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11033B1 - 진공 채혈관 - Google Patents

진공 채혈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033B1
KR930011033B1 KR1019860000577A KR860000577A KR930011033B1 KR 930011033 B1 KR930011033 B1 KR 930011033B1 KR 1019860000577 A KR1019860000577 A KR 1019860000577A KR 860000577 A KR860000577 A KR 860000577A KR 930011033 B1 KR930011033 B1 KR 93001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tube
blood collection
vacuum blood
vacuum
blo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629A (ko
Inventor
히데오 안라꾸
요시가따 쇼오지
Original Assignee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히로다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808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110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00151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763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15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763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39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98061A/ja
Application filed by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히로다 가오루 filed Critical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0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 채혈관
제1도는 표 3의 실험 데이터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혈액 검사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본 발명은 혈액의 전시료를 검사할 사람으로부터 채취하고 원심분리하여 시료로부터 혈청을 얻는 진공 혈액 채취관에 관한 것이다.
임상 실험의 기술이 급격히 진보됨에 따라 혈청 생화학검사, 혈청 면역검사, 혈구검사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이용의 혈액검사가 질병의 예방과 그리고 초기단계의 진단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혈액검사의 주종은 혈청검사이며, 따라서 이러한 검사에 필요한 혈청은 통상적으로 혈액검사를 위해 용기중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방치하여 응고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응혈(혈구와 피브린의 혼합물로 된 겔상의 물질)과 분리하여 채취한다.
검사할 사람의 피를 채취하는데는 주사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진공 혈액 채취관을 사용하는 혈액 채취법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혈액 채취를 위해 진공 혈액 채취관을 사용하면, 혈액은 특수한 혈액 채취관 홀더를 통해 진공상태인 진공 혈액 채취관에 채취된다.
진공 혈액 채취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는 합성수지 즉,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거나 또는 유리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료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으로 혈액을 채취하면, 채취된 혈액이 응고되는데 상당히 장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혈청과 응혈을 분리하여 검사에 필요한 혈청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가 없었다. 이 문제는 검사를 긴급조치로 실시해야 될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되었다. 혈액 응고시간이 짧다고 하는 유리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의 경우에도 혈액 채취 후 응고되기까지는 40 내지 60분이 소요된다. 합성수지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을 사용하면, 실제로는 채취관을 4시간 또는 그 이상을 방치하여야만 된다. 또한, 합성수지나 유리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에 있어서는 피브린과 응혈은 겔상태로서 채취관의 벽에 쉽게 부착하여 딱딱하게 되는데 이것은 혈청의 시료양을 감소시킨다. 이 밖에도 혈청중에 피브린이 용이하게 잔류하여 이 때문에 혈청 생화학 검사의 결과를 그르치게 하는 문제가 유발된다. 비교적 혈청분리가 잘 되는 유리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을 사용할 경우, 온도가 15℃ 또는 그 이하가 되면 분리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겨울철의 저온하에서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관의 벽에 극히 미세한 무기물질의 입자가 예를 들면 유리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혈액의 응고시간은 단축된다. 실리콘 오일, 실리콘화합물 분말 등을 함유한 분리제를 혈액 채취관내에 가하면 혈청의 분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리제는 틱소트로피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비중이 혈청의 비중과 응혈의 비중의 중간이 되도록 제조한다. 그리하여 채취된 혈액이 응고되도록 방치한 다음에 혈액 채취관에 원심력을 인가해주면 분리제는 혈청층과 응혈층 사이의 경계면으로 이동하여 이들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시료 혈청으로 여러 종류의 검사를 실시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때에는 혈액 채취관은 이 상태로 4℃ 미만의 온도에서 저장한다. 그러나, 가능한 저장기간은 비교적 짧아서 유리로 만든 혈액 채취관의 경우는 약 48시간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만든 혈액 채취관인 경우에도 약 72시간 정도로 짧다.
혈액을 채취하기전에 진공 혈액 채취관을 내부를 저압으로 해서 저장하는 경우, 채취관이 가스에 대한 투과성이 있기 때문에 관 내부의 저압 조건은 공기중의 산소,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등에 의해 쉽게 상실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공 혈액 채취관은 통상적으로 별도의 포장물질로 진공포장한다. 진공포장에 사용되는 포장물질은 예를 들면 금속캔 또는 알루미늄 포일의 적층필름 등이 있다. 금속캔은 강체이므로 이들 캔은 진공 혈액 채취관의 보호에 뛰어나고 또한 우수한 가스 장벽으로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들의 결점은 무겁고 부피가 크고 또한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다. 알루미늄 포일의 적층필름은 유연성이 있어서 딱딱하지 않고 부피가 크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진공 혈액 채취관이 기밀(氣密)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파쇄에 의해 이들 필름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알루미늄 포일은 찢어지는 것에 대한 내성 및 강도가 미약하고, 포일이 꺾어져서 또는 구겨질때에 핀홀이 쉽게 형성된다. 일단 알루미늄 포일 포장물질 내부로 산소와 같은 가스가 들어가면 진공 혈액 채취관 내의 저압상태는 상실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포일의 가스 장벽으로의 역할은 불완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여러 단점과 결함을 해소시킨 본 발명의 진공 혈액 채취관은 공기가 제거될 수 있는 개구부가 설치된 관형의 용기와 상기한 용기내부의 저압 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해 개구부를 기밀 상태로 만드는 플러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수지이고 그 용기의 내벽은 물에 대해 난용성이거나 불용성이며, 응혈이 관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친수성 물질, 수용성 물질 및 흡착성 무기물질이 합체되어 있다.
흡착성 무기물질은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서, 흡착량 20 내지 40ml/100g이고 BET-비표면적 5,000 내지 30,000㎠/g를 갖는 물질이다.
