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702845A - 디지탈 주라인의 경보 및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 주라인의 경보 및 테스트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702845A
KR930702845A KR1019930700646A KR930700646A KR930702845A KR 930702845 A KR930702845 A KR 930702845A KR 1019930700646 A KR1019930700646 A KR 1019930700646A KR 930700646 A KR930700646 A KR 930700646A KR 930702845 A KR930702845 A KR 93070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st
remote terminal
signal
lin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 블리벤 데이비드
안소니 브라니카
비이. 베일 필립
엘. 쉬미락 제럴드
에스. 물라네이 줄리안
제이. 에레이저스 잔
Original Assignee
허버트 지. 버카드
레이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584,325 external-priority patent/US5111497A/en
Application filed by 허버트 지. 버카드, 레이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허버트 지. 버카드
Publication of KR93070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8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ultiplex systems
    • H04M3/245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ultiplex systems for ISD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04M3/30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using modulation techniques for copper pairs
    • H04M3/303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using modulation techniques for copper pairs and using PCM multiplexers, e.g. pair gai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8Subscriber network interfac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03Constructional details of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34A/D conversion, code compression/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6Digital 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digital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Service observation,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2Fault indication and loc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9Fax,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Amplifier, attenuation circuit, echo suppr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4Four wire connecti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9Modem,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35Simulation, e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단일 연 쌍선식 전송라인(100)을 통해 다중 전화 전송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시스템은 로컬 교환국(112)으로 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라인카드(104)에 의해 단일 연 쌍선식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80ksymbols/sec신호를 통상의 전화(108), 팩시밀리 또는 다른 관련된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상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테스트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즉 라인카드, 원격 단말기 및 연쌍선식 전송라인을 각각 테스트한다. 개선된 2선/4선 하이브리드 결합회로(202)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이 개선된 회로는 종래의 출력트랜스포머에 부착된 2개의 추가적인"윙"코일을 가지며, 그 추가된 윙코일에 의해 출력 증폭기로 부터의 피드백 성분이 효과적으로 소거될 뿐만 아니라 수신신호의 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주라인의 경보 및 테스트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디지탈 부가 주라인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단말기(RT)의 전체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선/4선 하이브리드 결합 회로의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2선/4선 하이브리드 결합회로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인카드(LC)의 전체 블록도.

Claims (72)

  1.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라인카드 및 상기 디지탈 신호를 가입자 전화 설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시키기 위한 원격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카드로 부터의 디지탈 형태의 전화신호를 상기 원격단말기로 단일 연쌍 선식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디지탈 부가 주라인 시스템의 테스트 시스템으로서, a) 라이카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의 출력을 소정의 출력패턴으로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중앙국 설비에 배치된 단말기 에뮬레이터와, b) 상기 라인카드의 응답신호와 상기 단말기 에뮬레이터의 에뮬레이트된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라인카드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테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연 쌍선식 전송라인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에 부착 가능한 전압원 전류미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원격 단말기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상기 라인 카드의 출력을 에뮬레이트하기 위한 라인카드 에뮬레이터와, b) 상기 원격단말기에 종료신호를 인가하고 그 원단말기에서 종료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원격단말기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채널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채널 테스트 수행수단은 a)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원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라인 카드에 접속된 음성 주파수 에뮬레이터와, b) 복귀된 반사신호를 측정하여 라인카드, 연 쌍선식 전송라인 및 원격단말기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카드,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 및 상기 원격단말기에서의 고장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카드,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 및 상기 원격단말기에서의 고장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쌍 이득 테스트 제어기(PGTC)로 부터 테스트 요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탈 