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10047B1 -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047B1
KR930010047B1 KR1019880001627A KR880001627A KR930010047B1 KR 930010047 B1 KR930010047 B1 KR 930010047B1 KR 1019880001627 A KR1019880001627 A KR 1019880001627A KR 880001627 A KR880001627 A KR 880001627A KR 930010047 B1 KR930010047 B1 KR 93001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guide
rail means
stretch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812A (ko
Inventor
하루오 고마쓰
다까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97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36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04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13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0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0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6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one cable connection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E05Y2201/662Cable she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32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32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 Y10T74/1884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with pulley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변환장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내부 라이닝을 제거한 차안에서 본 차량문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창문 조절기의 확대전면 또는 외부도면.
제 3 도는 창문 조절기의 확대후면 또는 내부도면.
제 4 도는 제 2 도 및 3 도의 선 Ⅳ-Ⅳ에서 취한 그리고 케이블이 어떻게 가이드레인의 볼록한데서 오목한데로 안내되는가를 나타낸 창문 조절기 확대, 단편 도면.
제 5 도는 제 2 도의 선 Ⅴ-Ⅴ에 따라 취한 그리고 창캐리지가 어떻게 가이드레일과 활동가능케 되어있는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선 Ⅵ-Ⅵ에 따라 취한 그리고 중간의 케이블 안내부의 하나와 이완된 것을 감아주는 장치를 나타낸 확대, 단편 도면.
제 7 도는 하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와 아래쌍의 중간케이블 안내부와 함께 안내레일의 하단부를 나타낸 확대, 단편 사시도.
제 8 도는 창문 조절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리일과 수동크랭크를 나타내는 확대, 단편 사시도.
제 9a 도는 케이블이 완전히 인장력을 받게될 때의 창문조절기의 이완된 것을 감아주는 장치의 확대도면.
제 9b 도는 이완된 것을 감아주는 수단이 케이블을 늦추어 주는 상태를 나타낸 것을 제외한 제 9a 도에 유사한 도면.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창문조절기의 전면 또는 외부도면.
제 11 도는 제 10 도의 창문조절기의 후면 또는 내부 도면.
제 12 도는 제 10 도의 창문조절기의 우측면도.
제 13 도는 구동수단과 케이블 인장수단을 나타낸 제 10 도의 창문조절기의 확대, 단편 사시도.
제 14 도는 선 Ⅹ Ⅳ-Ⅹ Ⅳ에 따라 취한 그리고 특허 창캐리지와 그리고 안내레일과 지지구조의 활동부와의 맞춤을 나타내는 창문조절기의 확대단면도.
제 15 도는 창캐리지와 관련된 다른수단의 확대된 분해사시도.
제 16 도는 선 Ⅹ Ⅵ-Ⅹ Ⅵ에서 취한 그리고 특히 구동릴과 구동기어를 나타낸 제 10 도의 창문조절기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조절기 11 : 후레임
13 : 차량문 14 : 패널
15,115 : 안내레일 17,117 : 창캐리지
18 : 창문개방부 19 : 상부안내부
20 : 하부안내부 21,121 : 케이블
22 : 개방부 23 : 케이블안내부
24,124 : 구동리일 25 : 이완테이크업수단(slack take up means)
26 : 웨브 27,28,59,191 : 플랜지
29,62 : 림 30 : 주요부
31 : 캐리어아암 32,57,61,68,194 : 구멍
33 : 볼트 34 : 제 1 슈우
35 : 제 2 슈우 36 : 제 3 슈우
37,38,39,41 : 슬라이드 리브 40 : 커플링 슈우
42 : 표면 43,45,48 : 홈
44 : 커플링링 또는 튜브 46 : 로브(lobe)
47 : 접합점 49 : 각부
50 : 사각개방부 51 : 튜브형안내부
52 : 안내홈 53 : 스프링
54 : 나선형홈 55 : 동심원보스
56 : 외부단부면 58 : 환형리브
60,197 : 나사 63 : 리일하우징
65 : 접근개방부 66 : 단부판
67 : 보스 69 : 수동크랭크
70 : 귄취튜브 71 : 튜브부재
116 : 수직안내통로 119,120 : 안내풀리
125 : 인장수단 180 : 지지구조
182 : 구동기구 184 : 가역전기모터
185 : 단부 187 : 설치휜(fin)
188,190 : 볼트 189 : U자형설치러그
192 : 캐리지 멈춤 193 : 설치리세스
195 : 슬라이더 196 : 목부분
198 : 유극구멍 199 : 암커플링부재
202 : 소켓트 203 : 슬리트
204 : 숫커플링부재 205 : 축
206 : 베어링판 208 : 반대극단부
209 : 리세스 210 : 브라켓트
211 : 아마츄어 축 212 : 웜
213 : 윔바퀴 215 : 아암
216 : 인장롤 217 : 인장스프링
219 : 타단부 221 : 루프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사실상의 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 특히 다른 적용예 중에서도 승용차의 창문조절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운동변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별한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수동크랭크의 또는 가역 전기모터의 양방향 회전을 차량의 문틀에 관하여 창이나 유리 패널 같은 것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 지금까지 제안되고 또 사용된 여러 가지의 장치는 초기의 운동변환수단으로써 강선로프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창문조절기의 전형적인 통상의 구조는 창을 지지하는 캐리지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차량 문틀에 대해 상향설치되는 안내레일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안내리일이나 비회전 케이블 안내부 둘레에 루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한쌍의 안내리일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케이블 중의 하나는 창캐리지에 연결되어 있다. 창캐리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안내레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케이블이 안내레일로부터 먼거리에 위치된 구동리일에 관하여 4,5회 감겨있다. 수동크랭크 또는 가역전기모터는 구동리일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익숙한 수단인 것이다.
