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3104B1 -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104B1
KR940003104B1 KR1019900021301A KR900021301A KR940003104B1 KR 940003104 B1 KR940003104 B1 KR 940003104B1 KR 1019900021301 A KR1019900021301 A KR 1019900021301A KR 900021301 A KR900021301 A KR 900021301A KR 940003104 B1 KR940003104 B1 KR 94000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d eye
eye phenomenon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794A (ko
Inventor
히데노리 타니구치
카즈오 이카와
마사요시 키우찌
미찌오 히로하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3174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922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31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92235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1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자섬광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구동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회로를 카메라의 구성을 포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제4도는 예비조사되었을 때의 인간의 동공의 동작을 설명한느 그래프.
제5도는 예비조사의 발광휘도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3도의 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자섬광장치의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8도는 제9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종단면도.
제9도는 섬광장치 수납상태를 나타낸 카메라의 개략사시도.
제10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종단면도.
제11도는 광각촬영시의 카메라의 개략사시도.
제12도는 텔레포토촬영시의 카메라의 종단면도.
제13도는 섬광발광부의 구성도.
제14a, b도는 섬광장치와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의 휘도분포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15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5도는 카메라의 사시도.
제16도, 제17도는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그 캠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 : 크세논관 2,32,45 : 반사셰이드
3,33,65 : 예비조사용램프 9 : 전지
10 : 제어회로 11,17 : 트랜지스터
12 : DC/DC 콘버어터 13 : 콘덴서
14 : 트리거회로 15 : 거리측정회로
16 : 광측정회로 18,19,20,47 : 스위치
21 : 노출제어회로 34 : 프로텍터
41 : 카메라본체 42,50 : 피벗축
43 : 섬광발광부 46 : 보호판
48 : 제1렌즈군블록 49 : 제1촬영렌즈군
51 : 프레넬렌즈 52,101 : 스프링
53 : 제2렌즈군블록 54 : 제2촬영렌즈군
55 : 차동캠 56 : 제3렌즈군블록
57 : 제3촬영렌즈군 58 : 제3렌즈군바아
60 : 필름카아트리지 62 : 스푸울
63 : 구경 64 : 로울러
70 : 주움모우터 74 : 피니언
78 : 감속기어열 80 : 배율변환파인더장치
82 : 캠판 84 : 랙
86 : 캠홈 90 : 주움섬광장치
94 : 집광렌즈 120 : 주움레버
121 : 캠접촉면 130 : 렌즈배럴블록
132 : 섹터기어
본 발명은 섬광촬영시의 레드아이(Red eye)현상을 방지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물을 피사체로 해서 컬러촬영하였을 경우, 눈이 빨갛게 찍히는 소위 레드아이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어두운 장소에서 섬광발광등의 보조광(auxiliary light)을 이용해서 촬영할때, 인물의 눈의 동공이 크게 열려 있기 때문에 망막의 혈관이 찍히므로서 발생한다.
그래서 레드아이현상방지를 위하여, 섬광발광전에 예비조사용램프를 발광시켜, 열린 동공을 작게한 후 섬광촬영을 행하도록한 제안이 일본국 특공소 58-48088호에 의해서 되어 있다.
그런데 예비조사용램프를 미리 조사해서 인간의 동공을 닫고 동작시키려면 상당한 휘도가 필요하며, 소형램프를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는 그러한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대형램프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용이 높아지고, 또 실장상 불리하다. 또 소형램프를 반사경을 사용해서 집광하고 휘도를 높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용이 높아지는 점이나, 실장상 형상이 커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섬광촬영용 발광부와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와 ;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반사셰이드와 ; 그리고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앞면에 배치되는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소출력의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에 있어서도 충분한 레드아이현상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어 실장상 유리하고 비용면에서도 저렴한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도면과 함께 이하에 나타낸 구체적 실시예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저섬광장치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그 구동회로를 도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섬광촬영용 발광부로서의 크세논(Xenon) 섬광램프, (2)는 그 반사셰이드(reflection shade), (3)은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로서의 예비조사용램프이며, 반사셰이드(2)의 앞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공지의 프로텍터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9)는 전원인전지 ; (10)은 카메라의 제어회로 ; (11)은 예비조사용램프(3)의 점등용의 트랜지스터 ; (12)는 공지의 승압용 DC/DC (DC-to-DC) 콘버어터 ; (13)은 크세논섬광램프(1)를 섬광하는 메인 콘덴서 ; 그리고 (14)는 공지의 트리거회로이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섬광장치의 발광부내, 즉 반사셰이드(2)내에 예비조사용램프(3)를 장착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발광부내의 어느 장소에 예비조사용램프(3)를 장착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사셰이드(2)의 일부에 예비조사용램프(3)를 장착하고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용회로는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와 접지(GND) 사이에 예비조사용램프(3)를 접속하고, 트랜지스터(11)의 콜렉터를 전지(9)의 플러스쪽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를 제어회로(10)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배치한다.
