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0361Y1 - 디스크형기록매체재생장치의재생수단유지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형기록매체재생장치의재생수단유지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361Y1
KR940000361Y1 KR2019900015745U KR900015745U KR940000361Y1 KR 940000361 Y1 KR940000361 Y1 KR 940000361Y1 KR 2019900015745 U KR2019900015745 U KR 2019900015745U KR 900015745 U KR900015745 U KR 900015745U KR 940000361 Y1 KR940000361 Y1 KR 94000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recording medium
disc
shaped recording
enga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와다나베
미끼히꼬 쇼우다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6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재생수단유지기구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재생수단유지기구를 갖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일부절결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재생수단유지기구의 동작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계합판과 계합편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새시 2 : 디스크형 기록매체수용부
3 : 디스크형 기록매체 3a : 기록면
5 : 가동판 6 : 재생수단
9 : 로딩기구 10 : 인출구
14 : 전달기구 18 : 로딩용 모터
23, 24, 25 : 계합판 231, 241, 251: 계합부
26, 27, 28 : 계합편
본 고안은 수용부에 수용된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콤팩트 디스크등)가 바라는 것을 재생하기 위한 로딩기구에 따라 인출한 경우, 그 인출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다시 상기 수용부의 원래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리게 한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재생수단유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새시의 일단측에 설치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수용부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그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배치수용하고, 가동판에 장착된 재생수단을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여 상기 새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재생수단으로 장착된 로딩기구의 인출구를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에 의해 전달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바라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수용부에서 인출한 상태에 있을때에 커다란 진동을 받으면, 재생수단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버려 인출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수용부의 원래 위치로 되돌릴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는, 재생수단의 기판이나 지지부재 등의 강성을 높이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재생수단이 중량이 많아지고 이에 수반하여 이 재생수단을 이동하기 위한 모터도 고출력의 것을 필요로 하여 재생장치 전체의 소형경량화를 꾀하는 이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생수단의 기판이나 지지부재등의 강성을 높이지 않고 인출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수용부의 원래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릴 수 있도록 한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재생수단유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새시의 일단측에 설치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수용부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그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배치수용하고, 가동판에 장착 및 재생수단을 상기 수용부와 인접하여 상기 새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재생수단으로 장착된 로딩기구의 인출구를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에 의해 전달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시 및 상기 가동판의 일방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 수용부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배치간격과 동일간격으로 복수의 계합부를 갖춘 계합판을 설치하고, 타방에는 계합편을 설치하고, 상기 가동판에 설치된 상기 계합판 또는 상기 계합편을 상기 전달기구의 일부로 구동하여 상기 새시에 설치된 상기 계합편 또는 상기 계합판의 하나의 계합부와 계합시켜 상기 재생수단의 이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로딩기구의 인출구를 전달기구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용부에서 바라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인출하면 그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전달기구의 일부에 의해 가동판에 설치된 계합판 또는 계합편이 구동되어 새시에 설치된 계합편 또는 계합판의 하나의 계합부와 계합하고, 재생수단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인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는 본 고안의 재생수단유지기구를 갖춘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재생수단유지기구의 동작설명도이며, 제1도중 1은 새시이고, 그 일단측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 : CD) 수용부(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2)내에는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3) (제2도 참조)가 그 기록면(3a)과 직교하는 방향(제1도중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배치수용되어 있다. 이들의 디스크형 기록매체(3)는 1매당 트레이(4)상의 원형요부(4a)에 재치된 상태에서 수용부(2)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형 기록매체(3)는 트레이(4)상에 재치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후술할 로딩기구(9)의 인출구(10)에 의해 수용부(2)의 전면 개구부(2a)에서 택일적으로 인출된다.
수용부(2)의 전방에 위치하여 새시(1)상에는 가동판(5)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면(3a)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중 A, 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판(5)은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된다.
