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2555B1 -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 Google Patents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55B1
KR940002555B1 KR1019870004015A KR870004015A KR940002555B1 KR 940002555 B1 KR940002555 B1 KR 940002555B1 KR 1019870004015 A KR1019870004015 A KR 1019870004015A KR 870004015 A KR870004015 A KR 870004015A KR 940002555 B1 KR940002555 B1 KR 94000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pha
alkylacrylamide
alkyl group
oxal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093A (ko
Inventor
유지 스즈끼
사또시 우라노
히로또시 우메모또
류조 미즈구찌
게이 아오끼
노리유기 쓰보니와
Original Assignee
닛뽕뻬인또 가부시끼가이샤
스즈까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뻬인또 가부시끼가이샤, 스즈까 마사오 filed Critical 닛뽕뻬인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acryloylmorpho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본 발명은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및 그의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응성이 높은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칼아크릴아미드 및 그의 중합체, 및 그의 제법 및 사용에 관한 것이다.
식 CH2=CR-CO-NH2(I)에서 R이 저급알킬(예,메틸,에틸,프로필)인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는 여러가지 작용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출발물질로 유용하다고 알려졌다. 예를들면, 상기 화합물은 옥살릴 디할라이드와 반응하여 식 CH2=CR-CO-NCO(A)(R은 상기 정의와 같다)의 알파-알킬아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를 산출하고(일본국 특허 공개 제l15557/1985호), 이는 에틸렌 불포화 및 이소시아네이트기에서도 반응성이 높다. 본 발명은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를 제공하고, 이는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탄소-탄소 뼈대 연쇄 및 최소한 하나의 N-(치환된 옥살릴)카르바모일기 및 최소한 하나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공하고, 이는 상기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를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고 코팅, 접착 또는 성형 조성물의 수지성분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는 다음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H2=CR-CO- NH -CO-CO-OR' (Ⅱ)
상기식에서 R'은 탄화수소기이고, R은 상기 정의와 같다.
R'으로 표시되는 탄화수소에 관해서는, 분자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적으로는 약 500을 넘지 않을 수 있다. 탄화수소의 구체적인 예는 저급알킬(예,메틸,에틸,프로필,부틸)과 같은 알킬기, 저급알케닐(예,알릴,부테닐)과 같은 알케닐기, 저급알키닐(예,크로틸)과 같은 알키닐기, 시클로(저급)알킬(예,시클로펜틸,시클로헥실)과 같은 시클로알킬기, 페닐과 같은 아릴기, 아르(저급)알킬(예,벤질,페네릴)과 같은 아르알킬기, 저급 알케닐옥시(저급)알킬(예,알릴메틸,알릴에틸)과 같은 식 : -0-R"(상기식에서 R"은 불포화 함유기이다)의 기로 치환된 알킬기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저급"이란 용어는 8탄소원자를 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5탄소원자를 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기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것이외의 어느것, 예를들면, 스테아릴과 같은 어느정도 고급 알킬기를 나타낼 수도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N-(치환된 옥살릴)-알파-아크릴아미드(11)는 대응하는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I )로부터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고, 그 전형적인 예는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공정1]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ll)는 통상 약 20-2OO℃의 온도에서 비활성 용매중에 대응하는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과 하기식
X - CO- CO -OR' (Ⅲ)
[식중, X는 할로겐원자(예 : 염소,브롬)이고, R'는 상기 정의와 같음]으로 표시되는 옥말릴 모노할라이드 모노에스테르를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20℃ 미만의 온도에서는 충분한 반응속도를 얻을 수 없고, 200℃ 초과의 온도에서는 부반응이 발생한다.
반응에 사용되는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와 옥살릴 모노할라이드 모노에스테르(111)의 몰비는 약 10 : 1~1 : 10 바람직하기로는 5 : 1~1 : 5이다. 비활성 용매는 방향족 탄화수소(예 : 벤젠, 돌루엔, 크실렌),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에스테르(예 : 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에테르(예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등으로 부터 선택할 수 있다.
반응도중에 할로겐화 수소가 부생하며 이 부생된 할로겐화 수소를 반응계로부터 즉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그러한 제거가 한편으로는 반응의 매끄러운 진행에 다른 한편으로는 일단 생성된 N-(치환된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에 염화수소의 첨가로 인한 소망하는 생성물의 수율 감소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할로겐화 수소의 제거를 위하여는 반응계에 어느 할로겐화수소 포획물질을 사용하거나 반응계로부터 할로겐화 수소 제거를 촉진하는 어느 수단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경우에 할로겐화수소 포획물질로서 유기 또는 무기염기(예 :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피리딘, 포타슝에톡사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를 사용한다. 대신에, 할로겐와수소 포훠물질로서 매우 과량의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환류조건하에 반응시키고(반응시키거나) 반응혼합물을 비활성기체(예 : 질소)로 버블링(bubbling) 하는 상기 제거를 할 수도 있다.
통상의 방법, 예를들면, 반응혼합물을 적절한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 처리, 재결정화 또는 감압증류하여 후처리할 수 있다.