격막제는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서 상기한 용기에 사용된다. 격막제는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서 틱소트로피 특성 부여제와 점성액체를 함유한다. 이와 달리, 격막제는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서 틱소트로피 부여제, 점성액체 및 수불용성아민을 함유한다.
관형의 용기는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서, 가스 장벽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라스틱 포장내에서 기밀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포장하는데, 상기 관형 용기와 그 포장 사이의 공간은 용기의 재질이나 포장재질의 어느것도 쉽게 투과하지 못하는 가스로 충전하며, 상기 가스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크게 한다. 관형 용기와 포장물질을 투여하는 상기 가스의 양은 바람직하기로는 대기압 또는 그 이하의 압력과 23℃의 온도에서 2cc/㎡ 24시간이다. 포장은 적층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1) 채취된 혈액시료 모두가 단시간내에 응고할 수 있고 이것에 원심력을 인가하여 혈청과 응혈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진공 혈액 채취관을 제공함에 있고, (2) 원심분리한 다음에 혈청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온에서 장시간 동안 관 그 자체로서 저장할 수 있는 진공 혈액 채취관, 즉 혈청의 저장용기로서도 역할을 하는 진공 혈액 채취관을 제공함에 있으며; (3) 관형 용기와 포장물질 사이의 공간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하에 투과성이 낮은 가스로 충전하여 관형 용기내의 저압상태가 장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하는 진공 혈액 채취관을 제공함에 있으며, (4) 진공 혈액 채취관의 포장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가스 장벽으로서의 역할이 현저히 향상된 재료로 만든 것으로 포장한 진공 혈액 채취관을 제공함에 있으며, 그리고 (5) 우수한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손상이 없어 포장한 가볍고, 부피가 크지 않으며, 그리고 제조원가가 염가인 진공 혈액 채취관을 제공함에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목적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 혈액 채취관을 형성하는 관형 용기의 원료는 예를 들면, 다음 구조식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Figure kpo0000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도의 결정성물질이기 때문에 이 성질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1, 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결정성 조절제를 1 내지 50중량%의 비율로 하여 공중합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가스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이 있으므로, 이것을 본 발명의 진공 혈액 채취관으로 사용하면, 일정한 수준으로 저압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 밖에도, 이것의 내충격성은 유리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보다 우수하며 저압으로 인한 파손도 없다. 사용후의 처분은 소각으로 할 수 있으나 유리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의 경우에는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아크릴로니트릴수지를 본 발명의 진공 혈액 채취관의 관형 용기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로니트릴수지로는 이의 주성분이 중합된 아크릴로니트릴인 수지를 언급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고무성분인 소량의 부타디엔, 및/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같은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아크릴니트릴수지는 가스 장벽으로서 작용하는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본 발명의 진공 혈액 채취관에 사용하면 감압의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내충격성은 유리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보다 매우 우수하며 저압을 만드는 공정에서 일어나는 파손의 위험이 없다. 사용후의 처분은 관을 소각함으로써 폐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유리로 만든 진공 혈액 채취관은 이와 같은 폐기 처분을 할 수 없다.
진공 혈액 채취관의 개구부의 플러그가 기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염화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와 같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원료로 만든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채취관의 내부를 저압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고무 마개는 저압하의 장치중에서 채취관에 끼워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검사에서 사용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내벽의 벽면은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관의 내벽에 응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친수성 물질, 수용성 물질 및 흡착성 무기물질을 함유하여야 한다.
물에 대해 난용성 또는 불용성이고 관의 내벽에 응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성 물질로서는 예를들면, 변성 지방족 실리콘 오일, 변성 방향족 실리콘 오일, 변성 파라핀, 변성 왁스 등이 있다. 변성 지방족 실리콘 오일의 예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이며, 이들에 극성기가 도입된 것들이다. 극성기의 예로서는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폴리에테르기 등이다. 변성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예로서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이며 이들에 상기한 극성기가 도입된 것들이다. 변성 파라핀 및 변성 왁스는 파라핀 및 왁스에 상기한 극성기가 도입된 것들이다.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다가알콜,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폴리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는 실리콘 오일에 극성기가 도입된 것이다. 상기한 친수성 물질은 계면활성제가 아니라 용기의 내벽에 이들이 존재할 경우 이들 물질은 응혈이 내부 벽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응혈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표면으로부터 응혈을 박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수용성 물질로서는, 저분자량의 수용성 화합물이나 또는 고분자량의 수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저분자량의 수용성 화합물로서는 예로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등이며 고분자량 화합물로서는 예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아민, 나트륨 알기네이트, 전분, 풀루란,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로커스트빈 검, 구아르 검, 펙틴, 카라게닌, 푸르셀라란, 아교, 젤라틴, 카제인 등이다.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이다. 이들 수용성 물질은 상기한 친수성 물질이 무기 흡착 물질의 표면을 둘러싸는 것을 방지하며 그럼으로써 이들 무기 흡착 물질에 의한 혈액응고의 촉진이 감소되지 않게 된다. 이 수용성 물질은 혈액과 무기 흡착성 물질간의 접촉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흡착성 무기물질은 수불용성 무기 미세입자 물질로서 흡착제로서 사용되는 유리, 실리카, 카올린, 세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이다.
흡착성 무기물질 입자의 직경은 50㎛ 또는 그 이하이며, 평균직경이 10㎛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혈액의 응고시간을 단축하는데 효과적인 흡착성 무기물질로서는 실리카, 특히 비결정물질을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다공성 실리카가 우수한 결과를 준다.