가동판(5)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재생수단(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재생수단(6)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면(3a)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므로 모터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재치되는 턴 테이블,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정보를 기억하는 픽업(모두 도시생략) 및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상기 턴 테이블에 압부하는 클램퍼(7)등을 갖추고 있다.
재생수단(6)에는 이 재생수단(6)의 상방에 위치하여 가동판(5)에 고정된 플레이트(8)를 개재하여 로딩기구(9)가 장착되어 있다.
이 로딩기구(9)는 수용부(2)에서 트레이(4)를 인출하기 위한 평면대략 L자형의 인출구(10)를 갖추고 있다.
이 인출구(10)의 일단부에는 각 트레이(4)의 계합구(4b)에 계합하는 평면대략 L자형의 걸림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구(10)는 그 하면에 돌설한 1쌍의 계합핀(도시생략)이 가이드홈(11, 12)에 각각 계합되어 있다.
인출구(10)는 링크기구(13) 및 전달기구(14)를 개재하여 후술할 로딩용 모터(18)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기구(13)는 플레이트(8)의 상면으로 축(1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링크아암(16)과 이 제1링크아암(16)의 일단과 인출구(10)의 사이에 개장된 제2링크아암(17)으로부터 된다.
전달기구(14)는 정역회전가능한 로딩용 모터(18)의 풀리(18a)와 도시하지 않은 풀리의 사이에 장착된 무단벨트(19)와 도시하지 않은 톱니바퀴기구와, 플레이트(8)의 가이드장공(20)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체(21)등을 갖추고, 이 슬라이드체(21)의 계합홈(21a)에 제1링크아암(16)의 타단의 계합핀(22)이 섭동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로딩용 모터(18)의 정역회전에 의해 무단벨트(19), 풀리(18)의 정역회전에 의해 무단벨트(19), 풀리, 톱니바퀴기구를 개재하여 슬라이드체(21)가 전후방향(도면중 화살표 C, D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링크기구(13)를 개재하여 인출구(10)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면(3a)과 평행(도면중 화살표 E, F방향)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새시(1)의 전측(반대수용부(2)측) 대략 중앙부와 후측(수용부(2)측) 좌우부에는 제1, 제2, 제3계합판(23, 24, 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제3계합판(23, 24, 25)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배치간격과 동일간격을 두어 복수의 계합부(231, 241, 251)를 각각 갖추고 있다.
제1, 제3계합판(23, 25)의 계합부(231, 251)는 각공으로 되며 또한 제2계합판(24)의 계합부(241)는 ㄷ자형의 절결로 된다. 이들 제1-제3계합판(23, 24, 25)에 대응하여 가동판(5)에는 제1, 제2, 제3계합편(26, 27, 2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계합편(26)은 플레이트(8)의 상면으로 축(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제3계합편(28)은 플레이트(8)의 상면에 전후방향(화살표 G, H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제2계합편(27)은 가동판(5)의 일측면(5a)에 전후방향(화살표 J, K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제1계합편(26)은 그 일단이 제1계합판(23)의 계합부(231)에 계탈가능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부(26a)로 되어 있다. 또, 제3계합편(28)은 그 일단이 제3계합판(25)의 계합부(251)에 계탈가능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부(28a)로 되어 있다. 또한, 제2계합편(27)은 그 일측편(27a)에 돌설된 돌기가 제2계합판(24)의 계합부(241)에 계탈가능하게 계합하는 피계합부(27b)로 되어 있다. 이 제2계합편(27)의 타측편(27c)의 선단(27d)은 인출구(10)의 후측면(10b)에 접리가능하게 당접한다.
제1계합편(26)의 타단(26b)은 제3계합편(28)의 타단(28b)의 계합공(28c)에 계합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제3계합편(26, 28)이 서로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3계합편(28)의 타단(28b)측에 설치된 당접돌기(28d)가 슬라이드체(21)의 일단면(반대수용부(2)측 단면)(21b)에 접리가능하게 당접한다.