[공정 2]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는 통상 약 0-80℃의 온도에서 비활성 용매중에 대응하는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I )과 하기식
Figure kpo00001
(식중, X는 상기 정의와 같음)으로 표시되는 옥살릴 디할라이드를 반응시키고, 생성되는 하기식
Figure kpo00002
(식중, R 및 X는 상기 정의와 같음)으로 표시되는 옥사졸리디온 히드로할라이드와 하기식
Figure kpo00003
(식중, R'는 상기 정의와 같음)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30~40℃의 온도에서 비활성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첫째 단계에서 알파-알킬아크릴마이드(I) 및 옥살릴디할라이드(IV) 사이의 반응은 유럽 특허출원 제86303601.8.호에 기재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은 반응조에 옥살리 디할라이드(IV)를 먼저 도입하고. 여기에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를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조금씩 가한다.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 및 옥살릴할라이드(IV)의 몰비는 통상 약 1 : 1∼3, 바람직하게는 약 1 : 1∼1.5이다. 필수적으로 어떤 반응매질을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사용이 반응의 균일하고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바람직하다. 반응매질의 예로서 탄화수소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에테르, 에스테르등에서 선럭된 비활성 용매가 있고, 이들중 특히 바람직스러운 것은 할로겐화 탄화수소(예를들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프로판,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1,4-디클로로부탄, 클로로벤젠, 에틸렌테트라를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틸렌, 클로로프로판)이다. 상기 반응온도는 보통 -50℃ 내지 옥사졸리딘은 히드로할라이드(V)의 분해온도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0°~80℃이다.
둘째 단계에서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V)와 알콜(Vl)의 반응은 내부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중에서 실행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옥사졸린디옥히드로할라이드(V)와 알콜(VI)의 몰비는 약 1 : 1 내지 1 : 20 바람직하게는 약 1 : 5 내지 1 : 15이다. 비활성 용매의 예로서 공정 1과 관련되어 예시된 것들이 있다.
비활성 용매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알코올(Vl)를 과량으로 사용하여 반응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반응용매로서도 이용된다. 상기 반응은 정상적으로 약 -3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반응온도가 약 -30℃ 이하일때 반응은 실제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반응온도가 약 40℃ 이상이면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V)가 분해될 수 있다.
반응도중, 수소할라이드가 부생되고, 반응계로부터 부생되는 수소할라이드의 즉각적인 제거가 공정 1에 설정된 것과 동일한 이유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거를 위하여 수소할라이드-포획제의 반응계내로의 도입이 바람직하다. 수소할라이드-포획제로서 고정 1에 예시된 것을 사용한다. 보통 상기 반응은 알콜(Vl) 및 수소할라이드-포획제 및 임의적으로 내부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에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V)를 가하여 실행한다.
후처리는 그 자체의 통상적인 공정, 예를들어 비활성 용매 및 반응흔합물에 있는 과량의 알코올을 제거하고, 그 잔류물을 물과 유기용매에 혼합하고 추출액으로부터 탈수소 할로겐화제를 제거하고 생성물을 추출, 컬럼프로마토그래퍼, 재결정 또는 감압증류와 같은 정제방법으로 정제한다.
아직도, 최근의 NMR 연구에 의해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의 일반식으로 주어진 상기 일반식 (V)의 정확성에 대해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오히려 하기 일반식이 제안되고 있다 :
Figure kpo00004
그러나,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의 화학적 성질은 일한식(V')보다는 일반식(V)와 덜 잘 일치하는 것처럼 나타난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식(V)를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에 적합한 일반식으로 주장한다.
그외에도, 옥사졸린디온히드로할라이드(V)는 하기 일반식의 비스(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를 준다 :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은 상기 정의된 바와같으며 온도 0~40℃, 바람직하게는 실온 근처에서 염기(예 : 소듐히드리드) 존재하에, 보통 비활성 용매(예 :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벤젠, 아세톤) 상에서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과 반응시킨다. 상기 비스(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화합물(Ⅶ)은 분자내에 그곳의 불포화된 에틸렌 부위가 있기 매뭍에 중합체를 생성해내는 단량체 성분으로 그 자체가 유용하다.
[공정 3]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하미드(Ⅱ)는 대응하는 알파-알킬하크릴아미드(I)를 하기 일반식의 옥살릴디에스테르와 반킁시켜 수득될 수 있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고 반응온도는 약 20℃에서 그 반응물의 환류 온도까지이며, 바람직하게는 실온근처 이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 및 옥살릴디에스테르(Ⅷ)의 몰비는 약 10 : 1∼1 : 10, 바람직하게는 5 : 1∼1 : 5이다. 비활성 용매의 사용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사용시에는 방향족 탄화수소(예 : 벤젠, 톨루엔, 크실렌),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에스테르(예 : 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에테르(예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활성 용매가 사용되지 않을때에는, 옥살릴디에스테르(Ⅷ)가 과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I) 및 옥살릴모노할라이드 모노에스태르(Ⅲ) 사이의 반응과 같이 수소할라이드-포획물질. 특히 유기 또는 무기염기(예 :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피리딘, 포타슘에톡사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의 사용이 강력히 추천된다.
반응 조건에 따라 반응흔합물에는 러-(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 이외에 비스(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화합물(Ⅶ)이 함유될 수 있다.
후처리는 예를들면, 반응혼합물을 적절한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또는 감압 증류시키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같이 수득한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는 하기와 같이 3부분으로 나누어질수 있는 화학구조를 갖는다.