이러한 흡착성 무기물질은 혈액과 접촉하면 혈액응고 인자들의 활성을 증진시키며, 더욱이 혈소판의 응고를 자극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흡착성 무기물질이 혈액의 응고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마인유의 흡착량, BET-비표면적 및 비저항을 일정 한계내에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마인유의 흡착량과 BET-비표면적은 흡착성 무기물질의 표면적의 정도를 나타내며 표면적은 흡착성 무기물질 표면상의 공극들간의 공간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아마인유의 흡착량과 BET-비표면적에 의거해서 그 표면상의 공극들간의 공간의 정도를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흡착성 무기물질로서는 아마인유의 흡착량이 20 내지 40ml/100g이고, BET-비표면적은 5,000 내지 30,000㎠/g이어야 한다.
아마인유의 흡착량은 JIS K-5101의 방법으로 측정하며 BET-비표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 수치이다 : 단일 분자의 층으로서 표면을 완전히 덮을 가스의 양을 흡착성 무기물질의 표면에 흡착된 가스양으로부터 얻는데, 이때에 평형압력과 흡착가스의 증기 포화압력을 고려한다. 얻어진 값에 흡착가스 분자의 평균단면적을 곱하고, 그 결과를 BET-비표면적치로 한다. 흡착성 가스는 질소가스, 산소가스, 아르곤가스, 메탄가스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여, 아마인유의 흡착량 측정으로는 직접 계산할 수 없는 공극을 포함하는 표면적을 계산할 수가 있다.
혈액의 응고시 XII 인자(예를 들면 접촉인자)의 활성화를 얻게 된다. 이때에, 세가지 물질, 프레칼리크레인, 고분자의 키니노겐을 필요로 하며, XII 인자는 이 물질의 표면상에 착체를 형성하고 이 착체는 그안에 흡착이 된다. 이들 물질들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가 결핍되면, XII 인자의 활성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흡착성 무기물질이 혈액의 응고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도록 사용하는 경우 표면적이 극히 크면, 착체는 흡착성 무기 물질의 표면상에 형성되지 않으며 그리고 XII 인자, 프레칼리크레인, 고분자량의 키니노겐의 흡착 비율은 증가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XII 인자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세가지 물질의 착체 형성 비율은 감소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반대로 혈액응고의 촉진 효과를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흡착성 무기물질의 표면적이 지나치게 적으면 응고인자의 흡착가능성은 적어지며 혈액응고 촉진화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 흡착성 무기물질로서의 조건에 바람직한 한계는 아민인유의 흡착량 20 내지 40ml/100g이고 BET-비표면적은 5,000 내지 30,000㎠/g이다.
본 발명의 흡착성 무기물질의 비저항은 1×1010Ω.㎝ 또는 그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는 5×104Ω.㎝ 또는 그 이하이다. 상온에서 비저항은 도전율의 역수이다. 흡착성 무기물질을 사용하면 비저항은 단백질과 흡착성 무기물질간의 전위 분배의 조절을 유지시키며, 단백질에 있어서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흡착성 무기물질은 혈액의 응고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흡착성 무기물질은 응혈이 용기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응고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도 혈청과 응혈을 각각의 층으로 분리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상기한 친수성 물질과 수용성 물질이 존재할 경우, 흡착성 무기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응혈의 부착 경향성은 혈액응고의 촉진 효과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개선된다.
상기한 여러 물질이 용기의 내벽에 존재한다는 것은 벽에만, 즉 용기의 내벽에 또는 벽의 내부쪽 어디에나 이들 물질이 함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물질들, 친수성 물질, 수용성 물질 및 흡착성 무기물질을 적합한 용매 및/또는 결합제에 용해하거나 또는 분산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용기의 내부 벽면에 분무하거나 또는 내부표면을 이 혼합물에 침지시킨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한 친수성 물질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수지와 혼합하여 이 혼합물로 용기를 만든 다음 수용성 물질과 흡착성 무기물질을 적합한 용매 및/또는 적합한 결합제에 용해한 혼합물을 용기의 내벽에 분무 또는 침지 처리법으로서 처리한다.
용기의 내벽에 함유되어야 할 상기한 친수성 물질과 수용성 물질의 양은 바람직하기는 1×10-10g/㎠ 또는 그 이상이다. 흡착성 무기물질의 양은 바람직하기는 1×10-6g/㎠ 또는 그 이상이 존재해야 한다. 과량이 되면, 혈액검사에 장애를 준다. 따라서, 이들 물질전부를 합한 양이 1×10-2g/㎠ 이상이 되면 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혈액 응고인자는 급격히 활성화되고, 혈액이 응고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다. 더우기, 피브린은 혈액의 응고를 유발하여 생성된 응혈이 용기의 내벽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혈청과 응혈의 분리가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분리하여 얻은 혈청중에 피브린이나 또는 응혈의 일부가 혼입되는 문제가 없다. 또한 응혈의 성분이 충분히 수축되기 때문에, 혈청의 수율은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혈청만을 사용하는 생화학 검사는 무수히 많다. 원심분리후, 얻어진 혈청을 혈액검사를 하기 위해 용기로부터 피펫으로 빨아 올린다. 그러나, 이러한 시료 채취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용기 자체를 이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통상 용기내에 격막 형성제를 공급한다. 이 형성제는 틱소트로피 성질을 가지는 조성물이고 원심분리후 혈청과 응혈사이에 격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혈청을 경사분리할 수가 있다. 틱소트로피 물질로서는 바람직하기는 무기질 분말 즉, 실리카, 알루미나, 유리, 탈크, 카올린, 벤토나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늄, 아스베스토스, 카본블랙 등이며, 유기질 분말로서는 스티렌중합체와 공중합체, 아크릴수지, 그리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 등이 포함된다.