이렇게 하여 구동풀리의 양방향 회전과 함께 창캐리지는 상향의 안내레일에 따라 상할 미끄러져 운동하며 이에 의해 문틀에 관하여 개폐위치 사이에서 창을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공지의 케이블 형태의 장치는 간단한 구조와 믿을만한 작동과 저렴한 제조원가의 이익을 갖고 있는 것이다. 모든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안내레일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떨어져서 구동 리일의 위치 결정으로부터 생기는 커다른 공간의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힘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창문에의 적용을 제한해온 것은 이러한 통상의 운동변환기구의 약점인 것이다. 이 기구는 보다 간편한 구조라면 여러 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없는 것이다. 자동차 업계 자체에서는 보다 간편한 창문조절기의 출현을 오래 기다려 왔다. 오늘날의 승용차의 문은 창문조절기에 부가하여 여러 가지의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문자물쇠, 원격제어장치, 담배라이터, 윈드시일드 와이퍼 조절장치, 좌석조절장치, 백미러와 그 조절장치들이다. 이렇게 하여 많은 여러 가지의 정교한 문부착물과 악세사리의 사용으로 차량의 문은 전보다 더 복잡하게 되고 창문조절기를 위한 공간에 대해 보다 큰 제한을 가하게 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잇점의 손실이나 감쇄없이 지금까지 보다 구조가 더 간단한 형태의 운동변환기구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요약하여 본 발명의 운동변환기구는, 반대 단부에 인접하여 안내수단에 설치된 한쌍의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와 함께 사실상 선상의 안내통로를 마련하는 연장되는 안내수단으로 구성된다. 케이블이나 상당하는 기다란 가요성의 펼쳐 늘려지지 않는 부재가 쌍을 이룬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 둘레에 루프를 이루고 있고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의 스트렛치를 제공하며, 적어도 제 1 스트렛치의 케이블은 안내통로에 따라 연장된다. 창캐리지와 같은 가동부재가 공동의 양방향 운동을 위해 케이블의 제 1 스트렛치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리일은 반대 단부 중간위치에서 기다란 안내수단 바로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 케이블의 제 2 스크렛치가 한번 이상으로 감겨져 있다. 수동크랭크나 가역전기모터는, 양방향으로의 구동과 그리고 케이블의 제 1 스트렛치와 함께 안내통로에 따라 전후로 가동부재가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리일이 기다란 안내수단에 설치됨에 따라 안내수단상의 쌍을 이룬 터미널 안내부 둘레에 루프를 이루고 있는 케이블의 두개의 스트렛치들은 서로에 대해 사실상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운동변환기구는 비교되는 통상의 장치보다 아주 더 적은 설치공간을 요한다.
차량의 창문조절기로써의 운동변환기구의 사용에 있어서 연장된 안내수단은 차량문의 수직 만곡에 일치하도록 종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다. 구동리일을 포함하는 케이블 구동수단은 전체적으로나 또는 부분적으로 안내수단의 오목한 측부상에 설치되고 또 대개 안내수단의 블록한 측부상에 있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다. 기구의 횡방향 칫수는 두께에 그다지 더 부가하지 않고 절대적인 최소치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그리고 다른 특징과 이를 실현하는 방법은 더 명백하게 될 것이며, 또 발명자체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일반]
본 발명은 제 1 도에서 3 도까지에 도면부호(10)로 나타낸 차량의 창문조절기에서 구체화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문틀(11)에 관하여 유리재로 된 창이나 패널(14)을 상하로 움직이기 위해 차량의 문(13)의 틀(11)에 설치된 창문조절기(10)을 나타낸다. 제 2 도 및 3 도에서 확대되어 도해된 바와같이 창문조절기(10)는 창캐리지(17)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 2 도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안내통로(16)를 마련해주는 연장된 안내 레일(15)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는 창캐리지(17)가 창(14)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창 캐리지(17)가 안내레일(15)에 상하로 활동함에 따라, 문틀(11)에 대하여 창(14)도 따라서 활동하여 창개방부(18)를 개폐한다. 차량문(13)의 수직만곡에 일치하여 안내레일(15)이 종방향으로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다는 것을 제 4 도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안내레일(15)은 차량의 내부로 향한 오목한 측부를 가지며 제 1 도 및 3 도에 나타나 있으며 또 블록한 측부는 차량의 외부로 향하고 제 2 도에 나타나 있다. 창캐리지(17)는 안내레일(15)의 볼록한 또는 외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는 한쌍의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20)가 그 반대단부에 인접하여 안내레일(15)의 블록한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20)는 홈이 그 주위에서 절삭되어 있고, 비교적 두꺼운 디스크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특별한 실시예에서 상부 안내부(19)는 비회전성이고 하부안내부(20)는 회전한다. 한쌍의 터미널 가이드(19)(20)둘레에 루프를 이루고 있는 것은, 합성섬유루프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꼬여진 강선으로 구성된 끝이 없는 와이어 로프나 케이블(21)이다. "케이블"이란 단어는 이러한 형태의 운동변환기구에 사용되는 연장된 가요성의 스트렛치되지 않는 요소를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케이블(21)의 제 1의 또는 좌측 스트렛치는 안내통로(16)에 따라 연장되고 안내레일(15)의 볼록한 측부상에 있다. 그러나 제 3 도 및 4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케이블(21)의 제 2 또는 우측 스트렛치는 안내레일의 한쌍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개방부(22)을 통하여 나삽되어 안내레일(15)의 오목한 측부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두쌍의 중간케이블 안내부(23)가 안내레일(15)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내부의 각쌍은 최소한의 미끄럼 마찰로 안내레일의 요철 측부 사이에서 케이블(21)의 이동을 유연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각각의 개방부(22)를 가로 질러 서로 대향되어 있다. 중간케이블 안내부(23)의 두쌍은 사실상 동일한 회사 제품이다.
안내레일(15)의 오목한 측부상에는 케이블(21)이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리일(24) 둘레에 한번이상 감겨져 있어, 이렇게 하여 구동리일(24)의 양방향 회전으로, 케이블(21)이 안내레일(15)에 따라 상하로 창캐리지(17)를 움직이기 위해 마찰 구동된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특징으로써 케이블(21)에 제 2 도에서 도면부호(25)로 나타낸 이완권취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완권취 수단(25)은 창문조절기(10)의 사용에 있어서 케이블(21)로부터의 이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안내레일(15)과 창캐리지(17)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20)와 중간케이블안내부(23)와 구동리일(24)과 이완권취수단(25)과 그리고 그 다음에 케이블(21)이 어떻게 창문 조절기(10)를 통하여 나삽되어 있고 또 완전한 장치의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다.