Figure kpo00007
상기 3부분 중에서, (a)부분은 하나 걸러 짝지은 이중결합 구조(conjugated double bond structure)를 갖는다. 이와같이, N-(치환된 옥살릴)-알과-알킬아크릴아미드(Ⅱ)는 그 자체 또는 기타 중합 가능한 단량체와 중합되어 코팅, 접착제 또는 성형 조성물등의 수지 성분으로서 유용한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b)부분은 분자간 응집력이 높고 분자간 수소결합 헝성 특성이 높은 C, N-디아실아미드 결합을 갖고 있다. 이와같이,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를 임의의 기타 중합 가능한 단량체와 중합시켜 얻은 중합체는, 탄성, 강도 및 접착성이 크다. (c)부분은 케토에스테르 결합을 갖고 있고, 치환기 R'는 기타의 치환기와 용이하게 치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이해된 바와같이,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는 저분자량 또는 고분자량의 각종 화학적 생성물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단량체 중간물질로서 사용된다. 실질적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예를들면 코팅, 접착제 및 성형조성물의 수지 성분에 적절한 탁월한 물성을 갖는 중합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이다.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중합체는 탄소-탄소 골격사슬과 적어도 하나의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기로 구성된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는 상술한 바와같고, 상기 사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저급알킬기이다. 이와같은 중합체는 통상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100,000이고, 상기기 (B)를 중합체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76.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임의의 성분으로서 또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넓은 범위의 중합 가능한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예를들면 이하와 같다 : 불포화산류(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2-이소프로필아크릴산, 시스- 또는 트랜스-2-데켄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베타-트랜스-니트로아크릴산), 불포화 알코올류(예, 크로톤 알코올, 신나밀 알코올, 0-히드록시스티렌, 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랜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불포화 아미드류(예,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크로톤아미드, 신나밀아미드, p-벤즈아미도스티렌), 불포화술폰산류(예, 2-술포에틸아크릴에이트, 2-술포에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아미도술폰산, 4-술포페닐 아크릴레이트, p-비닐벤젠술폰산), 불포화 인산류(예, 산포스폭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아미도포스폭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산 포스폭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포스페이트, 불포화 아민류(예, 알릴아민, o-아미노스티렌, m-아미노스티렌, 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7-아미노-3,7-디메틸옥틸 아크릴레이트), 모노올레핀 또는 디올레핀 탄화수소류(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에틸스티렌, 이소부틸렌, 2-메틸부텐-1, 2-메틸-펜텐-1, 2,3-디메틸부텐-1, 2,3-디메틸펜텐-1, 2,4-디메틸펜텐-1, 2,2,3-트리메틸펜텐-1, 2,3-디메틸헥센-1,2.4-디메틸헥센-1, 2,5-디메틸헥센-1, 2-메틸-3-에틸펜텐-1, 2,3,3-트리메틸펜텐 -1, 2,3,4-트리메틸펜텐-1, 2-메틸옥텐-1, 2,6-디메틸헵텐-1, 2,6-디메틸옥텐-1, 2,3-디메틸데켄-1, 2-메틸노나데켄-1,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아밀렌, 헥실렌,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할로겐화 된 모노 올레핀 또는 디올레핀 탄화수소류(예, 알파-클로로스티렌, 알파-브로모스티렌, 2,5-디클로로스티렌, 2,5-디브로모스티렌, 3,4-디클로로스티렌, o-,m- 또는 p-플루오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2,6-디플루오로스티렌, 3-플루오로-4-클로로스티렌, 3-클로로-4-플루오로스티렌, 2,4,5-트리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모노플루오로스티렌, 2-클로로프로펜, 2-클로로부텐, 2-클로로펜텐, 2-클로로첵센, 2-플루오로부텐, 2-요오도프로펜, 2-요오도펜텐, 4-브로모헵텐, 4-클로로헵텐, 4-플루오로헵텐, 시스- 또는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1,2-디브로모에틸렌, 1,2-디플루오로에틴렌, 1,2-디요오도에틸렌, 클로로에틸렌(비닐클로라이드), 1,2-디클로로에틸렌(비닐리덴클로라이드), 브로모에틸렌, 플루오로에틸렌, 요오도에틸렌, 1,1-디브로모에틸렌, 1,1-디플루오로에틸렌, 1,1-디요오도에틸렌, 1,1,2-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부타디엔, 유기 또는 무기산 에스테르류(예,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이소부티레이트, 비닐 발레레이트, 비닐 카프로에이트, 비닐 에난테테, 비닐 벤조에이트, 비닐 톨루에이트, 비닐 p-클로로벤조에이트, 비닐 0-클로로벤조에이트, 비닐 p-메톡시벤조에이트, 비닐 p-에톡시벤조에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밀 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크로토네이트, 에틸 티글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아밀 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3,5,5-트리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페닐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이소프로페닐 부티레이트, 이소프로페닐 이소부티레이트, 이소프로피닐 발레레이트, 이소프로페닐 카프로에이트, 이소프로페닐 에난테테, 이소프로페닐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페닐 p-클로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페닐 0-클로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페닐 0-브로모벤조에이트, 이소프로페닐 m-클로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페닐 톨루에이트, 이소프로페닐 알파-클로로아세테이트, 이소프로페닐 알파-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알파-클로로아세테이트, 비닐 알파-브로모아세테이트, 비닐 알파-클로로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알파-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알파-클로로부티레이트, 비닐 알파-클로로발레레이트, 비닐 알파-브로모발레레이트,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시아나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알릴 플루오라이드, 알릴 요오다이드, 알릴 클로라이드 카르보네이트, 알릴 니트레이트, 알릴 티오시아네이트, 알릴 포르메이트, 알릴 아세테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퍼오네이트, 알릴 부티레이트, 알릴 발레레이트, 알릴 카프로에이트, 알릴 3,5,5-트리메틸 헥사노에이트, 알릴 벤조에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크로토네이트, 알릴 올리에이트, 알릴 클로로아세테이트, 알릴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알릴 클로로프로피오네이트, 알릴 클로로발레레이트, 알릴 락테이트, 알릴 피루베이트, 알릴 아미노아세테이트, 알릴 아세토 아세테이트, 알릴티오아세테이트, 메탈릴 클로라이드, 메탈릴 브로마이드, 메탈릴 니트레이트, 메탈릴티오시아네이트, 메탈릴아세테이트, 메탈릴 프로피오네이트, 베탈릴 부티레이트, 메탈릴 발레레이트, 베탈릴 벤조에이트, 메탈릴 클로로 프로퍼오네이트, 베타-에틸알릴 아세테이트, 베타-프로필아릴 아세테이트, 4-아세톡시 -1-부텐, 4-아세톡시 -2-메틸부텐, 4-아세톡시-2-(2,2-디메틸프로필)-1-부텐, 4-아세톡시-1-펜텐, 메틸 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메틸 알파-브로모아크릴레이트, 메틸알파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 메틸 알파-요오도아크릴레이트, 에틸 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알파-브로모아크릴레이트, 아밀 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데실 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메틸알파-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 알파-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아밀 알파-시아노아크릴레이트, 데실 알파-시아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말리에이트, 디에틸말리에이트, 디알릴 알리에이트, 디메틴푸마레이트, 디에틸 푸마레이트, 디메타크릴푸마레이트, 디에틴 글루타로케이트, 유기 니트릴류(예,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3-옥테네니트릴, 크로토니트릴, 올레오니트릴), 불포화 알코올류(예, 알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크로톤알코올, 신나밀 알코을, o-히드록시스티렌), 불포화 아미드류(예,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크로톤아미드, 신나밀 아미드, p-벤즈아미도스티렌) 등이 있다. 상기의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들을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를 단량체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중량% 보다 직지 않은 양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양이 0.1중량% 보다 적을때는, 제조된 중합체가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의 특징적인 물리적 특성을 갖기가 매우 어렵다.