제1-제3계합편(26, 27, 28)은 그들의 피계합부(26a, 27b, 28a)가 제1-제3계합판(23, 24, 25)의 계합부(231, 241, 251)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30, 31)에 의해 탄지되어 있다.
일방의 스프링(30)은 제3계합편(28)의 스프링 걸림부(28e)와 플레이트(8)의 스프링 걸림부(8a)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또, 타방의 스프링(31)은 제2계합편(27)의 스프링 걸림부(27e)와 가동판(5)의 측면의 스프링 걸림부(5b)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트레이(4)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체(21)의 일단면(21b)에 제3계합편(28)의 당접돌기(28d)가 당접하여 있음에 따라, 제1계합편(26) 및 제3계합편(28)의 피계합부(26a) 및 (28a)가 스프링(30)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1, 제3계합판(23, 25)의 계합부(23, 25)에서 이탈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 트레이(4)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인출구(10)의 후측면(10b)에 제2계합편(27)의 타측면(27c)의 선단(27d)이 당접하여 있음에 따라 제2계합편(27)의 피계합부(27b)가 스프링(31)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2계합판(24)의 계합부(241)에서 이탈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4)를 인출하는데 수반하여 슬라이드체(21)의 일단면(21b)에서 제3계합편(28)의 당접돌기(28d)가 이간됨과 동시에, 제2계합편(27)의 타측편(27c)의 선단(27d)도 인출구(10)의 후측면(10b)에서 이간함에 따라 제1-제3계합편(26, 27, 28)의 피계합부(26a, 27b, 28a)가 제1-제3계합판(23, 24, 25)의 계합부(231, 241, 251)에 계합한다.
이 계합상태에 있어서 가동판(5)과 함께 재생수단(6)은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배치방향(도면중 A, B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또한, 제1도중 32는 제1계합편(26)의 유리(遊籬)를 저지하는 누름편이다.
또, 각 트레이(4)는 매거진(33)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용부(2)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매거진(33)에 의해 각 트레이(4)가 일괄해서 수용부(2)내에 삽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레이(4)가 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제1-제3계합편(26, 27, 28)의 피계합부(26a, 27b, 28a)는 제1-제3계합판(23, 24, 25)의 계합부(231, 241, 251)에 계합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재생하기 위해 바라는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지정스위치등으로 지정한 후, 재생조작 스위치를 ON하면 가동판(5)의 화살표시 A, B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정한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트레이(4)의 위치에 인출구(10)가 위치한 시점에서 가동판(5)의 화살표 A, B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로딩용 모터(18)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달기구(14)를 개재하여 슬라이드체(21)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제1링크아암(16)이 축(15)을 중심으로 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링크아암(17)을 개재하여 인출구(10)가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인출구(10)의 화살표 E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그 걸림부(10a)가 지정된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재치한 트레이(4)의 계합구(4b)에 계합하여, 이 트레이(4)가 수용부(2)의 개구부(2a)에서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재생수단(6)의 턴 테이블상(클램퍼(7)의 아래쪽)에 세트되고, 클램퍼(7)로 디스크형 기록매체(3)가 턴 테이블상에 압부되어 재생수단(6)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재생수단이 행해진다.
그런데, 트레이(4)의 인출동작개시에 따라 슬라이드체(21)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인출구(10)가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체(21)의 화살표 D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그 일단면(21b)이 제3계합편(28)의 당접돌기(28d)에서 이간하므로 제3계합편(28)은 스프링(30)의 탄지력으로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일단의 피계합부(28a)가 제3계합판(25)의 계합부(251)에 계합한다. 또, 제3계합편(28)의 화살표 H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계합편(26)의 축(2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에 회동하고 그 일단의 피계합부(26a)가 제1계합판(23)의 계합부(231)에 계합한다.
