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11166B1 -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166B1
KR930011166B1 KR1019910014107A KR910014107A KR930011166B1 KR 930011166 B1 KR930011166 B1 KR 930011166B1 KR 1019910014107 A KR1019910014107 A KR 1019910014107A KR 910014107 A KR910014107 A KR 910014107A KR 930011166 B1 KR930011166 B1 KR 93001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ertical pipe
relay
turned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599A (ko
Inventor
박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전한진시스템
박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전한진시스템, 박민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전한진시스템
Priority to KR101991001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166B1/ko
Publication of KR93000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1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 E04F17/123Cleaning or disinfecting thereof
    • E04F17/126Cleaning or disinfecting thereof with water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쓰레기수거장치를 도시해 놓은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쓰레기 투입구(5) 전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분류기(10)를 니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방화장치(6)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3)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압축기(13,13')와 콘테이너(14,14')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제어함(15)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2도에 도시된 쓰레기 투입구(5)에 내장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제3도에 도시된 분류기(10)에 내장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제5도에 도시된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3)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제어함(62)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6도에 도시된 압축기(13,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함(91)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레벨센서(11,11')의 상부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레벨센서(12,12')의 상부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동력 환풍기 2 : 동력팬
3 : 살균세척장치 4 : 수직관로
5 : 투입구 6 : 방화장치
7 : 전자식밸브 8 : 배출관
9 : 오존발생기 10 : 분류기
11, 11', 12, 12' : 레벨센서 13, 13' : 압축기
14, 14' : 콘테이너 15 : 주제어함
21 : 사용불가표시램프 22 : 사용가표시램프
23 : 재활용품표시램프 23' : 재활용품눌름스위치
24 : 폐기쓰레기표시램프 24' : 폐기쓰레기눌름스위치
25 : 부저 26 : 개폐센서
27 : 기계식자물쇠 28 : 손잡이
29 : 전자식자물쇠 31, 31' : 위치센서스위치
32, 32' : 지지대 33 : 분류판
34 : 회전축 35 : 구동장치
41 : 화재센서 42 : 전자식밸브
43 : 분사기 44 : 방화셧터
45 : 전자식홀더 46 : 차단판
47, 47' : 스프링 51, 51' : 전자식밸브
52, 52' : 펌프 53 : 분사기
54 : 소독액통 55 : 레벨센서
56 : 감속모터 57, 57' : 풀리
58 : 와이어줄 59, 59' : 위치센서
60 : 원형브러쉬 61 : 추
62 : 제어함 71 : 제어함
72 : 유압실린더 73 : 밀판
74 : 압력센서 75, 75' : 책크밸브
76, 76' : 전자식밸브 77 : 쓰리웨이밸브
78 : 유압유통 79 : 유압펌프
80, 80' : 위치센서스위치 81 : 콘테이너센서
82 : 배출구 91 : 쓰레기 적치장
92 : 분류벽 93, 93' : 디스챠지밸브
94 : 수평이송관로 95 : 다이버터
96, 96' : 강제흡입분리장치
본 발명은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쓰레기 투입구의 전면 스위치 조작으로 분류기를 작동시켜 1개의 관로로써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를 구분하여 수거할 수 있고, 무동력환풍기와 동력팬, 투입구, 전자식밸브의 연계작동과 오존발생기로 쓰레기로 인한 악취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누설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공기를 살균시키고 악취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며, 소방수 분사기와 화재센서, 방화셧터로써 수직관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제를 소화시키고 불길 번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수직관로 살균세척징치의 소독수와 원형브러쉬로써 오염딘 수직관로 내벽을 주기적으로 살균 세척할 수 있으며, 쓰레기 부피를 축소시켜 콘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쓰레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복잡해지고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쓰레기량이 증가하여 쓰레기매립지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의 