중합 반응은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 비활성 용매내에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합 개시제로는, 일반적으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일퍼옥시드, 쿠멘히드로퍼옥시드,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술피드. 2,2-아조비스(4-메톡시-2,4-터메틸 발레로니트릴), 아세틸시클로헥실 숲포닐 퍼옥시드 또는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과 같은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한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10중량% 일 수 있다.
비활성 용매의 예로는, 지방족 탄화수소류(예, 펜탄, 헥산, 헵탄), 방향족 탄화수소류(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알릴시클릭탄화수소류(예,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데칼린), 석유 탄화수소류(예, 석유 에테르, 석유 벤젠), 할로겐화된 탄화수소류(예,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에테르류(예,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테르, 아니솔, 디옥산, 테트라히쓰로푸란), 케톤류(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틴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아세토페논, 이소푸론), 에스테르류(예,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하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술폭시드 등이 있다. 상기의 용매를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도 있다.
중합 온도는 보통 약 40~200℃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약 60~l50℃이다. 온도가 약 200℃ 보다 높을때에는 부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다. 온도가 너무 낮을때는 반응 속도가 너무 느려진다 목적에 따라. 목적에 따라, 중합 조절제와 같은 임의의 다른 첨가제를 반응계에 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수득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1,000~10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약 2,000~80,000의 분자량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중합체가 예를들어, 코팅, 접착제 및 성형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 성분으로 유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중합체는 부분적으로 하기의 구조식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며 ;
[단일 중합체]
Figure kpo00009
[공중합체]
Figure kpo00010
상기식들중, p는 또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기원인 펜던트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부분(b')는 C, N-디아실아미드 결합을 함유하고 결합을 함유하고 높은 분자간 응집력 및 높은 수소 결합 형성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부분은 높은 탄성, 인성, 점착성, 분산성, 굴절율 등을 중합체에 부여하는데에 기인한다.
부분(c')는 케토에스테르 결합을 함유하며, 치환체 R'은 임의의 다른 치환체와의 교환이 용이하다. 따라서, 차환체 R'을 임의의 다른 치환체로 적절하게 치환시킴으로써 중합 특성, 극성, 용해성, 반응성 등을 중합체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 적당한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중합체에 바람직한 펜던트를 제공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목적하는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코팅, 접착 및 성형 조성물의 수지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구체예들은 이하의 실시예내에 상세하게 나타낸다. 용어 Mn 및 Mw는 각각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1]
교반기, 냉각기, 질소기체도입구 및 적가깔때기가 장치된 반응용기에, 벤젠(288.5㎖) 및 메타크릴아미드(78.5g : 0.577몰)을 채우고, 상기 흔합물을 환류 가열한다. 에톡살릴 클로라이드(78.5g : 0.577몰)을 2.5시간동안 적가하며 환류 및 질소기체 버블링을 계속한다. 적가가 끝난후 환류를 5시간 계속한다. 벤젠을 증류하고, 히드로퀴논(0.01g)을 가입하고 감압 증류하여 N-에톡살릴메타크릴아미드(45.8g)을 수득한다.
수율 43%.
비등점 110~ll5℃/0.3mmHg
굴절률 1.473
IRv : 3300(N-H), 1760(C=0), 1720(C=0), 1690(C=0). 1640(C=C), 1190(C-0), 1160(C-0), 1120(C-0), 1100(C-0) CM-1.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용기에 에톡살릴 클로라이드(12.3g ; 0.09몰)을 채우고, 반응용기를 얼음 중탕으로 냉각시킨다. 메타크릴아미드(7.7g ; 0.09몰)을 클로로포름(32.4㎖)에 녹인 용액을 10분 동안에 적가한다. 적가가 끝나면, 피리딘(7.2g ; 0.09몰) 및 클로로포름(10㎖)의 혼합물을 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클로로포름(500㎖) 및 물(500㎖)과 흔들어서,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클로로포름을 제거한다. 히드로퀴논(0.Olg)을 가압하고, 감압증류하여 N-에톡살릴에타크릴아미드(5.3g)을 수득한다.
