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9385B1 - 수직로의 장입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로의 장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85B1
KR930009385B1 KR1019860001857A KR860001857A KR930009385B1 KR 930009385 B1 KR930009385 B1 KR 930009385B1 KR 1019860001857 A KR1019860001857 A KR 1019860001857A KR 860001857 A KR860001857 A KR 860001857A KR 930009385 B1 KR930009385 B1 KR 93000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vertical
charging
locks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384A (ko
Inventor
르네마아
로나르디 에밀
베르나르 질베르
솔비 마르끄
맬리에 삐에르
Original Assignee
파울 부르트 에스. 에이.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부르트 에스. 에이.,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파울 부르트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6000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Blast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로의 장입 장치
제 1 도는∼제 3 도는 로크 장입 장치 차이에 따른 단면도.
제 1a 도는 제 1 도의 a-a 단면을 따른 수평단면도.
제 4 도는 몇몇 장입공정에 대한 시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 수직로의 수직축 10,82 : 프레임
12 : 수직로 14 : 회전 또는 진동 슈트(chute)
16 : 저장호퍼 18 : 수직공급 통로
20 : 밀폐실 22 : 로울러
24 : 수직회전축을 갖는 로울러 26 : 원형 레일
28 : 배출목 30,78 : 플랩(flap)
32 : 환상 레일 34 : 좁은 간격
36,38,40 : 로크(look) 42,44,46 : 플랩틀
48 : 분배 플랩 50,52 : 밀봉 플랩
54,56 : 밀봉 보정기 58,60 : 스트레인 게이지
62,80 : 콘베이어 벨트 64 : 대기 호퍼
66 : 플랩 68 : 회전 슈트
70 : 예비 호퍼 72 : 고정 파이프
74 : 개폐 플랩 76 : 예비 호퍼
84 : 편향 롤러 86 : 잭
88 : 아이들링 롤러(idling roller) 90 : 비분리 상자
92 : 상부 환상상자 94 : 중앙 비분리 상자
96 : 장입 선
본 발명은 슈트쪽으로의 장입 오리피스가 수직축 주위로 대칭적으로 장입 단면을 증감시키도록 설계된 분배 장치에 의하여 조절되고 수직로의 수직축상에 장착된 저장 호퍼와 회전 수트 또는 진동 슈트 배분기구를 갖는 수직로용 장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유럽 특허 출원 제62,770호로 출원되었다. 이 특허 출원에 따른 장치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교대로 작동하는 2개의 저장 호퍼들을 갖는 공지된 장치에서 장입 물질이 경사낙하함으로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 가능하게 한다.
이 새로운 장치가 회전 슈트 장입 장치의 개발로 공지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장입 물질의 입도분포에 또 다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사실 장입 물질은 그것이 철광석 입자들이건 코우크스 입자들이건 가변적인 불균일한 입도 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로크(look)나 저장 호퍼에 장입될 때 입도 분포에 따라 정확하게 분리된다. 더우기 이러한 분리 현상은 장입에 따라 강화된다. 이러한 분리는 누적 효과를 갖는 여러요인에 의하여 야기된다.
이 분리현상의 원인중의 하나는 장입물이 장입되면서 자연적으로 침전콘(cone)이 낙하지점 주위에 형성되지 때문이다. 가장 크고 무거운 입자들은 하우징의 주변을 따라서 그 무게로 인해 콘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린다. 반대로 가장 작은 입자들은 콘의 중심부에 남아 있게 된다.
그런데 장입물의 장입시에는 자연적인 콘이 형성되지만, 배출시에는 이와 반대 현상, 즉 콘 중심부에 있는 입자들이 먼저 배출되어 더 가라앉게 되어 V형의 배출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장입시나 배출시에 일어나는 현상들 외에 작은 입자들은 그 치수 때문에 보다 부피가 큰 입자들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저부에 다량으로 축적된다. 다음 원인은 장입물이 특히 장입 단계의 초기에 하우징내로 떨어질 때 몇몇 큰 입자들은 여러 부분으로 쪼개져서 작은 입자들이 된다.
위에 열거한 여러 요인들의 누적효과는 하우징으로부터 장입물을 배출하는 초기단계에서 큰 입자들의 비율이 더 크게 될 때 작은 입자들의 비율은 배출의 끝으로 갈수록 훨씬 더 크게 된다. 그 결과로서 하우징의 내용물이 전체 상부 장입 표면층을 적층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이를 위해 회전 슈트를 이용하여 바깥쪽에서 중심부로 나선형원형이나 구심원들을 그리면 작은 입자들의 비율은 수직로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중심부보다 주변부에 매우 높게 된다.