부가주라인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테스트하며 상기 PGTC로 저항성기호를 출력하기 위한 PGTC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중앙국 설비에서의 복수의 라인카드를 상기 원격단말기에 직렬로 접속시켜 상기 복수의 라인카드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 쌍선식 전송라인들을 상기 전압원 전류미터에 직렬로 접속시켜 상기 복수의 연 쌍선식 전송라인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격단말기를 상기 라인카드 에뮬레이터에 직렬로 접속시켜 상기 복수의 원격단말기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카드의 응답신호는 상기 라인카드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분이 동작되지 않을때 상기 라인카드에서의 고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신호는 상기 원격단말기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분이 동작되지 않을때 상기 원격단말기에서의 고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전화회사 운영시스템에 상기 라인카드에서의 고장지시를 교신하기 위한 운영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수단은 제1 및 제2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최소한 상기 라인카드의 테스트를 관리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a) 상기 채널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채널테스트는 상기 원격단말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 및 라인카드 모두의 기능을 테스트하며, b) 상기 채널테스트가 상공적이지 못하면, 상기 원격단말기의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라인카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전압원 전류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 테스트를 수행하며, c)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 테스트가 성공적이면, 상기 라인카드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원격단말기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채널테스트 수행전에 상기 디지탈 부가 주라인의 하나이상의 라인들이 사용중에 있는 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도록 아울러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7. 제4항에 있어서, a) 라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b)그 선택된 라인을 전화 교환국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와, c)테스트 요구메시지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d)그 선택된 라인의 흡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e)그 선택된 라인읜 온-훅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f) 그 선택된 라인의 링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g) 그 선택된 라인의 반사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채널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8. 제3항에 있어서, a) 선택된 라인에 상기 라인카드 에뮬레이터를 접속시키는 단계와, b) 선택된 라인의 원격단말기를 흡수 부하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c) 음성 주파수 발생기를 상기 라인카드 에뮬레이터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d) 반사된 전압을 판독하고, 그 반사된 전압을 기준 전압에 비교하여 상기 원격단말기가 기능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는 단계에 의해, 상기 원격단말기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a) 상기 원격단말기의 온-훅 테스트를 수행하고, b) 상기 원격단말기의 링요구를 수행하며, c) 상기 원격단말기의 반사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아울러 프르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20. 제5항에 있어서, a)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의 팁선에 제1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b) 상기 팁선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과, c)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의 링선에 상기 제1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d) 상기 링선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과, e) 상기 링선을 접지시키고 상기 팁선에 상기 제1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f) 상기 팁선을 접지시키고, 상기 링선에 상기 제1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g) 상기 링선이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팁선에 상기 원격단말기에서의 보수 종단유니트를 동작시키는 제2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21. 로컬 교환국에서의 다중 아날로그 신호를 단일 연 쌍선식 전송라인을 통해 가입자 위치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라인카드 및 상기 디지탈 신호를 가입자 전화설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원격단말기를 구비하는 디지탈 부가 주라인을 테스트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라인카드, 상기 원격단말기 및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 모두를 테스트하는 상기 디지탈 부가 주라인의 채널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b) 에뮬레이트된 원격단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상기 라인카드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c) 상기 연 쌍성식 전송라인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d) 에뮬레이트된 라인카드 출력을 사용하여 상기 원격단말기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테스트 수행단계(a)는 i) 반사부하를 상기 원격단말기의 출력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ⅱ)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라인카드의 입력에 에뮬레이트 시키는 단계와, ⅲ) 상기 라인카드에서의 반사된 신호를 기준값에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라인카드 테스트 수행단계(b)는 i) 원격단말기 에뮬레이터를 상기 라인카드의 출력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ⅱ) 반사부하를 상기 원격단말기 에뮬레이터의 출력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ⅲ)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라인카드의 입력에 에뮬레이트 시키는 단계와, ⅳ) 상기 라인카드에서의 반사된 신호를 기준값에 비교하느 단계를 구비하며, ㅅ아기 연 쌍선식 전송 라인 테스트 수행단계(c)는 i) 제1전압을 상기 연 쌍선식 전송라인의 제1선에 인가하는 단계와, ⅱ) 상기 제1선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ⅲ) 제2선이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선에 상기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ⅳ) 상기 제1선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단말기 테스트 수행단계(d)는 i) 라인카드의 출력을 상기 원격단말기의 입력에 에뮬레이트 시키는 단계와, ⅱ) 상기 원격단말기로 부터의 반사된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테스트 방법.