분류수거가 의무화됨에 따라 아파트나 고층건물에서는 수직관로를 2개씩 설치하거나 기존의 수직관로가 1개만 있는 경우는 투입구를 폐쇄하고 엘리베이터를 이용 운송하여 구분되어진 쓰레기함에 주부나 청소용원들이 직접 가져다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사무실 빌딩이나 병원, 호텔등과 같이 수직관로가 건물내에 있는 경우에는 수직관로의 하단 쓰레기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상기 수직관로를 통하여 각층으로 번지며, 쓰레기처리장 및 관로에서 각종 병원균 및 쥐, 바퀴벌레등과 같은 해충들이 서식 함으로써 오염원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불씨가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경우 화재가 발생 수직 관로를 따라 불길 및 연기가 각층으로 번지는 문제또한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제어장치를 갖춘 쓰레기 투입구와 1개의 수직관로, 그 수직관로 하부에 분류기를 설치하고 투입구의 스위치 조작으로 상기 분류기가 움직이고 분류된 쓰레기가 투입구에 넣어지면 분류기의 관로 방향으로 떨어져 적재됨으로써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를 간편히 분류시킬 수 있고, 수직관로 내부의 공기를 자연풍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무동력환풍기와 제어장치를 갖춘 동력팬을 설치하여 평상시 동력팬이 저속으로 회전함으로 수직관로에서 역기류가 발생치 않도록 하고 각부의 틈새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투입구가 열리거나 쓰레기처리실의 배출관의 전자식밸브가 열릴때는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투입구나 배출구에서의 공기흐름 방향이 수직관로 안쪽으로 향하게 함으로 수직관로 및 쓰레기처리실의 악취나 오염된 공기가 관로 외부 즉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존발생기를 설치하여 오존을 쓰레기처리실 및 수직 관로에 공급하여 서식하는 각종 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정화시키며, 화제센서, 분사기 및 방화셧터를 갖춤으로 쓰레기처리실 및 수직관로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자동적으로 물을 분사 소화시키고 불길을 차단하여 화재가 번짐을 방지하며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를 설치하여 소독수를 물과 함께 분사시키면서 원형 브러쉬로써 수직관로 내벽을 닦으면서 살균세척할 수 있으며, 쓰레기 부피를 축소하여 콘테이너에 자동으로 적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쾌적한 분위기를 유지시킬 수 있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력절감, 운용비 절감등 경제적 효과 등을 기할 수 있는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는, 쓰레기 낙하이송로인 수직관로(4), 수직관론(4)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즉 자연풍에 의하여 작동하는 무동력환풍기(1)와, 릴레이에 의해 저속 및 고속으로 작동하는 동력팬(2), 수직관로내벽을 살균 세척하기 위한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3), 각 층에 설치되어 쓰레기를 버리기 위한 쓰레기 투입구(5), 수직관로(4) 하단 및 쓰레기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 및 차단시키기 위한 방화장치(6), 쓰레기처리장과 수직관로(4)내부의 각종 균의 살균 및 악취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존발생기(9)와 이 오존 발생기(9)에서 발생한 오존을 쓰레기처리장으로 공급 또는 쓰레기처리장의 공기를 수직관로(4)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전자식밸브(7)와, 배출관(8), 쓰레기투입구(5)의 전면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하여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를 분류하기 위한 통로를 만들어주는 분류기(10), 쓰레기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11,11',12,12')쓰레기 부피를 축소시켜 콘테이너(14,14')에 적재시키는 압축기(13,13') 및 본 쓰레기수거장치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함(15)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고저 한다.
제1도,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도시해 놓은 것과, 본 발명의 쓰레기수거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주제어함(15)의 회로를 도시한 제7도에 있어서, 모든 상태가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 즉 모든층의 쓰레기 투입구(5)(제2도 및 제8도 참조)가 닫히고, 동력팬(2)이 고속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쓰레기가 레벨센서(11,11')의 위치까지 쌓여 있지 않고, 제4도에 도시된 화재센서(41)가 감지되지 않고, 분류기(10)(제3도 및 제9도 참조)의 분류판(33)이 위치센서스위치(31,31')중 어느 한쪽을 누르고 있으며, 살균세척장치(3)가 작동하고 있지 않고, 콘테이너(14,14')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 즉 이상의 모든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진 상태하에서는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고 제8도에 도시된 노아게이트(NR3)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됨으로써 각층의 투입구(5'-5n)에서는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꺼지고 사용가표시램프(22)가 켜지며, 재활용품표시램프(23)와 폐기쓰레기표시램프(24)중 어느 한쪽이 켜지며, 전자식자물쇠(29)가 풀리고, 동력팬(2)이 저속으로 회전하며 제6도에 도시된 압축기(13,13')의 밀판(73)이 전진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는 각 층의 투입구(5'-5n)를 사용할 수 있는 평상시 상태를 의미한다.