탁소트리피 성질을 부여하는 이들 물질중 미세한 실리카 분말이 가장 좋은 결과를 준다. 이 미세한 실리카 분말은 주성분이 무수 규산인 미세분말로 구성되어 있다. 미세한 분말은 원할때에는,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라프트 반응 또는 커프링 반응에 의해 처리한다. 천연 상태의 분말 또는 덩어리를 그대로 출발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틱소트로피 성질을 부여하는 이들 물질의 평균 직경은 1㎛ 내지 100μ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1㎛ 미만이면 상기 물질을 취급하기가 어렵고 또한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것을 점성액체와 혼합하면 응고가 발생하여 제2의 입자가 형성되어 균일한 분산을 이루기가 어렵다. 직경이 100μ이상이면, 점성액체중의 분산이 불안정하며 격막제 전체로서의 균일한 유동성이 결여된다. 이 밖에도 비표면적인 10 내지 500㎡/g이면 발생되는 틱소트로피는 우수하다. 그러나, 비표면적이 10㎡/g 미만이면 분리를 위해 조성물의 한 성분으로 사용하는 점성액체와 무기질 미세분말과의 양립성이 어려워지며, 이러한 경우에는 입자가 쉽게 침전하게 된다. 비표면적이 500㎡/g 이상이며, 응괴가 쉽게 일어나서 점성액체중에 균일 분산을 이룩하기가 어렵다.
점성액체로는 틱소트로피를 부여하는 물질과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는 것이거나, 또는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지 않는 것이나 모두 허용 가능하다. 또한 서로 양립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틱소트로피를 부여하는 물질과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는다는 것은 특정한 점성액체와 특정한 틱소트로피 성질을 부여하는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회전직경 10㎝이고, 4,000RPM으로 회전하는 원심분리기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후에도 상기한 혼합물 성분의 분리층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친수성의 작용기를 가진 물질간의 수소결합과 친수성의 작용기가 없는 물질간에는 그들의 분자구조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응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틱소트로피 성질을 부여하는 물질과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는 점성액체로는 동물 및 식물유 그리고 이들과 산기(예로서 말레산)가 도입된 액체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식물 및 동물유로서는 예를 들면 콩기름, 아마인유, 잇꽃유, 어유 등이다. 액체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액체 폴리이소프렌, 액체 폴리부텐, 액체 폴리부타디엔 등이다. 또한 동물 및 식물유 그리고 에폭시기가 도입된 액체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틱소트로피 성질을 부여하는 물질이 유기 분말이면,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같은 동종류 올리고머의 점성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질이 스티렌이면, 점성액체로서 스티렌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어느것을 사용하던지 점도는 200cps 또는 그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성액체를 사용하면 점성액체로부터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분리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틱소트로피 성질을 부여하는 물질과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지 않는 점성액체인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수불용성 아민의 존재하에서는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점성액체로서 액체파라핀, 액체폴리이소프렌, 액체 폴리부텐, 액체 폴리부타디엔 등의 액체 고분자 물질과 스티렌 올리고머 및 이들의 염소화물등을 모두 사용할수 있다. 틱소트로피 부여제가 스티렌계의 수지이면 액체 파라핀과 이것의 염소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의 점도는 1,000cps 또는 그 이상이 바람직하다.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강력한 상호작용을 가지는 점성액체와 틱소프로피 부여제와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지는 않으나 점성액체와 용이하게 양립성을 갖는 다른 점성액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용이한 양립성"이란 두개의 점성액체가 균일하게 분산될때까지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일주일 동안 방치한 경우에도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는 점성액체와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강력한 상호작용은 없으나 용이하게 양립성을 갖는 다른 점성액체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이것의 점도는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다. 이러한 경우에, 틱소트로피 부여제와의 상호작용의 강도를 고려하여 혼합물중의 두가지의 점성액체의 상대적 조성비의 적합한 한계를 설정하여야 된다. 통상적으로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는 점성액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강력한 상호작용을 갖지 않는 점성액체 10 내지 6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혼합물의 점도의 이러한 안정성은 수불용성 아민화합물을 사용하면 더욱 증대한다. 수불용성 아민화합물로서는 탄소수 8 또는 그이상 함유하는 알킬기를 하나 또는 그 이상 가진 화합물로서, 이의 예를들면, 도데실아민, 테트라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도데실디메틸아민, 테트라데실디메틸아민, 옥타데실디메틸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옥타데실아민, 트리옥틸아민 등이다.
