ko
Publication of KR94000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0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약을 이용하여 금속관을 확관시킬때 완충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관이 성형되는 압출다이 및 금형다이의 중심부에 코어 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코어노즐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동수단에 연결함으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코어노즐이 전,후진함에 따라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플라스틱 수지를 관형부분과 봉형부분을 교대로 압출성형시키는 단계와. 압출성형된 플라스틱관의 관형부분의 봉형부분의 각 중앙을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플라스틱관의 내측에 중공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작용상태도로서, (가)는 코어노즐이 전진되어 관형부분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코어노즐이 후진되어 봉형부분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의 (가), (나), (다), (라)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관의 실시예.

Claims (7)

  1. 플라스틱 수지 원료를 용융하여 압출시키는 압출기(7)의 끝단에 압출다이 (1)를 설치하고, 상기 압출다이(1)의 일측에는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다이 (2)를 설치하여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을 제조하는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다이 (1) 및 금형다이 (2)의 내부에 중심에 코어노즐(3)을 설치하되, 상기 코어노즐(3)의 중심에는 공기 유입공(4)을 천공하여 그 일단을 구동수단에 연결하여 코어노즐(3)이 왕복이동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다이(2)의 끝단부(2')직경을 내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코어노즐(3)의 끝단부(3')외경을 다른부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중공부의 형성유무에 관계없이 압출되는 수지의 양이 일정하게 하여 플라스틱관의 외경이 변화되지 않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4. 플라스틱 수지를 원료로 하여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동수단에 의해 코어노즐 이 전,후진함에 따라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플라스틱 수지를 관형부분과 봉형부분을 교대로 압출성형시키는 단계와. 압출성형된 플라스틱관의 관형부분과 봉형부분의 각 중앙을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화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관의 외경이 다이금형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관의 중공부 내경이 코어노즐이 전.후진함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노즐의 후진위치를 조절하여 성형되는 플라스틱관의 외경은 일정하고, 중공부의 직경인 변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13904A 1992-08-01 1992-08-01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Ceased KR940003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904A KR940003705A (ko) 1992-08-01 1992-08-01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904A KR940003705A (ko) 1992-08-01 1992-08-01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705A true KR940003705A (ko) 1994-03-12

Family

ID=6714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904A Ceased KR940003705A (ko) 1992-08-01 1992-08-01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799B1 (ko) * 2000-10-30 2003-05-22 주식회사 무 등 열가소성 수지의 튜브 압출장치
KR101663939B1 (ko) * 2016-07-27 2016-10-07 강구원 압출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799B1 (ko) * 2000-10-30 2003-05-22 주식회사 무 등 열가소성 수지의 튜브 압출장치
KR101663939B1 (ko) * 2016-07-27 2016-10-07 강구원 압출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7281A (en) Extrusion die apparatus
US6458311B1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a twin-wall pipe having a pipe socket
US405634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extrusions
US3309443A (en) Plastic molding
CA2188249A1 (en) Variable cross section extruding die and variable cross section extrusion molding method
RU2367571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трубы с муфт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трубы
ATE242101T1 (de) 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S6079936A (ja) 二重壁パイプに単壁のベル状部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870008687A (ko) 리브형 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3239881A (en) Apparatus for impact extrusion
JP4764565B2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中空体の製造方法、該中空体の製造装置
EP0359088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pipe with annular ribs
US5785920A (e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 parison
US81780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plastic compound pipe comprising a pipe socket
ES2062116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iscontinua de preformas coextrusionadas, en forma de tubo, de varias capas y compuestas de materia sintetica termoplastica.
US4038011A (en) Apparatus for forming ribbed tubing
KR940003705A (ko) 폭발확관용 플라스틱관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920700883A (ko) 리브 파이프 제작 방법 및 장치
USRE28600E (en) Extrusion die apparatus
EP0385479A3 (en) Apparatus for producing pipes with a helical rib
US39868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a normally rigid plastic pipe
JPS581654B2 (ja) 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用押出しダイ
DE3272185D1 (en) Method of extruding a plastics hollow profile
US340994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articles
JP2631887B2 (ja) 外面に中実の横リブ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管の成形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設備およびプラスチック管を成形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8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5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