일예로, 이와 같은 평상시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쓰레기 투입구(5)의 폐기쓰레기표시램프(24)가 켜져 있는 경우 어느 한층의 사용자가 폐기쓰레기눌름스위치(24')를 누르면 그 상태르 그대로 유지하며,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활용쓰레기를 버리고자 재활용품눌름스위치(23')를 누르면 제7도에 도시된 릴레이(R1)가 온 되어 자세접점(R1-a)이 붙게되어 상기 릴레이(R1)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여 제3도에 도시된 분류기(10)의 구동장치(35)를 작동시킴으로 회전축(34)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34)에 붙은 분류판(33)이 움직이게 된다. 이 분류판(33)이 움직이는 동안은 제9도에 도시된 위치센서스위치(31,31')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써 신호선(d)(e)이 로우상태이므로 제2도와 제8도에 도시된 재활용품표시램프(23)와 폐기쓰레기표시램프(24)둘다 꺼지게 된다. 이때 제7도에 도시된 노아게이트(NR2)의 출력이 하이, 다른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로우, 따라서 제8도에 도시된 노아게이트(NR3)의 출력이 하이가 됨으로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잠겨 열리지 않게 되어 분류통로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쓰레기를 넣을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3도에 도시된 분류판(33)이 움직여 마이크로스위치로 된 위치센서스위치(31)를 누르면 전원이 차단되어 제7도에 도시된 릴레이(R1)가 오프되어 제3도에 도시된 구동장치(35)가 멈추고 제9도에 도시된 위치센서스위치(31)의 출력인 신호선(d)쪽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전층에 걸쳐 재활용품표시램프(23)가 켜지고 노아게이트(NR2)의 출력이 로우, 다른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하이, 제8도에 도시된 노아게이트(NR3)의 출력이 로우 상태로 되어 제2도에 도시된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꺼지고 사용가표시램프(22)가 다시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풀린다. 여기서 제2도에 도시된 쓰레기투입구(5)의 재활용품눌름스위치(23')와 폐기쓰레기눌름스위치(24)는 제8도의 투입구(5)에 내장된 회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가표시램프(22)가 켜진 상태에서만 작동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분류기(10)의 구동장치(35)는 감속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 여러가지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활용쓰레기를 버리고자 투입구(5)의 손잡이(28)를 잡아당기면 개폐센서(26)가 전원에 연결되어 부저(25)가 울려 사용후 투입구(5)가 완전히 닫힘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해서 열린채로 방치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제7도에 도시된 오아게이트(OR1)가 하이,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로우 상태가 되어 열려진 투입구(5)의 노아게이트(NR3)의 출력은 로우 상태가 되어 사용가표시램프(22)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풀린 상태로 된다. 그렇지만 다른층의 닫혀진 투입구(5n)의 경우는 개폐센서(26n)는 전원과 차단되어 로우이므로 노아게이트(NR3n)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되어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n)가 잠겨 열수가 없게 된다.
즉, 1개의 투입구(5)가 열리면 다른층의 투입구(5n)는 자동으로 잠겨 열수 없게됨으로 상기 투입구(5n)가 동시에 여러개 열릴경우 투입구(5n) 상호간 공기흐름으로 인하여 수직관로(4)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때 제7도에 도시된 오아게이트(OR2)가 하이 상태가 됨으로 릴레이(R3)가 온 되어 제1도에 도시된 동력팬(2)이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열려진 투입구(5)에서의 공기흐름방향을 수직관로(4)내쪽으로 향하게하여 수직관로(4)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후 상기 투입구(5)를 닫으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센서(26)가 전원과 단락됨으로써 부저(25)의 울림이 멈추고, 제7도에 도시된 오아케이트(OR1)의 출력이 로우,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하이, 따라서 제8도의 노아게이트(NR3)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어 다시 전층에 걸쳐 사용가 표시램프(22)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풀리고 오아게이트(OR2)의 출력이 로우 상태가 되므로 릴레이(R3)가 오프되어 동력팬(2)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잠기는 경우는 제3도에 도시된 분류기(10)의 분류판(33)이 움직이고 있는 중 일때와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층의 투입구(5)가 열려있을때, 쓰레기처리장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는 중일때, 쓰레기가 레벨센서(11,11')의 위치까지 쌓여 있을 때 수직관로(4)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제센서(41)가 감지할때 및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3)가 작동중일때에 생기게 되므로 악취 및 오염된 공기 확산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방법과 때에 관계없이 각기기의 작동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서 오존발생기(9)는 제7도에 도시된 주제어함(15)의 스위치(SW4)에 의해서 작동하게되는 바, 평상시 배출관(8)을 통하여 쓰레기처리실로 오존을 공급하여 쓰레기처리실에서 서식하는 각종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처리실의 오염된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작동시간을 입력시킨 타이머(T1)가 모든 투입구(5)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하면 앤드케이트(AD1)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되어 릴레이(R4)가 작동 전자식밸브(7)가 열리고 오아게이트(OR2)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되어 릴레이(R3)가 작동 동력팬(2)이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쓰레기처리실의 공기를 배출관(8)으로 흡입해서 수직관로(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쓰레기처리실의 오염된 공기 및 악취를 배출하기 위해서 별도의 배관을 설치 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간단하며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수 있다.