[안내레일]
제 5 도에서 횡단면으로 나타난 바와같이, 안내레일(15)은 웨브(26)와 한쌍의 측부플랜지(27)(28)로 구성되고 안내레일의 볼록하거나 또는 외측부를 향하여 웨브의 대향된 종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금속판재의 채널 형상부분이다. 측부플랜지(27)는 웨브(26)에 평행 관계있는 다른 측부 플랜지(28)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있는 림(29)을 갖는다. 측부플랜지(28)는 보다 큰 힘을 갖도록 이중으로 되어 있다.
[창유리캐리지]
창유리 캐리지(17)가 제 1 도에서 5 도까지의 모두에 나타나 있는 한편, 제 2 도와 제 5 도는 판재금속 재료로된 납작한 부분(30)과 한쌍의 캐리어아암을 갖고 있다는 것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주요부분(30)은 안내레일(15)의 폭보다 약간 큰 횡방향 칫수를 가지며 또 쌍을 이룬 캐리어아암(31)은 주요부의 양측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캐리어 아암(31)은 그 안에 형성된 구멍(32)을 갖고 있다. 제 1 도에서 다시보면 캐리어아암(31)의 구멍(32)을 통하여 연장되는 볼트(33)에 의하여 창유리(14)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있다. 창유리(14)를 갖고 있으면서 캐리지(17)는 안내레일(15)에 상하로 이동된다.
안내레일(15)과의 미끄럼 운동 관계에 있도록 하기 위해서, 창유리 캐리지(17)는 금속판재 창문캐리지의 주요부(30)상의 위치에서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제 1 슈우(34)와 제 2 슈우(35)와 제 3 슈우(36)를 갖는다. 제 1 슈우(34)는 안내레일 플랜지(27)의 림(29)을 에워싸고, 제 5 도에서 횡단면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가로 누워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쌍의 미끄럼늑재(37)가 림(29)의 반대표면과의 미끄럼 접촉을 위해 제 1 슈우(34)의 마주보는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슈우(34)는 안내레일웨브(26)의 평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안내레일에 관하여 창유리 캐리지(17)의, 제 2 도 및 5 도에서와 같이,우측부분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안내레일(15)에 미끄럼운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안내레일(15)에 관하여 종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는 제 2 쌍의 슈우(35)는 제 5 도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거꾸로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안내레일(15)의 이중으로된 플랜지(28)를 에워싸고 있다. 한쌍의 미끄럼늑재(8)는 안내레일 플랜지(28)의 대향된 표면과의 미끄럼설치를 위해 각각 제 2의 슈우(35)의 마주보는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유리 캐리지(17)는 안내레일웨브(26)의 평면에 대해 평행인 방향으로 안내레일(15)에 관하여 변위가 억제된다.
제 2 쌍의 슈우(35)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제 3의 슈우(36)는 일반적으로 L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미끄럼늑재(39)는 말단부상에 형성되어 있고, 안내레일 웨브(26)의 내부표면과 미끄럼 설치되도록 제 3의 슈우(36)에 관하여 창유리 캐리지(17)로부터 단부가 멀리 떨어져 있다. 제 3 슈우(36)는 안내레일웨브(26)의 평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안내레일(15)로부터 멀리 떨어진 창유리 캐리지(17)의, 제 2 도 및 5 도에서 본 바와같이, 좌측부분의 변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슈우(34)에서 (36)까지는 안내레일(15)에 관하여 종방향의 미끄럼운동에 대해 창유리 캐리지(17)를 억제하는 공동의 역할을 한다.
창유리캐리지(17)는 안내레일(15)에 따라 양쪽방향의 미끄럼운동을 위해 케이블(21)의 제 2 도에서와 같은 안내레일(15)의 볼록한 측부상에 잘 설치되어 제 1의 스트렛치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부를 향하여 창유리 캐리지(17)는 제 3 슈우(36) 근처에서 한 개로 성형된 단단한 플라스틱의, 제 2 도에서 5 도까지의, 연결 슈우(40)를 갖는다. 연결슈우(40)는 제 5 도에서와 같이 U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안내레일웨브(26)의 외측표면과 미끄럼 설치되도록 미그럼늑재(41)를 갖고 있다. 연결슈우(40)의 안내레일웨브(26)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표면(42)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안내레일(15)에 관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3)이다. 제 2 도 및 5 도에서와 같이 연결링 또는 튜브(44)는 케이블(21)의 제 1 스트렛치위에 맞추어지고 또 케이블에 관하여 변위되지 않도록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링(44)은 이에 의해 설치된 케이블(21)의 일부와 함께 연결슈우(40)안의 홈(43)안에 압착되어 맞추어져 있다. 이렇게하여 창유리캐리지(17)는 가장 간단한 그리고 가장 실용적인 방법으로 케이블(21)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
상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는 제 2 도 및 6 도에 나타나 있고, 하부터미널 케이블 안내부(20)는 제 2 도 및 7 도에 나타나 있다. 안내레일(15)의 웨브(26)에 비회전설치되어 있으면서, 상부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는 비교적 두터운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고 또 케이블(21)을 미끄럼운동 가능케 수용하기 위해 그 주변의 대략 상부 절반주에서 홈(45)이 파여져 있다. 로브(46)는 상세히 설명될 이완 권취수단(25)의 일부를 이루는 접합점(47)을 마련하기 위해 케이블안내부(19)로부터 방사형으로 외향하여 연장된다. 케이블 안내부(19)는 물론 회전풀리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여기서의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비회전성으로 제조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접합점(47)이 안내레일(15)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부터미널안내부(20)는 케이블(21)을 수용하기 위해 주변에 형성된 홈(48)과 함게 안내레일(15)의 웨브(26)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풀리로서 나타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안내부(20)는, 마모에 견디고 또 미끄럼운동하는 케이블(21)에 대해 최소한의 마찰저항을 갖도록 그 재료가 잘 선택된다면 회전하지 않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중간케이블 안내부]
두쌍의 중간 케이블 안내부(23)는 안내레일(15) 상에 있는 마찰저항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성형된다. 모두 같은 형상과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중 단지 하나만 하나의 다른 관련된 중간 케이블 안내부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며, 다른 안내부의 여러 가지 부분들은 대표적인 안내부의 해당부분을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같은 도면부호에 의해 식별될 것이다.