수율 32%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에톡살리클로라이드(12.3g , 0.09몰)을 채우고, 얼음중탕에서 반응응기를 냉각시킨다. 메타크릴아미드(20.3g ; 0.24몰)을 클로로포름(90.O㎖)에 녹인 용액을 30분동안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500㎖) 및 물(500㎖)과 흔들어서, 플로로포름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이어서 클로로포름을 제거한다. 히드로퀴논(0.01g)을 가입하고 감압증류하여 N-에톡살릴메타크릴아미드(4.8g)을 수득한다.
수율 29%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톨루엔(20㎖) 및 메타크릴아미드(2.1g ; 0.025몰)을 채우고, 그 혼합물을 90℃로 가열한다. 벤질옥살릴 클로라이드(5.0g)을 10분동안 적가한 후, 결과의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격렬하게 버블링하고, 이어서 90℃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클로로포름(300㎖) 및 물(l000㎖)과 함께 흔들어서,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이어서 감압하에 톨루엔 및 클로로포름을 제거한다. 결과의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벤질옥살릴메타크릴아미드(2.9g)을 무색, 투명한 점액으로 수득한다.
수율 47%
굴절률 1.534
IRv : 3350(N-H), 1750(C=0), 1730(C=0), 1690(C=0), 1630(C=0), 1500(N-H,변형), 695(C-H,변형)cm-1.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에탄올(230.4g ; 5.0몰) 및 피리딘(39.6g ; 0.5몰)을 채우고, 0℃의 얼음 중탕에서 반응용기를 냉각시킨다.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 염산염(87.8g ; 0.5몰)을 30분동안 가열하며, 반응 온도를 0℃ 내지 10℃로 유지하며 교반한다. 가입이 끝나면 과량의 에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한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1000㎖) 및 다량의 물과 함께 흔들어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히드로퀴논(0.01g)을 가입하고, 감압증류하여 N-에톡살릴메타크릴아미드(30.5g)을 수득한다
수율 33%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벤질알코올(27.0g : 0.25몰) 및 피리딘(4.0g ; 0.05몰)을 채우고, 0℃의 얼음중탕에서 반응용기를 냉각시킨다.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8.8G : 0.05몰)을 30분동안 교반하며 가입하고, 이때 반응온도는 0 내지 l0℃로 유지한다. 가입이 끝나면, 과잉의 벨질알코올은 감압증류로 제거한다.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300㎖) 및 물(1000㎖)과 함께 흔들고,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클로로포름을 제거한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벤질옥살릴메타크릴아미드(3.9g)을 무색투명한 점액으로 수득한다.
수율 32%
[실시예 7]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용기에 페놀(23.5g ; 0.25몰), 피리딘(4.0g ; 0.05몰) 및 에틸아세테이트(25.0g)을 넣고, 그 반응용기를 수욕에서 10℃로 냉각시킨다. 그 용기온도를 10℃에서 20℃ 사이에서 유지하는 동안,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8.8g : 0.05몰)를 교반하에 30분간에 걸쳐 반응용액에 첨가해준다. 가입이 끝나면, 에틸아세테이트 및 페놀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해준다. 반응 혼합물을 벤젠(300㎖)과 물(1000㎖)과 섞어 흔들어준 다음, 벤젠층을 분리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벤젠을 제거한다. 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퍼로 정제하여 N-페닐옥살릴메타크릴아미드(2.5g)를 백색분말로 수득한다.
수율 21%
융점 83~85℃
IRv : 3250(N-H), 3180(C-H), 1785(C=0), 1725(C=0), 1690(C=0), 1650(C=C), 1480(C-H, 변형), 690(C-H, 변형 ) cm-1
[실시예 8]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용기에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32.5g ; 0.25몰), 피리딘(4.0g ; 0.05몰) 및 클로로포름(30.0g)을 채우고, 그 반응용기를 수욕에서 10℃로 냉각시킨다. 그 용기온도를 10℃에서 20℃사이로 유지하며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8.8g : 0.05몰)을 교반하에 30분간에 걸쳐 반응용기에 첨가해 준다. 완전히 첨가한 다음, 그 결과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해준다. 그 반응혼합물을 클로로포름(500㎖)와 물(1000㎖)과 섞어 5회 흔들어 주고, 를로로포름층을 분리해내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클로로포름을 제거해준다. 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옥살릴]메타크릴아미드(3.4g)를 무색투명 액체로 수득한다.
수율 25%
굴절율 1.490
IRv : 3370(H-H), 1770(C=0), 1760(C=0), 1736(C=0), 1700(C=0), 1640(C=C), 1500(C-H, 변형), 1160(C-O, 변형 ) cm-1.
[실시예 9]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스테아릴알코을(13.5g ; 0.05몰), 피리딘(4.0g ; 0.05몰) 및 에틸아세테이트(130.Og)를 넣고. 그 반응용기를 수욕에 넣고 온도를 20℃로 유지해준다. 반응 온도를 20℃에서 30℃ 사이로 유지해 주면서,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8.8g ; 0.05몰)를 교반하에 30분간에 걸쳐 반응 용액에 첨가해 준다. 가입이 끝난 후에 그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300㎖) 및 물(1000㎖)과 섞어 흔들어 준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클로로포름을 제거한다 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스테아릴옥살릴메타크릴아미드(0.8g)을 백색고체로 수득한다.
수율 4%
융점 67-70℃
IRv : 3300(N-H), 2950(C-H). 1820(C=0), 1765(C=O), 1720(C=0), 1470(C-H,변형), 1170(C-O, 변형)cm-1.
[실시예 10]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용기에 메탄을(160g ; 5몰) 및 퍼리딘(39.6g ; 0.5몰)을 넣고 그 반응용기를 얼음중탕에서 0℃로 냉각시킨다. 온도를 0℃에서 유지하면서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87.8g ; 0.5몰)을 교반하에 30분간에 걸쳐 그 반응용액에 적가한다. 가입이 끝난 후에 과량의 메탄올을 감압 증류하여 제거해준다. 그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300㎖) 및 물(1000㎖)과 섞어 흔들어주고, 유기층을 분리 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해준다. 그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메톡살릴메타크릴아미드(16.Is)을 백색결정으로 수득한다.