이것은 반사셰이드(2)내에 예비조사용램프(3)가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크세논램프(1)에 인가되는 수 KV의 트리거전압이 램프(3)에 유도되었을 경우, 임피이던스가 낮은 램프(3)를 개재해서, 접지에 전하를 방전하여, 카메라의 다른 소자를 파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램프(3)가 전지(9)의 플러스쪽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트리거전압이 램프(3)을 통해서 전지(9)의 플러스쪽에 유도되고, 제어회로(10)등을 통해서 접지에 흘러들어와, 제어회로(10)등 다른 IC소자들을 파괴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3도는 제2도의 회로를 카메라의 몇몇 다른 부품들을 포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3도의 회로중, 제1도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있어서, 카메라는 마이크로컴퓨우터등으로 구성된 제어회로(10) ; 공지의 거리측정회로(15) ; 공지의 광측정회로(16) ; 트랜지스터(17) ; 셔터릴리이스버튼의 제1스트로우크에서 ON하는 스위치(18) ; 릴리이스버튼의 제2스트로우크에서 ON하는 스위치(19) ; 화상기록매체로서의 필름의 재부(presence or absence)검지용 스위치(20) ; 그리고 상기 광측정회로(16)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의거한 노출제어를 행하는 노출제어회로(21)를 구비한다.
제4도는 예비조사시의 인간의 동공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로축에 시간, 세로축에는 동공의 개구도(opening degree)를 취하고 있다. 또 제5도는 예비조사에 의해 얻어진 발광휘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로축에 시간, 세로축에 발광휘도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주위의 휘도(피사계휘도)가 극단적으로 어두울 경우, 인간의 동공의 직경은 제4도 점A에 나타낸 바와같이 약 7,8㎜이다. 이때,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광을 눈에 조사하면 약 0.3초후(제4도 점 B 참조)에 동공은 작아지기 시작하고, 조사후 약 1.3초후에 동공은 최소가 되어 그 움직임은 정지한다. 이때 조사를 중지하면, 조사중지후 0.3초간은 그 개구도를 유지하고, 그 이후 2.4초 경과후에 원래의 개구도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는 동공의 이와같은 특성을 이용해서, 스트로보(섬광)촬영이전에 동공에 예비조사를 행하는 것으로서, 이하 제6도에 도시한 제3도의 제어회로 순서도에 따라서 제3도의 제어회로의 동작설명을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간략화를 위하여, 촬영모우드로서 「섬광촬영모우드 」가 선택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만 나타내고 있다.
셔터릴리이스버튼의 제1스트로우크가 이루어져 스위치(18)가 ON하면(스텝 #1), 제어회로(10)는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를 "L"로 내리고, 각종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거리측정회로(15), 광측정회로(16)를 동작시켜 거리측정 및 광측정을 개시한다(스텝 #2), 다음에 광측정회로(16)에 의해서 얻어진 피사계휘도가 어느 일정치 이상인지 아닌지 판별하여(스텝 #3), 일정치 이상이었을 경우에는, 주위의 휘도에 따라서 동공이 닫히기 때문에 예비조사용램프(3)를 점등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리이스버튼의 제2스트로우크가 이루어져 스위치(19)가 ON되었는지 아닌지 판별하는 스텝 (#4)으로 진행한다.
또, 피사계휘도가 어느 일정치 미만이었을 경우에는, 다음에 필름이 카메라에 장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스위치(20)의 상태로부터 판별하여(스텝 #7), 이 결과 필름이 장진되어 있으면,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를 "H"(하이레벨)로 하고 예비조사용램프(3)를 점등해서 예비조사를 행하고(스텝 #8), 동시에 램프(3)의 조사시간의 계시를 개시한다(#9). 또 필름이 장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전지의 쓸데없는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를 "L"(로우레벨)로 계속 유지하여 램프(3)에 의한 예비조사는 행하지 않는다. 이와같은 경우(스텝 #7에 있어서 필름미장진이라고 판별될 경우)로서는, 예를들면, 부주의하게 릴리이스버튼의 제1스트로우크가 이루어졌을 경우이다.