제 6 도에서 보면 가장 위쪽의 중간케이블 안내부(23)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안내부가 안내레일(15)의 볼록한 측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 안내레일웨브(26)안의 사각개방부(50)에 밀접하게 설치된 각부(49)를 갖는 것에 의하여 제자리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케이블안내부(23)는 튜브형 안내부분(51)과 기울기를 갖는 안내홈(52)으로 추가구성되어 있다. 튜브형안내부분(51)은 케이블(21)의 제 2의 스트렛치가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안내레일(15)에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튜브형 안내부분(51)과 직접 통하여, 기울기를 갖는 안내홈(52)은 안내레일의 볼록한 측부로부터 오목한 측부로 안내레일웨브(26)에 있는 상부 개방부(22)를 통하여 연장됨에 따라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가장 위쪽의 중간케이블 안내부(23)의 튜브형 안내부분(51)내에 있는 나선형압축스프링(53)은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도는 바와같이 이완귄취수단(25)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4 도는, 가장 위쪽의 안내부(23) 바로 아래에 있는 중간 케이블안내부(23)가 안내레일웨브(26)에 있는 상부 개방부(22)를 가로질러 대향되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위쪽의 안내부를 제 1 안내부라하고 또 연관된 아래에 있는 안내부를 제 2 안내부라 칭한다. 제 2 안내부는 수직일 뿐아니라 또한 수평으로 제 1 안내부에 대해 거꾸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안내레일(15)의 오목한 측부상에 대개 위치되어 있어서, 제 2의 안내부는, 제 1 안내부의 기울기를 갖는 안내홈(52)가 협동으로 케이블(21)을 안내하기 위하여 개방부(22)를 통하여 연장되는 기울기를 갖는 안내홈(52)을 갖는다. 튜브형의 안내부(51)는 상부개방부(22)와 구동릴(24) 사이의 케이블(21)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레일(15)의 오목한 측부상에 전적으로 놓여있게 된다. 이렇게하여 중간케이블 안내부(23)의 상부 쌍은 상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와 상부 개방부(22)를 통하여 구동리일(24)와의 사이에서 케이블(21)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제 7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안내레일웨브(26)에 있는 하부개방부(22)와 관련된 다른쌍의 중간케이블안내부(23)는 처음에 열거한 쌍의 안내부(23)와 같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장 아래의 것은 대부분 안내레일의 볼록한 측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 위에 있는 것을 오목한 측부상에 있다. 그러므로 중간케이블 안내부(23)의 하부쌍은 안내레일웨브(26)의 하부 개방부(22)를 통하여 하부 터미널 케이블안내부(20)와 구동릴(24) 사이에서 케이블(21)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도 나타나 있지만, 구동리일(24)의 다음과 같은 설명을 위해서 제 4 도 및 5 도 및 8 도를 참조한다. 구동리일(24)은 안내레일웨브(26)에 대해 수직인 축에 관하여 회전하도록 반대 단부 중간위치에서 안내레일(15)의 오목한 내부측부상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21)은 그 원통형 표면에 마련된 나선형홈(54)에 설치되어 구동리일(24)에 관하여 한번 또는 두 번, 이 실시예에서는 3번, 감겨져 있다.
제 5 도에서 명백하게 보여지는 바와같이, 구동리일(24)은 안내레일(15)의 웨브(26)에 있는 구멍(57)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 외부단부면(56)으로부터 돌출하는 동심원보스(55)를 갖고 있다. 환형리브(58)는 보스(55)를 동심원으로 둘러싸기 위해 구동리일(24)의 단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58)는, 보스(55)가 구멍(57)을 통하여 안에 충분히 삽입됨에 따라 안내레일웨브(26)의 내부표면과 미끄럼 접촉을 하고 이에 의해 구동리일(24)의 보다 유연한 회전을 위하여 안내레일웨브(26)로부터 간격을 둔 구동리일단부면(56)을 보호유지한다.
구멍(57)으로부터 안내레일웨브(26)의 외부로 돌출하여, 구동리일보스(55)는 플랜지에 있는 구멍(61)을 통과하는 나사(60)에 의해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플랜지(59)를 갖고 있다. 플랜지(59)는 안내레일웨브(26)의 외부표면에 대해 미끄럼운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는 주변림(62)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구동리일(24)은 구동리일늑재(58)와 플랜지림(62)이 구동릴웨브(26)의 대향된 표면과 미끄럼 접촉하고 보스(55)에 관하여 회전한다.
원통형상의 리일하우징(63)은 구동리일(24)을 동심원상에서 둘러싸기 위해 안내레일웨브(26)에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리일하우징(63)은 리일하우징 안팎으로서의 케이블의 통과를 위하여 제 4 도의 도면부호 (64)에서 절개되어 있다. 접근개방부(65)는 구동리일(24)의 내부 단부표면상에 사각형상의 구멍(68)을 갖는 보스(67)를 노출시키기위해 리일하우징(63)의 단부판(66)에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리일(24)은 리일하우징(63)에 있는 접근개방부(65)을 통하여 구동리일보스(67)의 구멍(68)에 제 8 도에서의 수동크랭크(69)를 삽입하여 어느 방향으로든지 회전하게 된다. 물론, 관련된 속도감속기를 갖는 전기모터는 구동리일(24)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완권취수단]
이완권취수단(25)은 제 2 도에 나타나 있으며, 제 4 도에는 확대되어 나타나 있고, 또 제 6 도에서는 더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제 9a 및 9b 도는 다음에 설명될 두 개의 다른 상태에서의 이완 권취수단(25)을 나타낸다.
제 6 도를 특별히 참조하여 볼 때, 이완권취수단(25)은 잘 알려진 접합점(47)과 나선형 압축스프링(53)에 추가하여 가요성 재료로된 권취튜브(70)로 구성되어 있다. 권취튜브(70)는 사이에서 연장되는 케이블(21)을 간극을 갖게 수용하기 위해 가장 위쪽의 중간 케이블 안내부(23)의 튜브형부분(51)과 인접부(47)사이에 연장된다. 한단부에서 밀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 중간케이블안내부 반대편에 있으면서, 권취튜브(70)는, 압축스프링(53)과 권취튜브와의 단부에서 단부로의 연결을 위해 보강이나 인접부로써의 역할을 하는 플랜지(72)를 갖는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의 비교적 짧은 튜브형부재(71)이다.