  22.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라인카드 및 상기 디지탈 신호를 가입자 전화 설비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원격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카드로 부터의 디지탈 형태의 전화신호를 상기 원격단말기로 단일 연쌍선식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디지탈 부가 주라인 시스템의 테스트 시스템으로서, a) 원격단말기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라인카드의 출력을 소정의 데이타 패턴으로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중앙국 설비에 배치된 라인카드 에뮬레이터와, b) 상기 원격단말기의 응답신호와 상기 라이카드 에뮬레이터의 에뮬레이트된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원격단말기에서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테스트 시스템.
  23. 부하 임피던스를 갖는 2선 전송매체용 2선/4선 결합회로로서, 출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출력 증폭수단과, 상기 결합회로의 임피던스를 상기 전송매체의 부하 임피던스에 매칭시미기 위해 상기 출력 증폭수단에 결합된 출력 임피던스 수단과,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상기 전송매체에 결합된 입력 증폭수단에 결합되고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임피던스 수단과, 상기 2선/4선 결합회로를 상기 전송매체에 결합시키기위해 상기 출력 임피던스수단, 입력 임피던스 수단 및 전송매체에 결합된 트랜스포머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포머 수단은 1차 부하전압을 갖는 중앙 탭식 코일과 이 중앙탭식 코일의 양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윙 코일을 가지며, 그 중앙 탭식코일과 윙코일의 조합체에 피드백 전압이 인가되고, 피드백 전압 대 1차 부하 전압비를 X라 하고 기준전압 대 1차 부하 전압비를 Y라 하며 1차 부하전압을 Vprime라 할때 상기 입력 증폭수단 양단의 측정된 전압은 VprimeX,Y/(X+Y)인 2선/4선 결합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 X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선/4선 결합회로.
  25. 2선 전송매체용 결합회로로서, 결합회로 임피던스 및 중앙 탭식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코일이 중앙 탭식 코일을 가지며, 전체 트랜스포머 양단의 전압대 그 중앙 탭식 코일 양단의 전압비를 X라 하고 상기 결합회로 임피던스 양단의 전압 대 그 중앙 탭식 코일 양단의 전압비를 Y라 할때 2XY/(X+Y)의 전송 특성을 갖는 결합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 Y는 2이고, 상기 비 X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회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임피던스수단은 임피던스가 그 양단에 각각 걸리는 1차 및 2차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비 Y가 임의의 크기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회로.
  28.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로서, a) 접근제한된 전화선 접속부들로 이루어진 접근제한구역과, 접근가능한 전화선 접속부들로 이루어진 접근 가능구역을 규정하는 프레임, b) 상기 접근 제한구역상에 설치되고, 접근 제한용 결합구를 풀었을때 상기 접근 제한구역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제1커버, c) 상기 접근 가능구역상에 설치되고, 제2결합구를 풀었을때 상기 접근가능구역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2커버, d) 상기 제한된 전화선 접속부 및 접근 가능한 전화선 접속부로 인가되거나 이 접속부들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전자부품들을 내장하는 부품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부품은 소켓 및 플러그 조립체를 사용하여 상기 접근 가능 전화선 접속부 및 접근제한된 전화선 접속부에 부착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케이싱이 상기 접근제한구역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기 전자부품이 연쌍선으로 부터 나온 디지탈 신호를 가입자 전화설비로 보내지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케이싱이 상기 전자부품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부품케이싱을 제거할때 상기 소켓으로 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는 각각 힌지 설치된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케이싱이 상기 도어 위에서 아랫쪽으로 연장형성되는 스커트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들은 상기 결합구들을 풀었을때 상기 스커트로 부터 이격되어 아랫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케이싱내로 주위환경으로 부터의 오염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케이싱이 이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개구상에 환경오염물 진입방지용 밀봉재로된 밀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오염물 진입장지용 밀봉재가 고온 용융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용융물이 S114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및 플러그 조립체에 겔 밀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우레탄, 실리콘, 그리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50-35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50%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100-30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100-250x10-1㎜의 원뿔관입 시험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겔밀봉부의 겔은 적어도 100%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겔밀봉부의 겔은 적어도 20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개방조건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통신 설비용 밀폐장치.
