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1000B1 - 모발을 커얼 세팅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을 커얼 세팅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00B1
KR940001000B1 KR1019860008845A KR860008845A KR940001000B1 KR 940001000 B1 KR940001000 B1 KR 940001000B1 KR 1019860008845 A KR1019860008845 A KR 1019860008845A KR 860008845 A KR860008845 A KR 860008845A KR 940001000 B1 KR940001000 B1 KR 94000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adical
hair
carboxy
quaternary ammon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766A (ko
Inventor
렉스 호만 개리
매리 콘월 수잔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앨빈 어니스트 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앨빈 어니스트 베이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1Aerosol hair pr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2Resin hair set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발을 커얼 세팅하기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처리용, 특히 모발을 커얼 세팅(curl setting)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속성 및 내구성이 강한 헤어 스타일(hair style)을 제공하는, 모발 보호 제제중의 카복시 관능성 실리콘과 양이온성 유기중합체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대중적인 헤어 스타일은 모발을 목적하는 형태로 유지시키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여러 가지 방법, 예를들면, 습윤 모발을 커얼 클립(curler) 또는 로드(rod)로만 후에 건조시키거나 ; 습윤 모발을 뜨거운 컬링 아이론(hot curling iron)으로 말거나 ; 습윤 모발을 핸드 브러쉬(hand brush)로 말면서 모발을 송풍건조 (blow drying)시키는 방법이 가정과 미장원에서 헤어 스타일을 세팅하는데 보통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모발을 세팅시키는 공정에서는 물의 물리화학적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을 축축하게 적시면 모발의 케라틴 중의 수소결합이 파괴된다. 이어서, 모발을 커얼 클립, 아이론 또는 브러쉬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건조시키면, 수소결합이 이전과는 상이한 위치에 재형성되고, 따라서 헤어 스타일이 세팅된다.
모발을 물만 사용하여 세팅한 경우에 헤어 스타일은 대기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그 결과 수소 결합이 재배열됨으로써 그 형태가 점차 없어진다. 헤어 스타일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세트가 모발 중에 유지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당한 수의 모발 세팅 조성물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조성물은 모발 단백질 중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파괴 및 재형성시켜 화학적으로 작용하는 파마 형태(permane nt wave type)에서부터 건조시, 모발을 건조된 수지막(resin film)의 형태로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는 모발에 막 형성 수지의 박층을 남기는 제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막 형성 수지 제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및 말레산의 에틸 및 부틸 모노에스테르, 또는 카복시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알콜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 형성 수지 제제는 모발중의 세트의 보존시간을 향상시키지만, 일반적으로 딱딱한 수지 막은 모발을 불쾌할 정도로 점착성으로 만들고 빗질 또는 브러슁 도중에 막이 파괴되어 모발에 플레이크(flake) 또는 린트(lint)와 같은 입자를 생성시키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수지의 친수성에 기인하여, 이들은 매번 샴푸하여 모발로부터 제거하고 수지를 계속 재적용시켜 효력이 있게해야 한다. 점성이며 딱딱한 성질을 갖는 수지막은 또한 코팅된 모발의 빗질 또는 브러슁을 힘들게 만들고 이와같은 과정에서, 모발을 손상시키거나 파괴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셀룰로오즈에테르의 4급 질소 유도체,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같은 유기 양이온성 화합물 및 중합체는 헤어 컨디셔닝 제제(hair conditioning preparation)로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헤어 컨디셔너(hair conditioner)는 모발 빗질을 용이하게 하고 모발에 부드러움과 유연성을 부여한다. 또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모발에 정착되어 모발에 잔류할 수 있는 직접성(substantivity)이 있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음이온성 중합체에 비하여 통상적인 양이온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헤어 스타일 세팅의 용이성 또는 모발 세트이 장시간의 보존성 제공에 거의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에 직접적이고 고착되며 ; 헤어 스타일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 모발 중의 세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 모발을 부자연스럽게 점성 또는 딱딱함을 느끼게 하지 않고 ; 세팅후에 불쾌한 플레이크 또는 린트와 같은 입자를 생성시킴이 없이 빗질할 수 있도록 모발에 지속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모발보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스타치(Starch)의 유럽 특허원 제95,238A호에는 아미노알킬 치환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수성 유제가 빗질을 용이하게 하고 모발에 부드러운 느낌을 부여하기 때문에 모발을 콘디셔닝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스타치의 문헌에는 또한 카복시, 티오알킬카복시 및 4급 질소와 같은 기타 관능성 그룹으로 치환된 폴리디메틸실록산도 모발을 콘디셔닝하기 위한 수성 유제에 유용한 것으로 교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특허원에는 모발을 세팅하거나 세트가 모발 중에 보존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데에 있어서 치환된 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하거나 교시하고 있지 않다.
콘월(Cornwall) 등은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양도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637,992호(출원일 : 1984. 8. 6)에서 아미노알킬 치환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모발 세팅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모발에서의 실록산의 존재는 컨디셔닝 및 세트 보존 둘 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콘월 등의 문헌에는 또한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4급 질소 유도체로서 기술된 양이온성 유기 수지와 아미노알킬 치환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팅 조성물이 교시되어 있다.
