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11036B1 -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036B1
KR930011036B1 KR1019860001648A KR860001648A KR930011036B1 KR 930011036 B1 KR930011036 B1 KR 930011036B1 KR 1019860001648 A KR1019860001648 A KR 1019860001648A KR 860001648 A KR860001648 A KR 860001648A KR 930011036 B1 KR930011036 B1 KR 93001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
compound
acid
water
concent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249A (ko
Inventor
쓰또무 이리꾸라
세이고 스즈에
사또시 무라야마
게이지 히라이
다까요시 이시자끼
Original Assignee
교린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하기하라 히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4621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052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22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5181A/ja
Application filed by 교린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하기하라 히데 filed Critical 교린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0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화합물 및 시프로플록사신을 투여한 래트의 형청중의 약제농도이다.
제2도는 본 화합물을 경구 또는 정맥내 투여한 개의 혈청중의 약제 농도이다.
본 발명은 구조식(Ⅰ)의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및 그의 수화물과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구조식(Ⅰ)로 표기되는 화합물은 아미노피롤리딘한, 7-치환세상의 비대칭 탄소로 인한 광학적 이성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모든 광학 이성체 및 그들의 혼합물은 편리상 단일 구조식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광학 이성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중 하나에 제한되지 않는다.
퀴놀론카복실산 항세균제는 날리딕스산으로부터 시작했으며, 피로미드산, 나아가 피미드산으로 개발되었다. 그들은 호기성 그람-음성 세균의 요로(urinary tract)감염에 대한 의학적 치료시 유용한 약제이다.
최근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노르플록사신은 그람-음성 세균뿐만아니라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서도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나타낸다. 더우기 그의 효능은 이전의 퀴놀론카복실산보다 아주 강력하다. 노르플록사신은 당분야에서 하나의 신기원을 이루는 진보였으며 현재는 임상적으로 매우 자주 사용되고 있다.
노르플록사신과 유사한 치환체를 갖는, 오플록사신(ofloxac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및 CI-934와 같은 퀴놀론카복실산이 계속적으로 개발되었다. CI-934는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더욱 강력한 활성을 갖는다.
시프로플록사신은 노르플록사신보다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갖는다. 그러나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상세균 효능은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것보다 상당히 열세이다. CI-934은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항세균 활성이 약간더 강하나, 그람-음성 세균에 대해서는 낮다.
한편, 메티실린(methicillin) 및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루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에스. 에피더미디스(S.epidermidis),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와 같은 β-락탐 항생물질-내성 그람-양성 세균의 증가는 임상분야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게다가, 피부 또는 점막상의 절대 혐기성균이 기회주의적 감염의 병원균으로 행동한다는 것이 임상시험 기술의 바달 결과로 대중화된 혐기성균 검사에 따라 입증되었다. 기도감염, 복강내 감염, 만성 중이염, 부비강염 및 산과의 부인과 감염에서 혐기성균이 50-80%의 비율로 호기성균과 함께 또는 없이 발견되고,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및 기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와 혐기성균의 조합률이 약 95%라는 것이 발표되었다. 점점 증가하는 혐기성균의 β-락탐 항생물질 또는 클린다마이신(이는,본래 혐기성균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었다)에 내성률은 화학요법에의 선택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시켰다.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는 기도 감염, 수막염, 심내막염, 관절염 등의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마이코플라스마의 감염에는 통상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마크로라이드가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약간의 마이코플라스마가 이들 약제, 특히 마크로라이드에 대해 크게 내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화학요법에 장애가 될 것이다.
최근 클라미디아(Chlamydia), 우레아플라스마(Ureaplasma) 및 가드네랄라 바지날리스(Gardneralla vaginalis)가 성병의 병원균으로서 토론의 주제가 되었다. 이들 세균에 효과적인 새로운 약제가 또한 요구된다.
이런 배경으로, 강력한 활성 및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갖는 신규의 항미생물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오늘날 신규 퀴놀론 항세균제의 번창을 시작하게 한 노르플록사신을 발견했으며 또한 작용 양식을 연구해왔다. 그 결과 퀴놀론의 표적은 2중 나선 DNA 본쇄의 국소해부를 통제하는 DNA 기라제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퀴놀론카복실산의 항세균 활성이 세균막을 통한 투과성, 특히 포린(porin)이라 불리는 부위를 통한 투가성과 크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이런 사실에 근거하여 신규 퀴놀린의 개념은 하기 단락에 부합하도록 기초하였다.
1) DNA 기라제에 작용할 것.
2) 외막, 특히 포린을 통해 양호한 투과성을 가질것.
3) 그람-양성 세균, 특히 스타필로코커스에 대해 확실히 효과적일 것.
4) 그람-음성 세균에 대해 활성이 낮지 않을 것.
5) 다른 항미생물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라티아종(Serratia sp.)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강력하게 작용할 것.
6) 혐기성 세균에 대해 활성을 나타낼 것.
7) 양호한 흡수력을 갖고 쉽게 물질대사되지 않을 것.
8) 생산성이 탁월할 것.
9) 선택적 독성이 탁월하고 생체에 대해 해로운 부작용를 나타내지 않을 것.
이런 개념, 특히 단락 9)를 거의 만족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자는 구조식(Ⅰ)로 표기되는 신규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며, 그의 작용 양식을 포함한 여러가지 조사의 결과로 본 발명의 완성되었다.