그후, 촬영자에 의해 릴리이스버튼의 제2스트로우크가 이루어져, 스위치(19)가 ON하면(스텝 #4), 다시 피사계휘도가 어느 일정치 이상인지 아닌지 판별하여(스텝 #5), 일정치 이상이었을 경우에는, 제어회로(10)는 곧바로 트리거회로(14)에 트리거신호를 보내고, 크세논램프(1)를 섬광시키고, 노출제어회로(21)에 의해 섬광촬영을 행하게 한다. 이 경우, 주위의 휘도에 따라서 동공이 최소가 되므로 예비조사없이 곧바로 섬광촬영을 행해도 레드아이현상을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피사계휘도가 어느 일정치 미만이었을 경우에는(스텝 #5),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름이 카메라에 장진되어 있는지 판별하여(스텝 #10), 이 결과 필름이 장진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제어회로(10)는 곧바로 트리거회로(14)에 트리거신호를 보내, 크세논램프(1)를 섬광시키고 노출제어회로(21)에 의해 섬광촬영을 행한다. 이와 같은 경우(스텝 #10에 있어서 필름미장진이라고 판별될 경우)로서는, 예를들면 부주의하게 릴리이스버튼의 제2스트로우크까지 이루어졌을 경우나, 섬광장치의 섬광작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지의 시범촬영을 행하였을 경우이다.
한편, 스텝#10에 있어서, 카메라에 필름이 장진되어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다음에 예비조사를 한후 피사체로서의 인간의 동공이 닫혀 최소의 크기가 되는 시간(약1.3초)을 경과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별하여(스텝 #11), 이 시간을 경과했다면 곧바로, 또 경과하지 않았다면 레드아이현상방지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으므로 이 시간을 경과하기를 기다려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를 "L"로 해서 예비조사용램프(3)를 소등한다(스텝 #12). 그리고, 전과 마찬가지로 제어회로(10)는 트리거회로(14)에 트리거신호를 보내 크세논램프(1)를 섬광시키고, 노출제어회로(21)에 의해 섬광촬영을 행한다(스텝 #6). 이 경우 상기 예비조사에 의해서 동공이 최소가 되므로, 레드아이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텝 #4에 있어서 스위치(19)가 OFF였을 경우에는, 스텝 #1로 복귀하여 다른 스위치(18)가 ON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만약 이 스위치(18)도 OFF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8에 있어서 예비조사용램프(3)가 점등된 그대로일 경우가 있으므로 스텝 #13으로 진행하여 램프(3)를 소등한다.
또한 섬광촬영시 이외의 통상 촬영시에는, 상기 예비조사를 행하지 않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텝 #3,#5에 있어서의 일정치란, 적정한 노출을 부여한 사진촬영을 행하는데 스트로보발광을 필요로 하는 정도의 비교적 낮은 피사계휘도이기는 하나, 동공이 닫혀 레드아이현상을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밝기는 가진 피사계휘도 혹은 역광보정을 위한 섬광촬영들을 상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릴리이스버튼의 젭스트로우크의 유지에 의해서, 예비조사용앰프(3)를 점등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램프(3)의 점등시간을 촬영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나, 램프(3)의 점등시간이 너무 짧으면 충분한 레드아이현상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램프(3)의 점등시간이 짧은데다가 제2스트로우크까지 눌러내려진 경우에는, 동공이 닫히는데 충분한 예비조사시간이 경과한 후에 섬광촬영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때에도 레드아이현상방지를 가능하게 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 피사계휘도가 어느정도 있어서, 동공이 닫혀있을 때의 섬광촬영시에는, 특히 램프(3)를 점등해서 예비조사를 행하지 않아도 레드아이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램프(3)에 의한 예비조사는 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지의 쓸데없는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또 램프(3)에 의한 조사시간분의 릴리이스타임지연을 없앨 수 있다.