그롤리어(Grollier)등의 영국 특허원 제2,123,694호 및 제2,114,580A호에는 양이온성 중합체와 음이온성 중합체 또는 라텍스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팅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아미노알킬 치환된 폴리실록산이 언급된 다수의 양이온성 중합체중에서 모발 세팅 조성물에 유용한 것으로 열거되어 있다.
지(Gee)의 미합중국 특허 제4,501,619호에는 카보닐 함유 실리콘 유체의 수성유제가 기술되어 있고 직물처리 공정에서의 이들의 일반적 용도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적합한 수성 또는 유기 용매 담체 중의, (A) 일반적으로 일반식 QMe2SiO(Me2SiO)x(MeRSiO)ySiMe2Q [여기서, Me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카복시알킬 라디칼, 카복시알킬티오 라디칼, 알콕시카보닐알킬 라디칼 및 알콕시 카보닐알킬티오 라디칼 중에서 선택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을 나타내며, Q는 메틸 라디칼 또는 R을 나타내고, x는 평균값이 30 내지 400이고, y는 평균값이 1 내지 30이다]에 상응하는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 및 (B) 중합체 쇄에 존재하거나 중합체 쇄에 결합된 아민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며 ; 조성물 중에서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중량비가 0.1 내지 5의 범위내에 있는 모발처리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처리용 조성물은 유연하고 빗질가능한 헤어 스타일을 지속시키기 쉽도록 샴푸, 세팅 로숀 또는 겔, 에어로졸 또는 펌프 스프레이, 무스 및 컨디셔너와 같은 여러 형태의 모발보호제품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발을 성형기구로 말고 ; 모발을 물로 적시고 모발에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량을 적용시킨 후 ; 말려있는 모발을 건조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모발의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 세팅 조성물은 실리콘 및 유기 중합체 성분의 독특한 배합물을 함유한다. 본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시키면, 모발을 목적한 형태로 유지시키는 막이 모발에 형성된다. 본 조성물은 지지성을 잃지 않고 막의 파괴에 기인한 플레이크 또는 린트와 같은 입자를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모발의 빗질을 허용하도록 모발에 유연한 지지막을 생성시킨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지지막은 습한 상태하에서도 모발 형태를 장시간 보존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일반적으로 평균 일반식 QMe2SiO(Me2SiO)x(MeRSiO)ySiMe2Q[여기서, Me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Q는 메틸 라디칼 또는 R을 나타낸다]로 기술되는 유체 중합체이다. 폴리실록산에서 x의 평균값은 약 30 내지 약 400으로 변할 수 있고 y의 평균값은 약 1 내지 약 30으로 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x는 평균값은 50 내지 200이고 y의 평균값은 2 내지 10이다. 바람직한 중합도 범위이내의 폴리실록산은 수성계 중에서의 유화와 같은 수단에 의해 일반적으로 더욱 쉽게 제형화되고, 경제적이면서도 유효량으로 카복시 관능성 단위를 제공한다.
폴리실록산 중의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은 R로 나타내고, 카복시알킬 라디칼, 카복시알킬티오 라디칼, 알콕시카보닐알킬라디칼 및 알콕시카보닐알킬티오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카복시알킬 라디칼은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1-메틸트리메틸렌, 헥사메틸렌, 데카메틸렌, 사이클로헥실렌 및 도데카메틸렌과 같은 2가의 (알킬렌)라디칼에 의해 규소 원자에 결합된 카복실 그룹(-COOH)을 함유하는 치환체이다. 카복시알킬 라디칼의 특정예는 카복시메틸, 2-카복시에틸, 2-카복시-2-메틸에틸(-CH2CH(CH3)COOH), 5-카복시펜틸, 4-카복시-2, 3-디메틸부틸, 10-카복시데실 등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카복시알킬 라디칼은 2-카복시에틸 및 2-카복시 -2-메틸에틸(CH2CH(CH3)-COOH)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복시알킬티오 라디칼은 2가의 (알킬렌)라디칼에 의해 규소 원자에 결합된 카복실 그룹(-COOH)을 함유하는 치환체로서, 여기서 알킬렌 라디칼은 알킬렌 라디칼 내에 2가의 황원자를 함유한다. ″알킬렌 라디칼 내에″란 황원자가 알킬렌 쇄의 내부에 위치하고 라디칼의 말단 위치에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카복시알킬티오 라디칼의 특정예는 특히, 4-카복시-3-티아부틸(-CH2CH2SCH2CO OH), 8-카복시-7-티아옥틸, 6-카복시-2-메틸-4-티아헥실, 6-카복시-4-티아헥실 및 4-카복시-2-메틸-3-티아부틸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카복시알킬티오 라디칼은 4-카복시-3-티아부틸이다.
알콕시카보닐알킬 라디칼 및 알콕시카보닐알킬티오 라디칼을 상기한 바와같은 알킬렌 라디칼 또는 황 함유 알킬렌 라디칼에 의해 규소 원자에 결합된 에스테르 그룹(-COOR')을 함유하는 치환체이다. 에스테르 그룹에서, R'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라디칼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그룹에서 R'은 메틸이다. 알콕시카보닐알킬 라디칼 및 알콕시카보닐알킬티오라디칼의 특정 예는 특히, 4-메톡시카보닐-3-티아부틸(-CH2CH2SC H2COOC H3), 4-메톡시카보닐-2-메틸-3-티아부틸, 2-에톡시카보닐에틸, 2-메톡시카보닐 -2-메틸에틸 및 6-에톡시카보닐-4-티아헥실이다.
