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1814Y1 - 경운기용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14Y1
KR940001814Y1 KR9205311U KR920005311U KR940001814Y1 KR 940001814 Y1 KR940001814 Y1 KR 940001814Y1 KR 9205311 U KR9205311 U KR 9205311U KR 920005311 U KR920005311 U KR 920005311U KR 940001814 Y1 KR940001814 Y1 KR 940001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gear
casing
culti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5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625U (ko
Inventor
심재융
Original Assignee
심재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융 filed Critical 심재융
Priority to KR9205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14Y1/ko
Publication of KR930022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2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 A01B61/025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the driving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운기용 감속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경운기의 허브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감속장치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경운기 차축 선단의 허브에 체결고정한 상태를 일부 생략하고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적용한 감속기어의 작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회동원판 고정부 8 : 구동축부
8a : 구동치차 10 : 외부고정 케이싱
14 : 수납공간부 18 : 고정관
22 : 치차부 22a, 22b : 고정돌기
34 : 내치차 36 : 내부회전 케이싱
40 : 고정봉 46, 46' : 고정수단
50, 50' : 고정편
본 고안은 경운기용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축 양단의 허브와 차륜 사이에 감속 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차축에서 차륜으로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감속된 힘을 경운작업에 보다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경운기용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운기를 이용하여 논이나 밭등의 경운 작업을 할 때에는 큰 회전토크를 얻기 위해 경운기의 변속기어를 1단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행하고 있다.
그러나 변속기어의 1단 위치에서도 경운기의 주행속도는 시간당 대략 1,300m를 주행하므로 작업속도로는 비교적 빠른 속도를 갖기 때문에 논이나 밭등의 골을 원하는 깊이로 파기가 어려웠으며, 특히 골을 깊게 파고자 할 경우에는 경운기의 회전토크가 작아 반복작업을 하거나 다른 작업도구에 의해 인력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따랐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경운기의 주행속도를 감속시켜 큰 회전토크를 얻도록 함으로서 원하는 깊이의 골파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깊은 골파기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경운기용 감속 장치(1)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축(20)과 연결된 좌·우측 허브(30)의 외측면에 체결 고정되며 선단의 구동축부(8)에는 구동치차(8a)를 형성한 회동원판 고정부(6)와, 중심부의 베어링(16)에 의해 회동원판 고정부(6)를 회동지지하고 수납공간부(14)의 고정돌기(22a, 22b)에는 치차부(22)가 축착되며 내측면에는 차체(M) 저부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판(18)이 연결되도록 고정봉(40)을 구비한 외부고정 케이싱(10)과, 베어링(26)이 삽입된 중심부의 축공(28)을 통해 구동축부(8)의 선단에 회동지지되고 내주면에는 외부 고정 케이싱(10)의 치차부(22)와 치합되는 내치차(34)를 형성하였으며 외면으로는 차륜을 부착하는 내부회전 케이싱(36)을 주요구성으로 한 것으로 차축(20)과 연결되는 구동장치는 종래의 경운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좌·우측의 허브에 각각 장착되는 본 고안에 의한 감속장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한 부위의 감속장치를 예로 한다. 회동원판 고정부(6)는 차축(20) 양단의 허브(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허브(30)에 고정된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차륜(60)의 고정공과 동일한 위치에 고정공(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 일체로 형성한 구동축부(8)에는 허브(30)를 통해 전달된 차축(20)의 회전토크를 내부 회전 케이싱(36)의 치차부(22)에 전달하도록 구동치차(8a)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고정 케이싱(10)은 상기한 회동원판 고정부(6)를 회동 지지하고 감속장치(1)의 유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위해 차체저부에 부착되는 고정관(18)이 내측면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외측면의 연부에 있는 환형 플랜지(12)에 의해 이루어진 수납 공간부(14)에는 회동원판 고정부(6)의 구동치차(8a) 및 내부회전케이싱(36)의 내치차(34)와 치합되도록 고정돌기(22a, 22b)를 대칭으로 형성하는 한쌍의 제1종동치차(24a)와 제2종동치차(24b)가 축착되도록 하며, 중심부의 통공에는 회동원판 고정부(6)의 구동축부(8)를 회동지지하여 안정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베어링(16)이 개재된다.
내부회전 케이싱(36)은 베어링(26)이 삽입된 중심부의 축공(28)을 통해 구동축부(8)의 선단에 회동지지되어 치차부(22)에 의해 감속된 차축(20)의 회전을 차륜(6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고정 케이싱(10)의 수납공간부(14)에 수용되도록 외경을 외부고정케이싱(10)의 수납공간부(14)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며 외연의 환형 플랜지(32) 내주면에는 외부 고정 케이싱(10)의 치차부(22)와 치합되도록 내치차(34)를 형성한다.