수율 19%
융점 48.0-49.5t
IRv : 3300(N-H), 1760(C=0), 1740(C=0), 1695(C=O), 1640(C=C), 1500(N-H,변형)cm-1.
[실시예 11]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n-부탄을(148.2g ; 2몰), 피리딘(15.8g ; 0.2몰) 및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35.1g ; 0.2몰)을 사용하여 N-n-부톡살릴메타크릴아미드(1.3g)를 무색액체로 수득 한다.
수율 3%
굴절률 1.4693
IRv : 3300(N-H), 1760(C=0), 1730(C=0), 1695(C=O), 1635(C=C), 1500(N-H, 변형)cm-1.
[실시예 12]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알릴알코올(87.1g ; 1.5몰), 피리딘(11.9g ; 0.15몰) 및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26.3g ; 0.15몰)을 사용하여 N-알릴옥살릴메타크릴아미드(4.6g)을 무색액체로 수득한다.
수율 16%
굴절률 1.4931.
IRv : 3300(N-H), 1760(C=0), 1730(C=0), 1695(C=0), 1650(C=C), 1635(C=C), 1500(N-H, 변형)cm-1.
[실시예 13]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프로파르길알코올(84.1g ; 1.5몰), 피리딘(11.9g ; 0.15몰) 및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온염산염 (26.3g ; 0.15몰)을 사용하여 N-프로파르길옥살릴 메타크릴아미드(4.0g)를 무색침상형 결정으로 수득한다.
수율 14%
융점 36.5∼38.Ot
IRv : 3450(C-CH), 3300(N-H), 2150(C=C), 1770(C=0). 1740(C=0), 1695(C=0), 1640(C=0), 1500(N-H, 변형)cm-1.
[실시예 1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2-프로판올(18g : 0.3몰) 및 디옥산(200㎖)을 채우고, 반응용기를 기름중탕에서 75℃로 가열하였다. 이를 교반하면서 금속나트륨(3.4g ; 0.15몰)을 분할첨가하였다.
금속나트륨의 소진 후에 반응계를 물중탕에서 lO℃로 냉각하였다. 이를 교반하면서 온도를 0~l0℃로 유지하고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4,5-디은염산염(26.3g ; 0.15몰)를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에 반응 흔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300㎖) 및 물(1000㎖)로 흔들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라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무색 투명 액체로서 N-이소프로폭살릴 메타크릴아미드(1.5g)을 수득하였다.
수율 5%
굴절률 1.4674
IRv : 3300(N-H), 1760(C=0), 1740(C=0), 1695(C=0), 1640(C=C), 1500(N-H, 변형)cm-l.
[실시예 1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반응용기에 실온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100㎖)과 포타슘 t-부톡시드(11.2g ; 0.1몰)을 넣었다. 이 흔합물에 실온에서 메타크릴아미드(8.5g ; 0.1몰)를 첨가한 후에 디에틴 옥살레이트(14.6g ; 0.1몰)를 적가하였다. 반응 흔합물이 약간의 열을 발생하면서 백색 페이스트로 변하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에 에테르(100㎖) 및 아세트산(6.Og ; 0.1몰)을 첨가하였다. 침전을 여과하고 여기에 물(200㎖)을 가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N,N'비스(1-옥소-2-부테닐)에 탄디아미드(5.4g)을 얻었다.
수율 48.3%
융점 159-160℃
IRv : 3250(N-H), 1720(C=0), 1690(C=0), 1670(C=0), 1625(C=C)cm-1.
[실시예 16]
수소화나트륨(2.Og ; 오일중 60% 50m몰)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디에틴에테르(20㎖)중에 현탁시켰다. 결과의 현탁에 메타크릴아미드(4.35g ; 50m몰)을 실온에서 분할 첨가한 후에 3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2-이소프로페칠 옥사졸린-4,5-디온염산염(8.75g ; 50m몰)를 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1시간 교반하고 물에 조심스럽게 붓는다. 침전은 여과수집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N,N'-비스(1-옥소-2-부테닐)에탄디 아미드(50mg)을 얻었다.
수율 0.4%
[실시예 17]
실시예 1과 같은 반응 용기에 테트라히드로푸란(50㎖), 메타크릴아미드(4.26g ; 50m몰) 및 에톡살릴클로라이드(6.83g ; 50m몰)을 넣고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감압 증류로 유기용매를 제거라여 N-에톡살릴 메타크릴아미드(6.5g)를 얻었다.
수율 70.6%
[실시예 18]
100℃로 유지된 셀로솔브아세테이트(15.Og) 및 부틸아세테이트(25.Og)의 혼합물에 N-에톡살릴 메타크릴아미드(8.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8.8g), 스티렌 (12.4g),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11.8g), n-부틸아크릴레이트(8.2g) 및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1.Og)의 혼합물을 2시간에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5g) 및 셀로솔브 아세테이트(10.Og)의 혼합물을 30분에 더 가한 후에 3시간 숙성시켜서 담황색 중합체를 얻었다. 비휘발성 함량 50%. 분자량 7,700[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하여 결정함].
[실시예 19]
100℃로 유지된 셀롤솔브아세테이트(15.Og)와 부틸아세테이트(25.Og)의 혼합물에 N-에톡살릴메타크릴아미드(8.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8.8g), 스티렌(6.9g), 메타크릴산(11.8g), n-부틴아크릴레이트(13.7g)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1.Og)의 혼합물을 2시간에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에, 아조비스 이소부티로 니트릴(0.5g) 및 셀로솔브아세테이트(10.Og)의 흔합물을 30분간에 더 가한 후에 3시간 숙성시켜서 담황색 중합체를 얻었다.