  46. 가입자 위치에서 아날로그 전화신호를 디지탈 전화신호로 변환시키는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내환경 밀폐장치로서, a) 전화회사용 연쌍선블럭과 가입자 설비 연결용 고객 단말기 블럭을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프레임, b) 상기 전화회사용 연쌍선블럭을 밀폐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구를 통해 고정 가능한 제1힌지도어, 여기서 상기 결합구는 가입자가 상기 연쌍선블럭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c) 상기 가입자 설비의 접속을 위한 상기 고객단말기 블럭을 밀폐하는 제2힌지도어,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도어는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d)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가입자 설비접속용 블럭과 상기 연쌍선 블럭에 소켓 및 플러그 조립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제1힌지도어에 의해 밀폐된 구역으로 부터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전자 부품기판용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내환경 밀폐장치.
  47. 제 1및 제2전화선을 가입자 위치와 테스트 설비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선택 연결장치로서, a) 제1, 제2, 제3 및 제4도선들을 포함하는 제1접속수단,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도선들은 전화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3 및 제4도선들을 가입자 설비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며 상기 제1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테스트 설비에 접속 가능하고, b) 상기 제1접속수단과 접속가능한 제2접속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1 및 제3도선을 연결하는 제1분로도선 및 상기 제2 및 제4도선을 연결하는 제2분로 도선을 구비하는 선택 연결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수단이 RJ11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설비가 RJ11플러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수단이 RJ11플러그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접속수단이 RJ11소켓으로 되어 있고, b) 상기 제1분로도선이 상기 RJ11소켓내에 있는 제1 및 제3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c) 상기 제2분로 도선이 상기 RJ11소켓내에 있는 제4 및 제6단말기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수단은 이 접속수단의 몸체 욀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도선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수단을 환경 오염물질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밀봉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제 1및 제2접속수단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수단내에 있는 밀봉겔로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50-35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5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100-300x10-1mm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10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100-25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20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속수단 주위에 있는 트렌치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59.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접속수단 주위에 있는 트렌치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수단은 플러그이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플러그 주위에 있는 캡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수형 RJ11 호환성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연결장치.
  62. 가입자 팁선 및 링선을 서비스 수단과 교대로 연결시키기 위한 서비스 무듈로서, a) RJ11소켓과, b) 상기 RJ11소켓의 제 1단말기를 가입자 위치의 팁선에 열결시키기 위한 제1도선, c) 상기 RJ11소켓의 제2단말기를 가입자 위치의 링선에 열결시키기 위한 제2도선, d)상기 RJ11소켓의 제3단말기를 전화스위치의 팁신호를 제공하는 팁신호 제공수단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3도선, c)상기 RJ11소켓의 제4단말기를 전화스위치의 링신호를 제공하는 링신호제공수단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4도선, f) 상기 RJ11소켓에 끼워지는 RJ11플러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RJ11플러그는 i) 상기 제1도선과 제3도선을 연결시키는 제1분로 도선, ⅱ)상기 RJ11플러그가 상기RJ11소켓에 삽입될때 상기 제2도선과 제4도선을 연결시키는 제2분로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모듈.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RJ11플러그에는 이 플러그의 몸체로 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도선이 전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RJ11소켓을 환경 오염물질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밈ㄹ봉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RJ11플러그 또는 RJ11소켓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50-35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5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100-30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10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68.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밀봉부의 겔은 약 100-250x10-1㎜의 원뿔관입 시험값과 적어도 200% 이상의 극한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69.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속수단 주위에 있는 트렌치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70.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RJ11플러그 주위에 있는 트렌치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71.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플러그 주위에 있는 캡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모듈.