또, 필름이 카메라에 장진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지의 쓸데없는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예비조사의 시간을 최저 약 1.3초로 하고 있으나, 이것은 필요에 따라서 어떠한 시간으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제2실시예]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전자섬광장치의 단면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31)은 섬광촬영용 발광부로서의 크세논관 ; (32)는 반사셰이드 ; (33)은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로서의 예비조사용램프 ; 그리고(34)는 프로텍터이다. 또한 프로텍터(34)로서는 프레넬렌즈(Fresnel lens)등의 집광(light condensing)특성을 가진 것이 있다. 램프(33)의 실장은 광학적 견지에서 본 경우, 반사셰이드(32)의 포물선 촛점에 가능한한 가까운 쪽이 집광효과가 높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크세논관(31)의 광축상에 램프(33)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램프(33)의 광을 집광하여 휘도를 높이는 효과가 높아진다. 인간의 동공에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려면 보다 휘도가 높은 광이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램프(33)를 실장하였을 경우, 보다 더 레드아이현상방지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회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제3실시예]
제8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중, 제8도는 제9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종단면도, 제9도는 섬광장치 수납상태를 나타낸 카메라의 개략사시도, 제10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카메라가 광각촬영상태에 있을 경우의 종단면도, 제11도는 광각촬영시의 카메라의 개략사시도, 제12도는 텔레포토촬영시의 카메라의 종단면도, 제13도는 섬광발광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41)은 그 앞면이 대략 원형상이고 광축방향으로 긴 대략 기둥형상을 나타내는 카메라본체, (42)는 이 카메라본체(41)의 대략 전단상부에 배치된 피벗축, (43)은 이 피벗축(42)에 의해서 카메라본체(41)에 회동가능하게 피벗고정된 섬광발광부이다. 또 (44)는 섬광촬영용 발광부로서의 섬광관, (45)는 반사셰이드, (46)은 이 반사셰이드(45)의 앞면에 설치된 투광성의 보호판, (65)는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로서의 예비조사용램프이며, 이들 부재에 의해서 섬광발광유닛을 구성하고 있으며, 반사셰이드(45)에 예비조사용램프(65)를 장착하고, 이 램프(65)에서 발광한 광을, 반사셰이드(45)에 의해 반사하여, 소정의 배광(light distribution)각에 의해 피사체로 향해 조사한다.
또한 상기 피벗축(42)과 섬광발광부(43)의 축구멍과의 사이에는 예를들면 도시하지 않은 파형와셔등의 마찰부재가 기재되어 있어, 섬광발광부(43)의 카메라본체(41)에 대한 소망의 회동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7)은 상기 피벗축(42)의 근처에 설치된 메인스위치이며, 이 메인스위치(47)는 제8도에 도시한 휴대상태(섬광장치수납상태)에서는 2개의 접편이 이간하여, OFF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43a)는 섬광발광부(43)의 축구멍의 근처에 돌출형성된 작용부이며,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섬광발광부(43)를 대략 180。위쪽으로 회동하였을 때, 이 작용부(43a)가 메인스위치(47)의 접편을 눌러서, 이 메인스위치(47)를 ON하도록 되어 있다. (48)은 촬영렌즈배럴인 제1렌즈군블록으로서, 이 제1렌즈군블록(48)은 제1촬영렌즈군(49)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 대략 전단상부에 피벗축(50)이 설치되어 있다. (51)은 이 피벗축(50)에 의해서 상기 제1렌즈군블록(48)에 회동가능하게 피벗고정된 집광부재인 프레넬렌즈이며, 프레넬렌즈(51)는 블록원호형상의 외표면(51a)과 ; 이 외표면(51a)의 반대쪽에 프레넬이 형성된 내표면(51b)과 ;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섬광장치 수납시에 섬광발광부(43)의 돌출부분(보호판(46)쪽)이 수납되는 오목부분(51c)으로 구성된다. (52)는, 상기 프레넬렌즈(5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가압하는 스프링이며, 이 스프링(52)의 가압력은 섬광발광부(43)의 피벗축(42)에 대한 마찰력보다 작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8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섬광발광부(43)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이에 종동하도록 프레넬렌즈(51)도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프레넬렌즈(51)의 회동중심의 근처에 설치된 스토퍼(51d)가 상기 제1렌즈군블록(48)의 위쪽에 형성된 모서리부(48a)에 접촉하므로써 회동을 정지한다(제10도). 