이러한 분리현상은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작동하는 2개의 저장 호퍼들을 갖는 장치에서는 허용가능하지만 대용량의 중심 호퍼와 그 위에 부수 호퍼를 갖는 대용량 장치에서는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높이를 상당한 정도까지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용량 증가는 반드시 호퍼의 직경을 수반해야 한다. 호퍼직경을 증가시키면 분리현상 효과가 심화되고 이에 따른 단점이 장치가 장착되는 수직로의 용적을 증가시키게 되어 그 단점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청구항에서 언급된 타입의 수직로용의 새로운 장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입 장치는 저장 호퍼와 분배 장치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하고 이들을 밀폐실내에 장치시키고, 밀폐실위에는 각각 상, 하 밀봉 플랩을 갖춘 두 개 이상의 로크를 배열하며 호퍼와 각 로크의 저부를 경사진 깔대기 형상을 하게하고 그 원추형 벽은 수직축과 30°또는 그 이하의 각도를 이루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밀폐실은 그 위에 3개의 로크를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용적을 줄이는 것과 연속적인 장입을 가능하게 한다.
각 로크의 최대 직경은 3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호퍼는 밀폐실의 벽과 일체인 원형레일 위를 이동하는 지지 및 안내 로울러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로의 수직축 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하기 위해 구동 장치의 작용을 받는다. 비분리 상자들은 로크와 호퍼 양쪽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양호한 장입과 특히 여러 입도를 갖는 입자들의 균일한 분산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분리 현상과 그 폐단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즉 로크 및 호퍼의 작은 직경, 그 경사 형상, 수직축 주위에서의 호퍼의 회전, 그리고 비분리 상자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장치상의 특징들은 도면을 참조로하여 설명한다.
제 1-3 도는프레임(10)에 의하여 운반되는 장입 장치를 도시하며, 그 프레임은 수직로(12)의 헤드에 의하여 지지되며 장입물의 분배를 위한 회전 또는 진동 슈트(14)가 장착된다. 저장 호퍼(16)는 수직로의 수직축(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슈트(14)위와 관통하는 수직 이송 채널(18)위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이 호퍼(16)는 경사진 깔때기 형상을 하며 그 원추형 벽은 수직축과 30°나 그 이하의 각을 이루고 그 최대 직경은 상부가 4∼5m를 초과하지 않는다.
저장 호퍼(16)는 프레임(10)에 의하여 운반되는 밀폐실(20)에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호퍼(16)는 수직축(0) 주위를 밀폐실(20)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호퍼(16)는 밀폐실(20)의 내부 어깨부위와 원형 레일(26)위를 이동하는 예를들면 4개의 구동 롤러(22)를 갖는다. 수직 회전축을 갖는 다른 롤러(24)는 레일(26)의 내부림상에서 이동하며 수평 유지를 보장한다.
호퍼(16)는 이 호퍼(16)에서 슈트(14)상으로 장입물질의 배출을 조정하기 위하여 분배 플랩(30)을 갖춘 배출목(28)의 형상으로 하부로 신장한다. 플랩(30)은 축(0)주위로 대칭되는 배출 오리피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개폐되며 두 개의 레지스터(register), 바람직하기로는 컵 형상을 한다. 이러한 레지스터는 레일(32)의 수직 변위의 결과로서 호퍼의 회전 중 플랩이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레지스터의 아암상에 장착된 안내롤러를 이동시키고 외부로부터 승강과 하강될 수 있는 환상의 레일(32)에 의하여 공지될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밀폐실(20)내로 가열가스의 초과적인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실의 저부는 밀폐실(20)의 벽과 호퍼(16)의 벽 사이에 가능한한 좁은 간격(34)을 배출목(28)위에 형성하기 위하여 깔때기 형상을 한다. 가능한한 많은 가스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좁은 간격(34)에 마찰띠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가압 불활성 가스가 가스의 상승을 방지하는 하향하는 역류를 좁은 간격(34)을 거쳐 발생하도록 밀폐실로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페실(20)은 프레임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는 세 개의 각각의 로크(36,38,40)(로크(40)은 도면에 도시 안됨)의 삼각 배열 아래에 배치된다. 각각의 로크(36,38,40)와 저장 호프(16)는 분배플랩(48)과 밀봉 플랩(50)을 포함하는 플랩 하우징(42,44,46)(제 1 도에 도시)을 거쳐 서로 각각 관통된다. 분배 플랩(48)은 또 각 로크의 수직축 주위를 대칭되어 선회하는 두 구형 레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48)과 플랩이 교차하는 로크의 하부목은 로크에서 호퍼(16)로 신속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로크(36,38,40)는 호퍼쪽으로 물질의 장입중 로크가 가압되고 환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밀봉플랩(52)을 갖추어야 한다. 밀봉 보정기(54)는 밀폐실(20)과 수직로(12)의 헤드사이에 배치된다. 밀봉 보정기(56)는 밀폐실(56)는 밀폐실(20)과 각각의 플랩 하우징(42,44,46)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보정기(54,56)는 각각의 로크(36,38,40)와 호퍼를 갖는 밀폐실(20)의 무게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무게 측정은 각각의 로크(36,38,40)와 밀폐실(20)을 지지하는 58,60으로 도시된 응력 게이지에 의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각각의 무게 측정에 의하여 호퍼(16)와 각 로크(36,38,40)의 함유량이 결정되어 플랩의 개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이에 따라 저장실이 채워지거나 비워진다.