제 9a 도는 케이블(21)이 충분히 인장을 받을때의 상기한 구조의 이완권취수단(25)을 나타낸다. 권취튜브(70)는, 스프링(53)이 압축되고 케이블안내부의 튜브형부분(51)에 충분히 수용되고 가장 위쪽의 중간케이블안내부(23)와 인접부(47)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케이블(21)의 이완시에 귄취튜브(70)는 압축스프링(53)의 힘 아래에서 구부러지며 이에 의해 제 9b 도에서와 같이 이완된 것을 테이프업시킨다.
[케이블선]
케이블(21)은 이러한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끝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주위홈(45)(48)을 갖고 쌍을 이룬 터미널케이블안내부(19)(20) 둘레에 루프로 되어 있으며, 케이블(21)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제 1 또는 좌측 스트렛치와 제 2 도는 우측 스트렛치를 제공한다. 제 1의 케이블 스트렛치는 안내레일의 볼록한 측부상에 전체적으로 설치되고 안내레일(15)에 대하여 창유리 캐리지(17)를 상호로 움직이기 위하여 안내통로(16)에 따라 연장된다.
상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를 떠날 때 제 2의 케이블 스트렛치는 권취튜브(70) 안에 나삽되며, 또 가장 위쪽의 중간 케이블 안내부(23)에 있는 튜브부분(51)과 홈(52)안으로 나삽되며, 이에 의해 제 4 도에서 가장 잘 나타난 바와같이 안내레일웨브(26)에 있는 상부개방부(22)를 통하여 안내레일(15)의 볼록한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안내된다. 제 2의 케이블 스트렛치가 튜브형 부분(51)내로 제 2의 가장 위쪽의 중간케이블안내부(23)에 있는 홈(52)에 따라 통과한다. 그리고 제 2 케이블 스트렛치는 개방부(64)를 통하여 리일하우징(63)에 들어가고 나선형의 홈(54)에 따라 구동리일(24) 둘레에 감겨지며 개방부(64)을 통하여 리일하우징을 떠난다. 그리고, 중간케이블 안내부(23)의 하부쌍에 의해 안내되며, 제 2의 케이블 스트렛치는 제 7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내레일웨브(26)에 있는 하부개방부(22)를 통하여 이동하며, 이렇게 하여 안내레일(15)의 오목한 부분에서 볼록한 부분으로 귀환되며, 주위홈(48)에 따라 하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20) 둘레에 약 절반정도로 감겨진다.
[동작]
상기한 구조의 창문조절기(10)는 수동크랭크 작동에 적합하다. 구동리일(24)이 어느 방향으로 크랭크됨에 따라 케이블(21)은 마찰구동되어 창유리캐리지(17)의 상하운동을 하게 하고 또 그러므로해서 차량문틀(11)에 있는 창문개방부(18)에 대하여 개폐위치로의 창유리(14)의 운동을 초래한다.
제 9a 도의 바와같이, 케이블(21)은 충분히 인장되어 있는 한 상부 터미널 케이블 안내부(19)와 가장 위쪽의 중간 케이블 안내부(23)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하게 된다. 케이블(21)위에 맞추어져 있으면서 이완권취수단(25)의 권취튜브(70)는 사실상 곧바로 된다. 창문조절기(10)의 사용에 있어서 케이블(21)에 이완이 생기면 권취튜브(70)는 구부러지고, 또 제 9b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스프링(53)의 힘 아래에서 인접부(47)에 대향하도록 되며, 이에 의해 이완을 테이크업하며 또 창문조절기를 잘 작동되도록 유지시켜 준다.
[대안적인 구현예]
제 10 도에서 16 도까지에 나타낸 다른 창문조절기는 상기한 창문조절기(10)에 의해 사용되는 수동크랭크에 의해서라기보다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한 발명의 적용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창문조절기의 여러 가지 부분들은 도면부호에 접두사 "1"을 써서 상기한 실시예의 해당부분을 가리키는데 사용되는 같은 도면부호에 의해 식별된다.
제 10 도에서 12 도까지에서 (110)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른 창문조절기는 단단히 부착된 안내레일(115)을 갖는 기다랗고 일반적으로 평평한 지지구조(180)로 구성된다. 안내레일(115)은 창유리 캐리지(117)을 안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직의 안내로(116)를 마련하도록 지지구조(18)의 대향된 종방향 가장자리의 하나에 따라 연장된다. 안내레일(115)과 함께 지지구조(180)는 차량문의 틀에 설치되고, 또 창유리 캐리지(117)는, 차량문이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창유리에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2 도에 명백히 나타나 있듯이, 안내레일(115)을 갖는 지지구조(180)는 차량문에 관해 우측 또는 내측으로 향한 오목한 측부와 또 차량문에 관하여 좌측 또는 외측으로 향한 볼록한 측부를 마련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완만하게 곡선을 이루고 있다. 창유리 캐리지(117)와 함께 안내레일(115)은 지지구조(180)의 볼록한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터미널 케이블 안내풀리(119)(120)가 그 대향된 인접하여 지지구조체(18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풀리(119)(120)에 루프를 이루고 있는 것은 제 10 도에서와 같은 케이블(121)과 같은 연장된, 가요성의, 펼쳐지지 않는 요소와 그리고 제 2의 또는 우측 스트렛치이다. 제 1의 케이블 스트렛치가 안내레일(115)에 따라 연장되는 반면에, 제 2의 케이블 스트렛치는 연장되지 않고 반대 단부 중간의 위치에서 지지구조체(180)에 대해 옆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리일(124)상에 감겨져 있다.
제 13 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구동리일(124)은 지지구조체(180)의 오목한 측부에 설치된 구동기구(182)에 의하여 구동된다. 구동기구(182)는 구동리일(124)에 기어로 장치된 가역전기모터(184)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창문조절기(110)는 차량문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창유리를 움직이기 위해 모터 구동된다.