화학 구조의 조사에 의한 화합물의 특성은 그들이 퀴놀론카복실산의 골격의 6-위치에 불소원자, 8-위치에 염소 원자 및 7-위치에 3-아미노피롤리디닐 그룹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미, 본 발명자는 퀴놀론카복실산의 골격의 6-위치에 불소원자가 도입된 노르플록사신을 발견하였다. 노르플록사신이 임상적으로 세균 감염에 아우 유용하다가 입증된 이래, 이 부류의 항세균 제제가 국내 및 국외에서 진지하게 연구되었으며, 신규의 퀴놀론 또는 플루오로퀴놀론이라고 불리는 신기원을 이루는 진보를 가져왔다.
그이후, 본 발명자의 지칠줄 모르는 연구의 계속으로, 8-위치상의 치환체가 또한 항세균 스펙트럼의 확장, 활성의 증가 및 약제로서의 경구 흡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알았다. 즉, 본 발명자에 의해 여러가지 치환체가 8-위치에 도입되었으며 이들 호합물은 양적 구조 활성 관계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자는 아주 예기치 않게 염소원자가 8-위치의 치환체로서 최적격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결국, 본 발명자는 이미 적용한 바와 같이 6-위치에 불소원자 및 8-위치에 염소원자를 갖는 일련의 화합물을 개발하였다. 특히,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7-(3-메틸-1-피페라지닐)-4-옥소-3-퀴놀린카복실산(대조 2의 화합물)이 그의 광범위하고도 강력한 항세균 활성으로 인하여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중 가장 우수한 혼합물의 하나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 화합물이 사람에게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서 다소 유해함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개에게 반복해서 경구 투여시 강한 구토 및 만성적 경련이 관찰되어 중추 신경계에 부작용을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이 시험에서 현저한 GPT 의 상승 및 TTT의 감소는 이 화합물의 간독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술한 결과들은 사람에게의 사용이 불가함을 가리킨다.
이들 연구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좀더 강력한 항세균 활성 및 높은 안정성을 갖는 약제를 계속 연구하여 마침내 본 발명을 성취하였다.
또한, 본 화합물이 종래의 모든 퀴놀론카복실산이 낮은 활성 또는 불활성적인 혐기성 세균, 마이코플라마, 우레아프라스마, 클라미디아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해 아주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리고 세균의 낮은 돌연변이 빈도가 이 화합물의 장점이다. 동물에서 본 화합물은 양호한 경구 흡수, 우수한 조직 분재, 만족스러운 생물학적 안정성 및 허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 그룹이고,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아미노그룹의 보호그룹이거나, 함께 결합하여 아미노그룹의 보호그룹이 되며, X는 할로겐원자이다.
즉, 일반식(Ⅱ)로 표기되는 화합물을 일반식(Ⅲ)로 표기되는 아민과 반응시켜 구조식(Ⅰ)로 표기되는 본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그러나 일반식(Ⅲ)에서 R1및 R2의 둘다 또는 그중 하나가 아미노 그룹의 보호그룹, 예를 들면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저급아실 그룹(예:아세틸 그룹,프로피오닐 그룹 등), 저급알콕시카보닐 그룹(예:메톡시카보닐 그룹,에톡시카보닐 그룹,t-부톡시카보닐 그룹 등)인 화합물의 경우, 또는 R1및 R2가 함께 프탈로일 그룹인 화합물의 경우 구조식(Ⅰ')로 표기되는 화합물의 생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보호그룹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또한 일반식(Ⅱ)에서 R이 저급알킬 그룹인 화합물의 경우, 일반식(Ⅲ)로 표기되는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수분해하고, 에스테르를 카복실산으로 전환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일반식(Ⅱ)로 표기되는 화합물과 일반식(Ⅲ)로 표기되는 화합물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헥사메틸포스포르 트리아미드, 피리딘, 키롤린 등과 같은 용매에서 또는 용매의 부재하에 혼합물을 가열하여 수행한다. 반응온도는 실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60℃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일반식(Ⅱ)로 표기되는 화합물을 상술한 용매의 2 내지 10배 용적에서 실온 내지 160℃로 1 내지 수시간 동안 일반식(Ⅲ)로 표기되는 화합물의 1 내지 5배 몰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간에 트리에틸아민, 디아자비사이클로 염기 및 탄산칼륨과 같은 탈산제의 사용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식(Ⅰ)에서 R이 저급알킬 그룹인 화합물(Ⅰ')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수분해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가수분해는 물, 알코올과 물의 혼합액, 아세트산과 물의 혼합액등에서 실온 내지 용매의 비점에서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또는 황산과 같은 산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Ⅱ)의 출발 화합물은 또한 신규하며 하기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게다가,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산 알칼리의 처리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암모늄염 또는 카복실산 금속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산은,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옥살산 및 락트산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산일 수 있다. 카복실산 금속염은,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륨, 알루미늄, 세륨, 크로뮴, 코발트, 구리, 철, 아연, 백금 및 은염일 수 있다.
구조식(Ⅰ)의 화합물, 그의 수화물 및 염은 약제로서 경구, 비경구, 장내 또는 국소투여에 적합한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의 형태,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산제, 연고제, 좌제, 주사제 또는 점안제로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그에 제한됨 없이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아미드]
3-클로로-4-플루오로아닐린(100g)에 아세트산 무수물(200ml)을 서서히 가한다. 30분간 방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1ℓ)에 가한다. 생성딘 침전물을 여과분리하고, 수성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119.4g을 수득한다.