수직로 장입 물질은 제 1 도에 도시된 것처럼 콘베이어 벨트(62)에 의하여 전달되며 대기 호퍼(64)로 부어지고 그 장입은 플랩(66)에 의하여 조절된다.
호퍼(64)와 각각의 로크(36,38,40)사이의 접속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하여 회전 슈트(68)가 호퍼(64)아래에 배치된다.
제 2 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콘베이터 벨트(62)는 장입 물질을 대기 호퍼(70)내로 붓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도의 슈트는 호퍼(70)를 각각의 로크(36,38,40)에 연결하는 세 개의 고정 파이프(72)로 대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파이프의 각각은 개폐 플랩(74)에 접속된다. 그러나 세 개의 플랩을 제공하는 대신에 고정 파이프(72)와 호퍼(70)의 교차점에 하나의 플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배열은 파이프가 완전히 비워지게 한다.
제 3 도의 실시예에서 콘베이터 밸트(62)는 장입 물질을 대기 호퍼(76)내로부으며 그 장입 오리피스는 플랩(78)에 의하여 조절된다. 호퍼(76)에서 장입 물질은 중심 수직축(0)에 평행되는 축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프레임(82)에 장착된 제 2 의 콘베이어 벨트(80)상에 낙하한다. 이 제 2 의 콘베이어 벨트는 또한 신축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전방 편향롤러(84)는 잭(86)의 작용하에 종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콘베이어 벨트의 길이는 자유 아이들링 롤러(88)에 의하여 보상된다. 이 방식으로 콘베이어 벨트(80)는 장입물을 각각의 로크(36,38,40)내로 이송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현상을 제거하거나 최소한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중의 하나는 네 개의 소 직경 하우징에 의하여 유럽 특허 출원 제62770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의 대형 호퍼를 대체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각 로크(36,38,40)와 호퍼의 용량이 단지 20m3인데 대하여 상기 유럽 출원의 용량은 80m3이다. 게다가 각각의 로크와 호퍼(16)는 아주 경사진 형상을 하나 그 원추벽과 수직축사이의 각도는 30°를 초과하지 않는다. 똑바른 튜브형 하우징을 갖는 것이 이상적이나 그 단면은 배출 파이프의 단면과 일치한다. 그러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운반하기가 곤란해진다. 그러므로 사용가능한 높이와 로크와 저장 호퍼의 단면사이의 절층점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비분리 박스(90)는 각각의 로크(36,38,40)에 끼워진다. 상기 박스는 채워지는 동안에 분리를 감소시키고 비워지는 동안에 더 일정한 배출을 도와준다. 중심 비분리 박스(94)와 상부 환상의 박스(92)는 호퍼(16)에 배열된다. 이들 박스는 입자의 회전을 감소시키며 벽쪽으로 작은 입자를 분산시키는데 기여하여 박스가 없으면 이들 작은 입자들은 축(0)을 따라서 모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호퍼의 회전은 분리현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으나 중요한 점은 호퍼에 올바른 장입을 하는데 있다. 이 회전은 분당 6 내지 8회전 속도로 이루어지고 장입선(96)을 따라 호퍼(16)내에 로크의 장입물의 침적을 가능하게 하며 중앙부에 약간의 오목부가 이루어지게 한다.