  72.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700646A 1990-09-04 1991-08-01 디지탈 주라인의 경보 및 테스트 시스템 KR930702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900690A 1990-09-04 1990-09-04
US579,006 1990-09-04
US07/584,325 US5111497A (en) 1990-09-17 1990-09-17 Alarm and test system for a digital added main line
US584,325 1990-09-17
PCT/US1991/005475 WO1992004794A2 (en) 1990-09-04 1991-08-01 Alarm and test system for a digital main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845A true KR930702845A (ko) 1993-09-09

Family

ID=2707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646A KR930702845A (ko) 1990-09-04 1991-08-01 디지탈 주라인의 경보 및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3) EP0682435B1 (ko)
JP (1) JPH06504889A (ko)
KR (1) KR930702845A (ko)
AU (2) AU658828B2 (ko)
BR (1) BR9106814A (ko)
CA (1) CA2091067C (ko)
DE (3) DE69115704T2 (ko)
ES (2) ES2122816T3 (ko)
MX (1) MX9100931A (ko)
MY (1) MY107201A (ko)
NZ (1) NZ239285A (ko)
WO (1) WO199200479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9654A (en) * 1992-05-12 1994-10-25 Raychem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terface assembly
JP3069440B2 (ja) * 1992-06-30 2000-07-24 富士通株式会社 加入者線多重伝送システムの集中監視方式
FR2707446B1 (fr) * 1993-07-07 1995-08-11 Pouyet Int Dispositif terminal d'interconnexion téléphonique d'abonné.
FR2708821A1 (fr) * 1993-07-30 1995-02-10 Amp France Boîte d'interface d'abonné.
US5420920A (en) * 1994-03-15 1995-05-30 The Whitaker Corporation Network interface device module providing sealed customer-accessible test port
US7068758B1 (en) * 2000-10-23 2006-06-27 Alcatel Canada Inc. Integrated metallic access for high port density DSLAM
CN102684103B (zh) * 2012-04-05 2015-04-01 谌朝辉 基于虚拟源的电气操作防误判断方法
CN104474956A (zh) * 2014-10-24 2015-04-01 广东中商国通电子有限公司 胶体电池母胶的配胶装置
CN117811939B (zh) * 2024-01-03 2024-08-02 北京中航通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1553b总线的远程终端仿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9697A (en) * 1944-03-29 1947-06-27 Charles Duncan Henry Webb Improvements i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NL7510026A (en) * 1975-08-25 1977-03-01 Electrotechniek B V Signal divider with decoupled output for cable transmission - has bridge network with impedance arms including impedance of signal source
US4270030A (en) * 1979-11-27 1981-05-26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sting of subscriber loop pair gain systems
DE3230886A1 (de) * 1982-08-19 1984-02-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ktive gabelschaltung mit geringer verlustleistung
US4500158A (en) * 1983-05-31 1985-02-19 Amp Incorporated Network interface device
US4562311A (en) * 1983-07-29 1985-12-31 Amp Incorporated Telephone network interface device
US4595802A (en) * 1983-11-29 1986-06-17 Northern Telecom Limited Hybrid circuit
US4588238A (en) * 1984-12-19 1986-05-13 Gte Products Corporation Telephone network interface connector
US4874333A (en) * 1985-03-08 1989-10-17 Amp Incorporated Shunte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4662692A (en) * 1985-05-02 1987-05-05 Raychem Corp. Sealing member
NZ216143A (en) * 1985-06-03 1989-04-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Distribution frame wire connection module with insertable overvoltage protector
GB8515009D0 (en) * 1985-06-13 1985-07-17 Raychem Sa Nv Protection of terminal blocks
US4800588A (en) * 1985-08-07 1989-01-24 Gte Products Corporation Telephone network interface system