상기한 아민화합물이 사용되는 이유는 이들이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표면에 용이하게 흡착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의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점성액체 양쪽에 상호작용을 하여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도 점도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탄소수 8 또는 그 이상의 알킬기를 가진 아민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러한 아민이 물에 대한 불용해도가 높고 분리된 혈청이나 또는 응혈중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아민화합물의 장쇄의 알킬기가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표면에 흡착되어서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아민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격막제의 점도의 안정성은 괄목할만큼 향상되며, 결과적으로 원심분리를 해서 분리할 수 있고 격막은 매우 안정하게 된다. 틱소트로피 부여제와 점성액체의 조성비에 있어서는 점성액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틱소트로피 부여제 2 내지 15중량부를 사용하며, 수불용성 아민화합물을 사용할때에는 0.02 내지 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격막제의 비중은 통상적으로 상온에서 1.03 내지 1.08인데 이것은 혈청과 응혈사이에 격막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격막제가 혈청의 비중과 응혈의 비중 사이의 비중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격막제를 사용하면 혈청과 응혈은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되며, 그리고 혈청과 응혈 사이의 계면에 격막이 형성된다. 일단 격막이 형성되면, 이 격막은 안정하게 유지되며, 용기가 한쪽으로 기울어져도 격막은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혈청을 기울여 따르기와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을 얻기 위해서는 첫째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블로우성형, 압축성형, 트랜스퍼성형, 진공성형, 주물성형 등의 적합한 성형방법으로 관형의 용기를 형성시킨다. 이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물질을 그 안에 혼합하여 넣는 것은 허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이 성형방법으로 만든 용기의 내벽 벽면에 상기한 방법으로 친수성 물질, 수용성 물질 및 흡착성 무기물질을 혼합할 수 있다. 이 관은 관을 기밀상태로 할 수 있는 마개로 밀봉해야 한다. 추가로, 격막제를 미리 관에 넣거나, 또는 시료 혈액을 방치하여 응고한 후에, 원심분리 단계 동안에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고 저압 상태로 한 내부 단면을 가진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여 검사할 사람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다음, 혈액을 상온에서 약 20 내지 30분간 응고하도록 방치한다. 다음에 관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력에 의해 혈청과 응혈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진공 채혈관의 용기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수지인데 이들은 통상적인 친수성 물질들, 예로서 유리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는 달리 친수성이 낮기 때문에 혈액과 접촉하는 용기의 내면에 흡착된 물 분자의 층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격막제가 채혈관의 벽 내면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혈청과 응혈의 분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발명자들에 의해, 응혈중의 무기 이온이 벽의 내면상의 물분자층을 통과해서 혈청의 층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므로,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혈청은 저온에서 장기간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면, 4℃에서 340시간 또는 그 이상으로 혈청을 보관할 수가 있다. 이것은 유리로 만든 채혈관의 경우에 시료를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의 약 7배가 된다. 격막제를 함유하는 종래의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면, 물분자의 층은 흡착된 층으로서 내면상에 형성되며, 격막제는 채혈관속에 견고하게 부착하지 못하므로, 분리효과는 이루어지지 않고 응혈중의 무기이온 등은 혈청층으로 확산한다. 이 결과, 원심분리된 혈청은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원료로 만든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면, 채취한 전 혈액 시료는 단시간내에 응고하여 원심분리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혈청과 응혈이 분리된다. 더우기 원심분리후에도 혈청을 채혈관 자체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채혈관은 또한 보관용관으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대기중의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을 완전히 차단하고 관 내부의 저압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진공 채혈관은 플라스틱 포장재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할 용기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방법으로서 내부 포장과 외부포장 사이의 공간을 진공으로 하는 진공 포장방법이 있으며, 또한 그 사이의 공간에 가스를 충전하는 가스충전 포장방법이 있다. 가스충전 포장법은 식품류의 산화를 막기 위해,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성장을 막기 위해, 전기부품, 용접봉, 기타 금속물질의 산화와 녹스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스는 많이 있으나 통상적으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단독으로 또는 이들 두 가스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진공 채혈관을 플라스틱 포장으로 포장하고 그 사이의 공간을 이들 물질들의 어느쪽도 투과하지 못하는 가스로 충전하며 또한 대기압 보다 큰 압력으로 함으로써 진공관내의 저압상태를 장기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는 본 발명자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진공 채혈관은 플라스틱 포장재로 포장하고 관형의 진공 채혈관과 플라스틱 포장재 사이의 공간을 관 또는 플라스틱 포장재의 어느쪽도 쉽게 투과하지 못하는 가스로 충전한다. 가스의 압력은 대기압 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플라스틱 포장이 가스 장벽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은 다음과 같은 "반투과막을 통한 삼투압보다 더 큰 압력을 사용하면, 그 막을 통과하는 화학 물질의 이동을 억압할 수 있다"는 역삼투압이 원리를 이용한데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포장의 내부를 가스로 충전하면, 대기중의 가스, 즉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이 포장내로 투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수지 등으로 만든 관과 같은 형상이 플라스틱 용기는 이러한 가스들과 접촉하지 않고 관내의 저압을 그대로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충전에 사용되는 가스는 또한 관형의 용기를 보호하는 작용도 하므로, 이 용기는 포장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한 플라스틱 포장재로서는 모든 공지의 플라스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플라스틱 포장재는 예를들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필름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다른 필름과의 적층필름이다. 이것은 가볍고 부피가 적으며 염가의 포장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피복된 알루미늄 포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공간을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가스로서는, 상온에서 대기압 보다 큰 증기압을 갖는 가스이면 어느것이라도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소원자가 불소, 염소, 또는 브롬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탄화수소 유도체; 수소원자가 불소, 염소 또는 브롬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수소원자가 불소, 염소 또는 브롬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에테르; 수소원자가 불소, 염소, 또는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칸; 질소, 아르곤, 크세논과 불활성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가스중에서 질소와 프레온가스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가스중에서 사용한 가스는 진공 채혈관의 관형용기의 제조와 포장물질의 제조에 사용된 원료에 좌우되며, 이들 양원료의 어느쪽도 쉽게 투과하지 않는 가스를 적절히 선택한다. "쉽게 투과하지 않는다"란 관형의 용기와 포장에 있어서 양쪽 모두 23℃에서의 가스 투과치가 2ml/㎡ㆍ24hrㆍatm 또는 그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가스 투과에 대한 이 수치는 ASTM D1434의 규정에 따른 것이다.
[실시예 1]
친수성 물질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에 히드록시기를 도입해서 제조한 카비놀 변성 실리콘 오일, 수용성 물질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흡착성 무기물질로서 미세한 분말실리카(평균 직경이 4㎛, 아마인유 흡착량 30ml/100g, BET-비표면적 12,000㎠/g, 비저항 2.6×104Ωㆍ㎝)를 사용하였다. 친수성 물질, 수용성 물질 및 흡착성 무기물질을 각각 메틸알콜중에 각기 0.1중량%, 및 1.0중량%의 농도로 분산시켰다.