이때 각층 투입구(5)는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잠기게 된다. 이와 작동 순서가 달리타이머(T1)가 작동전에 어느층의 투입구(5)가 먼저 열린 경우에는 전자식밸브(7)가 열리지 않으며, 이후 열린투입구(5)가 닫히면 전자식밸브(7)가 열리고 투입구(5)의 전자식자물쇠(29)가 잠겨 열리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작동은 주제어함(15)의 환기스위치(SW1)를 수동으로 온 시킴으로써도 동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타이머(T1)가 오프 되거나 스위치(SW1)가 오프되면 앤드게이트(AD1)가 로우, 릴레이(R4)가 오프, 전자식밸브(7)가 닫히고 모든 투입구(5)는 사용가표시램프(22)가 다시 켜진다.
또한, 제1도에서 수직관로(4)내의 쓰레기가 레벨센서(11,11')의 위치까지 어느 한쪽이라도 충만할 때에는 레벨센서(11,11')의 출력이 로우 신호를 발함으로써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이 하이 되어 알람(AL1)이 울려 운영자가 인지 및 조치할 수 있다. 이때는 모든 투입구(5)의 전자식자물쇠(29)가 잠겨 더 이상 버릴수 없도록 되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센서(11,11')가 후단에 순간적으로 떨어져 지나가는 쓰레기를 감지하여 작동치 않도록 평활회로(I1)를 부가시켜 기기작동에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방화장치(6)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에 도시된 수직관로(4)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센서(41)가 감지하여 하이 신호를 발하므로 제7도에 도시된 알람(AL2)이 울려 운용자가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릴레이(R5)가 작동되어 소방수라인에 연결된 전자식밸브(42)가 열려 소방수가 분사기(43)를 통하여 수직관로(4)내로 분사되어 소화시키고, 릴레이(R6)가 작동되어 방화셧터(44)의 전자식홀더(45)를 폴리게함으로써 스프링(47,47')의 복귀력에 의해 차단판(46)이 움직여 수지관로 (4)를 차단시켜 불길번짐을 방지한다. 이때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로우 되어 각층 투입구(5)가 자동으로 잠겨 연기가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며 투입구를 통해 쓰레기를 버릴수 없게 되어 안전하다. 수직관로(4)밖의 화재에 대비하여 화재센서(41)와 분사기(43)를 수직관로 밖에도 겸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 화재가 진화된후에는 전자식밸브(42)가 자동 복귀됨으로써 소방수가 분사되는 것은 정지되며, 방화셧터(44)의 차단판(46)은 수동으로 북귀시키게 되어 있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쓰레기수거장치의 수직관으로 살균세척장치(3)를 나타낸것으로, 수직관로살균세척장치(3)는 소독액통(54)의 소독액이 최소 레벨센서(55)의 55'위치 이상으로 차있고 모든 투입구(5)가 닫혀있으며 쓰레기처리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전자식밸브(7)가 닫혀있고 폐기쓰레기용 콘테이너(14')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주제어함(15)의 스위치(SW2)를 누름으로써 작동하기 시작한다. 