[실시예]
용적이 각각 20m3인 3개의 로크와 용적이 30m3인 하나의 호퍼를 갖는 장입 장치에 의하여 수직로를 장입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초기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수직로의 생산용량 : 주철 10,000톤/일
안전인자(safety factor) : 1.3
최대 생산용량 : 1.3×10,000=주철 13,000톤/일
수직로의 직경 : 10m
장입층(charging layer)의 두께 : 1m
장입층의 용적(volume) : π · 52×1=80m3=4로크의 용적
하루당 장입 주기(charging cycles)의 횟수 : 13,000 구80=163
코우크스와 광석의 연속 교대층의 주기 횟수 : 163×2=326
매 주기에 대한 소요시간(available time for each cycle) :
Figure kpo00001
플랩(30)을 개, 폐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 2×13=26초
매주기에 대한 실제 시간 : 265-26=239초
플랩(30)에 의해 조정되는 전달율(delivery rate) :
80/239초=0.335m3/초
제 4 도의 장입 도표는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종첩괸 4개의 그래프이다.
그래프 I은 각각 265초를 소요하면서 코우크스 또는 광석을 교대로 장입하는 연속 상(phase)들을 나타낸다. 그래프 II는 도면 부호 36,38,40 대신에 문자 A,B,C로 표시되는 3개의 로크들을 비우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프 III는 3개의 로크(A,B,C)를 장입하는 것을 나타내며 그래프 IV를 콘베이어(62)에 의해 광석 및 코우크스가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다.
처음 13초는 초당 장입물의 전달율이 0.335m3가 되도록 분배 플랩(30)을 여는데 소요된다. 개시시간 t(시간)=0에서 로크 A의 밀봉 및 분배 플랩이 열리고, 상기 13초 동안에 로크(A)의 저장물이 완전히 호퍼(16)로 전달된다(그래프 II도시). 이 시간 동안 로크(B)의 장입은 완료되고 로크(C)의 장입이 시작된다(그래프 III참조). 한편, 콘베이어 벨트(그래프 IV참조)에 의해 80m3의 연속층(continuous layer)의 공급이 계속된다. 코우크스의 층이 처음에 침적되고 이는 두꺼운 검은 선으로 표시된다.
13초가 지나면 초당 0.335m3의 전달율로 코우크스가 분배 슈트로 배출된다. 이때 그 저장물이 비어있는 로크(A)는 다음 장입을 대비하고 이를 위해 하부 분배 플랩 및 밀봉 플랩이 닫혀지고 공기 유통이 이루어진다. 밀폐실(20)과 호퍼(16)의 무게 측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호퍼(16)의 용량이 어느 수준으로 떨어지면 로크(B)의 저장물이 13초 동안 호퍼로 이동된다. 동시에 호퍼로부터의 배출은 계속 진행된다. 또한 로크(C)는 장입이 계속 진행되어 완전히 채워지고 호퍼가 로크(A)를 채우자마자 로크(A)는 그 상부 밀봉플랩이 열리면서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마지막 20m3의 코우크스를 받아 들인다.
로크(A)의 장입중 로크(C)는 가압되고 호퍼(16)의 용량이 충분히 낮게 내려지자마자 로크(C)의 저장물은 호퍼로 이동한다. 로크(A)가 채워지면 그 저장물을 호퍼(16)로 이동하기 위하여 가압되어진다. 이렇게되면 로크(A)의 저장물은 호퍼로 두차례 이동되고 로크(B)와 로크(C) 각각의 저장물은 한차례 호퍼로 이동되어 그 총용량은 4×20=80m3이 된다. 252초가 지나면 80m3의 코우크스가 외부에서 장입 표면의 중심쪽으로 동심원을 이루면서 1m두께의 균일한 층으로 쌓여지게 된다. 252초가 지나면 호퍼(16)의 플랩(30)은 광석의 장입을 위해 닫혀진다.
사실 이러한 광석 장입은 이미 상부 높이(upper level)에서 시작되어 콘베이어(62)는 80m3의 광석층(later)을 운반하고, 로크(B,C)를 채운다.
첫 번째 주기의 끝에서, 즉 265초 후 13초 동안 로크(E)의 광석량이 호퍼(16)로 이동되고, 동시에 분배플랩들의 출구의 전달을 0.335m3의 배출위치에 오게된다. 로크(B)가 비워지는 동안 로크(C)의 장입 공정은 끝나고 로크(A)의 광석 장압은 시작된다. 광석 장입은 두 번째 주기의 처음 13초가 지난후에 시작된다. 이 장입은 코우크스 장입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로크의 장입물은 연속적으로 비워지게 되고 매번 호퍼(16)의 무게 측정시에 이것이 요구된다.