융점 : 118 내지 119℃
[실시예 2]
N-(3-클로로-4-플루오로-6-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드
농황산(165ml)중의 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아미드(55g)의 용액에 1시간 동안 빙-염욕내에서 교반시키면서 5 내지 10℃에서 농질산(d 1.42, 154kml)을 적가한다. 상기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빙수에 가한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분리시켜 물로 충분히 세척하고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황색 침상으로 표제 하합물 48,9g을 수득한다.
융점 : 114 내지 115℃
C8H6ClFN2O3의 분석(%)
이론치 : C; 41.31, H; 2.60, N; 12.04
측청치 : C; 41.48, H; 2.52, N; 12.13
[실시예 3]
[3-클로로-4-플로오로-6-니트로아닐린]
농염산(50ml) 및 에탄올(200ml)중의 N-(3-클로로-4-플루오로-6-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드(30g)의 용액을 2.5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반응혼합물에 빙수(300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석출시켜 여과분리시킨다.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황색침상으로서 표제화합물 24.9g을 수득한다.
융점 : 149,5 내지 150℃
C8H4ClFN2O2의 분석(%)
이론치 : C; 37.82, H; 2.11, N; 14.70
측청치 : C; 37.85, H; 2.03, N; 14.80
[실시예 4]
[2,3-디클로로-4-플루오로-6-니트로아닐린]
아세트산(150ml)중의 3-클로로-4-플루오로-6-니트로아닐린(14.3g)의 용액에 18 내지 20℃에서 70분동안 염소가스를 불어 넣는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300ml)에 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황색 침상으로서 표제화합물 14.33g을 수득한다.
융점 : 161℃
C6H3Cl2FN2O2의 분석(%)
이론치 : C; 32.03, H; 1.34, N; 12.45
측청치 : C; 32.17, H; 1.26, N; 12.65
[실시예 5]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니트로벤젠]
무수아세토니트릴(100ml)중의 무수 염화 제2구리(13.58g)과 t-부틸니트라이트(12.4g)의 혼합물에 60 내지 62℃에서 30분동안 2, 3-디클로로-4-플루오로-6-니트로아닐린(18.05g)을 나누어 가한다. 60 내지 65℃에서 30분동안 교반시킨후, 반응혼합물을 급냉시킨 10% 묽은 염산(300ml)에 가하고 벤젠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묽은 염산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생성된 잔사를 증류시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7.26g을 수득한다.
비점 : 137 내지 142℃/27㎜Hg.
NMR(CDCl3
Figure kpo00005
), 7.65(d, J=7.5㎐)
[실시예 6]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니트로벤젠]
무수디메틸설폭사이드(230ml)중의 플루오르화칼륨(64.9g)의 현탁액에 140℃에서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니트로벤젠(54.4g)을 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0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혼합물을 빙수(700ml)에 가하고, 석유에테르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 탄산칼륨 용액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한후,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생성된 잔사를 증류시켜 표제화합물 9.7g을 수득한다.
비점 : 95 내지 108℃/30㎜Hg.
NMR(CDCl3중σ), 7.94(ddd, J=6.7, 7.6, 9.0㎐)
[실시예 7]
[3-클로로-2-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4, 5-디플루오로니트로벤젠]
무수 톨루엔에(20ml)중의 사이클로프로필아민(2.8g) 및 트리에틸아민을(5.1g)의 용액을 3 내지 5℃에서 40분 동안 교반시키면서 무수 톨루엔(30ml)중의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니트로벤젠(9.7g)의 용액에 적가한다.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후, 반응혼합물을 150ml 빙수(150ml)에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생성된 잔사를 n-헥산-디클로로메탄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 처리로 정제하여 적색오일로서 표제화합물 4.4g을 수득한다.
NMR(CDCl3중 σ), 0.5-1.0(4H, ,m,
Figure kpo00006
), 3.0-3.2(1H, m,
Figure kpo00007
), 7.19(1H, s, NH), 7.85(1H, dd, J=8.2, 9.9㎐, 5-H).
[실시예 8]
[N-(2-클로로-3, 4-디플루오로-6-니트로페닐)-N-사이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
3-클로로-2-시클로프로필아미노-4, 5-디플루오로니트로벤젠(4.4g)에 무수 아세트산(15ml)을 한번에 가하고,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시킨후 빙수(100ml)에 가한다. 과량의 무수 아세트산을 탄산칼륨 분말로 분해시킨후, 혼합물을 5℃에서 밤새 방치한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시켜 분리하고 에틸아세테이트-n-헥산으로 부터 재결정화여시켜 표제화합물 2.7g을 수득한다.
융점 : 98 내지 99.5℃
C11H9ClF2N2O3의 분석(%)
이론치 : C; 45.46, H; 3.12, N; 9.64
측청치 : C; 45.56, H; 3.00, N; 9.69
[실시예 9]
[N-(2-클로로-3, 4-디플루오로페닐)-N-사이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
에탄올(50ml)중의 N-(2-클로로-3, 4-디플루오로-6-니트로페닐)-N-사이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2.7g)과 10% 팔라듐 목탄(0.5g)의 혼합물을 빙욕중에서 대기압하 2 내지 3℃에서 40분 동안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시키고, 여액을 농축시킨다. 생성된 결정잔사를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진공하에 건조시킨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51ml)중의 잔사의 용액을 50 내지 52℃에서 13분 동안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중의 t-부틸니트라이트(1.72g)의 용액에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5분 동안 교반시키고, 빙수에 가한후, 에테르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 묽은 염산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생성된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사용)로 정제한 후, 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화합물 0.44g을 수득한다.