일반적으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은 3 내지 10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카복시알킬 라디칼 및 카복시알킬티오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은 4-카복시-3-티아부틸 라디칼, 2-카복시 에틸 라디칼, 2-카복시-2-메틸에틸 라디칼, 8-카복시-7-티아옥틸라디칼, 6-카복시-4-티아헥실 라디칼 및 6-카복시-2-메틸-4-티아헥실 라디칼이다.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공지된 물질이고, 이들 중의 몇몇은 시판되고 있고 나머지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카복시 관능성 그룹을 함유하는 실란 또는 실록산은 적합한 불포화 카복시 관능성 화합물을 Si-H 관능기를 함유하는 실란 또는 실록산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머캅토 아세트산과 같은 머캅토 카복실산을 알케닐 치환체를 함유하는 실란 또는 폴리실록산에 가할 수 있다.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제조공정은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501,619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실온에서 비유동성인 고형 또는 고무상 고체물질로서 공지된 물질이다. 중합체는 중합체 쇄중에 존재하거나 중합체 쇄에 결합된 치환체 중에 아민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을 함유하는 것으로 주로 특징지워진다. 아민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은 중합체에, 모발에 대한 이들의 직접성의 원인으로 밝혀진 양이온성을 부여한다.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수용성이거나 물에 쉽게 분산될 수 있다.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는 이의 예를 기재하고 있는 영국 특허원 제2,114,580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4,445,52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는 특히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 비닐카프로락탐,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 공중합체 ;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민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할라이드의 공중합체 ; 및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이다.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 중의 어떤 것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지만, 4급 암모늄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모발에 적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이고 내구성이 큰 지지막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는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할라이드의 공중합체 ; 및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이다. 이들 바람직한 중합체 중에서,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할라이드의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 및 카복시 관능성 실리콘의 배합물은 균일하고 효율적인 모발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적합한 캐리어 액체 중에서 희석시킨다. 어떠한 적합한 수성 또는 유기 용매도 본 발명의 활성 중합체 성분들을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모발 보호 제제용으로 적합한 캐리어 액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특히 물,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콜, 및 무기 주정 및 트리클로로에탄과 같은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캐리어의 양은 제한적이지 않고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보통, 적용의 편의상 0.1 내지 약 20중량%의 폴리실록산 및 유기 중합체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이 0.5 내지 8중량%의 폴리실록산 및 유기 중합체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본 모발 처리용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및 유기 중합체를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발 처리용 조성물은 유기 중합체의 수용액 중에서 폴리실록산의 수성 분산액, 유화액 또는 미세유화액을 형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실록산은 유기 중합체의 수용액에 유화시키거나, 폴리실록산을 먼저 물에 유화시킨 후, 폴리실록산 유화액을 유기 중합체 용액과 혼합시킬 수 있다. 폴리실록산의 수성 분산액, 유화액 또는 미세유화액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같이 유화제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을 물에 혼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유화반응은 미합중국 특허 제4,501,619호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실록산을 물에 분산시키거나 유화시키는 경우에는, 유효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 보호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추가로 기술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 유기 중합체에 대한 폴리실록산의 중량비는 약 0.1 내지 5의 범위내이다. 예를들면, 당해 조성물은 10부의 폴리실록산 및 90부의 유기 중합체, 50부의 폴리실록산 및 50부의 유기 중합체, 또는 80부의 폴리실록산 및 20부의 유기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중합체에 대한 폴리실록산의 비가 0.2 내지 3의 범위내에 있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비율의 성분들을 갖는 조성물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모발에 유연한 고착 및 컨디셔닝 효과를 지닌 매우 바람직한 배합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또는 유기 중합체 하나만을 사용해서는 수득될 수 없는 모발특성상의 다수의 개선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축축한 모발에서 당해 조성물은 습윤상태에서의 빗질을 용이하게 하고 더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한다. 일단 처리된 모발을 건조시키면, 모발의 형태를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개개의 머리카락에 막이 형성되나, 모발은 여전히 더 부드러운 감촉 및 용이한 빗질 특성을 나타낸다. 유기 중합체 단독으로도 약간의 부드러움과 개선된 빗질을 제공할 수 있지만, 폴리실록산과의 배합물은 이러한 특성을 향상시킨다. 전형적으로, 유기 중합체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실록산 부가시에 사라지는 점착성을 갖는다. 유사하게, 유기 중합체의 배합물은 모발에서 세트가 내구성이 강하고, 지속적이며, 유연하고, 개선된 빗질 용이성을 위해서 매끄럽게 처리된다는 점에서 보다 양호한 세트 지지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 증점제(thickener), 방향제, 착색제, 추진용 기체(propellant gas) 및 pH 조절용의 소량의 산 또는 염기과 같은 기타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당해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시키는 경우에, 이의 일부를 손에 부은 후에 모발에 적용하므로, 당해 조성물은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된 증점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이다.