창문조절기(110)는 상기한 실시예의 이완권취수단(25)에 대신하여 한쌍의 인장수단(125)을 사용한다. 구동리일(124)의 반대측부상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쌍을 이룬 인장수단(125)은 케이블(121)에 대해 항상 인장을 가해주는 기능을 한다.
창문조절기(110)가 열거된 중요한 구성부는 지지구조체(180), 안내레일(115), 창유리캐리지(117), 구동리일(124), 구동기구(182)와 인장수단(125)의 순으로 여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지지구조체]
제 10 도에서 14 도까지를 참조하여, 지지구조체(180)는 판재금속의 연장부분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반대단부(185)는 설치된 축(186)상의 터미널 케이블 안내풀리(119)(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넓혀져 있다. 오프셋된 설치휜(187)은 지지구조체(18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설치휜(187)상의 한쌍의 볼트(188)는 지지구조체(180)를 차량문 후레임에 설치하는데 사용되도록 한다. 제 11 도 및 12 도는 그 하단부에 인접하여 지지구조체(180)의 오목한 측부에 부착되는 U자형상의 설치러그(189)를 나타낸다. 설치러그(189)상의 볼트(190)는 지지구조체(180)를 문후레임에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제 10 도에서와 같이 지지구조체의 우측 종방향 가장자리는 쌍을 이룬 보다 넓은 단부(185) 사이에서 연장되고 안내레일(115)에 대해 평행을 간격을 갖는 관계에 있는 후렌지(191)를 마련하도록 볼록한 측부를 향해 구부러져 있다. 플랜지(191)는 다음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창유리 캐리지(117)가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레일(115)과 공동 작용한다.
[안내레일]
금속판재로 되어 있는 것으로 안내레일(115)은 제 10 도에서와 같이 그 좌측 종방향 가장자리에 따라 연장되도록 지지구조체(180)의 볼록한 측부에 스폿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제 13 도 및 14 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안내레일(115)은 지지구조체(180)에 대해 유지된 웨브(126)로 구성되어 있고, 한쌍의 플랜지(127)는 웨브(126)의 대향된 종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각을 이루고 구부러져 있으며, 한쌍의 안으로 향한 림(129)은 서로를 향해 플랜지(127)의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하여 제 10 도에서와 같이 외부가 나타나 있다. 또 제 12 도에서 측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완만하게 곡선을 이룬 직선으로된 창유리 안내로(116)를 마련해주게 된다. 플랜지(127)는 창유리 캐리지(117)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그들의 반대 단부에서 제 10 도의 전체적인 캐리지 멈춤구(192)가 아울러 마련되어 있다.
[창유리 캐리지]
창유리 캐리지(117)가 제 10 도에서 12 도까지에 그리고 제 14 도에 모두 나타나 있지만, 안내레일(115)에 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재의 평평한 조각으로써 제 15 도에서 더 잘 나타나 있다. 창유리 캐리지(117)의 반대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설치 리쎄스(193)와 구멍(194)은 적합한 체결요소(도시않음)로 창유리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면부호(195)에 나타나 있는 것은 안내레일(115)의 쌍을 이룬 측부 플랜지(127)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비교적 두터운 디스크의 형태로 된 슬라이더나 슈우이다. 슬라이더(195)는 안내레일(115)의 쌍을 이룬 안으로 향한 림(129)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 감소된 직경의 목부분(196)을 갖는다. 목부분(196)을 갖는 슬라이더(195)는 창유리 캐리지에 있는 간극 구멍(198)을 통과하는 나사(197)에 의하여 대략 중앙 위치에 있는 창유리 캐리지(117)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제 14 도에서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슬라이더(195)는 안내 레일(115)에 의해 한정되는 안내로(116)에 미끄럼운동 가능케 수용되고 이에 의해 우발적인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상하운동이 억제된다.
슬라이더(195)에 대해 측부에 있는 관계로 창유리 캐리지(117)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는 것은 케이블(121)에 창유리 캐리지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암커플링부재(199)이다. 암커플링부재(199)는 캐리지에 있는 구멍(201)을 통과하는 한쌍의 나사(200)에 의해 창유리 캐리지(117)에 고정되어 있다. 제 14 도는, 창유리캐리지(117)에 설치되어 있어서, 암커플링부재(199)가 지지구조체(180)의 종방향플랜지(191)와 안내레일(115)의 플랜지(127)의 하나와의 사이에 다소 헐겁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소켓트(202)는 암커플링부재(199)안에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상하 측부상의 한쌍의 정렬된 슬리트(203)와 소통되어 있다.
제 15 도의 도면부호 (204)에는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케이블(121)의 제 1 또는 좌측스트렛치에 맞춰지고 또 단단히 연결된 짧은 금속튜브의 형태로된 숫커플링부재가 나타나 있다. 숫커플링부재(204)는, 제 14 도에서 가장 잘 나타난 바와같이 케이블(121)의 아웃 부분들이 한쌍의 슬리트(203)안에 수용되고 암커플링부재(199)의 소켓트(202)안에 밀접하게 맞춰져 있다. 이렇게 하여 창유리 캐리지(117)는 케이블의 종방향으로의 미끄럼운동의 가능성에 대하여 케이블(121)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리일]
제 10 도, 12 도, 13 도 및 16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구동리일(124)은 대향된 단부 중간에 있는 위치에서 지지구조체(180)에 용접되거나 또는 달리 고정된 베어링 플레이트(20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장되어 있는 축(205)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리일(124)은 구동리일축을 포함하는 수평선에 따라 곡선을 이루는 지지구조체(180)에 대해 접선을 이루는 평면에 사실상 수직인 축에 관하여 회전한다.
구동리일(124)은 제 16 도에서와 같이 그 표면에서 나선형으로 파여진 홈(207)을 갖는다. 케이블(121)은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끝이 없는 것이 아니고 그 반대단부는 홈(207)에 따라 구동리일(124)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제 10 도 및 13 도에서 나타난 케이블(121)의 반대극단부(208)는 그 반대 단부면에 형성된 리쎄스(209)안에 맞추어져서 구동리일(124)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기구]
구동기구(182)는 제 10 도에서 13 도 사이에 그리고 제 16 도의 일부에 나타나 있다. 이는 지지구조체(180)의 오목한 측부에 도면부호(210)에서 브라켓트 설치되어 직류모터와 같은 가역전기모터(184)를 포함한다. 모터(184)는 브라켓트(210)를 통하여 그로부터 의존하는 아마츄어 축(211)을 갖는다. 이러한 아마츄어 축상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는 것은 축(205)상에 고정설치된 웜바퀴(213)와 맞물려 있는 웜(212)이다. 웜(212)와 웜바퀴(213)는 기어하우징(214)안에 둘다 들어 있다.