또 (53)은 제2촬영렌즈군(54)을 유지하는 제2렌즈군블록, (55)는 이 제2렌즈군블록(53)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차동캠이다. (56)은 제3촬영렌즈군(57)을 유지하는 제3렌즈군블록이며, 이 제3렌즈군블록(56)에는 제3렌즈군바아(58)가 ; 이 제3렌즈군바아(58)의 좌단부 부근(제8도)에는 이 제3렌즈군바아(58)와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종동부(5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60)은 필름을 담고 있는 공지의 필름카아트리지이며, 이 필름카아트리지(60)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스푸울체임버(61)에 설치된 스푸울(62)에 감기고, 도중구경(63)에 의해서 노광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64)는 필름을 스푸울(62)에 누르기 위한 로울러이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섬광장치수납상태에 대해서 제8도 및 제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넬렌즈(51)는, 카메라본체(41)의 앞면의 오목부분에 접혀들어가 수납되어 있다. 이때 제1촬영렌즈군(49)의 앞면은 오목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넬렌즈(51)의 외표면(51a)의 제1촬영렌즈군(49)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섬광발광부(43)도 마찬가지로 카메라본체(41)의 앞면에 접혀 들어가 있으나, 이때 이섬광발광부(43)의 보호판(46)쪽의 프레넬렌즈(51)의 내표면(51b)에 대향하고, 상기 오목부분(51c)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넬렌즈(51)의 형상은 중간볼록형상의 메니스커스렌즈로 되어 있으므로,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섬광발광부(43)의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광각촬영상태의 섬광장치 사용시에 대해서 제10도 및 제1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상태로 이행하려면, 제8도에 도사한 상태의 섬광발광부(43)의 하단부에 손가락을 걸고, 피벗축(42)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180。 회동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섬광발광부(43)의 움직임에 종동해서 프레넬렌즈(51)도 피벗축(50)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180。 회동한다. 이렇게 해서, 프레넬렌즈(51)와 섬광발광부(43)는 소정간격을 유지한 그대로, 제10도에 나타낸 상태로 유지되나, 도시한 바와같이 섬광발광부(43)의 피벗축(42)보다도 프레넬렌즈(51)의 피벗축(50)이 카메라본체(41)의 앞쪽(제10도의 왼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0도에 도시한 섬광장치 사용시에 있어서는, 제8도에 도시한 섬광장치 수납시에 비해서, 섬광발광부(43)와 프레넬렌즈(51)와의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프레넬렌즈(51)에 의한 집광효과를 얻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한 섬광장치 사용시에 있어서는, 섬광발광부(43)와 프레넬렌즈(51)의 광축이 일치하고 있어, 카메라의 촬영광학계의 위치에 대응해서 광각촬영에 대응하는 섬광배광특성(배광각)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레드아이현상을 방지하는 예비조사용램프(65)도 섬광관(44)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배광특성을 제14a도에 도시한다. 이 배광특성은 제14b도에 도시한 섬광배광특성과 비슷한 배광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섬광발광부(43)가 위쪽으로 회동해서 섬광장치 사용상태가 되며, 이 섬광발광부943)의 작용부(43a)가 메인스위치(47)를 ON하므로, 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셔터릴리이스버튼등의 조작이 가능해져 소위 촬영준비상태가 된다.
다음에 텔레포토촬영상태의 섬광장치 사용시에 대해서,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제10도의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렌즈구동기구에 의해서 모우터구동 혹은 수동에 의해서 상기 제1렌즈군블록(48)을 광축을 따라서 카메라앞쪽(제10도의 외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제1렌즈군블록(48)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 제1렌즈군블록(48)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프레넬렌즈(5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프레넬렌즈(51)와 섬광발광부(43)와의 사이의 거리가 증대하므로, 촬영광학계의 주우밍(Zooming)에 연동해서 섬광관(44)에 의한 스트로보광 및 램프(65)에 의한 레드아이현상방지를 위한 발광도 제14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광학계의 주우밍에 대응한 배광특성(배광각)에 의해서 효율좋게 집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2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10도의 상태와 비교해서, 제1촬영렌즈군(49)과 제2촬영렌즈군(54), 제2촬영렌즈군(54)과 제3촬영렌즈군(57)과의 사이의 공기간격이 각각 변화하여 촬영광학계가 망원쪽으로 절환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회로는 제1실시예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5도 내지 제18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섬광장치의 집광렌즈가 고정되어 있으며, 섬광 및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램프를 가지는 발광유닛이 이동해서 스트로보의 섬광 및 레드이아현상방지램프의 조사의 배광특성(배광각)을 촬영렌즈의 촛점거리의 변화에 대응해서 변화시켜 그들의 조사를 효율좋게 행하는 것이다.