제 4 도는 상기 유럽 특허출원에 따른 공지 장치와 비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그래프 1에서 보여주듯이 장입은 실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단속시간(interruption time)은 매주기 사이에 호퍼의 플랩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20초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사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100% 연속 장입을 이루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이는 매 층이 쌓여진 후에는 슈트를 올려 바깥둘레에 새로운 층을 쌓기 위해 장입을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Claims (12)

  1. 수직축 주위로 대칭되는 장입 단면을 증감시키도록 설계된 분배 장치에 의하여 슈트쪽으로 장입 오리피스가 조절되고, 수직로의 수직측상에 장착된 저장 호퍼와 회전 슈트 또는 진동 슈트 분배 장치를 갖는 수직로용 장입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상부 밀봉 플랩(52)과 하부 밀봉 플랩(50)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로크(36,38,40)에 그상단부가, 수직로에 그 하단부가 연결되고 저장 호퍼(16)를 둘러싸는 밀폐실(20)과, 저장실(16)과 분배 장치의 수직 회전축을 한정하고 밀폐실(20)내부의 분배 장치(30)와 저장 호퍼(1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및 안내장치와, 상기 수직회전축 주위의 분배 장치(30)와 저장 호퍼(1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 구성되고, 각 로크들의 저부와 저장 호퍼(16)는 경사진 깔때기 형상을 하고 그 원추형 벽은 수직로의 수직축(0)과 30'이하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20)이 그 위에 설치된 3개의 로크(36,38,40)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6)의 최대 직경과 각 로크(36,38,40)이 최대 직경이 3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호퍼(16)가 수직로의 축(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 장치의 작용을 받으며, 밀폐실(20)의 벽과 일체인 원형 레일(26)위를 이동하는지지 및 유도 로울러(22)에 의하여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비분리 상자(90,94)들이 각 로크(36,38,40)와 호퍼(16)의 중심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부수 상자(92)가 호퍼 상부에 성치되며, 고리 형상을 하고, 로크와 관통하는 구멍 아래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개의 플랩틀(42,44,46)이 각 로크(36,38,40)와 호퍼(16)사이의 관통을 위해 설치되며, 이 플랩틀 각각은 분배 플랩(48)과 밀봉 플랩(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보정기(56)는 각각의 하우징(42,44,46)과 밀폐실(20)사이에 배치되며, 보정기(54)는 밀폐실(20)의 저부와 수질로와 헤드사이에 배치되며, 세 개의 로크는 로크 각각의 무게 측정을 위하여 분리된 스트레인 게이지(60)상에 높여지고, 밀폐실(20)은 호퍼(16)와 밀폐실(20)의 무게 측정을 위하여 스트레인 게이지 상에 높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9. 제 2,4,5,6 또는 8 항에 있어서, 장입물질이 대기호퍼(64)와 각 로크(36,38,40)에 분배되고, 대기호퍼 밑에는 호퍼(64)와 각 로크(36,38,40)사이의 연속적인 연결을 해주는 회전 슈트(6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10. 제 2,4,5,6 또는 8항에 있어서, 장입 물질이 대기 호퍼(70)로부터 세 개의 로크로 배분되고, 대기호퍼(70) 밑부분은 호퍼(70)와 각 로크(36,38,40)를 연결시키는 3개의 고정 배출 파이프(7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11. 제 2,4,5,6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 물질이 수직축(0)과 평행한 축 주위를 선회 가능한 지지대 상에 장착된 신축 가능한 콘베이어 벨트(80)에 의해 세 개의 로크에 배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콘베이어 벨트(80)의 편향롤러(84)가 벨트의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잭(86)의 작동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로의 장입 장치.
