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632A - 자체지지휠터 및 이 휠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체지지휠터 및 이 휠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9632A KR930009632A KR1019920007533A KR920007533A KR930009632A KR 930009632 A KR930009632 A KR 930009632A KR 1019920007533 A KR1019920007533 A KR 1019920007533A KR 920007533 A KR920007533 A KR 920007533A KR 930009632 A KR930009632 A KR 9300096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lange
- molding
- self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1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14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1
Abstract
본 발명은 단단하고 주름이 형성된 2개의 측판(14)으로 된 휠터, 이 휠터 제조방법, 그리고 이 휠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휠터를 구성하는 측판(14)은 플랜지(50, 52, 54)를 구비하고, 2개의 측판(14)을 접합시켜 휠터를 제조할 때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측판(14)을 접합할 때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금속제 결합체를 이용하는 금속결합, 또는 바느질을 이용한 꿰매는 방식으로 실시한다. 또한, 측판(14)에는 또다른 플랜즈(56)가 형성되어 휠터를 외부의 흡기부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이 플랜지(56)는 요구에 따라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장치에 의해 판재는 이 판재의 연속공급수단으로부터 두쌍의 블레이드부재(102)사이로 점진적으로 공급되어 성형처리되며,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는 상기 판재와 순차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접촉하면서 성형작업을 하게 된다. 이 블레이드부재(102)는 판재에 열을 가하여 이 판재를 강화시키게 되며, 상기 제조장치에는 성형경화가 완료된 판제를 절단하여 측판(14)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절단부(112)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휠터를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측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판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의 상당도, 제3도는 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양측 블레이드부재의 개략 사시도.
Claims (12)
- 자체 지지휠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요성 부직포 판재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판재에 주름을 성형하는 중에 이 부직포 판재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름이 형성되고 경화된 부직포 판재로 이루어진 측판 두 개를 상기 주름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부착시키고, 상기 두 개의 측판(14)을 서로 부착시키는데 있어 상기 주름에 있는 정점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정점들 사이에 만들어지는 주름골(30)에 의해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 통로(30)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벽을 구비하여, 상기 통로(30)를 통해 여과될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공기통과벽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서 공기속에 함유된 먼지등의 오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주름들의 정점이 갖는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주름들 사이에 일정한 이격 간격으로 이 주름들의 성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플랜지(52)를 성형하고, 상기 측판(14)들을 상기 제1플랜지(52)를 따라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지지휠터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들의 정점이 갖는 평면과 동일평면상에서 상기 주름들의 성형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플랜지(54)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2플랜지(54)를 구비하는 두 개의 측판(14)들을 각각의 제2플랜지(54)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주름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통로들의 일단을 폐쇄하고, 상기 제2플랜지(54)를 서로 부착히켜 상기 측판(14)들을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지지휠터의 제조방법.
-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들의 주름골이 갖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서 상기 주름들의 성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플랜지(56)를 상기 측판(14)에 성형하는 단계와, 두 개의 측판(14)이 갖는 각각의 제3플랜지(56)가 서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완성된 휠터에 있어서, 상기 주름들에 의한 통로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두 개의 측판(14)을 서로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지지휠터의 제조방법.
- 제1항에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판재에 주름과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 부직포 판재를 점진적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부직포 판재를 다음의 부직포 판재에 대한 성형단계에 앞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지지휠터의 제조방법.
- 각각 평평한 클램프면(120)을 갖는 두 개의 긴 클램프부재(106)를 구비하는 클램프배열부와, 일측의 주름면이 갖는 정점들이 타측의 주름면이 갖는 주름골과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된 한쌍의 대향하는 주름성형부재(102)와, 상기 클램프 부재(106)사이 및 상기 주름성형부재(102)사이가 서로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106)사이 및 주름성형부재(102)사이에 배치되는 재료를 다수개의 주름과 이 주름의 성형방향에 평행하는 하나의 플랜지를 갖도록 성형할 수 있는 자체지지 휠터용 가요성 부직포 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주름성형 부재는 다수개의 긴 블레이드 부재(102)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102)는 상기 클램프 부재(106)와 평행하게 연장형성되고,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판재 결합단부를 구비하므로서 긴 정점을 갖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블레이드 부재(102)의 각 정점사이에 골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성형부재(102)의 상대적 이동을 일으키는 구동수단은 상기 클램프 부재(106)에 의해 클램프되고 상기 주름성형부재(102)를 따라 놓여져 있는 상기 부직포 판재에 대해 상기 주름성형부재(102)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각 블레이드 부재(102)가 전진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를 차례로 구동시키며,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중 상기 클램프부재(106)측에 가장 근접한 정점을 갖는 블레이드 부재(102d)로 부터 시작하여 상기 클램프 부재(10b)에 가까운 순서대로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들을 차례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용 가요성 부직포 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중에서 상기 클램프부재(106)측에 인접한 블레이드 부재(102d, 102b)는 평평한 평면부(114, 116)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평면부(114, 116)는 상기 클램프 부재(106)의 평면부(120)와 연동하여 상기 부직포 판재에 성형되는 플랜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두 개의 대향하는 연속되는 클램프면을 형성하며,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중에서 상기 클램프부재(106)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블레이드 부재(102c, 102a)는 상기 클램프 부재(106)의 평면부(120)의 규격에 상응하는 규격의 평면부(122, 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용 가요성 부직포 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립체.