제15도는 주움렌즈, 주움섬광장치를 구비한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카메라는 주움렌즈의 렌즈배럴블록(130)과, 이것을 구동하는 주움모우터(70)와, 주움섬광장치(90), 그리고 렌즈 L1, L2, L3으로 이루어진 배율변환파이더장치(8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들은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주움섬광장치(90)의 발광부(96)는, 제13도와 마찬가지로, 발광부(96)의 반사셰이드에 예비조사용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기본적구성은, 캠판(82)의 좌우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주움섬광장치(90)의 발광부(96)와, 배율변환파인더장치(80)의 렌즈 L2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발광부(96)는 캠판(82)의 조사 각 가변캠면(88)과 주움레버(120)의 협동에 의해 광축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렌즈 L2는 그 돌기부(81)와, 이 돌기부(81)가 끼워 맞춤하는 캠판(82)의 캠홈(86)과의 협동에 의해서 광축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 발광부(96)와 렌즈 L2의 이동은, 주움렌즈의 촛점거리에 따라서 변화하고,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판(82)이 실선으로 표시한 우단부위치가 긴 촛점거리의 위치이며, 또 2점쇄선으로 표시한 좌단부위치가 짧은 촛점거리위치이다. 그리고, 캠판(82)은, 그 절곡편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랙(84)와 감속기어열(78)의 출력기어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구동력이 부여되는 것이며, 주움렌즈의 배율변환동작에 연동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감속기어열의 입력쪽인 입력축(75)의 피니언(74)이 렌즈배럴블록(130)의 섹터기어(132)에 맞물려 있다.
또, 섬광장치(90)의 발광부(96)는, 스프링(101)에 의해 항상 짧은 촛점거리에 가압되고, 주움레버(120)의 캠접촉면(121)이 캠판(82)의 캠면(88)에 항상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제15도에 있어서, 주우밍조작을 행하면, 주움모우터(70)가 회동하여 렌즈배럴블록(130)의 주우밍이 행해지는 동시에 섹터기어(132), 피니언(74), 감속기어열(78) 및 랙(84)을 개재해서 캠판(82)이 좌우로 왕복움직인다. 이 캠판(82)의 이동에 의해서, 렌즈배럴블럭(130)의 촛점거리 변화에 따라서 배율변환파인더장치(80)의 배율(시야)이 변화하는 동시에, 조사각 가변캠면(88)과 캠접촉며(121)이 접접하는 주움레버(120)가 요동하고, 발광부(96)가 전후 이동해서 렌즈배럴블록(130)의 촛점거리변화(화각의 변화)에 대응해서 주움섬광장치(90)의 조사각이 변화한다.
주움섬광장치(90)의 조사각의 변화에 의해,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4a, 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섬광장치와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램프의 배광특성이 변화한다.
제16제도는 발광부(96)가 집광렌즈(94)로부터 가장 멀어진 최소조사각 상태를 나타내고, 제17도는 반대로 발광부(96)가 집광렌즈(94)에 가장 가까와진 최대조사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회로는, 제1실시예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제3, 제4실시예에 있어서, 조사각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반사셰이드를 가변으로 하는 방법등, 다른 어떤 방법이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상기 제3, 제4실시예는 촬영주움렌즈의 이동에 연동해서, 섬광장치의 조사각이 변화하는 예를 기계적인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싱글렌즈 레플렉스 카메라와 같이, 렌즈의 촛점거리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섬광장치에 전달하고, 섬광장치쪽에 있어서, 이 신호에 의해 섬광장치의 주움위치를 결정하는 타입의 것으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주움섬광장치 대신에 단계적으로 배광특성을 변화시키도록 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레드아이현상을 방지하는 광원으로서 램프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LED등 발광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의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자동포커싱용 보조발광부로 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출력을 높이지 않고도 충분한 레드아이현상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서,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로서, 소형이며 염가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와 섬광촬영용 발광부에 공통인 반사셰이드, 프로텍터, 그리고 프레넬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저렴하게 해결되는 동시에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위하여 충분한 스페이스를 취할 필요가 없어 소형화할 수 있고, 실장상으로도 극히 유리하다.

