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1670Y1 -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70Y1
KR940001670Y1 KR2019910021944U KR910021944U KR940001670Y1 KR 940001670 Y1 KR940001670 Y1 KR 940001670Y1 KR 2019910021944 U KR2019910021944 U KR 2019910021944U KR 910021944 U KR910021944 U KR 910021944U KR 940001670 Y1 KR940001670 Y1 KR 940001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train
door
platform
support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1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795U (ko
Inventor
나도진
Original Assignee
나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도진 filed Critical 나도진
Priority to KR2019910021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70Y1/ko
Publication of KR930013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7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동열차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의 (a)(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써,
(a)는 작동전(전동열차 주행중).
(b)는 작동후(승객 승하차시).
제4도는 본 고안의 경사진 승차장에서의 작동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열차 2 : 출입물
3 : 승차대 4 : 유압실린더
6 : 받침판 7 : 연결봉
9 : 완충재 10 : 요입홈
11 : 스프링
본 고안은 전동열차의 출입문 아래쪽 저면에 출입문의 개폐와 동시에 유압으로 진퇴 구동되는 받침판을 형성하여 승하차시에 발생될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열차가 역내의 승차장에 정차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때에는 열차와 승차대 사이에 일정한 간격한 생기게되어 어린이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출퇴근 시간과 같이 혼잡한 시간에는 건장한 사람들로 발이 빠지게 되는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은것이 었으며 이러한 위험요소는 특히 승차대가 곡선로 된 곳에서 더욱 승객의 주위를 필요로 하게된다.
이러한 사고의 위험은 종래 전동열차가 출입문의 자동개폐만이 가능하게 되었을뿐 출입구의 안전장치가 전혀고려되어 있지않은데에 기인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전동열차의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승객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전동열차를 이용할수 있게 되는 출입구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출입문이 위치한 전동열차의 저면에 받침판이 부착된 유압실린더가 승차대를 향하도록 고정하여 출입문의 개폐와 동시에 유압실린더가 구동하여 받침판이 진퇴 작동하므로써 전동열차와 승강대 사이로 승객의 발이 빠지지 않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할수 있는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열차(1)의 출입문(2)아래쪽 저면에 승차대(3)를 향하도록 유압실린더(4)틀 고착하고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로드(5)에는 받침판(6)의 연결봉(7)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구성된다.
전동열차(1)의 출입문(2)은 통상의 자동제어장치에 이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일반적인 전동열차의 기종에 관계없이 설치될수 있는 것이다.
유압실린더(4)는 출입문(2)의 개폐장치와 연관되어 출입문이 열려졌을때에 전진군동하고,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졌을때에 후진구동하게 되는 유압구동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작동되며 안정성을 고러하여 하나의 받칟판(6)에 2개가 설치되어 있다.
파스톤로드(5)와 연결봉(7)은 연결봉(7)이 회동가능하게 핀(8)으로 고정되어 곡면으로 형성된 승차대에서 승차대의 안쪽벽면에 받침판(6)이 완전히 밀착될수 있게된다.
받침판(6)의 전면은 승차대(3)와의 접촉면에 탄성이 좋은 완충재(9)를 부착하여 승차대(3)접촉시에 충격을 완화시킬수 있게 되어 있으며 배면쪽에는 연결봉(7)의 일단이 섭동하는 요입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봉(7)은 일단이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스프링(11)의 탄력을 받으며 요입홈(10)에 삽입되고 외부에 고정되는 캡(12)으로 받침판(6)에 고정되어, 전동열차와 각 역사의 승차대 사이의 유동적 공간에 대하여 신축적인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받침판(6)의 양쪽 저면에는 전동열차(1)의 저면에 부착되는 브라켓(13)에 고정된 받침로울러(14)가 받침판(6)을 받쳐주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3도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열차(1)가 운행중에 있을때에는 피스톤로드(5)가 후퇴되어 받침판(6)은 전동열차(1)의 저면 내측으로 은폐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승차대(3)에 정차한 다음 출입문 제어장치체「opens」신호가 인가되어 출입문(2)이 열리게 되면, 이외동시에 본 고안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구동장치가 작동하여 제3도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5)가 전진하여 받침판(6)이 승차대(3)의 내벽연에 접촉할때까지 이동하게 되므로 전동열차(1)와 승차대(3)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발판이 되는 것이다.
이후에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고 출입문(2)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이에 수반하는 본 고안에서의 유압구동장치가 역구동하여 피스톤로드(5)가 후퇴하여 받침판(6)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고 난 다음 열차가 출발하게 된다.
상기한 작동과정 중에서 받침판(6)과 승차대(3)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은 완충재(9)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되고, 받침판(6)의 고정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변동되는 승차대(3)와의 유동간격은 스프링(11)의 탄력으로 해소되어 유압구동장치의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게 된다. 즉 승차대(3)와의 간격이 좁을때에는 받침판(6)의 접촉이 빨리 이루어지지만 계속적으로 전진하는 연결통(7)이 스프링(11)을 압축시키면서 요입홈(10)내부에서 섭동하게 되므로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핀(8)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스톤로드(5)에 고정된 연결봉(7)은 승차대(3)가 경사지거나 곡면으로 이루어진곳에서 스프링(11)의 완충과 함께 받침판(6)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동열차와 승차대 사이의 간격을 받침판이 막아주게 되어 승하차시에 사고를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동열차(1)의 출입문(2) 아래쪽 저면에 승차대(3)를 향하여 유압실린더(4)를 고착하고, 스프링(11)에 탄지되어 받침판(6)에 섭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봉(7)들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로드(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KR2019910021944U 1991-12-11 1991-12-11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1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944U KR940001670Y1 (ko) 1991-12-11 1991-12-11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944U KR940001670Y1 (ko) 1991-12-11 1991-12-11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95U KR930013795U (ko) 1993-07-26
KR940001670Y1 true KR940001670Y1 (ko) 1994-03-23

Family

ID=1932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1944U Expired - Fee Related KR940001670Y1 (ko) 1991-12-11 1991-12-11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09Y1 (ko) 2019-08-06 2019-12-06 김태현 철근 안전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09Y1 (ko) 2019-08-06 2019-12-06 김태현 철근 안전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95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905B2 (en) Energy absorbing bollard system
US5165839A (en) Wheelchair lift for railway cars
JP4358562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KR940001670Y1 (ko)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US4263853A (en) Rail car end door positioning keeper assembly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KR100597369B1 (ko) 차량용 후드 힌지장치
KR200230637Y1 (ko)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CN217582001U (zh) 一种防夹安全门禁
KR100270052B1 (ko) 시트 장착장치
KR100380359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380368B1 (ko) 자동차용 후드로크의 충격 흡수장치
KR100380357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KR200148181Y1 (ko) 상용차량용 리어도어의 스토퍼
KR100198085B1 (ko) 버스 자동문
KR100199947B1 (ko) 자동차용 후방 확인장치
KR200295801Y1 (ko) 대형 차량의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SU1643257A1 (ru) Окн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00766Y1 (ko) 대형 차량의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JPH0315382Y2 (ko)
KR960008457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보호가이드
JP340468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急閉防止装置
KR100376470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200216010Y1 (ko) 화물차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보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2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6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06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