사용가능한 증점제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아라비아 고무, 폴리옥시에틸렌, 구아 고무(guar gum),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고무, 셀룰로오즈 유도체[예 : 메틸 셀룰로오즈, 메틸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및 폴리프로필 하이드록시에틸 셀루로오즈], 전분 및 전분 유도체[예 : 하이드록시에틸 아밀로오즈 및 전분 아밀로오즈], 및 로우커스트 대두 고무(locust bean gum)이다. 비수성 캐리어 시스템에서는 폴리비닐에테르 및 폴리비닐이소부틸 에테르와 같은 소수성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방향제는 화장품에 허용되는 방향제로서, 이들은 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에어로졸로 적용하는 경우에, 추진용 기체는,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질소, 이산화질소, 휘발성 탄화수소[예 : 부탄, 이소부탄 또는 프로판], 및 염화 또는 불화 탄화수소[예 :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및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발을 성형기구로 말고, 모발을 물로 적시고, 모발에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량을 적용시킨 다음, 말려있는 모발을 건조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모발의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의 단계들은, 모발을 물로 적신 후에 말려있는 모발을 건조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순서로나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원하는 형태 또는 외형은 모발을 성형기구로 말아서 모발에 나타낸다. 헤어 스타일의 세팅에 보통 사용되는 어떤 통상적인 기구도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발을 커얼클립, 컬링 아이론 또는 핸드 브러쉬로 말 수 있다. 모발은 샴푸질 후에 젖은 상태로 말 수 있거나, 건조한 상태에서 만 후에 물로 적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수성 유화액의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건조한 상태로 말려진 모발의 습윤 처리는 본 처리 조성물의 적용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손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모발에 골고무 마사지(massaging)하거나, 모발을 조성물에 담그거나, 조성물을 모발과 함께 브러슁 또는 빗질하거나, 모발에 분무하거나, 흡수된 처리 조성물을 함유하는 스폰지 또는 천으로 모발을 패딩(padding)하는 것과 같은 적합한 방법으로 모발의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당해 조성물은 모발을 말기전이나 만 후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당해 조성물은 모발을 말기 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당해 단계에서 모발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때문이다.
조성물을 적용한 후에, 모발을 물로 헹구거나 헹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처리 조성물은 후속 수세 공정(water rinsing)없이 모발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모발 세팅 조성물로서 제형화된다. 이와 같이 모발에 잔류하는 조성물(leave-on composition)은 이들이 모발에 더욱 개선되고 지속성이 큰 형태 지지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개선된 커얼 보존성을 제공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적용한다. 필요량은 각 개인의 모발의 양 및 형태에 따라 변한다. 또한, 적용량은 원하는 커얼 보존 정도의 좌우되어 변한다. 각 개인의 모발에 적합한 양은 1회 또는 2회의 시험적 적용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모발은 원하는 형태 또는 외형으로 말려 있는 상태로 건조시킨다. 모발은, 예를 들면, 송풍 건조기, 뜨거운 커얼 클립, 또는 가열된 컬링 아이론을 사용하여 모발을 가열시킴으로써 어떠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발을 실온에서 자연스럽게 건조되도록 방치할 수도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예시하기 위해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이로써 제한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적합하게 기재되어 있다. 모든 부 또는 퍼센트에 의한 비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
당해 실시예는 모발을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 단독으로 또는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 및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리콘산의 배합물로 처리한 후에 세팅된 모발의 커얼 내구성을 비교한 것이다.
암갈색의 유럽인의 머릿단을 길이가 7in인 2g 다발로 만들고, 2분간 3중량%의 수성 비컨디셔닝 샴푸 용액으로 적신후에 1분간 흐르는 물로 헹군다. 머릿단을 0.6g의 처리 조성물로 30초 동안 마사지한 후에 빗질하여 엉키지 않는 정도(detangling), 습윤상태의 감촉 및 습윤상태의 빗질성을 평가한다. 빗질한 후에, 각각의 머릿단을 11/16in O.D. 커얼 클립으로 각기 말고, 주위 조건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이어서, 모발을 60℃ 오븐에서 30분간 건조시키고 커얼 클립을 풀기전에 15분간 냉각시킨다. 각각의 머릿단을 2회 빗질하고 주위조건(48 내지 55% 상대습도 및 70℉)하에 자유롭게 걸어둔다. 각각의 머릿단의 초기 길이를 측정하고, 머릿단에 대해 건조 외관, 건조 감촉, 건조 빗질성, 분말화 정도(extent of powderin g) 및 중량감(body)을 평가한다.[1 내지 5의 척도로 평가하는데 수치가 작을수록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낸다].
2시간 및 6시간 후에 머릿단의 길이를 다시 측정하여 커얼 내구성을 측정한다. 통계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서, 3개의 머릿단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6개의 머릿단을 각각의 시험 조성물로 처리한다. 각각의 처리된 머릿단의 길이를 평균하여 90% 신뢰구간에서 편차를 계산한다.
머릿단은 2개의 상이한 조성물로 처리한다. 조성물 I은 머쿼트
Figure kpo00001
에스(Merqu art
Figure kpo00002
S ; Merck & Co., Rahway, NJ)로서 시판되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수중 5중량% 고형용액이다.