즉, 상기 투입구(5)와 전자식밸브(7)가 열린상태이거나 폐기쓰레기 콘테이너(14')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스위치(SW2)를 눌러도 앤드게이트(AD9)의 출력이 로우 상태이므로 타이머(T2)를 작동시키지 못하여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3)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모든 투입구(5)가 닫혀 있고 전자식밸브(7)가 닫히고 폐기쓰레기 콘테이너(1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제어함(15)의 스위치(SW2)를 누르면 릴레이(R2)가 온 되어 제3도에 도시된 분류기(10)의 분류판(33)이 폐기쓰레기통로를 형성하는 쪽으로 위치하여 투입구(5)의 폐기쓰레기표시램프(24)가 켜지고 제10도에 도시된 타이머(T2)가 작동하며 하이 신호를 발하여 앤드게이트(AD2)의 출력이 하이, 오아게이트(OR4)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되어, 제6도에 도시된 폐기쓰레기 압축기(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즉 제11도에 도시된 제어함(72)의 오아게이트(OR5)의 출력이 하이, 릴레이(R12)가 온 되어 제6도에 도시된 유압펌프(79)가 작동되면서 릴레이(R17)을 온 시켜 전자식밸브(76)가 열리고, 쓰리웨이밸브(77)가 유압실린더(72)의 (A)방향으로 열리면서 유압실린더(72)가 작동, 밀판(73)이 움직여 위치센서스위치(80')을 누르게 되면 제11도에 도시된 앤드게이트(AD6)의 출력이 하이, 릴레이(R15)가 온 됨으로, 자체접점(R15-b)이 떨어져 릴레이(R12)가 오프, 릴레이(R16,R17)가 오프 되어 유압펌프(79)가 멈추고 전자식밸브(76,76')가 닫히게 되어 밀판(73)이 후퇴된 상태 즉, 위치센서스위치(80')를 누른 상태에 머물게 된다. 이것은 제1도에 도시된 수직관로(4)를 통하여 떨어지는 소독수가 폐기쓰레기 통로쪽으로만 흘러 내리고 폐기쓰레기용 압축기(13)의 밑판(73)이 후퇴 되어 출구쪽으로 소독수를 흘러내려 배출구(82)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기기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다.
이때 모든 투입구(5)는 사용불가표시램프(21)가 켜지고 전자식자물쇠(29)가 잠겨 열리지 않는다. 또한 이때, 제10도에 도시된 릴레이(R18,R19)가 온 됨으로 제5도에 도시된 수도관 및 소독액통(54)에 연결된 전자식밸브(51,51')가 열리고 펌프(52,52')가 작동되어 분사기(53)를 통하여 소독액과 수도물이 혼합된 소독수가 수직관로(4)내벽을 향하여 분사되거 릴레이(R7)가 온, 감속모터(56)가 작동하여 풀리(57)를 회전시키므로 상기 폴리(57)에 감긴 와이어줄(58)이 수직관로(4)의 중앙선에 설치된 풀리(57)를 통하여 풀리면서 추(61)의 무게에 의하여 원형브러쉬(60)가 하강되면서 분사기(53)에서 분사되는 소독수와 함께 원형브러쉬(60)둘레의 솔로 수직관로(4)내벽면을 문지르게 되므로써 소독수에 의한 살균 효과와 솔에 의한 세척효과를 함께 거둘수 있다.
계속해서 하강하여 상기 원형 브러쉬(60)가 수직관로(4)하부에 설치된 위치센서(59')위치까지 내려와 위치센서(59')가 감지하여 로우신호를 발하면, 제10도에 도시된 릴레이(9)가 온 되어 상승 릴레이(R8)가 온, 하강릴레이(R7)가 오프 됨으로써 감속모타(56)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어 와이어줄(58)이 풀리(57)에 되감기게 되어 원형브러쉬(60)가 상승하게 되며, 계속 상승해서 위치센서(59)위치에 이르면 위치센서(59)가 감지 로우 신호를 발한다. 이때 제10도에 도시된 타이머(T2)가 온 상태이면 오아게이트(OR4)가 하이, 앤드게이트(AD3)가 온 되어 다시 감속 모터(56)의 회전방향이 바뀌어 원형브러쉬(60)가 하강하게 된다. 또한 이 때 타이머(T2)가 오프 상태이면 오아게이트(OR4)가 로우, 릴레이(R10,R18,R19)가 오프 되어 감속 모터(56)가 정지하고 전자식밸브(51,51')가 닫히며 펌프(52,52')가 작동을 멈춘다. 즉, 원형브러쉬(60)는 항시 수직관로(4) 상부 위치센서(59)의 위치에서 멈추어 있게 된다.