또한, 인출구(10)의 화살표 E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그 후측면(10b)에서 제2계합편(27)의 타측편(27c)의 선단(27d)이 이간되고, 이 제2계합편(27)은 스프링(31)의 탄지력으로 화살표 J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돌기인 피계합부(27b)가 제2계합판(24)의 계합부(241)에 계합한다. 이에 따라, 가령 진동을 받아도 가동판(5)과 함께 재생수단(6)이 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는 인출된 트레이(4)가 수용부(2)의 원래 위치로 수용되기까지의 사이에 유지되므로, 인출된 트레이(4)를 수용부(2)의 원래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릴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계합판(23, 24, 25)의 계합부(231, 241, 251)를 구멍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계합편(26, 27, 28)의 피계합부(26a, 27b, 28a)를 돌부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계합판(23, 24, 25)의 계합부(231, 241, 251)를 돌부로 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계합편(26, 27, 28)의 피계합부(26a, 27b, 28a)를 구멍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재생수단유지기구는 새시 및 가동판의 일방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수용부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배치간격과 동일간격으로 복수의 계합부를 갖춘 계합판을 설치하고, 타방에는 계합편을 설치하고, 상기 가동판에 설치된 상기 계합판 또는 상기 계합편을 전달기구의 일부에서 구동하여 상기 새시에 설치된 상기 계합편 또는 상기 계합판의 하나의 계합부와 계합시켜서 재생수단의 이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생수단의 기판이나 지지부재의 강성을 높이지 않고, 인출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수용부의 원래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릴 수가 있다.

Claims (1)

  1. 새시(1)의 일단측에 설치된 디스크형 기록매체 수용부(2)에 복수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3)를 그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두어 배치수용하여 가동판(5)에 장착된 재생수단(6)을 상기 수용부(2)와 인접하여 상기 새시(1)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기록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재생수단(6)으로 장착된 로딩기구의 인출구(10)를 정역회전가능한 모터(18)에 의해 전달기구(14)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록면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시(1) 및 상기 가동판(5)의 일방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 수용부(2)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3)의 배치간격과 동일간격으로 복수의 계합부를 갖춘 계합판(23, 24, 25)을 설치하고, 타방에는 계합편(26, 27, 28)을 설치하고, 상기 가동판(5)에 설치된 상기 계합판(23, 24, 25) 또는 상기 계합편(26, 27, 28)을 상기 전달기구(14)의 일부에서 구동하여 상기 새시(1)에 설치된 상기 계합편 또는 상기 계합판의 하나의 계합부와 계합시켜 상기 재생수단(6)의 이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재생수단 유지기구.
KR2019900015745U 1989-10-17 1990-10-16 디스크형기록매체재생장치의재생수단유지기구 Expired - Lifetime KR9400003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07489U JPH0361652U (ko) 1989-10-17 1989-10-17
JP1-122074 1989-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61Y1 true KR940000361Y1 (ko) 1994-01-20

Family

ID=1482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745U Expired - Lifetime KR940000361Y1 (ko) 1989-10-17 1990-10-16 디스크형기록매체재생장치의재생수단유지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61652U (ko)
KR (1) KR9400003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1652U (ko) 199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498A (en) Disc player that loads both compact disc and mini-disc
US6314073B2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insertion error inhibit means for recording media having different structures
KR100277960B1 (ko) 광 디스크 로딩장치
JPH0625986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5341352A (en) Disk player for playing back more than one kind of disk
KR940000361Y1 (ko) 디스크형기록매체재생장치의재생수단유지기구
JPH0625986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25986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150024B2 (ko)
JP2954522B2 (ja) 複合記録/再生装置
JPH0668583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及びディスクマガジン
JP3607797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2599245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付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0202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 장치
KR0183864B1 (ko) 디스크 재생장치
JPH0625987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598223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付ディスクプレーヤ
JP3489914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2544339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
KR200177356Y1 (ko) 광디스크 로딩장치
JP2845792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KR200168386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척킹/언척킹 유지구조
JP305779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078218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KR0183863B1 (ko) 디스크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10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10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