한편, 외부고정 케이싱(10)의 내측면에 구비한 고정봉(40)으로 양단의 개구(42)를 통해 연결 고정됨으로서 외부고정 케이싱(10)을 포함한 감속 장치(1)의 유동을 방지하고 차체(M)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 고정관(18)의 몸체에는 지지볼트(44)를 갖는 고정수단(46, 46')과, 고정볼트(52, 52')에 의해 체결고정된 고정편(50)이 고정링(54, 5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수단(46, 46')은 고정관(18)이 외부고정 케이싱(10)의 고정봉(40)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한 구성으로 고정관(18)의 양단에 형성한 구멍(48)에 지지볼트(44)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지지나사관(45)을 통해 지지볼트(44)를 체결시켜 고정수단(46, 46')이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관(18) 외주면의 중앙부에 있는 고정편(50)은 고정관(18)을 포함한 감속 장치(1)를 차체(M)의 저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볼트(52, 52')를 갖는 고정링(54, 5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 안된 차체(M) 저부의 적당한 곳에 고정편(50)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볼트(52, 52')를 체결시켜 고정링(54, 54')을 고정시킨후 고정편(50)에 형성한 통공으로 스크류등을 삽입시켜 가상선으로 도시한 차체(M)의 외판에 직접 고정편(50)을 고정시킨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감속장치(1)의 작용예를 이하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감속장치(1)를 경운기에 조립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존 구동 차축(20) 양단의 허브(30) 보울트에 결합부착된 자륜(60)을 떼어낸 후, 감속장치(1)를 전륜(60)을 떼어낸 그 자리에 부착하는 것이다. 즉,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동원판 고정부(6)의 고정공(6a)과 허브(30)에 돌출되게 형성한 볼트를 일치시킨 후 너트를 체결시켜 본 고안에 의한 감속 장치(1)가 허브(30)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차축(2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상태가 된다. 일측의 부착이 끝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타단에 감속 장치(1)를 부착한다.
감속 장치(1)의 부착 작업이 끝나면, 앞서 떼어냈던 차륜(60)을 감속장치(1)의 내부회전 케이싱(36) 일측에 위치시킨 후 고정볼트(58)로써 내부회전 케이싱(36)의 나사공(56)을 통해 체결하면, 차륜(60)은 감속기(2)의 내부 회전 케이싱(36)의 일측부위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한편, 감속장치(1)가 차축(20) 양단의 허부(30) 외주면에 부착될시 외부 고정케이싱(10)의 후측에 있는 고정봉(40)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사전에 엔진(E)이 탑재된 경운기 차체(M)의 저부를 건너질러 위치시킨 후 고정편(50)들에 의해 기체(M) 일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관(18)의 양단개구(42)를 통해 삽착되며, 이때 각 고정 수단(46, 46')들의 지지나사관(45)에 체결된 지지볼트(44)를 조이면 지지볼트(44)는 지지나사관(45) 내부와연통된 구멍(48)을 통해 진입되어져, 내부에 끼워져 있던 고정봉(40)들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양측의 감속장치(1)들 전체는 고정관(18)에 의해 차체(M)의 외판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고정편(50)들은 고정링(54, 54')에 체결된 고정볼트(52, 52')들의 해체에 의해 고정관(18)에서 임의로 간격조절을 행하면서, 고정편(50)을 차체(M) 외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편(50)은 차체(M) 오판에 임의 가공 설치한 구멍에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체결한다.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한 감속장치(1)의 작용예를 설명한다.
경운기에 의해 밭 또는 논갈이 등의 경운작업을 위해 저속 1단으로 위치하여 시동을 걸면, 변속장치를 통한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차축(20)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허브(30)를 통해 차축(20)과 일체로 결합된 회동원판 고정부(6)의 구동축부(8) 역시 그 일단부가 외부 고정케이싱(10)의 베어링(16)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차축(2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축부(8) 단부에 일체로 형성한 구동치차(8a) 역시 상기 화살표와 동일하게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치차(8a)의 화살표(a) 방향회전에 의해 구동치차(8a)와 치합된 치차부(22) 즉, 한쌍의 제1종동치차(24a)들이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제1종동치차(24a) 각각에 치합된 제2종동치차(24b)는 제1종동치차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한다(제2, 4도 참조).