용량이 10ml인 두종류의 관형 용기를, 하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고 다른 하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수지(상품명 : BAREX 210, 미쯔이 도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제품)로 만들었다. 이 폴리아크릴로니트릴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소량의 부타디엔과 소량의 아크릴릭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다.
이들 관형용기이 각 내면에 상기한 분산액을 분무하고, 공기 건조시킨 후, 내부의 가스를 제거한 다음, 부틸 고무마개로 용기를 밀봉하여 두 종류의 진공 채혈관을 만들었다. 이들 용기중의 압력은 6ml의 혈액시료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얻어진 각각의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여 인체의 혈액을 채취한 후 20℃의 온도에서 방치하였다. 모든 혈액이 유동성을 상실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즉 혈액 응고시간을 측정하고 혈액의 응고지수로서 평가했다.
혈액이 응고한 다음에, 각각의 진공 채혈관을 3,000RPM으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이 분리된 것을 관찰하였다. 표 1의 실시예 1은 각 진공 채혈관내의 혈액 응고가 극히 빨랐고 혈청의 분리도 양호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20℃에서 비중이 1.02이고 점도가 10,000cps인 염소화 폴리부텐 70중량부, 20℃에서 비중이 1.0이고 점도가 1,700cps인 에폭시화 콩기름 21중량부, 친수성이 되도록 처리한 실리카겔의 미세분말 9중량부, 트리옥틸아민 0.2중량부를 롤러니더기로 혼련하여 20℃에서 비중 1.06을 갖는 격막제를 얻었다. 실시예 1에 의하여 수득한 두 종류의 채혈관에 1g의 본 격막제를 각각 넣는다. 관의 내부는 6ml의 혈액을 채취하기에 충분하도록 저압으로 하고 각기 기밀상태가 되도록 부틸고무 마개로 밀봉한다.
진공 채혈관과 시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혈액의 응고와 혈청의 분리 상태를 관찰하였다. 두가지 다른 진공 채혈관을 사용한 결과는 표 1의 실시예 2의 난에 표시하였다. 표에 명확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이들 채혈관을 사용하여 채취된 혈액시료의 응고는 신속하였으며, 혈청의 분리도 양호하였다.
이러한 용기를 혈청의 저장용기로서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각 진공 채혈관을 4℃의 냉장고에 저장했다. LDH와 K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저장 직후의 혈청, 3일간의 저장한 혈청, 7일간의 저장한 혈청 및 14일간 저장한 혈청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는 표 2의 실시예 2의 난에 표시했다. 이 결과에서 LDH와 K는 안정한 수치를 나타냈고 따라서 이들 용기가 혈청의 저장에 적합하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대조 1]
6ml의 혈액을 채취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진 유리로 만든, 시판품인 2개의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였다. 이들 채혈관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혈액 응고시간과 혈청 분리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이들 채혈관을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동일한 조건으로 저장하여 이들 관이 혈청의 저장에 적합한가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2의 대조난에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2]
Figure kpo00003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용량이 10ml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든 진공 채혈관을 가스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적층 필름으로 포장하고, 포장 내부는 가스로 충전하였다. 가스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적층 필름은 외측으로부터 2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17㎛ 두께의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상품명 EVAL, CRARE회사 제품) 및 55㎛ 두께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적층 물질이다. 충전에 사용된 가스는 펜타플루오로모노클로로에탄이고 충전후의 압력은 1.2기압이었다. 포장된 관과 포장물을 60℃로 가열된 오븐에 넣는다. 가열하에서 50 또는 100일 후에 오븐에서 관을 꺼내어 혈액을 채취하는데 사용하였다. 채취된 혈액양의 차이를 구하였다. 결과는 표 3에 표시하였다. 여기서 명확한 바와 같이, 진공 채혈관을 고온에서 장기간 동안 저장하여도 진공상태와 채취된 혈액의 양은 그대로 잘 유지되었다.
[실시예 4]
충전 가스로서 질소 가스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공 채혈관내에 채취된 혈액양이 차이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표시하였다. 진공상태와 채취된 혈액의 양은 그대로 잘 유지되었다.
[대조 2]
실시예 3에서와 같은 진공 채혈관과 가스 장벽으로 작용하는 능력을 가진 적층필름을 사용하였다. 가스충전 대신에 진공포장으로 하였다.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취된 혈액양의 차이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시료관내의 진공상태는 변화하였고, 따라서 채취된 혈액양은 실시예 3과 실시예 4에 비해서 감소하였다.
[대조 3]
진공 채혈관을 포장하지 않고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류의 관을 사용하고,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표시하였다. 관내의 진공상태는 현저하게 저하하였으며, 따라서 채취된 혈액의 양도 실시예 3과 실시예 4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표 3]
Figure kpo000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채취된 혈액이 모두 단시간내에 응고하고 이것을 원심분리하면 혈청과 응혈로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진공 채혈관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종류의 진공 채혈관에 있어서는 원심분리한 후에도 혈청을 저장할 수 있으며 수득된 혈청을 저온에서 장기간 저장할 수도 있다.