융점 : 60.5 내지 61.5℃
C11H10ClF2NO의 분석(%)
이론치 : C; 53.78, H; 4.10, N; 5.70
측청치 : C; 53.87, H; 4.02, N; 5.78
[실시예 10]
[N-사이클로프로필-2-클로로-3, 4-디플루오로아닐린]
20% 묽은 염산(7ml)중의 N-(2-클로로-3,4-디플루오로페닐)-N-사이클로프로필아세트아미드(0.44g)의 묽은 용액을 80 내지 100℃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가열한후,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가하고, 수성 NaOH로 알칼리화시킨후, 에테르로 추출한다. 에테르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로 석유에테르 사용)로 정제하여 오렌지색 오일로서 표제화합물 100㎎을 수득한다.
[실시예 11]
[에틸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레이트]
N-사이클로프로필-2-클로로-3, 4-디플루오로아닐린(100㎎)과 디에틸 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100㎎)의 혼합물을 100 내지 135℃에서 생성되는 에탄올을 질소 가스 기류에 의해 제거하면서 10.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냉각시킨다. 폴리인산(1g)을 이것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25 내지 135℃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냉각시킨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수성 탄산칼륨 및 물로 연속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용출제로 에테르로 사용하면서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무색 침상으로서 표제화합물(11㎎)을 수득한다.
융점 : 160 내지 162.5℃
NMR(CDCl3중 σ), 1.0-1.5(4H,m,
Figure kpo00008
), 1.40(3H,t,J=7.0Hz,-CH3), 4.1-4.4(1H,m,
Figure kpo00009
), 4.38(2H,q,J=7.0Hz,-CH2-CH3), 8.22(1H,dd,J=8.8, 9.7Hz,5-H), 8.66(1H,s,2-H)
[실시예 12]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아닐린]
물(60ml)중의 철 가루(54.6g)의 현탁액에 50 내지 60℃에서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농염산(6.7ml)을 서서히 가한다. 에탄올(150ml)을 혼합한후,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니트로벤젠(75.1g)을 60 내지 70℃에서 1시간 동안 나누어 현탁액에 가한다.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후,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불용성 물질을 뜨거운 에탄올(100ml) 및 벤젠(300ml)으로 연속해서 세척한다. 여액과 세척액을 합하여 빙수와 혼합한다. 생성된 유기층을 수거하고, 수층을 벤젠(200ml)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며,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생성된 잔사를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담갈색 침상으로서 표제화합물(58.6g)을 수득한다.
융점 : 118 내지 120℃
[실시예 13]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농염산(300ml)중의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아닐린(43.8g)의 현탁액에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물(50ml)중의 아질산나트륨(21.1g)을 -2 내지 0℃에서 20분 동안 가한다. 30분 동안 교반시킨후, 혼합물을 나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67.2g)을 함유하는 빙수(300ml)에 붓고, 격렬하게 교반시키며 이어서 빙욕에 30분 동안 방치한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하여 급냉시킨 물 및 에테르로 연속적으로 세척한다. 이 담황색 침전물을 물(300ml)중의 시안화 제1구리(36.5g), 시안화칼륨(53.0g) 및 탄산나트륨(11.1g)의 용액에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30분 동안 나누어 가한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킨후, 벤젠(300ml)을 현탁액에 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시킨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로 수거하여, 벤젠(150ml)으로 세척한다. 여액 및 세척액을 합하여, 20% 수성, 시안화칼륨 및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생성된 잔사를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담갈색 침상으로 표제화합물(27g)을 수득한다.
융점 : 97 내지 99℃
[실시예 14]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니트릴]
디메틸 설폭사이드(100ml)중의 플루오르화 칼륨(31.7g)의 용액에 130℃에서 교반시키면서 2, 3, 4-트리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15g)을 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14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냉각시킨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300ml)중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담갈색 오일로서 표제화합물(11.9g)을 수득한다.
[실시예 15]
[3-클로로-2,4,5-트리플루오로벤즈아미드]
30% 브롬화수소-아세트산(150ml)중의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니트릴(11.9g)의 용액을 80분 동안 환류시키고, 빙수(350ml)중에 붓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에테르층을 1N-수산화칼륨 용액 및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 잔사를 n-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3.97g)을 수득한다.
융점 : 110-113.5℃
[실시예 16]
[3-클로로-2,4,5-트리플루오로벤조산]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즈아미드(3.97g)과 18N-황산(20ml)의 혼합물을 125 내지 135℃에서 9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빙수(100ml)중에 붓는다. 밤새 방치한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한다. 모액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에테르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침전물에 혼합한다. 디클로로메탄(150ml)중의 상기 침전물 및 잔사의 용액을 셀라이트 패드(celite pad)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켜 표제화합물(2.38g)을 수득한다.
융점 : 115 내지 116.5℃
C7H2ClF3O2의 분석(%)
이론치 : C; 39.93, H; 0.96
측청치 : C; 40.18, H; 0.80
[실시예 17]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
티오닐 클로라이드(10ml)중의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산(2.38g)의 용액을 2.5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질소대기에서 증류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1.99g)을 수득한다.