이렇게 하여 모터(184)의 양방향 회전은 서로 맞물려 있는 웜(212)과 웜바퀴(213)를 거쳐 구동리일(124)에 전달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구동리일(124)의 양방향 회전은 한쌍의 풀리(119)(120)에서 움직이는 케이블(121)에 의하여 창유리캐리지(117)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된다.
[인장수단]
제 10 도에서 13 도까지 참조하여 한쌍의 인장수단(125)은 구동리일(124)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구조체(180)의 종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두 개의 인장수단(125)은 비슷한 구조로되어 있고 각각은 아암(215)과 인장롤(216)과 나선형 인장스프링(217)으로 구성된다. 긴 와이어로 만들어져 있어서, 아암(215)은 베어링 플레이트(206)에 형성된 구멍에서 추축상에 맞추어져 도면부호(218)에서 직각을 이루고 구부러져 있는 하나의 단부를 갖고 있다. 아암의 다른 단부(219)도 인장롤(2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인장롤(216)은 케이블(121)과 롤링관계를 갖도록 주위에 형성된 제 13 도에서와 같은 홈(220)을 갖는다. 더욱이 아암(215)은 도면부호(221)에서 루프를 이루고 있고 또 나선형 인장스프링(217)은 그 단부의 하나가 루프(221)에 걸려 있고 다른 단부는 지지구조체(180)에 있는 구멍(222)과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상부 풀리(119)와 구동리일(124) 사이와 그리고 하부풀리(120)와 구동리일(124) 사이에 연장되는 케이블(121)의 부분들은 스프링(217)의 힘아래에서 두 개의 인장롤(216)에 의해 다른 케이블스트렛치에 항상 향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121)은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면서 창문조절기(110)의 오랜 시간에 걸친 사용에 있어 인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또한 구동리일(124) 뿐만아니라 구동모터(184)로 구성되는 케이블 구동수단이 창문조절기(110)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고 안내레일(115)의 또는 지지구조체(180)의 오목한 측부상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횡방향에서의 창문조절기(110)의 공간 필요성은, 제 10 도 및 11 도에서의 전면도 또는 후면도에서와 같이 지금까지보다 훨씬 적게 된다. 이 장치는 단지 제한된 설치 공간에서 차량문과 다른 대상물에 편리하게 설치된다.

Claims (6)

  1.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로서, (a) 볼록한 측부와 오목한 측부를 제공하도록 종방향으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볼록한 측부상에 선형안내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기다란 안내레일수단과, (b)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일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종방향 구멍과, (c)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타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볼록한 측부에 착설된 한쌍의 터미널 안내부와, (d) 상기 터미널 안내부 둘레로 루우프를 이루면서 제 1 및 제 2 스트렛치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 스트렛치가 상기 선형안내통로를 따라서 연장하여 있고 상기 제 2 스트렛치가 상기 볼록한 측부로부터 상기 종방향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오목한 측부 쪽으로 연장하여 있는 기다란 부재와, (e)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양단부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오목한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동릴과, 그리고 (f) 상기 안내레일수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일수단을 따라서 상기 기다란 부재의 상기 제 1 스트렛치를 양방향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 스트렛치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의 마찰로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상기 오목한 측부와 상기 볼록한 측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부재의 이동을 유연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종방향 구멍 중 하나에 인접하여 상기 안내레일수단에 단단히 착설된 한쌍의 제 1 중간안내부와, 최소한의 마찰로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상기 오목한 측부와 상기 볼록한 측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부재의 이동을 유연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종방향 구멍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상기 안내레일수단에 단단히 착설된 한쌍의 제 2 중간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중간안내부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중간안내부가 (a) 상기 선형안내통로를 따라서 연장하며 상기 기다란 부재를 수용하는 튜브형 안내부, 및 (b) 상기 튜브형 안내부와 소통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상기 오목한 측부와 상기 볼록한 측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부재를 안내하도록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일단부에 제공된 상기 종방향 구멍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경사진 안내홈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의 이완을 제거하기 위한 이완 에티크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완 테이크업 수단이 (a) 상기 안내레일수단에 대해 고정된 상기 터미널 안내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된 인접부와, (b) 상기 기다란 부재를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그 일단부가 상기 인접부에 유지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중간안내부 중 어느 하나에 유지되어 있는 가요성 재료의 튜브형 부재와, (c) 상기 인접부에 대해 상기 튜브형 부재를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튜브형부재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중간안내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스프링과, 그리고 (d) 상기 인접부와 상기 하나의 중간안내부 사이에서 선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튜브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5.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로서, (a) 볼록한 측부와 오목한 측부를 제공하도록 종방향으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볼록한 측부상에 선형안내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기다란 안내레일수단과, (b)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일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종방향 구멍과, (c)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타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볼록한 측부에 착설된 한쌍의 터미널 안내부와, (d) 상기 터미널 안내부 둘레로 루우프를 이루면서 제 1 제 2 스트렛치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 스트렛치가 상기 선형안내통로를 따라서 연장하여 있는 기다란 부재와, (e)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양단부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오목한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선형안내통로를 따라서 상기 기다란 부재의 제 1 스트렛치를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다란 부재의 제 2 스트렛치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릴과, (f) 상기 구동릴의 일단부에 배열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그리고 (g) 상기 안내레일수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일수단을 따라서 상기 기다란 부재의 상기 제 1 스트렛치를 양방향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 스트렛치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인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인장수단이 (a) 일단부가 상기 안내레일수단의 일단부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아암과, (b) 상기 기다란 부재의 상기 제 2 스트렛치와 결합되도록 상기 아암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인장롤과, 그리고 (c) 상기 기다란 부재의 상기 제 2 스트렛치에 반하여 상기 인장롤을 밀어주도록 상기 안내레일수단과 상기 아암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의 창문조절에 사용되는 운동 변환기구.