조성물 II는 고형인 2.5중량%의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2.5중량%의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조성물 II는 61.62부의 물 31.25부(8중량%의 고체로서 제공됨)의 머쿼트R에스 및 7.1 3부의 폴리실록산의 유화액을 혼합시켜 제조한다. 폴리실록산 유화액은 35부의 폴리실록산, 1부의 에틸렌 글리콜, 분자당 평균 9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1부의 옥틸 페녹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분자당 평균 4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3.6부의 옥틸페녹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59.4부의 물을 함유한다. 폴리실록산은, 약 3몰%의 HOOCCH2SCH2CH2(CH3)SiO 단위, 약 95몰%의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약 2몰%의 트리메틸실록산 단위로 구성되고, 25℃에서의 점도가 약 250cp이다.
몇몇 머릿단의 습윤 특성 및 건조 특성에 따른 모발 길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90% 신뢰구간에서 계산된 편차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 머릿단에서는 0.32in이고 처리 머릿단에서는 0.23in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해 데이타는, 6시간 후에서 조차, 조성물 I의 유기 중합체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커얼 길이를 약 13.5% 감소시키지만, 조성물 II의 유기 중합체-폴리실록산 혼합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대조 머릿단에 비하여 커얼길이에 있어서, 2배(25%)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3
[실시예 2]
당해 실시예에서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커얼 내구성을 설명한다.
머릿단을 만들고, 조성물 Ⅲ 또는 Ⅳ로 처리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같이 커얼 클립으로 만든다. 머릿단을 70℃의 공기-순환 오븐에서 1시간동안 건조시키고 머릿단을 풀기전에 주위조건에서 밤새 방치시킨다. 각각의 머릿단을 2회 빗질하고 주위조건(40 내지 45% 상대습도 및 70℉)하에 자유롭게 걸어둔다. 머릿단의 길이를 여러시간에 걸쳐 측정하여 커얼 내구성을 측정한다.
6개의 머릿단을, 2중량%의 수용액으로서 25℃에서의 점도가 125cp인 고형의 2.5중량%의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4급 질소 유도체[JR Resin
Figure kpo00004
125로서 미합중국 뉴욕 소재의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oration, New York, NY)으로부터 구입가능] 및 2.5중량%의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조성물 Ⅲ으로 처리한다. 조성물 Ⅲ은 90.4부의 물, 2.5부(100중량%의 고체로 제공됨)의 JR Resin
Figure kpo00005
125, 및 실시예 1에 기술된 7.1부의 폴리실록산의 유제를 혼합시켜 제조한다.
6개의 머릿단을, 고형의 2.5중량%의 JR Resin
Figure kpo00006
125 및 2.5중량%의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조성물 Ⅳ로 처리한다. 조성물 Ⅳ는 89.2부의 물, 2.5부(100중량%의 고체로 제공됨)의 JR Resin
Figure kpo00007
125, 및 8.3부의 폴리실록산의 유화액을 혼합시켜 제조한다. 조성물 Ⅳ에 사용된 폴리실록산 유화액은 30부의 폴리실록산, 분자당 평균 6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3부의 트리메틸노닐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67부의 물을 함유한다. 당해 유화액 중의 폴리실록산은 약 3몰%의 HOOCCH (CH3)CH2(CH3)SiO 단위, 약 95몰%의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약 2몰%의 트리메틸실록산 단위로 구성되고, 25℃에서의 점도가 약 340cp이다.
몇몇 머릿단의 습윤 특성에 따른 모발길이를 표2에 나타내었다. 90% 신뢰구간에서 계산된 편차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용 머릿단 및 2.5시간후에 측정한 처리된 머릿단에서 0.3in이고, 4.5시간 후에 측정한 처리된 머릿단에서는 0.24in이다. 이러한 데이타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커얼 내구성이 상당히 개선됨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8
[실시예 3]
당해 실시예는 알콕시카보닐알킬티오 치환체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커얼 내구성 및 기타 특성을 설명한다.
머릿단을 만들고, 조성물 Ⅴ, Ⅵ 또는 Ⅶ로 처리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같이 커얼 클립으로 만다. 머릿단을 주위조건에서 밤새 건조시킨 후에 60℃ 공기 순환 오븐에서 0.5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시킨다. 0.5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에, 말려진 각각의 머릿단을 풀고 2회 빗질하고 통제된 조건(70% 상대습도 및 72.5℉)하에 자유롭게 걸어둔다. 머릿단의 길이를 10분, 30분 및 60분후에 측정하여 커얼 내구성을 측정한다.
6개의 머릿단을 고형의 2.5중량%의 머쿼트
Figure kpo00009
에스 및 2.5중량%의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조성물 Ⅴ로 처리한다. 조성물 Ⅴ는 43.7부의 물, 31.3부(8중량%의 고체로 제공됨)의 머쿼트
Figure kpo00010
에스, 및 25부의 폴리실록산의 분산액을 혼합시켜 제조한다. 폴리실록산 분삭액은 10부의 폴리실록산, 분자당 평균 9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0.15부의 옥틸페녹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89.85부의 물을 함유한다. 폴리실록산은 약 3몰%의 CH3OOCCH2SCH2CH2(CH3)SiO 단위, 약 95몰%의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약 2몰%의 트리메틸실록산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6개의 머릿단을, 고형의 3.35중량%의 머쿼트
Figure kpo00011
에스 및 1.65중량%의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조성물 Ⅵ으로 처리한다. 조성물 Ⅵ은 40.6부의 물, 46.9부(8중량%의 고체로 제공됨)의 머쿼트
Figure kpo00012
에스, 및 폴리실록산이 약 2몰%의 CH3OOCH2SCH2CH2(CH3)SiO 단위, 약 96.7몰%의 디메틸 실록산 단위 및 약 1.3몰%의 트리메틸실록산 단위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유사한 12.5부의 폴리실록산의 유화액을 혼합시켜 제조한다.