비점 : 88℃/19㎜Hg
[실시예 18]
[디에틸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일말로네이트]
마그네슘 부스러기(0.22g) 및 탄소 테트라클로라이드(0.1ml)를 무수 에탄올(1.5ml)에 가한다. 교반중인 현탁액에 톨루엔(6ml)중의 디에틸 말로네이트(1.4g) 및 무수 에탄올(2ml) 용액을 47 내지 60℃에서 28분동안 적가한다. 혼합물을 80분 동안 교반시키고, 아세톤-건조 빙욕중에서 냉각시킨다. 무수 톨루엔(2ml)중의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1.99g)의 용액을 -12 내지 -8℃에서 13분 동안 생성 용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10 내지 -5℃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방치한후, 농황산(0.4ml)을 함유하는 빙수(6ml)와 혼합한다. 생성된 유기층을 수거하고, 수층을 톨루엔으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표제화합물(3.05g)을 수득한다.
[실시예 19]
[에틸 3-클로로-2,4,5-트리플루오로벤조일아세테이트]
물(4ml)중의 디에틸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일말로네이트 (3.05g) 에먼젼에 p-톨루엔설폰산(4㎎)을 가하고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냉각시킨후,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며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다. 잔사를 에테르-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서 표제화합물(1.22g)을 수득한다.
융점 : 80 내지 83℃
C11H8ClF3O3의 분석(%)
이론치 : C; 47.08, H; 2.87
실측치 : C; 46.96, H; 2.77
[실시예 20]
[에틸 2-(3-클로로-2,4,5-트리플루오로벤조일)-3-에톡시아크릴레이트]
에틸 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일아세테이트(1.22g), 에틸 오르토포르메이트(0.97g) 및 아세트산 무수물(1.12g)의 혼합물을 118 내지 143℃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1.4g)을 수득한다.
[실시예 21]
[에틸 2-(3-클로로-2, 4, 5-트리플루오로벤조일)-3-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크릴레이트]
무수 에탄올(3ml)중의 에틸 2-(3-클로로-2,4,5-트리플루오로벤조일)-3-에톡시아크릴레이트(1.4g)의 용액에 무수 에탄올(2ml)중의 사이클로프로필아민 (0.26g) 용액을 5 내지 10℃에서 15분 동안 가한다. 혼합물을 5℃에서 1.5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생성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한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침전물과 혼합한후, 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화합물(1.09g)을 수득한다.
융점 : 84 내지 85.5℃
C15H13ClF3NO3의 분석(%)
이론치 : C ; 51.81, H ; 3.77, N ; 4.03
측청치 : C ; 51.76, H ; 3.74, N ; 4.03
[실시예 22]
[에틸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레이트]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ml)중의 에틸 2-(3-클로로-2,4,5-트리플루오로벤조일)-3-사이클로프로필 아미노아크릴레이트(1.09g)의 용액에 플루오르화 나트륨(0.21g)을 가한다. 혼합물을 130 내지 156℃에서 3.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빙수(50ml)중에 부으며,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하여, 물로 세척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시켜서 표제화합물(0.96g)을 수득한다.
융점 : 158 내지 159℃
C15H12ClF2NO3의 분석(%)
이론치 : C; 54.98, H; 3.69, N; 4.27
측청치 : C; 54.96, H; 3.57, N; 4.25
[실시예 23]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에틸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레이트(0.24g), 아세트산(2ml), 물(1.5ml) 및 농황산(0.25ml)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이어서 빙수에 붓는다. 생성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하고, 물 및 에테르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여 표제화합물(0.17g)을 수득한다.
융점 : 194 내지 195℃
C13H8ClF2NO3의 분석(%)
이론치 : C; 52.11, H; 2.69, N; 4.67
측청치 : C; 52.00, H; 2.53, N; 4.64
[실시예 24]
[7-[3-(t-부톡시카보닐아미노)-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론카복실산]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500㎎,1.67mmol), 무수아세토니트릴(5ml),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DBU;250㎎,1.67mmol) 및 3-(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피롤리딘(430㎎)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생성한 잔사에 에탄올-에테르를 가하고, 2일 동안 냉장고에 방치한다. 생성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에탄올-에테르(1:1) 및 에테르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여 담황색 분말로서 표제 화합물(430㎎,55.3%)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0
NMR(CDCL중σ) : 0.80-1.30(4H, m), 1.45(9H, s), 1.60-2.50(3H, m), 3.10-3.96(4H, m), 4.00-4.60(1H, m), 7.94(1H, d, J=13.18㎐), 8.86(1H, s)
[실시예 25]
[7-(3-아미노-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7-[3-(t-부톡시가보닐아미노)-3-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430㎎)을 메탄올 (5ml)과 농염산(5ml)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에 농수성 암모니아를 가하여 pH 7로 조정하고, 생성한 침전물을 여과하며, 물 및 메탄올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농 수성 암모니아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유백색 분말로서 표제 화합물(110㎎)을 수득한다.
융점 : 253 내지 258℃(분해).
C17H17C1 F N3O3의 분석(%)
이론치 : C; 55.82, H; 4.68, N; 11.49
측청치 : C; 56.09, H; 4.82, N; 11.46
[실시예 26]
[7-(3-아세트아미도-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1g). 무수 아세토니트릴(10ml), 3-아세트아미도피롤리딘(0.64g) 및 DBU(0.51g)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생성한 잔사를 클로로포름(20ml)중에 용해시키며, 10% 수성 시트르산 용액(10ml)으로 세척한다. 클로로포름층을 또한 수성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생성한 잔사를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담황색 프리즘으로서 표제 화합물(1.29g)을 수득한다.