Claims (92)

  1. 섬광촬영용 발광부(1,44,31)와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3,65,33)와 ;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반사셰이드(2,45,32)와 ; 그리고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앞면에 배치된 프로텍터(34,46,9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는 크세논섬광관(1,3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예비조사램프(3,33,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예비조사램프(3,33,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33)는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31)의 광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집광렌즈(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상기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더 긴 촛점거리쪽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조사각을 작게 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더 짧은 촛점거리쪽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조사각을 크게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구동하기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반사셰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반사셰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5. 섬광촬영용 발광부(31,44)와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33,65)와 ;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반사셰이드(32,45)와 ; 그리고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앞면에 배치된 집광렌즈(34,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는 크세논섬광관(3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예비조사램프(33,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예비조사램프(33,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33)는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의 광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상기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더 긴 촛점거리쪽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조사각을 작게 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더 짧은 촛점거리쪽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조사각을 더 크게 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반사셰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반사셰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집광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은 상기 집광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0. 섬광촬영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1발광수단(1,44,31)과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2발광수단(3,65,33)과 ; 그리고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상기 제2발광수단에 의해 발광된 광들을 집광하기 위한 반사수단(2,45,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상기 제2발광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34,46,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제2발광수단에 의해 발광된 광들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렌즈(34,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은 크세논관(1,3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은 예비조사램프(3,6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은 예비조사램프(3,6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33)은 상기 제1발광수단(31)의 광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상기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 가변수단(51,120,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상기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더 긴 촛점거리쪽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상기 제2발광수단의 조사각을 작게 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120,82)은 상기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더 긴 촛점거리쪽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제2발광수단의 조사각을 작게 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제2발광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제2발광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반사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120,82)은 상기 반사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은 상기 집광렌즈를 구동시키기위한 수단(49,54,57,48,55,59,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51)은 상기 집광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49,54,57,48,55,59,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47. 섬광촬영용 발광부(1,44,31)와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3,65,33)와 ;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반사셰이드(2,45,32)와 ; 그리고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앞면에 배치된 프로텍터(34,46,9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8. 섬광촬영용 발광부(31,44)와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33,65)와 ;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반사셰이드(32,45)와 ; 그리고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앞면에 배치된 집광렌즈(34,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9. 섬광촬영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1발광수단(1,44,31)과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2발광수단(3,65,33)과 ; 그리고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상기 제2발광수단에 의해 발광된 광들을 집광하기 위한 반사수단(2,45,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0. 제47항에 있어서, 촛점거리 가변촬영광학계(130,131)와 ; 그리고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70,74,75,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1. 제48항에 있어서, 촛점거리 가변촬영광학계(49,54,57)와 ; 그리고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상기 섬광촬영용 발광부 및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2. 제48항에 있어서, 촛점거리 가변촬영광학계(49,54,57)와 ; 그리고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 점등용의 트랜지스터(11)를 포함하고,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5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 점등용의 트랜지스터(11)를 포함하고,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5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 점등용의 트랜지스터(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발광수단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56.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 점등용의 트랜지스터(11)를 포함하고,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7.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 점등용의 트랜지스터(11)를 포함하고, 상기 레드아이현상방지용 발광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8.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 점등용의 트랜지스터(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발광수단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9. 섬광촬영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1발광수단(1,31,44,96중)과 ; 레드아이현상방지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2발광수단(3,33,65,96중)과 ; 그리고 물체에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에 의해 발광된 광들을 방향짓게 하기 위한 디렉팅수단(2,32 또는 32+34, 45 또는 51 또는 45+51, 96 또는 94 또는 96+9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1,31,44,96중)은 크세논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1,31,44,96중)은 예비조사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수단은 상기 제1발광수단의 광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51,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작동하는 수단(49,54,57,48,55,59,58,70,74,75,130,131,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쵤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각각 감소하거나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조사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수단 (49,54,57,48,55,59,58,70,74,75,130,131,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을 이동시키거나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7.