또한 원형브러쉬(60)가 하강/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주기라고 할때 타이머(T2)에 설정된 시간이 1주기 보다 짧게 설정되었을때는 원형브러쉬(60)가 한번만 하강/상승하게 되며, 여러번 움직이고자 할때는 타이머(T2)를 사용하고자 하는 횟수에 주기를 곱한 시간보다 약간 짧게 설정하면 그 횟수만큼 계속 자동으로 작동한다. 상기 타이머(T2)가 오프 되고 원형브러쉬(60)가 위치센서(59)위치에서 멈춘순간부터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드게이트(AD6)의 출력은 시간지연회로(TD1)에 의하여 계속 하이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릴레이(R15)가 온, 자체접점(R15-b)이 오프, 릴레이(R12)가 오프되어 압축기(13)의 밀판(73)이 후퇴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시간 지연회로(TD1)에 설정된 시간 즉, 수직관로(4)내의 소독수가 완전히 배출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후에는 상기 시간지연회로(TD1)의 출력이 로우되어 릴레이(R15)가 오프됨으로 자체접점(R15-b)이 붙게 되고 릴레이(R12)가 온 됨으로 유압펌프(79)가 작동하고 릴레이(R14,R16)가 온되어 전자식밸브(76')가 열리고 쓰리웨이밸브(77)가 유압실린더(72)의 (B)방향으로 열려 자동적으로 밀판(73)이 전진하여 위치센서스위치(80)을 누르면 정지하여 그위치에 있게 된다.
제6도 및 제11도에 있어, 압축기(13,13')의 작동은 콘테이너(14,14')가 장착되고 압력센서(74)가 감지하지 않는 상태 즉, 콘테이너(14,14')가 꽉차지 않아 평상시 사태에서 상기 압력센서(74)의 출력이 하이인 평상시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된 수직관로(4)의 레벨센서(12,12')의 위치까지 쓰레기가 차게 되면 상기 레벨센서(12,12')의 출력은 로우 상태가 되어 앤드게이트(AD4)의 출력은 하이, 오아게이트(OR5)의 출력도 하이상태가 되어, 릴레이(R12)가 온 되어 유압펌프(79)가 작동하고, 릴레이(R17)가 온되어 전자식밸브(76)가 열리고 쓰리웨이밸브(79)가 유압실린더(72)의 (A)방향으로 열려 유압유통(78)의 기름이 유압실린더(72)를 작동시켜 밀판(73)을 후퇴시킨다. 이때 밀판(73)이 계속 후퇴하여 위치센서스위치(80')를 누르면 릴레이(R14,R16)가 온되고 다른 릴레이(R17)가 오프 되어, 전자식밸브(76')가 열리고 쓰리웨이밸브(77)가 유압실린더(72)의 (B)방향으로 열려 유압실린더(72)를 작동시켜 밀판(73)을 전진시킨다. 상기 밀판(73)이 계속전진하여 위치센서스위치(80)을 누르는 순간에 타이머(T3)가 오프 상태이거나, 상기 콘테이너(14,14')가 꽉차서 밀판(73)이 평상시 압력보다 더 큰 압력 즉, 압력센서(74)에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어 상기 압력센서(74)의 출력이 로우 신호를 발할때 오아게이트(OR5)의 출력이 로우, 릴레이(R12)가 오프되면서 다른 릴레이(R16,R17)가 오프 되어 유압펌프(79)가 정지하고 전자식밸브(76,76')가 닫힌다. 그리고 압력센서(74)가 감지되어 로우 신호를 발하면, 이 신호는 인버터(IN7)에 의해 반전되어 제7도에 도시된 주제어함(15)의 알람(AL4)를 울려 운용자가 콘테이너(14,14')가 꽉찬것을 알고 이를 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책크밸브(75,75')는 기름이 역으로 흐르지 않도록 장착하게 된다.