융점 : 201 내지 212℃
C19H19Cl F N3O4ㆍ1/4 H2O의 분석(%)
이론치 : C; 55.35, H; 4.77, N; 10.19
측청치 : C; 55.39, H; 4.68, N; 10.12
[실시예 27]
[7-(3-아미노-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7-(아세트아미도-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0.8g)과 수산화나트륨(0.8g) 함유수(20ml)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한다. 침전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며, 메탄올-클로로포름-농 수성 암모니아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백색 플레이트로서 표제 화합물(0.41g)을 수득한다.
융점 : 238 내지 240℃(분해)
C17H17Cl F N3O3ㆍ1/2 H2O의 분석(%)
이론치 : C; 54.48, H; 4.84, N; 11.21
측청치 : C; 54.44, H; 4.78, N; 11.20
[실시예 28]
[7-(3-아미노-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0.6g), 무수 아세토니트릴(6ml), 3-아미노피롤리딘(0.35g) 및 DBU(0.31g)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이어서 3-아미노피롤리딘(0.2g)을 가하고 2시간 동안 더 환류시킨다. 냉각시킨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하고, 수산화나트륨(0.12g)을 함유수(9ml)에 용해시킨후,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킨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거하고, 물 및 아세토니트릴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여 무색 분말로서 표제 화합물(0.52g)을 수득한다.
융점 : 237 내지 238℃(분해)
C17H17Cl F N3O3ㆍH2O의 분석(%)
이론치 : C; 53.20, H; 4.99, N; 10.95
측청치 : C; 52.97, H; 4.62, N; 10.83
[실시예 29]
[7-(3-아미노-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염산염]
에탄올(2ml)중의 7-(3-아미노-1-피롤리디닐)-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100㎎)의 현탁액에 염화수소의 에탄올 용액(7.0mmol HCl/nml) 0.2ml를 가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담황색 프리즘으로서 표제 화합물(79㎎)을 수득한다.
융점 : 263 내지 265℃(분해)
C17H17Cl F N3O3ㆍHCl의 분석(%)
이론치 : C; 50.76, H; 4.51, N; 10.45
측청치 : C; 50.50, H; 4.44, N; 10.38
[실험 1]. 항세균 스펙트럼
최소 억제 농도(MICs)는 일본국 화학 요법 위원회(Japan Society of Chemotherapy)가 권장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가 표 1 및 2에 나와 있다. 본 화합물은 표준 또는 임상적으로 분리된 균주인 혐기성 세균 및 호기성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대조 화합물보다 아주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보인다. 특히 본 화합물은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에 대해 대조 화합물로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표 1-1]
시험관내 항세균 활성(표준 균주)
Figure kpo00011
[표 1-2]
시험관내 항세균 활성(표준 균주)
Figure kpo00012
대조 1 : 1-사이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3-퀴놀린카복실산
대조 2 : 8-클로로-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7-(3-메틸-1-피페라지닐)-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CFLX : 시프로플록사신
Cl-934 : 1-에틸-7-(3-에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6,8-디플루오로 -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표 2]
시험관내 항세균 활성(임상적 분리물)
Figure kpo00013
[실험 2]. 자연발생적 내성 돌연변이체의 빈도
각 시험 균주를 뮐-힌톤 육즙(Mueller-Hinton broth ; Difco)중에서 37℃로 밤새 배양하고, 이어서 각 배양즙 0.1ml를 뮐-힌톤 육즙10ml에 접종시킨다. 37℃에서 6시간 동안 진탕 배양시킨후, 세균 세포를 3,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수거한다. 펠렛을 신선한 뮐러-힌톤 육즙 5ml에 현탁시킨다. 이 세균 현탁액의 일부(0.1ml)를 각 화합물의 MIC의 2, 4 또는 8배로 함유하는 뮐러-힌톤 한천상에 접종시키고, 평판을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표3은 본 화합물 또는 대조 화합물에 대한 내성 돌연변이체의 빈도를 나타낸다. 돌연변이 빈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 약제-함유 한천 평판상에 나타난 콜로니 수/접종생존 세포의 총주, 화합물의 자연발생적인 돌연변이 빈도는 대조화합물의 것보다 월등히 낮았다.
[표 3]
자연발생적 내성 돌연변이체의 빈도
Figure kpo00014
[실험 3]. 마우스의 전신 감염에 대한 생체내 항세균 활성
세균 세포의 현탁액을 복강내에 주사하여 감염시킨다. 주사한지 한시간 후 화합물을 경우 투여한다. 5마리의 숫컷 ICR 마우스를 각 용량에 사용한다. 감염 사망으로부터 동물의 50%를 보호하는 50% 효과 용량(ED50)을 용량과 생존비간의 관계로 측정한다. 본 화합물의 효능은 대조 화합물의 것과 비교해서 표 4에 나타나 있다. 본 화합물이 시험한 모든 세균 감염에 대해서 대조 화합물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특히, 본 화합물은 대조 화합물이 불활성적인 에스.뉴모니에(S. peneumoniae)감염에 대해 탁월한 효능을 보였다.