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팅수단은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을 포위하도록 배치된 반사수단(2,32,45,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8.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팅수단은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앞면에 배치된 프로텍터(34,46 또는 51,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69.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팅수단은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에 의해 발광된 광들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수단(51,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수단은 집광렌즈(51,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1.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집광렌즈(51,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2.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82,12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반사수단을 이동시키거나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3.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82,12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프로텍터을 이동시키거나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51,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4.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82,12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집광렌즈를 이동시키거나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5.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배광특성가변수단(82,12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제1발광수단 및 제2발광수단과 상기 집광수단을 상대변위시키기 위한 수단(51,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6.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상기 제2발광수단 점등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77. 제59항에서 권리청구된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8. 제77항에 있어서, 촛점거리 가변촬영광학계(49,54,57,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9. 제59항에 있어서, 권리청구된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80. 레드아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수단(65,96중)과 ; 그리고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배광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변수단(51 또는 51+도시하지 않은 51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94 또는 94+82+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의 조사각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51 또는 51+도시하지 않은 51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94 또는 94+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2.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변화에 따라서 작동하는 수단(49,54,57,48,55,59,58,70,74,75,130,131,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특성가변수단은 상기 촬영광학계의 촛점거리가 각각 감소하거나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제1발광수단과 제2발광수단의 조사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수단(49,54,57,48,55,59,58,70,74,75,130,131,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4.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의 앞쪽에 배치되는 광학부재(51,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집광렌즈(51,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광학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도시하지 않은 제8도의 51을 움직이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7.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82,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8.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발광수단의 조사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수단(45,96중 바깥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과 함께 상기 반사수단에 의하여 덮히게 되도록 배치되는 섬광촬영용 조사광을 발광하기 위한 섬광발광수단(44,96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90. 제80항에서 권리청구된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1. 제90항에 있어서, 촛점거리 가변촬영광학계(49,54,57,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2. 제80항에서 권리청구된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KR1019900021301A 1989-12-21 1990-12-21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3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31742A JPH03192234A (ja) 1989-12-21 1989-12-21 赤目防止装置
JP1-331741 1989-12-21
JP1-331742 1989-12-21
JP1331741A JPH03192235A (ja) 1989-12-21 1989-12-21 電子閃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794A KR910012794A (ko) 1991-08-08
KR940003104B1 true KR940003104B1 (ko) 1994-04-13

Family

ID=2657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301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3104B1 (ko) 1989-12-21 1990-12-21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37076B1 (ko)
KR (1) KR940003104B1 (ko)
DE (1) DE6901787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1170A1 (fr) * 1997-03-24 1998-09-25 Xavier Vigla Dispositif reflecteur pour tube flash utilise en photographie
US7747160B2 (en) 2008-01-04 2010-06-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lligent red eye removal
JP2020500405A (ja) * 2016-11-18 2020-01-09 ▲広▼▲東▼野光源▲視▼力保健研究院Guangdong Wlight Visual Health Research Institute 動的照明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2974A (en) * 1983-07-01 1985-09-24 Canon Kabushiki Kaisha Flash photography apparatus
JPS6417033A (en) * 1987-07-10 1989-01-20 Minolta Camera Kk Automatic dimming system flash device
JPS6456427A (en) * 1987-08-27 1989-03-03 Asahi Optical Co Ltd Camera with zoom lens and illuminating angle variable stroboscope
US4785322A (en) * 1987-12-10 1988-11-15 Polaroid Corporation Infrared wink ran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7878D1 (de) 1995-04-20
KR910012794A (ko) 1991-08-08
EP0437076A1 (en) 1991-07-17
DE69017878T2 (de) 1995-08-10
EP0437076B1 (en) 199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9845A (en) Flash device for camera
US5424794A (en) Red-eye reduction system
US5285232A (en) Red-eye phenomenon preventing device
KR940003104B1 (ko) 레드아이현상방지장치, 카메라 그리고 광학장치
JP2823434B2 (ja) カメラの電源電圧判定装置
US5367355A (en) Flash ready condition dependent on focal length
JPH095843A (ja) カメラ
JPH01287544A (ja) 全自動カメラの赤目防止装置
JP3717750B2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569444B2 (ja) 赤目防止制御装置
JP2771851B2 (ja) カメラの閃光発光装置
JP2550385B2 (ja) 赤目防止制御装置
JP2771850B2 (ja) カメラの閃光発光装置
JP2546213B2 (ja) 赤目防止制御装置
JP4174280B2 (ja) カメラ
JPH0720665Y2 (ja) カメラの赤目防止制御装置
JPH075530A (ja) フラッシュ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2003121905A (ja) 赤目緩和機能付き撮影装置
JP2839002B2 (ja) カメラ
JPH0262510A (ja) 電動ズームレンズ付きカメラ
JP2595186Y2 (ja) カメラの赤目防止制御装置
JP2733612B2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550383B2 (ja) カメラの赤目防止制御装置
JP2530218Y2 (ja)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JPH05288977A (ja) 電子閃光器内蔵電動ズームレンズ付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4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4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