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3302Y1 -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02Y1
KR940003302Y1 KR2019890003887U KR890003887U KR940003302Y1 KR 940003302 Y1 KR940003302 Y1 KR 940003302Y1 KR 2019890003887 U KR2019890003887 U KR 2019890003887U KR 890003887 U KR890003887 U KR 890003887U KR 940003302 Y1 KR940003302 Y1 KR 940003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lephone
line
power suppl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13U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3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02Y1/ko
Publication of KR900017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제1도는 본고안 장치의 연결상태도.
제2도는 종래 전원선 및 전화선의 연결상태도.
본고안은 전원선 및 전화선을 공동으로 다기능 전화기에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변환기의 일측면에 공동으로 형성된 전원플럭과 전화플럭의 한몸체를 콘센트에 공동으로 형성된 전원짹과 전화짹에 접속되게하되 전원 변환기의 출력선의 끝단에는 일체로된 전원짹과 전화짹을 설치하여서된 전원선 및 전환선 공통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개로 설치된 전원콘센트(31)와 전화 콘센트(32)에 통상의 전원선(33) 및 전화선(34)에 연결된 전원변환기(35)의 플럭(35')과 전화플럭(36)을 접속시키고, 전원선(33)과 전화선(34)의 타단의 플럭(37,38)은 다기능 전화기(40)에 설치된 짹(41,42)에 각각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상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성소자가 많아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원변환기에 전원플럭과 전화플럭을 설치하여 전원짹과 전화짹이 일체로 형성된 콘센트에 접속시키고, 다기능 전화기에도 하나의 짹과 플럭으로 접속할수 있게 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구성소자가 적어 제픔원가를 절감시킬수 있도록한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연결장치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 장치의 구성 및 자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의하면 본고안 장치는 전원선 및 전화선(1)의 일단이 연결된 전원변환기(2)의 일측면에는 전원플럭(3)과 전화플럭(4)을 장치하여 일체로 형성된 접속콘센트(5)의 전원구(6)와 전화구(7)에 접속되게하고, 전원선 및 전화선(1)의 타단에는 통상의 전원짹 및 전화짹(8)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것으로서, 여기서 미설명부호 9 : 전원스위치, 10 : 다기능전화기, 11 :전원짹 및 전화짹(8)에 공동으로 접속되는 접속부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된 본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먼저 전원구(6)과 전화구(7)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콘센트(5)에 전원변환기(2)의 전원플럭(3)과 전화플럭(4)을 접속시키고, 전원선 및 전화선(1)의 타단에 설치된 전원짹 및 전화짹(8)을 다기능 전화기(10)의 접속부(11)에 접속시킨다음 전원변환기(2)에 설치된 전원스위치(9)를 온시키게 되면 다기능 전화기(9)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상의 전화기능을 행할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이 필요치 않을때에는 전원변환기(2)의 전원스위치(9)를 오프시켜 주므로서 전원을 차단시킬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 장치에 의하면 별도로 전원변환기와 전화선을 다기능 전화기에 연결할 필요없이 전원플럭과 전화플럭이 설치된 전원변화기를 이와대응되게 형성된 접속콘센트에 접속시켜 다기능전환기에 전원선 및 전화선이 연결된 짹을 연결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필요에따라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전원선 및 전화선(1)의 일단이 연결된 전원변환기(2)의 일측면에는 전원플럭(3)과 전화플럭(4)을 설치하여 접속콘센트(5)의 전원구(6)와 전화구(7)에 접속되게 하고, 전원선 및 전화선(1)의 타단은 하나의 짹(8)에 동시 연결하여서된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연결장치.
KR2019890003887U 1989-03-31 1989-03-31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KR940003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887U KR940003302Y1 (ko) 1989-03-31 1989-03-31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887U KR940003302Y1 (ko) 1989-03-31 1989-03-31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13U KR900017813U (ko) 1990-10-05
KR940003302Y1 true KR940003302Y1 (ko) 1994-05-19

Family

ID=1928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887U KR940003302Y1 (ko) 1989-03-31 1989-03-31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13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302Y1 (ko) 전원선 및 전화선 공동 연결장치
CA2147370A1 (en) Universal connection for cellular telephone interface
EP0800242A4 (en) CONNECTION DEVICE FOR HIGH FREQUENCY SIGNALS
KR200220709Y1 (ko) 전화선 모듈러 플러그를 일체화 한 통신용 전원 어댑터
KR200283165Y1 (ko) 이어폰용 다중 통화 보조 연결잭
KR970001582Y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분리형 단자 접속기
CN215418744U (zh) 一种豆浆机用防水型线束
JPH0593146U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318705Y1 (ko) 노출 접지 다공 콘센트의 접지선 연결 구조
JPH0356239U (ko)
KR200199637Y1 (ko) 분리형 어댑터
KR890007935Y1 (ko) 단,복권트랜스공용 110v/220v겸용 전압절환플럭
JPH0463585U (ko)
KR950001467Y1 (ko) 모뎀(modem)용 어댑터(adaptor)
KR950002110Y1 (ko)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JPS568108A (en) Connecting structure of optical fiber and cable
CN2261129Y (zh) 联用耳机
JPS6285039U (ko)
KR0117777Y1 (ko) 전원플러그
JPH0384670U (ko)
KR19990035229A (ko) 무선단말기의 핸드프리 장착장치
KR20000003532U (ko) 텔레콘센트
JPS6486649A (en) Switching system for speech circuit and speaker reception circuit in telephone set having on-hook dial function
JPH01137617U (ko)
JPH0111285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3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33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110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