진공 채혈관과 관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 포장 사이의 공간은 이 채혈관과 포장물질의 어느 것도 쉽게 투과하지 않는 가스로 대기압보다 더 큰 압력으로 충전한다. 이러한 가스 충전에 의해 관형 용기내의 저압 상태는 장기간 그대로 보장될 수 있다. 가스장벽으로서 작용하는 이러한 포장의 성능은 종래의 진공포장으로 포장한 것보다 매우 우수하다. 이 포장의 유연성, 경량성 및 비-부피성면에서 매우 우수하고, 진공 채혈관을 손상하지 않으며, 또한 매우 염가이다.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술된 범위에 한정하지 않고 오히려 본 발명에 의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할 수 있는 균등발명을 포함한 모든 신규성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개구부가 마련된 관형상의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가 저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개구부를 기밀상태로 만드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채혈관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수지이고, 상기 용기의 내부벽은 상기 관의 내벽에 응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서, 수불용성 또는 난수용성 친수성인 물질과 수용성 물질 및 흡착성 무기 물질을 합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착성 무기물질이 아마인유 흡착량 20 내지 40ml/100g, BET-비표면적, 5,000~30,000㎠/g의 특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에 격막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제가 틱소트로피 성질을 부여하는 물질과 점성액체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제가 틱소트로피성질 부여제, 점성액체 및 수불용성 아민류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6.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형상의 용기는 가스차단벽으로 작용하는 플라스틱 포장내에 기밀상태가 되도록 포장되고, 또한 이 관형상의 용기와 포장사이의 공간은 용기를 구성하는 물질과 포장물질 어느것도 쉽게 투과하지 않는 가스로 충전되며, 이 충전가스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형상의 용기와 포장물질 양자를 투과하는 충전가스의 전체량이 23℃에서 2ml/㎡ㆍ24시간ㆍ기압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은 적층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KR1019860000577A 1985-01-29 1986-01-29 진공 채혈관 Expired - Lifetime KR930011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15155A JPS61176327A (ja) 1985-01-29 1985-01-29 真空採血管
JP?60-15156 1985-01-29
JP?60-15155 1985-01-29
JP60015156A JPS61176328A (ja) 1985-01-29 1985-01-29 真空採血管
JP?60-39674 1985-02-28
JP60039674A JPS61198061A (ja) 1985-02-28 1985-02-28 ガスバリヤ−性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629A KR860005629A (ko) 1986-08-11
KR930011033B1 true KR930011033B1 (ko) 1993-11-20

Family

ID=2728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577A Expired - Lifetime KR930011033B1 (ko) 1985-01-29 1986-01-29 진공 채혈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56533A (ko)
EP (1) EP0193279B1 (ko)
KR (1) KR930011033B1 (ko)
AU (1) AU584672B2 (ko)
CA (1) CA1300996C (ko)
DE (1) DE3683657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573A (ko) * 2017-02-16 2018-08-24 김지은 혈액 응고 촉진용 채혈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50585T2 (de) * 1986-12-11 1995-04-13 Terumo Corp Blutsammlungsrohr.
JPH01317733A (ja) * 1988-06-20 1989-12-22 Terumo Corp 有底筒状成形物、有底筒状成形物製造用金型および有底筒状成形物の製造方法
JPH0245040A (ja) * 1988-08-03 1990-02-15 Terumo Corp 減圧採血管
JPH02297342A (ja) * 1988-09-28 1990-12-07 Terumo Corp 両刀針形の医療用針とホルダーを用いる採血及び/又は注射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両刀針形の医療用針及びホルダー
US5145565A (en) * 1989-05-01 1992-09-08 Spacelabs, Inc. Contamination-fre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luid chemical parameters
US5297561A (en) * 1989-06-15 1994-03-29 Hulon Walter C Blood collection tube assembly
CA2007620A1 (en) * 1990-02-11 1991-07-11 Charles Terrence Macartney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tube
DK119490D0 (da) * 1990-05-14 1990-05-14 Unes As Apparat til fremstilling af et koncentrat af koagulationsfaktorer, saasom fibrinogen, fra en blodportion
US5086783A (en) * 1990-10-31 1992-02-11 Sherwood Medical Company Blood sampling device
US5273161A (en) * 1991-05-31 1993-12-28 Medical Safety Products, Inc. Needle disposal system comprised of blood collection holder and companion biohazard receptacle
US5257984A (en) * 1991-10-02 1993-11-02 Norfolk Scientific, Inc. Blood collector
DK167517B1 (da) * 1991-11-11 1993-11-15 Squibb & Sons Inc Beholder til optagelse og adskillelse af en vaeske, fortrinsvis blodplasma, i dennes bestanddele
US5163583A (en) * 1992-01-03 1992-11-17 Whitworth Ted N Aspiration cap for dispensing blood or other fluids for diagnostic purposes
US5533518A (en) * 1994-04-22 1996-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assembly including mechanical phase separating insert
US5540661A (en) * 1994-05-03 1996-07-30 Medex, Inc. Needleless valve having a covalently bonded lubricious coating
US5470319A (en) 1994-06-20 1995-11-28 Critical Device Corporation Needleless injection site
US5902280A (en) * 1995-04-13 1999-05-11 Advanced Cytometrix, Inc. Aspiration needle apparatus incorporating its own vacuum and method and adapter for use therewith
US6238578B1 (en) 1996-12-09 2001-05-29 Sherwood Services Ag Method for dispensing separator gel in a blood collection tube
US5957898A (en) 1997-05-20 1999-09-28 Baxter International Inc. Needleless connector
US6261282B1 (en) 1997-05-20 2001-07-17 Baxter International Inc. Needleless connector
US6077235A (en) * 1999-02-23 2000-06-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EP1409028A4 (en) * 2000-10-13 2005-07-20 On Site Gas Systems Inc BANDAGE USING MOLECULAR SIEVES
US6551267B1 (en) 2000-10-18 2003-04-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l article having blood-contacting surface
US6908459B2 (en) 2001-12-07 2005-06-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less luer access connector
AU2003241874A1 (en) * 2002-05-29 2003-12-12 Sekisui Chemical Co., Ltd. Bottomed tube for blood examination, stopper of bottomed tube for blood examination and blood examination container