6개의 머릿단을, 고형의 1.65중량%의 머쿼트
Figure kpo00013
에스 및 3.35중량%의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인 조성물 Ⅶ은 46.8부의 물, 15.7부(8중량%의 고체로 제공됨)의 머쿼트
Figure kpo00014
에스, 및 폴리실록산이 약 1몰%의 CH3OOCCH2,SCH2CH2(CH3)SiO 단위, 약 97몰%의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약 2몰%의 트리메틸실록산 단위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유사한 폴리실록산의 유화액 37.5부를 혼합시켜 제조한다.
몇몇 머릿단의 습윤 특성에 따른 모발 길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90% 신뢰구간에서 계산된 편차는 0.21in 내지 0.16in이다. 이러한 데이타는, 당해 조성물에 의해 커얼 내구성 및 기타 특성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15
[실시예 4]
당해 실시예는 아민 또는 암모늄 관능기를 갖는 각종의 상이한 예의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머릿단을 유기 수지 및 실시예 1에 기술된 폴리실록산의 유화액의 배합물로 처리한다. 각각의 시험 조성물은 물 캐리어중의 5중량%의 혼합된 실리콘 및 유기 수지를 함유한다. 각각의 머릿단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같이 처리하고 커얼을 만들고, 건조시키고, 커얼을 푼 후에 2회 빗질한다. 머릿단을 주위 조건(44 내지 60% 상대습도 및 70℉)하에 자유롭게 걸어두고, 각각의 머릿단의 길이를 2,4 및 6시간 후에 측정한다.
하기한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를 조성물에 사용한다.
중합체 1 :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의 유도체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로서 셀쿼트(Celquat
Figure kpo00016
) H 100이란 상품명하에 시판됨(공급원 : National Starch & Chemical Corp., Bridgewater, New Jersey).
중합체 2 : 비닐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GAF 코폴리머(Copolymer
Figure kpo00017
) 958이란 상품명하에 시판됨(공급원 : GAF Corp., Wayne, New Jersey).
중합체 3 : 비닐카프로락탐,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공중합체로서 가픽스(Gaffix
Figure kpo00018
)란 상품명하에 시판됨(GAF Corp., Wayne, New Jersey).
중합체 4 : 중합체 쇄에 매달린 4급 암모늄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디메틸설페이트로 유도화한,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가프쿼트(Gafquat
Figure kpo00019
) 755N이란 상품명하에 시판됨(공급원 : GAF Corp., Wayne, New Jersey).
중합체 5 :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제 2,434,821호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전분의 양이온성 유체로, 라브(Lab
Figure kpo00020
) 358이란 상품명하에 시판됨(공급원 : Roquette Freres SA., France).
중합체 6 : 아크릴아미드 및 베타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토설페이트의 공중합체로서 레텐(Reten
Figure kpo00021
) 220이란 상품명하에 시판됨(공급원 : Hercules, Inc., Wilmington, Delaware).
처리된 머릿단의 커얼 길이 및 처리되지 않은 머릿단의 대표적인 길이는 표 4 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길이는 3개의 머릿단을 평균화한 것이다.
[표 4]
Figure kpo00022

Claims (14)

  1. 수성 또는 유기 용매 캐이러(carrier)중의, (A) 일반식 QMe2SiO(Me2SiO)x(M eR SiO)ySiMe2Q[여기서, Me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은 카복시알킬 라디칼, 카복시알킬티오라디칼, 알콕시카보닐알킬 라디칼 및 알콕시카보닐알킬티오라디칼 중에서 선택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을 나타내고, Q는 메틸 라디칼 또는 R을 나타내고, x는 평균값이 30 내지 400이고, y는 평균값이 1 내지 30이다]에 상응하는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 및 (B) 중합체 쇄에 존재하거나 또는 중합체 쇄에 결합된 아민 그룹 또는 암모늄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며 ; 조성물중에서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중량비가 0.1 내지 5의 범위인, 모발을 커얼 세팅(curl setting)하기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가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 비닐카프로락탐,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 공중합체 ;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할라이드의 공중합체 ; 및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가 4급 암모늄 그룹을 함유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유기 중합체가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할라이드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Q가 메틸 라디칼이고, x는 평균값이 50 내지 200이고, y는 평균값이 2 내지 10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이 3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이 카복시알킬 라디칼 및 카복시알킬티오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이 4-카복시-3-티아부틸 라디칼, 2-카복시에틸 라디칼, 2-카복시-2-메틸에틸 라디칼, 8-카복시-7-티아옥틸 라디칼, 6-카복시-4-티아헥실라디칼 및 6-카복시-2-메틸-4-티아헥실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에서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비가 0.2 내지 3의 범위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이 2-카복시-2-메틸에틸 라디칼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카복시 관능성 라디칼이 4-카복시-3-티아부틸 라디칼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A)와 (B)의 배합물을 0.1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물을 함유하고, 카복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물속에 분산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A)와 (B)의 배합물을 0.5 내지 8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860008845A 1985-10-24 1986-10-22 모발을 커얼 세팅하기 위한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940001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1047 1985-10-24
US06/791,047 US4744978A (en) 1985-10-24 1985-10-24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carboxyfunctional silic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66A KR870003766A (ko) 1987-05-04
KR940001000B1 true KR940001000B1 (ko) 1994-02-08

Family

ID=2515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845A Expired - Lifetime KR940001000B1 (ko) 1985-10-24 1986-10-22 모발을 커얼 세팅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44978A (ko)
EP (1) EP0219830B1 (ko)
JP (1) JPS62103007A (ko)
KR (1) KR940001000B1 (ko)
AU (1) AU586709B2 (ko)
CA (1) CA1270443A (ko)
DE (1) DE368408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4978A (en) * 1985-10-24 1988-05-17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carboxyfunctional silicone