[표 4]
마우스의 전신 감염에 대한 생체내 항세균 활성
Figure kpo00015
[실험 4]. 래트의 육아종낭(granuloma pouches)에서 혐기성 세균으로의 실험적 국소 감염에 대한 치료 효과
에테르 마취하에, 숫컷 위스타르 래트(7주 경과)를 주사기로 무균 공기(막 여과로 무균화, 세공 크기 0.45㎛) 20ml를 등에 피하 주사한다. 계속해서 형성된 공기주머니속에 멸균 크로톤(croton)오일 용액(올리브 오일중 1%) 1ml를 주사하여 염증을 유도한다. 2일 후 공기를 제거한다. 8일째 되는날, 박테로이데스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 2배양액(106UFU/ml) 0.5ml를 관강(bore) 육아종낭속에 주사한다. 각 화합물을 감염 2시간 후 경구 또는 피하 투여한다. 3마리를 매 실험의 각 약제 그룹에 사용하였고, 화합물의 투여 0, 6 및 24시간 후 낭으로부터 스며 나온 샘플을 취하며 생족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실험도중 음식 및 물의 섭취는 자유롭게 하였다. 결과가 표 5에 나와있다. 절대 혐기성 세균에 대한 현존하는 퀴놀론카복실산 화합물의 활성이 매우 미약하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본 화합물은 혐기성 세균에 대해서 다른 퀴놀론카복실산 보다 시험관내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도 매우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보인다. 이 특성은 또한 본 화합물의 우수한 특징중의 하나이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실험은 본 화합물이 혐기성균 감염의 임상적 치료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폭시틴(cefoxitin; CFX), 클린다마이 신(clindamycin;CLDM) 및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MND)보다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표 5]
래트의 육아종낭에서 실험적 국소 감염에 대한 치료 효과
Figure kpo00016
중간값± S.D.(n=3).
*, ** : 각각의 T-시험에 의하면 대조용과 상이함(각각 P<0.05, P<0.01.)
[실험 5]. 마우스에서의 급성 독성
본 화합물의 급성 독성을 숫컷 마우스에서 조사하였고, 각 약제는 정맥내 투여하였다. 본 화합물의 LD50치는 시프로플록사신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표 6]
마우스에서의 급성 독성
Figure kpo00017
[실험 6]. 개에서의 아급성 독성
본 화합물의 아급성 독성을 비이글(beagle)개(10주 경과,n=3)에서 수행하였다. 동물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8일 동안은 20㎎/㎏/일 및 그후 7일 동안은 50㎎/㎏일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체중 및 종합 조건에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며, 혈액학적 시험 및 혈청의 생화학적 분석에서 비정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7]. 동물의 흡수, 배설 및 대사
1) 래트
본 화합물 및 시프로플록사신을 각각 10㎎/㎏의 용량으로 래트에게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지정시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청중의 약제 농도는 생물학적 검사로 측정하였다. 투여후 24시간 내의 요 및 담즙 배설물도 생물학적 검사로 측정하였다. 결과가 제1도 및 표 7에 나와 있다. 본 화합물의 혈청 수준은 시프로플록사신의 것보다 3배나 높았다. 마찬가지로 본 화합물의 요 및 담즙 회수량도 각각 시프로플록사신 보다 2.4- 및 7배 높았다.
[표 7]
요 및 담즙 배설물
Figure kpo00018
2) 개
본 화합물 2㎎ 용량을 비이글 개에게 경구 또는 정맥내 투여하고, 혈청 수준을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다. 결과가 제2도에 나와있다. 경구 경로에 의한 본 화합물의 혈청 수준은 정맥내 경로에 의한 것과 거의 동일하여, 본 화합물이 우수한 경구 흡수력을 예상케 한다. 요대사의 연구는 본 화합물이 거의 대사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실험 8]. 돌연변이 유발성 검정
항세균 제제용으로서 세균을 사용하는 돌연변이 유발성의 평가는 시험 세균에 대한 그들의 활성때문에 다소 곤란하다. 그래서 고농도에서의 돌연변이 유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시험 제재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고 모(parent) 시험균주의 특성을 보유하는 균주를 선택했다. 이 내성적 시험 균주를 이용해서 10배 높은 농도에서 모균주와 비교해 평가할 수 있었다.
닐리딕스산-내성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임(Salmonella typhimurium) TA98 균주(nal)를 사용하여 역 돌연변이 검사를 본 화합물 및 시프로플록사신에서 측정 가능한 농도 내에서 약제 대사적 활성화와 함께 및 없이 수행한 경우, 시플로플록사신은 용매 대조용과 비교해서 2-배의 His+복귀 돌연변이 콜로니를 유발하였으나, 본 화합물은 대조용과 비교해서 His+복귀 돌연변이 콜로니를 전혀 증가시키지 않았다(표 8). 이 결과는 시프로플록사신이 약한 변이 유발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 8]
에스. 타이피머리엄에서의 돌연변이유발 활성
Figure kpo00019
* : 배경(Background)성장이 억제됨
1) : 4-니트로퀴놀린 1-옥사이드
2) : 2-아미노안트라센

Claims (1)

  1.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축합시키고, R1및 R2둘다 또는 둘중 하나가 아미노 그룹의 보호그룹인 경우 축합 생성물에서 보호 그룹을 제거시켜 아미노 유도체로 전환시키고, R이 저급 알킬 그룹인 경우 축합 생성물을 카복실산 유도체로 비누화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구조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저급 알킬 그룹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아미노 그룹의 보호 그룹이거나, 함께 결합하여 아미노 그룹의 보호 그룹이 된다.