KR1019880001627A 1987-02-16 1988-02-16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930010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2970 1987-02-16
JP3297087A JPH0633696B2 (ja) 1987-02-16 1987-02-16 昇降装置
JP62-032970 1987-02-16
JP63004388A JPH073138B2 (ja) 1988-01-12 1988-01-12 昇降装置
JP63-4388 1988-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12A KR880009812A (ko) 1988-10-05
KR930010047B1 true KR930010047B1 (ko) 1993-10-14

Family

ID=2633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627A Expired - Fee Related KR930010047B1 (ko) 1987-02-16 1988-02-16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78391A (ko)
KR (1) KR930010047B1 (ko)
FR (1) FR2610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536B2 (ja) * 1988-04-25 1996-06-12 アスモ株式会社 手動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タ
JPH03209042A (ja) * 1990-01-08 1991-09-12 Koito Mfg Co Ltd 昇降装置
WO1994023138A1 (en) * 1993-03-31 1994-10-1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window of driver's cab or working vehicle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method
US5623785A (en) * 1995-09-29 1997-04-2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torsion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JPH11270222A (ja) * 1998-03-23 1999-10-05 Koito Mfg Co Ltd マニュアル式ウインド装置
DE19981927D2 (de) * 1998-10-15 2000-10-26 Kuester Automotive Door Sys Seilzug-Fensterheber für Fahrzeuge
KR20000012749A (ko) * 1999-12-22 2000-03-06 권영직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케이블텐션유지장치
IT250778Y1 (it) * 2000-01-14 2003-10-14 Flexso S R L Alzavetro a cavetto per autoveicoli in genere con fissaggio del motoriduttore al profilato di guida del movimento del vetro.
FR2811038B1 (fr) * 2000-07-03 2003-06-27 Meritor Light Vehicule Sytems Systeme d'assemblage de deux composants d'un dispositif d'activation de leve-vitre sur un support
FR2820451B1 (fr) 2001-02-06 2003-08-29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Curseur de leve-vitre pour vitre coulissante
ES1052188Y (es) * 2002-06-06 2003-03-16 Castellon Melchor Daumal Perfil para carriles de material plastico para elevalunas de automoviles.
KR20040039631A (ko) * 2002-11-04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
GB2395520B (en) * 2002-11-20 2006-01-11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Window regulator cable arrangement
JP4031457B2 (ja) * 2004-04-16 2008-01-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の駆動装置
DE112005001930T5 (de) * 2004-08-06 2007-07-19 Magna Closures Inc., Newmarket Doppeltgeführter Einschienenfensterheber
WO2006028827A2 (en) * 2004-09-01 2006-03-16 Dura Global Technologies Window regulator
US7448166B2 (en) * 2005-02-14 2008-11-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able guide mechanism for luggage handles
US20070017159A1 (en) * 2005-07-20 2007-01-25 Hi-Lex Corporation, A Michigan Corporation Attachment of guide rail to door module plate
US9796250B2 (en) * 2011-12-26 2017-10-24 Hi-Lex Corporation Vehicle window regulator, and vehicle door structure comprising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US9540092B2 (en) 2014-09-10 2017-01-10 Raytheon Company Moving conformal window for large aperture optics on aircraft mounted pods
US9790728B2 (en) * 2015-07-17 2017-10-17 Hi-Lex Controls, Inc. Single-rail window regulator assembly
DE102018201023A1 (de) * 2018-01-23 2019-07-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ensterheberbaugruppe mit spannendem Ausgleichselement an einem Antriebsgehäuse für ein flexibles Zugmittel
CN108656906A (zh) * 2018-06-06 2018-10-16 重庆万盛汽车配件有限公司 全景天窗机械组结构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7937A (en) * 1958-06-10 1961-06-13 Eaton Mfg Co Window operating mechanism
FR2382351A1 (fr) * 1977-03-01 1978-09-29 Peugeot Aciers Et Outillage Mecanisme de leve-glace
DE2849445A1 (de) * 1978-11-15 1980-05-29 Volkswagenwerk Ag Fensterheber
US4468887A (en) * 1981-06-04 1984-09-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indow lifting mechanis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4440354A (en) * 1981-06-22 1984-04-03 Nippon Cable System Inc. Automatic tension-adjusting mechanism for window regulators
JPS5835577U (ja) * 1981-09-02 1983-03-08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自動車用ウインドレギユレ−タ
DE3136890C2 (de) * 1981-09-17 1986-06-12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5620 Velbert Motorbetätigter Fensterheber
JPS58191883A (ja) * 1982-04-30 1983-11-09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ユレ−タ
US4589227A (en) * 1984-04-26 1986-05-20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Side window glass regulator for quarter windows on convertibles
DE3432178C1 (de) * 1984-08-31 1986-01-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Bowdenzug-Fensterheber,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61146987A (ja) * 1984-12-20 1986-07-04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窓ガラスの昇降装置
JPS62125184A (ja) * 1985-11-07 1987-06-06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ワイヤ駆動式ウインドレギユレ−タにおけるワイヤの張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10980B1 (fr) 1994-02-25
US4878391A (en) 1989-11-07
KR880009812A (ko) 1988-10-05
FR2610980A1 (fr) 198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047B1 (ko)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KR940003270B1 (ko) 차창 조정기
US20040144032A1 (en) Window regulator
US5657580A (en)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CA1297928C (en) Cable window regulator
US6758013B2 (en) Integrated roller cable assembly
US6088965A (en) Door window regulator
US6910518B2 (en) Divided window shade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US6125585A (en) Sliding window regulator
US5623785A (en) Window regulator with torsion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US7328934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6052946A (en) Window regulator apparatus
US5309678A (en) Tension adjusting apparatus
WO1999028582A1 (en) Window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5022184A (en) Manual window regulator
US4428542A (en) Wire-driving device for window regulator
US20030107245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ull-cable type sunroof
JP2007223402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3178742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タ装置
US6874280B2 (en) Compact cable-type window lifter
JP4263788B2 (ja) パワー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H01239282A (ja)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手動駆動装置
JPH0245426Y2 (ko)
JPH07122386B2 (ja) シャッタ、主にロー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JPH0711219B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レギュレ−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210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101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