CA1280723C (en) * 1985-08-20 1991-02-26 Martha F. Story Corrosion protection apparatus
DE3823925A1 (de) * 1988-07-14 1990-01-18 Siemens Ag Anordnung zum pruefen peripherer anschlussbaugruppen eines kommunikationssystems
FR2643203B1 (fr) * 1989-02-10 1991-05-31 Delisle Dominique Emulateurs de terminaison numerique de reseau et systemes de controle et mesure de bus
US4949376A (en) * 1989-06-15 1990-08-14 Keptel, In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apparatus
US5459729C1 (en) * 1989-07-25 2002-03-19 Raychem Corp Digital added main lin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1052B1 (en) 1998-10-14
EP0682435B1 (en) 1999-01-13
AU8318791A (en) 1992-03-30
ES2126836T3 (es) 1999-04-01
AU658828B2 (en) 1995-05-04
DE69115704T2 (de) 1996-10-17
CA2091067A1 (en) 1992-03-05
EP0771052A3 (en) 1997-07-02
DE69130779T2 (de) 1999-09-02
CA2091067C (en) 2001-11-20
WO1992004794A2 (en) 1992-03-19
MY107201A (en) 1995-09-30
DE69130779D1 (de) 1999-02-25
JPH06504889A (ja) 1994-06-02
EP0771052A2 (en) 1997-05-02
BR9106814A (pt) 1993-06-15
EP0547067B1 (en) 1995-12-20
EP0682435A3 (en) 1996-07-17
DE69115704D1 (de) 1996-02-01
MX9100931A (es) 1992-05-04
ES2122816T3 (es) 1998-12-16
AU692611B2 (en) 1998-06-11
WO1992004794A3 (en) 1992-06-25
AU3667495A (en) 1996-04-26
DE69130370D1 (de) 1998-11-19
EP0682435A2 (en) 1995-11-15
NZ239285A (en) 1997-04-24
DE69130370T2 (de) 1999-06-24
EP0547067A1 (en)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8928A (en) Telephone subscriber line module
US5696660A (en) Line 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use with a PCMCIA-architecture modem card
US5892756A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sting device
US5956385A (en) Test set interfa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line type
US5841836A (en) Network termination equipment
US4415779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testing telephone subscriber loop to locate a fault relative to a reference point
KR930702845A (ko) 디지탈 주라인의 경보 및 테스트 시스템
FR2808397B1 (fr) Dispositif de test et de coupure pour ligne telephonique ou informatique et module d'interconnexion equipe d'un tel dispositif
US5115462A (en) Remotely controlled apparatus for conditioning telephone line exclusive of metallic DC bypass pair
US5717752A (en) Data access arrangement
US5848127A (en) Two-wire channel unit with loopback test capability
US4679115A (en) Electrical disturbance protective device between a terminal and a telephone line
GB2253543A (en) Testing circuit for data transmission lines
EP0460087B1 (en) Star data network with logical ring function preferably using token access
US63208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lection of an unknown ISDN reference
US4340788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ircuit elements included in time-shar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GB2042848A (en) Line current feed and hybrid arrangement (system X)
KR100289580B1 (ko) 선로시험을 위한 가입자보드 시뮬레이터
US4554416A (en) Low voltage two wire to four wire telephone circuit converter apparatus
US3865983A (en) Acoustic coupler system for use with common carrier communication lines
KR930006551B1 (ko) 교환시스팀의 애널로그 입중계 회로장치
KR930006552B1 (ko) 교환시스팀의 애널로그 출중계 회로장치
JP2596757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100336512B1 (ko) 간이 사설교환기의 내장형 네트워크 단말 장치
CA1045232A (en) Trunk busy test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3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