KR1019860001648A 1985-03-08 1986-03-08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930011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46216A JPS61205258A (ja) 1985-03-08 1985-03-08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16 1985-03-08
JP61022296A JPS61225181A (ja) 1986-02-04 1986-02-04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2296 1986-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249A KR860007249A (ko) 1986-10-10
KR930011036B1 true KR930011036B1 (ko) 1993-11-20

Family

ID=2635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648A Expired - Lifetime KR930011036B1 (ko) 1985-03-08 1986-03-08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195316A1 (ko)
KR (1) KR930011036B1 (ko)
CN (1) CN1012613B (ko)
AU (1) AU5427286A (ko)
DK (1) DK161383C (ko)
ES (1) ES8704932A1 (ko)
FI (1) FI85698C (ko)
HU (1) HUT40639A (ko)
MX (1) MX162668A (ko)
NO (1) NO165071C (ko)
PT (1) PT821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054A (en) * 1985-01-23 1988-09-13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US4791225A (en) * 1986-01-20 1988-12-13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Halogenobenzo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
JPS63179856A (ja) * 1987-01-21 1988-07-23 Kyorin Pharmaceut Co Ltd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中間体
JPH01175935A (ja) * 1987-12-28 1989-07-12 Kyorin Pharmaceut Co Ltd 凍結乾燥注射剤
MY105136A (en) 1988-04-27 1994-08-30 Daiichi Seiyaku Co Optically active pyrid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5233091A (en) * 1988-06-21 1993-08-03 Pfizer Inc. 6-fluoro-1,4-dihydroquinol-4-o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US4885386A (en) * 1988-10-28 1989-12-05 Warner-Lambert Company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3-chloro-2,4,5-trifluorobenzoic acid
DE3910920A1 (de) * 1989-04-05 1990-10-11 Bayer Ag Enantiomerenreine 7-(3-amino-1-pyrrolidin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aeuren
DE3918544A1 (de) * 1989-06-07 1990-12-13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7-(3-amino- sowie 3-amino-methyl-1-pyrrolidinyl)-3-chinolon- carbonsaeuren sowie -naphthyridoncarbonsaeuren
ES2018977A6 (es) * 1989-11-29 1991-05-16 Marga Investigacion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n-ciclopropil-4-fluoroanilinas.
MY138335A (en) 1997-09-15 2009-05-29 Procter & Gamble Antimicrobial quinolones, their compositions and uses
AU2007230630B2 (en) 2006-03-28 2012-12-20 Taigen Biotechnology Co., Ltd Malate salts, and polymorphs of (3S,5S)-7-[3-amino-5-methyl-piperidinyl]-1-cyclopropyl-1,4-dihydro-8-methoxy-4-oxo-3-quinolinecarboxylic acid
EP1999125A2 (en) 2006-03-28 2008-12-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 coupling process for preparing quinolone intermediates
US7902227B2 (en) * 2007-07-27 2011-03-08 Janssen Pharmaceutica Nv. C-7 isoxazolinyl quinolone / naphthyridine derivatives useful as antibacterial agents
GB201708606D0 (en) 2017-05-30 2017-07-12 King S College London Antibiotic resistance breakers
CN109293503B (zh) * 2018-11-06 2022-02-01 浙江工业大学上虞研究院有限公司 一种2,4,5-三氟-3-氯苯甲酸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964A (en) * 1979-08-22 1981-03-28 Kyorin Pharmaceut Co Ltd Novel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and its preparation
IE55898B1 (en) * 1982-09-09 1991-02-14 Warner Lambert Co Antibacterial agents
US4665079A (en) * 1984-02-17 1987-05-12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JPS60123837A (ja) * 1983-12-09 1985-07-02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5698B (fi) 1992-02-14
NO165071B (no) 1990-09-10
HUT40639A (en) 1987-01-28
MX162668A (es) 1991-06-14
NO165071C (no) 1990-12-19
FI860950A0 (fi) 1986-03-06
DK103986D0 (da) 1986-03-07
DK161383B (da) 1991-07-01
AU5427286A (en) 1986-09-11
CN1012613B (zh) 1991-05-15
KR860007249A (ko) 1986-10-10
CN86102363A (zh) 1987-01-21
PT82153A (en) 1986-04-01
DK161383C (da) 1991-12-09
FI860950L (fi) 1986-09-09
PT82153B (pt) 1988-02-17
ES8704932A1 (es) 1987-04-16
NO860870L (no) 1986-09-09
DK103986A (da) 1986-09-09
FI85698C (fi) 1992-05-25
EP0195316A1 (en) 1986-09-24
ES552802A0 (es) 198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7955B1 (en) Quinol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
KR930011036B1 (ko)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230295B1 (en) 8-alkoxyquinolonecarboxylic acid and salts thereof excellent in the selective toxicity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KR100423778B1 (ko) 항미생물성 퀴놀론, 그의 조성물 및 용도
KR930005002B1 (ko) 피리돈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40007305B1 (ko) 8-위치에서 치환된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920006236B1 (ko)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6279411A (ja) 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
US4559342A (en) Quinolone acids and antibacterial ag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JPH0145468B2 (ko)
JPS61205258A (ja)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178388A1 (en)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H0564955B2 (ko)
EP0216245B1 (en) Quinol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950005201B1 (ko) 8-알콕시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RU2120940C1 (ru) Производные хинолин- или нафтиридин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JPH0637489B2 (ja)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05200B1 (ko)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JP2640441B2 (ja) 選択毒性に優れた8−メトキシキノロンカルボン酸の製造中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3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03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1028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40120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PO1201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vent date: 19950109

Patent event code: PO12011R01D

Comment text: Withdrawal of Opposi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3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5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1993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O060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9

Patent event code: PO06011S01D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520100199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61031

Appeal identifier: 1995201001991

Request date: 199508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1

PO070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O07011S01D

Patent event date: 1996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1224

End annual number: 4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061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