비휘발성 함량 50%
분자량 3,900(GPC로 결정함)
[실시예 20]
100℃로 유지된 셀로솔브아세테이트(5.0g) 및 부틸아세테이트(3.8g)의 혼합물에 N-에톡살릴메타크릴레아미드(7.5g), 셀로솔브아세테이트(7.5g)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159)의 혼합물을 2시간에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7g) 및 셀로솔브아세테이트(6.2g)의 혼합물을 30분간 더 가한 후에 3시간 숙성시켜서 황색 투명중합체를 얻었다.
비휘발성 함량 19%
분자량 3,500(GPC로 측정)
[실시예 21∼29]
100℃로 유지된 디옥산(1.63g) 및 부틸아세테이트(0.70g)의 흔합물에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1.00g)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lg)을 가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중합체들과 그들의 물리적 성질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0∼38]
100℃로 유지된 디옥산(1.63g)과 부틸아세테이트(0.70g)의 혼합물에 N-(치환된 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Ⅱ)(0.33g), 스티렌(0.33g), 메틸메타크릴레이트(0.33g)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0lg)을 가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같은 온도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중합체들과 그들의 물리적 성질을 표 1에 보였다.
[표 1]
Figure kpo00011
[실시예 39]
바코오터(bar coater)를 사응하여, 실시예 20, 23, 24, 27 및 28에서 수득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각각의 수지조성물을 주석판에 피복하고, 이어서 100℃에서 3시간 가열하여 두깨가 20㎛인 피복막을 형성한다. 피복막의 연필경도(최대 경도는 박피현상이 없다)를 시험하고,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12
[실시예 40]
감보르그 배지(수크로오즈(5중량%), 2,4-D(10-6M) 및 벤질아데닌(10-8M)를 가입하여 변형)에 N-에톡살릴아크릴아미드의 N-에톡살릴아크릴아미드를 가입하여 10 또는 100ppm의 농도를 만든다. 상기 배지(100㎖)를 사용하여, 유포르비아 밀리세포를 하기 조건하에서 10일간 배양한다 : 온도, 26℃ ; 교반, 120rpm ; 조도, 6,000룩스. 대조와 비교하면, 세포 성장은 N-에톡살릴아크릴아미드를 함유하는 배지에서는 현저하게 억제되고 N-에톡살릴메타프릴아미드를 함유하는 배지에서는 그렇게 현저하지 않다.

Claims (16)

  1. 탄소-탄소 골격사슬 및 이 골격사슬에 결합된 부사슬로서 적어도 하나의 일반식 -CO-NH-CO-CO-OR'(식중,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카르바모일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저급알킬기를 함유한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기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를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및 일반식 -OR"(식중, R"는 불포화-함유기이다)의 기로 치환된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1,000~100,000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제.
  4.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1~76.0중량% 함량의 N-(치환옥살릴)카르바모일을 갖는 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CH2=CR-CO-NH-CO-CO-OR',(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그 자체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와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된 중합체.
  6. 일반식 CH2=CR-CO-NH-CO-CO-OR'(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그 자체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가능한 단량체화 중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탄소 골격사슬 및 이 골격 사슬에 결합된 부사슬로서 적어도 하나의 일반식 -CO-NH-CO-CO-OR'(식중 R'는 탄화수소이다)의 N-(치환옥살릴)카르바모일기 및 최소한 하나의 저급알킬기를 함유한 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중합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라디칼 개시제 존재하에 수행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8. 일반식 CH2=CR-CO-NH-CO-CO-OR'(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9. 제8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기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및 일반식 -OR"(식중, R"는 불포화-함유기이다)의 기로 치환된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N-(치환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10. 아크릴아미드를 일반식 X-CO-CO-OR'(식중, R'는 탄화수소기이고 및 X는 할로겐원자이다)의 옥살릴모노할라이드모노에스테르와 비활성 용매내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CH2=CR-CO-NH-CO-CO-OR'(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반응을 할로겐화수소-포획물질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치환옥살릴)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제조방법 .
  12. 아크릴아미드를 일반식 X-CO-CO-X(식중, X는 할로겐월자이다)의 옥살릴디할라라이드와 비할성용매내에서 반응시키고, 이어서 생성된 하기 일반식(V)의 옥사졸린디온히드로 할라이드를 일반식 R'-OH(식중,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알코올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CH2=CR-CO-NH-CO-CO-OR'(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R'는 탄화구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13
    (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X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반응을 할로겐화수소-포획물질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치환옥살릴)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제조방법.
  14. 아크릴아미드를 일반식 R'O-CO-CO-OR'(식중,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옥살릴디에스테르와 비활성용매내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CH2=CR=CO-NH-CO-CO-OR'(식중,R은 저급알킬기이고 및 R'는 탄화수소기이다)의 N-(치환옥살릴)-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반응을 할로겐화수소-포획물질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치환옥살릴)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의 제조방법.
  16. 일반식 CH2=CR-CO-NH-CO-CO-NH-CO-CR=CH2(식중, R은 저급알킬기이다)의 비스(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화합물.