US4724851A (en) * 1986-11-04 1988-02-16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fixative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polydiorganosiloxane
US4733677A (en) * 1986-11-04 1988-03-29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fixative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polydiorganosiloxane microemulsions
LU87127A1 (fr) * 1988-02-08 1989-09-20 Oreal Application cosmetique de polysiloxanes a fonction beta-cetoester et compositions mises en oeuvre
FR2641185B1 (fr) * 1988-12-29 1991-04-05 Oreal Composition de rasage pour la peau a base de polyorganosiloxanes a fonction acyloxyalkyl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K0412704T3 (da) * 1989-08-07 1999-11-01 Procter & Gamble Hårkonditionerings- og stylingsammensætninger
US5658557A (en) * 1989-08-07 1997-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containing copolymers
FR2653016B1 (fr) * 1989-10-13 1994-09-16 Oreal Composition de lav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en particulier des cheveux et/ou de la peau.
US5393521A (en) * 1989-12-21 1995-02-28 Dep Corporation Hair treatments utilizing polymethylalkylsiloxanes
DE69005283D1 (de) * 1990-01-09 1994-01-27 Dow Corning Siloxanzusammensetzung für die Haarpflege.
US5063044A (en) * 1990-02-16 1991-11-05 Dow Corning Corporation Carboxy and carboxy-glycol ether and ester functional siloxane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and shampoos
US5181529A (en) * 1991-07-18 1993-01-26 David Roberts Kit and two-step cosmetic treatment for hair
US5468477A (en) * 1992-05-12 1995-1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nyl-silicone polymer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FR2702653B1 (fr) * 1993-03-16 1995-05-24 Oreal Utilisation en cosmétique ou en application topique d'une dispersion aqueuse à base d'organopolysiloxanes non volatils et d'un polymère réticulé de chlorure de méthacryloyloxyéthyl triméthylammonium .
FR2709954B1 (fr) * 1993-09-15 1995-10-20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contenant un copolymère bloc linéaire polysiloxane-polyoxyalkylène et un polymè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AU1809795A (en) * 1994-02-18 1995-09-04 Unilever Plc Personal washing compositions
EP0802781A1 (en) * 1995-01-09 1997-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queous hair setting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e grafted copolymer
DE19510474A1 (de) * 1995-03-27 1996-10-02 Basf Ag Neue Haarfestigungsmittel
FR2736262B1 (fr) * 1995-07-07 1997-09-26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a usage capillaire et utilisation de ces dernieres
EP0865272B1 (en) * 1995-10-16 2002-03-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FR2740033B1 (fr) * 1995-10-18 1998-01-2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silicone greffe et au moins une dispersion aqueuse de particules insolubles de polymere non-ionique ou cationique
FR2745173B1 (fr) * 1996-02-22 1998-04-3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fixation et de brillance en aerosol et procedes
US5653969A (en) * 1996-03-21 1997-08-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residue hair care compositions
US5665337A (en) * 1996-03-21 1997-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residue hair care compositions using grafted copolymers
US5653968A (en) * 1996-03-21 1997-08-05 The Proctor & Gamble Company Rinse-off hair care compositions
US5667771A (en) * 1996-03-21 1997-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hair care compositions using grafted copolymers
US5804173A (en) * 1996-09-04 1998-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863527A (en) * 1996-09-04 1999-01-26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916548A (en) * 1996-09-04 1999-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5830447A (en) * 1996-09-04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FR2755608B1 (fr) 1996-11-12 1999-01-0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mere anionique ou non ionique et une silicone carboxylique
FR2761599B1 (fr) * 1997-04-07 1999-12-0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polymere cationique de faible masse moleculaire et leurs utilisations
US6555117B2 (en) 1997-04-25 2003-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linear toughened silicone grafted polymers
US6136296A (en) * 1997-04-25 2000-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6113883A (en) * 1997-04-25 2000-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containing copolymers
US6074628A (en) * 1997-04-25 2000-06-13 Procter & Gamble Hairspray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 block copolymers
US6165457A (en) * 1997-05-12 2000-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toughened grafted polymers
US5929173A (en) * 1997-05-12 1999-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ughened grafted polymers
FR2779640B1 (fr) * 1998-06-15 2000-08-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polymere cation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780279B1 (fr) * 1998-06-26 2001-02-02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a photoprotection de la peau et/ou des cheveux contenant un benzazole n-substitue et une silicone organomodifiee non-filtrante