또한 이때 타이머(T3)가 온 상태이고 콘테이너(14,14')가 꽉차지 않은 상태이면 릴레이(R12,R13)가 온, 릴레이(R16)가 오프, 릴레이(R17)가 온 되어 앞의 설명한 바와 같이 되풀이 되어 유압실린더(72)가 작동한다. 상기 타이머(T3)의 작동시간은 수직관로(4)에 설치된 레벨센서(12,12')위치까지의 쓰레기량과 압축기(13,13')의 한번 작동으로 밀려 나가는 량에 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72)의 작동 횟수를 정한다. 그리고, 상기유압실린더(72)가 한번 왕복 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주기라고 할때, 작동 횟수에 주기를 합한 시간보다 약간 짧게 설정함으로써 레벨센서(12,12')까지 쌓인 쓰레기를 콘테이너(14,14')속으로 전부 밀어 넣을때 까지 압축기(13,13')가 작동하며 수시로 작동하여 기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3,13')가 제어함(71)의 수동작동스위치(SW3)에 의해서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함(71)의 평활회로(I2)는 순간적으로 떨어져 나가는 쓰레기에 의해서 레벨센서(12,12')의 신호를 평활화시켜 타이머(T3)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쓰레기수거장치의 레벨센서(11,11')의 상부를 응용하여 쓰레기분류수거를 위한 한 실시예로써 하부 쓰레기적치장(91)에 분류벽(92)을 설치하여 간단히 쓰레기를 분류수거할 수 있게한 것인 바, 본 발명 쓰레기수거장치의 주제어함(15)의 기능을 축소시키고 쓰레기투입구(5)에 내장된 회로를 간단한 제어함으로 제작하여 기존의 수직관로 1개만 설치되어 있는 빌딩이나 아파트에 적용할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 쓰레기수거장치의 레벨센서(12,12')의 상부를 응용하여 공기와 함께 쓰레기를 강제로흡입하여 수평으로 이송시키고 공기와 쓰레기를 분리하여 쓰레기만을 압축기에 의해서 콘테이너속으로 밀어넣는 강제흡입분리장치(96,96')를 갖춘 형태에 적용한 실시예로써 디스챠지밸브(93,93')위에 분류된 쓰레기가 레벨센서(12,12')의 어느 한쪽이 찰때 그에 맞추어 다이버터(95)가 움직여 통로를 형성하고 그에 해당하는 강제흡입분리장치(96,96')중의 하나가 작동함으로써 한개만의 수평이송관로 (94)로써도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를 분류수거할 수 있다. 또 수직관로(4)가 많지 않거나 쓰레기량이 많지 않는 곳에는 다이버터(95)를 생략하고 강제흡입분리장치를 1개만 설치하여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수거하는 시각을 달리 설정하고 콘테이너를 자동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제어회로를 맞추면 설치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는 레벨센서(12,12')를 삭제하고 가급적 디스챠지밸브(93,93')상부의 적재되는 공간을 크게 만들고 일정한 주기로 흡입하도록 제어회로를 갖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를 갖춘 쓰레기 투입구와 1개의 수직관로, 그 수직관로 하부에 분류기를 설치하고 투입구의 스위치 조작으로 상기 분류기가 움직이고 분류된 쓰레기가 투입구에 넣어지면 분류기 방향으로 떨어져 적재됨으로써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를 간편히 분류시킬 수 있고, 수직관로 내부의 공기를 자연풍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무동력환풍기와 제어장치를 갖춘 동력팬을 설치하며 평상시 동력팬이 저속으로 회전함으로 수직관로에서 역기류가 발생치 않도록 하고 각부의 틈새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투입구가 열리거나 쓰레기처리실의 배출관의 전자식밸브가 열릴때는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투입구나 배출구에서의 공기흐름 방향이 수직관로 안쪽으로 향하게 함으로 수직관로 및 쓰레기 처리실의 악취나 오염된 공기가 수직관로 외부 즉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술적 요지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형태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수직관로(4)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즉 자연풍에 의하여 작동하는 무동력환풍기(1)와, 수직관로(4) 내부 공기누설 및 쓰레기처리장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즉 릴레이(R3)에 의해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력팬(2), 수직관로 내벽을 살균세척하기 위한 수직관로 살균세척장치(3), 쓰레기 낙하이송로인 수직관로(4), 재활용품표시램프(23)와 재활용품눌름스위치(23'), 폐기쓰레기표시램프(24), 폐기쓰레기눌름스위치(24') 및 부저(25)를 갖추고 이를 제어하는 회로가 내장되어 각 층에 설치되어 쓰레기를 버리기 위한 쓰레기 투입구(5), 수직관로(4) 및 하단쓰레기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 및 차단시키기 위한 방화장치(6), 쓰레기처리장 및 수직관로(4) 내부의 각종 균의 살균 및 악취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존발생기(9)와 이 오존 발생기(9)에서 발생한 오존을 쓰레기처리장으로 공급 또는 쓰레기처리장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릴레이(R4)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식밸브(7)를 갖운 배출관(8), 수직관로(4) 내부 공기누설 및 쓰레기처리장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즉 릴레이(R3)에 의해 저속 및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력팬(2)과 