KR1019870004015A 1986-04-25 1987-04-25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KR940002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7760/1986 1986-04-25
JP097761/1986 1986-04-25
JP97760 1986-04-25
JP97761 1986-04-25
JP9776186 1986-04-25
JP9776086 1986-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093A KR870010093A (ko) 1987-11-30
KR940002555B1 true KR940002555B1 (ko) 1994-03-25

Family

ID=264389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014A KR940002554B1 (ko) 1986-04-25 1987-04-25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KR1019870004015A KR940002555B1 (ko) 1986-04-25 1987-04-25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014A KR940002554B1 (ko) 1986-04-25 1987-04-25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4956491A (ko)
EP (2) EP0243208A3 (ko)
KR (2) KR940002554B1 (ko)
AU (2) AU597354B2 (ko)
CA (2) CA12895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50286T2 (de) * 1985-05-27 1995-08-31 Nippon Paint Co Ltd Funktionelle Polymere und deren Herstellung.
ATE71388T1 (de) * 1985-05-28 1992-01-15 Nippon Paint Co Ltd Sofort vernetzbare zusammensetzung.
CA1289571C (en) * 1986-04-25 1991-09-24 Satoshi Urano Acrylamide derivatives and their polymers
US5208308A (en) * 1986-04-25 1993-05-04 Nippon Paint Co., Ltd. Acrylamide derivatives and their polymers
US5274062A (en) * 1986-04-25 1993-12-28 Nippon Paint Co., Ltd. Acrylamide derivatives and their polymers
JPH02262549A (ja) * 1988-11-11 1990-10-25 Nippon Paint Co Ltd オキサミン酸基含有化合物
US5248749A (en) * 1989-01-12 1993-09-28 Nippon Paint Co., Ltd. Polymerizable compound and polymer therefrom
CA2023230A1 (en) * 1989-08-17 1991-02-18 Satoshi Urano Solvent based coating composition
US5556913A (en) * 1989-12-04 1996-09-17 Nippon Paint Co., Ltd. Cationic electrocoating composition
US5191032A (en) * 1990-11-30 1993-03-02 Nippon Paint Co., Ltd. Heterofunctional macromer compound, its preparation and polymer derived therefrom
JPH04288059A (ja) * 1991-03-14 1992-10-13 Nippon Paint Co Ltd 複素環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JP5591858B2 (ja) * 2012-03-22 2014-09-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メタ)アクリルアミド化合物前駆体
JP5591855B2 (ja) 2012-03-22 2014-09-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前駆体
EP2883699B1 (en) * 2013-12-11 2017-05-03 Agfa Graphics Nv A lithographic printing plate precursor and monom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869A (en) * 1979-05-29 1988-10-18 American Cyanamid Company Activated ester monomers and polymers
CA1135712A (en) * 1979-05-29 1982-11-16 Peter J. Schirmann Activated ester monomers and polymers
US4656308A (en) * 1979-05-29 1987-04-07 American Cyanamid Company Ethers of acrylamidoglycolic acid and esters
DE3514888A1 (de) * 1985-04-25 1986-11-06 Gustav Schade Maschinenfabrik Gmbh & Co, 4600 Dortmund Einrichtung zur schuettgutfoerderung in silos
CA1289571C (en) * 1986-04-25 1991-09-24 Satoshi Urano Acrylamide derivatives and their polymers
US4900624A (en) * 1987-03-25 1990-02-13 Kendall Company Novel adhesives and tapes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3208A2 (en) 1987-10-28
AU7211487A (en) 1987-10-29
US4970281A (en) 1990-11-13
EP0243207A2 (en) 1987-10-28
KR940002554B1 (ko) 1994-03-25
CA1290765C (en) 1991-10-15
EP0243208A3 (en) 1988-01-20
AU597354B2 (en) 1990-05-31
US4914225A (en) 1990-04-03
CA1289571C (en) 1991-09-24
KR870010092A (ko) 1987-11-30
KR870010093A (ko) 1987-11-30
AU598810B2 (en) 1990-07-05
US4956491A (en) 1990-09-11
EP0243207A3 (en) 1988-01-20
AU7211587A (en) 198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555B1 (ko) 알파-알킬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중합체
US4151142A (en) Wet adhesion emulsions of polymer resins systems employed in water-based paint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as a component thereof monomer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and a ureido group polymerized therein
US2586995A (en) Polyfurcate azonitriles
US4666993A (en) Functional polymers and their production
US3728387A (en) Acrylamide of methacrylamide monomer with n-substituted amininmide residues
DE69607620T2 (de) Acrylamid-derivate als chromophore lichtvernetzbare verbindungen
US5208308A (en) Acrylamide derivatives and their polymers
US4058656A (en) Free radical polymerization process employing substituted amino acetic acid derivatives
US2565573A (en) Alpha, alpha'-azobis
US5274062A (en) Acrylamide derivatives and their polymers
JPH07316115A (ja) N−ビニルホルムアミド並びにアクリルエステル及びメタクリルエステルとのミカエル付加物
US4672098A (en) Bicyclic acrylic monomers
JPS6345246A (ja) N−(置換オキサリル)アルキルアクリルアミドおよびその製法
US3432484A (en)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polymers by low temperature 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US2704751A (en) Alpha-ureidomethyl acrylonitriles and polymers thereof
US4038311A (en) Production of n-(1-alkenyl)-carbamyl chlorides
EP0630921A2 (en) Functional polymers and their production
US3256248A (en) Vinyl n-heterocyclic amines and polymers thereof
US4670520A (en) Method for modifying polyfumaric acid diester
JPS62250013A (ja) 架橋性重合体およびその製法
US5179184A (en) Polymerizable cyclic urea derivatives and polymers having a pendant urea
JPS6346208A (ja) N−(置換オキサリル)アクリルアミド重合体およびその製法
US3060154A (en) Polymers of thiolfumarate ester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US4088631A (en) Polymers stabilized with carboxylic acid amides
JPH05509348A (ja) 選択したビニルモノマー類の重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2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1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