US6063368A (en) * 1998-07-30 2000-05-16 Aveda Corporation Foaming hair care product
FR2808679B1 (fr) * 2000-05-09 2006-09-22 Oreal Procede pour accroitre la persistance d'au moins un effet cosmetique et/ou de soi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composition cosmetique et son utilisation
FR2808678B1 (fr) 2000-05-09 2003-06-20 Oreal Utilisation en cosmetique d'au moins un organopolysiloxane en tant que gelifiant et composition cosmetique le contenant
FR2811553B1 (fr) 2000-07-12 2002-09-13 Oreal Compositions contenant des composes du type sel de flavylium non substitues en position 3 pour la coloration de la peau et une silicone organomodifiee
FR2820031B1 (fr) * 2001-01-26 2006-05-0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mere fixant et un poly(vinyllactame) cationique
FR2837387B1 (fr) * 2002-03-25 2006-04-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s particules de silicone elastomere
JP2006347955A (ja) * 2005-06-16 2006-12-28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5640879B2 (ja) * 2011-04-22 2014-12-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JP2019500401A (ja) 2015-12-31 2019-01-10 ロレアル ポリカルボジイミドおよびラテックスポリマーを含有するケラチン基質処理のための組成物
KR20190037193A (ko) 2015-12-31 2019-04-05 로레알 케라틴 기질을 처리하기 위한 폴리카보다이이미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WO2017117522A1 (en)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diimides and amino compoun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WO2017117526A1 (en)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WO2019006331A1 (en) 2017-06-29 2019-01-03 L'ore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S polycarbodiimides
JP7422354B2 (ja) * 2018-08-15 2024-01-26 ジェイオーコスメティックス株式会社 化粧料
US12023403B2 (en) 2018-08-15 2024-07-02 Dow Toray Co., Ltd. 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s
EP3890683A1 (en) 2018-12-03 2021-10-13 HFC Prestige International Holding Switzerland S.a.r.l. Multicomponent in situ coloration composition
US11642301B2 (en) 2018-12-31 2023-05-09 L'oreal Systems, kit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ionic polymers
US20200206122A1 (en) 2018-12-31 2020-07-02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ionic polymers for treating hair
US11389390B2 (en) 2019-05-31 2022-07-19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s, wax, and cationic surfactant for conditioning and styling hai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76955A1 (ko) * 1977-03-15 1978-10-18
LU83949A1 (fr) * 1982-02-16 1983-09-02 Oreal Composition destinee au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ntenant au moins un polymere cationique et au moins un latex anionique
CA1196575A (en) * 1982-05-20 1985-11-12 Michael S. Starch Compositions used to condition hair
LU84286A1 (fr) * 1982-07-21 1984-03-22 Oreal Procede de mise en forme de la chevelure
US4501619A (en) * 1983-11-14 1985-02-26 Dow Corning Corporation Aqueous emulsions of carboxyl-containing silicone fluids and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GB2161172B (en) * 1984-07-03 1988-06-02 Beecham Group Plc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DE3682953D1 (de) * 1985-06-06 1992-01-30 Procter & Gamble Frisierschaum und verfahren.
US4744978A (en) * 1985-10-24 1988-05-17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carboxyfunctional silic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44978A (en) 1988-05-17
KR870003766A (ko) 1987-05-04
EP0219830A2 (en) 1987-04-29
AU6433686A (en) 1987-04-30
DE3684088D1 (de) 1992-04-09
AU586709B2 (en) 1989-07-20
CA1270443A (en) 1990-06-19
JPS62103007A (ja) 1987-05-13
EP0219830B1 (en) 1992-03-04
EP0219830A3 (en) 198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000B1 (ko) 모발을 커얼 세팅하기 위한 조성물
CA1252050A (en) Hair setting method using aminoalkyl substituted polydiorganosiloxane
CA1302283C (en) Hair fixative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polydiorganosiloxane
US4733677A (en) Hair fixative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organic polymer and polydiorganosiloxane microemulsions
CA2046137C (en) Hair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low strength elastomers
US4673568A (en) Hair-care composition and hair treatment process
EP0464836B1 (en) Hair fixatives
JP3092740B2 (ja) アミノ官能性シリコーン樹脂及び髪処理用組成物
US4844888A (en) Polysiloxane cosmetic composition
JPH05246828A (ja) シャンプー及び他のヘアケア製品に使用される優れたコンディショニング性を有する両性電解質ターポリマー
US8673276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rmally activated hair treatment
JP2927572B2 (ja) 毛髪固定剤
US5194251A (en) Hair treatment with zwitterionomeric siloxanes
US5063051A (en) Cosmetic hair-care composition based on polyorganosiloxanes containing a hydroxyalkyl functional group
US5108738A (en) Organosilicon hair care products
US5225190A (en) Organosilicon hair care products
KR100271070B1 (ko) 모발 파마용 중화제 조성물
JPH05255052A (ja) 整髪用配合物及び整髪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1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23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