이때, 외부고정 케이싱(10)은 차체(M) 외판에 체결 고정된 고정관(18)에 의해 고정지지되어 외부고정 케이싱(10)의 유동은 방지된다. 제2종동치차(24b)는 구동축부(8)의 일단에 베어링(26)을 개재하여 지지된 내부회전 케이싱(36)의 내치차(34)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제2종동치차(24b)와 큰 회전비로 치합하는 내치차(34)를 갖는 내부 회전케이싱(36)은 최초의 차축(20) 회전속도와는 치차비율에 의해 느린 회전 속도로 감속되어 제4도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내부케이싱(36)에 부착된 전륜(60) 역시 동일 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하게 된다.
즉, 차축(20)에 결합시킨 감속 장치(1)의 구동축부(8) 일단에 형성된 구동치차(8a)에, 직경을 달리하는 제1, 2, 종동치차(24a, 24b) 들로된 치차부(22)를 설치하여 치차비(약 1 : 5)를 달리하는 내치차(34)에 치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최초의 차축(20) 회전속도를 대략 1/5로 감속된다.
따라서, 경운기의 경운작업시 주행속도를 감속할 수 있으며, 감속되는 경운기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감속에 의해 강한 회전 토크를 갖게되어 밭 또는 논 등의 경운 작업시 골의 깊이를 보다 길게하여 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축(2)과 연결된 좌·우측 허브(30)의 외측면에 체결고정되며 선단의 구동축부(8)에는 구동치차(8a)를 형성한 회동원판 고정부(6)와, 중심부의 베어링(16)에 의해 회동원판 고정부(6)를 회동지지하고 수납공간부(14)의 고정돌기(22a, 22b)에는 치차부(22)가 축착되며 내측면에는 차체저부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관(18)이 연결되도록 고정봉(40)을 구비한 외부고정 케이싱(10)과, 베어링(26)이 삽입된 중심부의 축공(28)을 통해 구동축부(8)의 선단에 회동 지지되고 내주면에는 외부고정 케이싱(10)의 치차부(22)와 치합되는 내치차(34)를 형성하였으며 외면으로는 차륜을 부착하는 내부회전 케이싱(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감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치차부(22)는 회동원판 고정부(6)의 구동치차(8a)와 치합되는 한쌍의 제1종동치차(24a)와, 상기한 제1종동치차(24a)와 치합되며 제1종동치차(24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제2종동치차(24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감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고정 케이싱(10)의 고정봉(40)에 연결되는 고정관(18)은 기체 저부에 부착되도록 외주면상에 고정편(50, 50')을 구비하였으며 양단의 고정수단(46, 46')에 의해 외부고정 케이싱(10)의 내측면에 구비한 고정봉(40)에 연결됨으로서 외부고정케이싱(10)을 고정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감속장치.
KR9205311U 1992-04-01 1992-04-01 경운기용 감속장치 KR940001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5311U KR940001814Y1 (ko) 1992-04-01 1992-04-01 경운기용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5311U KR940001814Y1 (ko) 1992-04-01 1992-04-01 경운기용 감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625U KR930022625U (ko) 1993-11-25
KR940001814Y1 true KR940001814Y1 (ko) 1994-03-25

Family

ID=1933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5311U KR940001814Y1 (ko) 1992-04-01 1992-04-01 경운기용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625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814Y1 (ko) 경운기용 감속장치
US4714130A (en) Axle reduction apparatus for tractor
JP2005016643A (ja) 車両用差動歯車装置
ES275295U (es) Una transmision de vehiculo por arbol cardan.
JPH10164903A (ja) 正逆転ロータリ作業機
JPS6225371Y2 (ko)
JP2530342Y2 (ja) 車両用減速装置
JP2552916Y2 (ja) 耕耘機におけるロ−タリ耕耘装置
SU1573097A1 (ru) Ковш экскаватора
RU1813319C (ru) Мотокультиватор
JPH0214321Y2 (ko)
JPS626830A (ja) トラクタの逆転pto装置
JPS6111077Y2 (ko)
JPH0249148Y2 (ko)
JP2552915Y2 (ja) ロ−タリ耕耘装置
JPH0453202Y2 (ko)
JPS5930658Y2 (ja) Pto変速装置付テイラ−
JP3156047B2 (ja) ロ−タリにおける一軸正逆転装置
JP3840665B2 (ja) トラクタにおけるカウンタギヤの軸装装置
JPS598484Y2 (ja) 農用トラクタにおけるロ−タリパイプ取付け装置
JPS5845940Y2 (ja) ファイナルシャフト取付け装置
JP2972152B2 (ja) ロ−タリ耕耘装置
JPH065684Y2 (ja) 正逆転耕耘装置
JPH067958Y2 (ja) 農用トラクタにおける前輪駆動軸支持装置
JPS63235126A (ja) 差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4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0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31229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25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40525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UO1201 Withdrawal of opposi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19940624

Patent event code: UO12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O070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