릴레이(R4)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식밸브(7)를 갖춘 배출관(8), 쓰레기 투입구(5)의 전면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하여 재활용품과 폐기쓰레기를 분류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분류기(10), 쓰레기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11,11',12,12'), 쓰레기 부피를 축소시켜 콘테이너(14,14')에 적재시키는 압축기(13,13') 및 본 쓰레기수거장치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함(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KR1019910014107A 1991-08-14 1991-08-14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3001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107A KR930011166B1 (ko) 1991-08-14 1991-08-14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107A KR930011166B1 (ko) 1991-08-14 1991-08-14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99A KR930004599A (ko) 1993-03-22
KR930011166B1 true KR930011166B1 (ko) 1993-11-24

Family

ID=1931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107A Expired - Fee Related KR930011166B1 (ko) 1991-08-14 1991-08-14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701A1 (ru) * 2010-02-19 2011-08-25 Cicelis Rolandas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и дезодорирования озоном систем сбора мусора
CN104727534A (zh) * 2015-02-03 2015-06-24 成都赋阳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层建筑垃圾输送管道的通风消毒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546A (ko) * 1997-04-21 1998-11-16 한스 스트롬 쓰레기 배출 방법 및 장치
CN107860070A (zh) * 2017-12-22 2018-03-30 上海科华光电技术研究所 含颗粒物的气体处理装置
CN108442651A (zh) * 2018-03-15 2018-08-24 无锡市环宇双惠环保设备有限公司 医院垃圾分类收集系统
CN111827620A (zh) * 2020-07-03 2020-10-27 广州普慧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暂存式垃圾分类投放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701A1 (ru) * 2010-02-19 2011-08-25 Cicelis Rolandas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и дезодорирования озоном систем сбора мусора
CN104727534A (zh) * 2015-02-03 2015-06-24 成都赋阳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层建筑垃圾输送管道的通风消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99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750B1 (ko) 악취물 수집 보관용 콘테이너
KR10209350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930011166B1 (ko) 빌딩용 쓰레기수거장치
US5389346A (en) Bio-hazardous waste compactor
CN206901091U (zh) 一种带清洗、消毒和风干功能的环保垃圾箱
KR100986882B1 (ko) 악취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쓰레기투입기
KR102573980B1 (ko) 탈취 및 살균의 기능을 갖는 유기물 처리시스템
KR100903420B1 (ko)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KR102460540B1 (ko) 봉투장착부를 포함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US4944220A (en) Trash compactor for sanitary handling of solid waste
KR101835481B1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CN213893848U (zh) 一种智能垃圾箱
KR20070117123A (ko) 싱크용 살균 탈취 건조 음식 쓰레기통
RU2739439C1 (ru) Система подземного хранения мусора
CN115306115B (zh) 一种高楼垃圾分类处理系统及其应用
CN209849528U (zh) 负压式餐厨垃圾收集处理系统
CN111701679B (zh) 用于口罩的安全自动集中处理设备
CN217375820U (zh) 防臭垃圾桶
JPH01317902A (ja) 廃棄物の収集装置
CN211870372U (zh) 室内垃圾自动收集与排放系统
KR100576142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CN214494292U (zh) 一种多功能垃圾箱
KR100529781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CN210497437U (zh) 一种垃圾填埋场的除臭装置
JPH01176485A (ja) 生ゴミの防臭処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1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112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