-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조립체는 상기 주름성형부재(102)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 판재가 경화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상기 주름성형부재(102)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용 가요성 부직포 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립체.
-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레이트 부재(102)는 상기 주름의 성형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평평한 성형면(128)을 일단부측에 구비하며, 이에따라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들이 이동할 때 상기 부직포 판재의 가장자리가 상기 블레이드 부재(102)의 평평한 성형면(128)에 의해 맞물리게 되어 상기 부직포 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54)가 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용 가요성 부직포 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립체.
- 자체지지 휠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5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성형 경화조립체와 외부에 있는 판재 연속공급원으로 부터 판재를 급송시키기 위한 판재 급송수단(110)과, 상기 판재로 부터 성형 경화된 부분을 절단해 내기 위한 절단수단(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급송수단(110)은 상기 성형 경화된 판재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주름과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정점 및 골을 갖는 연동부재와, 상기판재의 급송방향에서 상기 성형경화 조립체의 주름성형부재(102)의 길이규격과 동일한 거리만큼 상기 판재 급송수단(110)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상기 판재가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하나의 부위씩 급속되며, 상기 각각의 판재부위는 일단부에 평행한 다수개의 주름을 갖고, 상기 절단수단(112)은 상기 각각의 판재부위에 형성된 플랜지가 이 절단수단(112)과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판재부위가 상기 플랜지를 따라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두 개의 측판(14)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측판(14)은 하나의 추가 보조 플랜지(52)와, 측부플랜지(50)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플랜지(50, 52)는 상기 주름이 형성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판(14)들은 이 측판(14)의 주름들이 갖는 정점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50, 52)를 따라 서로 부착되며, 이에따라 상기 주름에 의해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공기 통과벽을 구비하며, 여과될 공기는 상기 통로를 통해 통과하여 상기 공기통과벽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먼지등의 오물을 여과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측판(14)은 상기 주름에 있는 정점과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주름의 형성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또다른 플랜지(54)를 구비하며, 두 개의 측판(14)에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54)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주름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일단부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에 의해 만들어지는 통로의 타단부에서 상기 측판(14)은 또다른 플랜즈(56)를 형성구비하며, 상기플랜지(56)는 상기 주름의 형성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의 주름골에 있는 바닥의 평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통로와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에는 휠터의 흡기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이에따라 상기 통로와 상기 흡기부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에 의해 만들어지는 통로의 타단부에서 상기 측판(14)에는 또다른 플랜지(56a)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56a)는 상기 주름의 형성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의 골에 있는 바닥을 통과하는 선을 중심으로 상기 골의 바닥면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며, 이에따라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가 외부로 이 연결부를 통해 개방되고, 상기 휠터가 이 휠터의 흡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지지 휠터.※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9123926.9 | 1991-11-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9632A true KR930009632A (ko) | 1993-06-21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92294B1 (en) | Filter eleme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950006508B1 (ko) | 주름팩으로 형성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카아트리지 및 그의 제조방법 | |
US6059023A (en) | Heat exchanger | |
KR100988963B1 (ko) | 롤형으로 보관가능한 연속적인 필터프레임구성띠 | |
US20060151383A1 (en) | Pleated corrugated media and method of making | |
JP2935433B2 (ja) |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 |
EP1203127B1 (en) | Ceiling system with replacement panels | |
CA2239688A1 (en) | Heat exchanger | |
KR20100112583A (ko) | 결합 필터매체 주름팩 | |
JPH03196806A (ja) | 挿入フイルタ | |
US3391511A (en) | Lightweight structure having a honeycomb interior | |
SE502310C2 (sv) | Luftfilterelement | |
KR20020045603A (ko) | 고강도 벽과 덮개 조립체를 위한 구조용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
JP2005504643A (ja) | 成形されたパネルを備えたベローズ | |
US4215518A (en) | Flanged corner construction and method | |
KR930009632A (ko) | 자체지지휠터 및 이 휠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 |
JPH0713777Y2 (ja) | バッグ状エアーフィルタ用濾材ユニット | |
EP3646933B1 (en) | A cover for filtering element | |
GB2131717A (en) | Air filter | |
JP2002372391A (ja) | 熱交換素子とその製造方法 | |
JP3051659U (ja) | 積層溶着式布製ジャバラ。 | |
JP2000320039A (ja) | 立体形状の無機質繊維成形体、その組立体及びその組立体の製造方法 | |
WO2003049838A1 (fr) | Filtre a ai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filtre a air | |
JPH11254047A (ja) | 熱交換器に使用する薄板の曲げ方法及び熱交換器 | |
JP2004174461A (ja) |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