US20100248329A1 (en) * 2003-04-25 2010-09-30 Ryusuke Okamoto Blood coagulation promoter and blood collection tube
CN100380122C (zh) * 2003-04-25 2008-04-09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血液凝固促进剂和血液收集管
WO2007029101A2 (en) * 2005-09-06 2007-03-15 Bioinnovations Oy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ITPD20050372A1 (it) * 2005-12-19 2007-06-20 Vacutest Kima Srl Provetta in plastica per effettuare prelievi di sangue
WO2010020247A1 (en) 2008-08-22 2010-02-25 Reapplix Aps Multilayered blood product
WO2012018486A2 (en) 2010-07-26 2012-02-09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Rapid delivery and/or receiving of fluids
US20120277629A1 (en) 2011-04-29 2012-11-01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on and/or manipulation of blood spots or other bodily fluids
EP2408372B1 (en) 2009-03-02 2019-01-09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Devices associated with blood sampling
WO2012021801A2 (en) 2010-08-13 2012-02-16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techniques for monitoring subjects
JP6055773B2 (ja) 2010-11-09 2016-12-27 セブンス セン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血液サンプ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
EP2701600B1 (en) 2011-04-29 2016-06-08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Delivering and/or receiving fluids
EP2701598A1 (en) 2011-04-29 2014-03-05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subject
US20130158468A1 (en) 2011-12-19 2013-06-20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Delivering and/or receiving material with respect to a subject surface
CN103940211B (zh) * 2014-03-27 2016-04-13 上海普叶顿精密模塑有限公司 采血管自动烘干机
CN108780083B (zh) 2016-01-06 2020-05-26 瑞帕利克斯有限公司 适用于后续自体使用的促凝血因子
EP3427833A1 (en) 2017-07-10 2019-01-16 Victor Lind A device for test preparation of blo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in blood plasma
CN112295017A (zh) * 2020-10-28 2021-02-02 武汉齿欣生物医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固态富血小板纤维蛋白膜的优化制备方法
CN112321997B (zh) * 2020-11-04 2022-12-13 宁波欣上材料科技有限公司 一次性真空采血管试管及其制备方法
US20230347350A1 (en) * 2022-04-28 2023-11-02 Elizabeth Deckler Blood collection tub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2269A (en) * 1977-02-01 1979-05-01 Warner-Lambert Company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US4153739A (en) * 1977-06-30 1979-05-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for collecting blood
US4169060A (en) * 1977-10-25 1979-09-25 Eastman Kodak Company Blood-collecting and serum-dispensing device
US4212307A (en) * 1978-01-12 1980-07-15 Concord Laboratories, Inc. Blood sampling syringe
US4236120A (en) * 1978-05-24 1980-11-25 Harris Corporation High speed, high efficiency amplifier circuit
DE2914463A1 (de) * 1979-04-10 1980-10-23 Hoechst Ag Medizinische geraete fuer parenterale fluessigkeiten
AU559940B2 (en) * 1979-09-11 1987-03-26 Terumo Corp. Blood collecting tube
US4293078A (en) * 1979-11-01 1981-10-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cuum indicator closure for a blood collection tube
IT8034810V0 (it) * 1980-01-22 1980-01-22 Lena Paolo Contenitore sintetico a sacca per sangue umano e sue frazioni, soluzioni perfusionali, soluzioni dialitiche e per liquidi alimentari e chimici in genere
IE51643B1 (en) * 1980-10-15 1987-01-21 Smith & Nephew Ass Coated articles and materials suitable for coating
FR2494985A1 (fr) * 1980-11-28 1982-06-04 Tragin Gilberte Procede de traitement des tubes en matiere plastique quelconque destines au recueil du sang aux fins d'analyses sur le serum
US4397318A (en) * 1981-08-10 1983-08-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or for microcollection container
US4420517A (en) * 1982-05-06 1983-12-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for improving uniformity of silica films on substrates
EP0106290B1 (en) * 1982-10-08 1988-04-06 TERUMO KABUSHIKI KAISHA trading as TERUMO CORPORATION Evacuated blood collec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573A (ko) * 2017-02-16 2018-08-24 김지은 혈액 응고 촉진용 채혈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93279A2 (en) 1986-09-03
EP0193279B1 (en) 1992-01-29
KR860005629A (ko) 1986-08-11
EP0193279A3 (en) 1988-06-01
AU584672B2 (en) 1989-06-01
US4856533A (en) 1989-08-15
CA1300996C (en) 1992-05-19
AU5295986A (en) 1986-08-07
DE3683657D1 (de) 199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033B1 (ko) 진공 채혈관
JP4077070B2 (ja) 水系添加剤を有する減圧状態にあるサンプル採取アセンブリ
CA117825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US4257886A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US4153739A (en) Method for collecting blood
JP2866803B2 (ja) 採血管用二経路凝血促進剤
JPH0416183B2 (ko)
JPH09173321A (ja) 血漿分離用の採血器具および採血方法
WO2021182575A1 (ja) 白血球濃縮分離デバイス、血液採取容器及び白血球の分離方法
JP2007304004A (ja) 血液検査用容器
JP2007248175A (ja) 血液検査用容器
KR101965169B1 (ko) 혈액 응고 촉진용 채혈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9476A (ko) 분포 포장체
JPH0510095B2 (ko)
JPS58195151A (ja) 血液検査用容器
JP2000292421A (ja) 血液処理方法及び採血管
JPH0510096B2 (ko)
JP3514848B2 (ja) 血液検査用容器
JP3644707B2 (ja) 血液検査用容器
JPH0249099B2 (ko)
JPS6245170Y2 (ko)
JPS6367861B2 (ko)
JPS58195152A (ja) 血清と血餅との分離方法
JPH0126502B2 (ko)
JPS5926062A (ja) 血清と血餅との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0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10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