KR1019860001857A 1985-03-15 1986-03-14 수직로의 장입 장치 KR930009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85.811 1985-03-15
LU85811 1985-03-15
LU85811A LU85811A1 (fr) 1985-03-15 1985-03-15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384A KR860007384A (ko) 1986-10-10
KR930009385B1 true KR930009385B1 (ko) 1993-10-02

Family

ID=1973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857A KR930009385B1 (ko) 1985-03-15 1986-03-14 수직로의 장입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728240A (ko)
EP (1) EP0196486B1 (ko)
JP (1) JPH0735524B2 (ko)
KR (1) KR930009385B1 (ko)
CN (1) CN1004230B (ko)
AT (1) ATE37200T1 (ko)
BR (1) BR8601267A (ko)
CA (1) CA1263231A (ko)
DE (1) DE3660723D1 (ko)
IN (1) IN164440B (ko)
LU (1) LU85811A1 (ko)
PL (1) PL155071B1 (ko)
SU (1) SU1498395A3 (ko)
UA (1) UA8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6335A1 (fr) * 1986-03-04 1987-11-11 Wurth Paul Sa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6820A1 (fr) * 1987-03-24 1988-11-17 Wurth Paul Sa Charpente de support d'une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7341A1 (fr) * 1988-09-22 1990-04-06 Wurth Paul Sa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US4917560A (en) * 1989-01-19 1990-04-17 Cmi Corporation Twin bin self erect silo
CH678847A5 (ko) * 1989-06-02 1991-11-15 Maerz Ofenbau
US5458450A (en) * 1993-05-07 1995-10-17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essure-vacuum rated flexible connector for use in material handling systems
LU88429A1 (fr) * 1993-11-23 1995-07-10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four à cuve
US5494263A (en) * 1994-03-07 1996-02-27 Centro De Investigacion Y Asistencia Tecnica Del Edo. De Qro, A.C. System for solid material charging into vertical reactors by electronic control of the exhaust gases
LU88494A1 (fr) * 1994-06-08 1996-02-01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hargement à goulotte rotative pour un four à cuve
DE10153425A1 (de) * 2001-11-03 2003-05-15 Pfist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avimetrischen Dosieren von Schüttgut
AT412786B (de) * 2003-07-04 2005-07-25 Voest Alpine Industrieanalgenb Verfahren zum chargieren von schüttfähigem material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FI118438B (fi) * 2004-09-09 2007-11-15 Outotec Oyj Kuuman syötteen jakolaite
RU2279484C1 (ru) * 2005-02-07 2006-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Аусфер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компонентов при прямом легировании стали
AT502479B1 (de) * 2005-10-24 2007-04-15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chargieren von einsatzstoffen
EP1811045A1 (en) * 2006-01-20 2007-07-25 Paul Wurth S.A. Multiple hopper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LU91217B1 (fr) * 2006-01-20 2007-07-23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four à cuve
EP1811044A1 (en) * 2006-01-20 2007-07-25 Paul Wurth S.A. Three hopper charging installation for a shaft furnace
US7762290B2 (en) * 2008-11-06 2010-07-27 Poet Research, Inc. System for loading particulate matter into a transport container
LU91558B1 (en) * 2009-04-28 2010-10-29 Wurth Paul Sa Method for feeding a burden to a blast furnace
LU91559B1 (en) * 2009-04-28 2010-10-29 Wurth Paul Sa Method for feeding a burden to a blast furnace
ES2383053T3 (es) * 2009-07-06 2012-06-15 Siemens Ag Dispositivo para el posicionamiento de un cesto de material
LU91800B1 (en) * 2011-03-28 2012-10-01 Wurth Paul Sa Charging installation of a shaft furnace and method for charging a shaft furnace
AT511797B1 (de) * 2011-09-22 2013-03-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orrichtung zur zufuhr von energieträgern, eisenträgern sowie zusatzstoffen auf die oberfläche eines festbettes
CN103423991B (zh) * 2012-05-18 2015-02-04 中国有色(沈阳)冶金机械有限公司 一种镁冶炼操作机组加料车
KR101534126B1 (ko) * 2014-03-06 2015-07-06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및 원료 장입 방법
CN104914006B (zh) * 2015-05-22 2017-10-17 东北大学 一种用于测量散粒体在筒仓中流动规律的实验装置及实验方法
CN112029945A (zh) * 2020-09-03 2020-12-04 赫章县黎明矿业有限公司 一种新型有烟煤焙烧菱铁矿的竖炉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298C (de) * 1936-09-27 1940-11-26 Julius Pintsch Kom Ges Einrichtung zur Beschickung von Schwefelreinigerkaesten fuer die trockene Gasreinigung mittels Reinigermasse
US2897984A (en) * 1953-05-16 1959-08-04 Augeard Jean Marie Marcel Charging apparatus for blast furnace
US3476374A (en) * 1967-06-06 1969-11-04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charging a blast furnace continuously
LU58146A1 (ko) * 1968-03-08 1969-07-07
US3576262A (en) * 1969-06-06 1971-04-27 Us Interior Rotary particle distributor for minimizing particle size segregation in a bin
LU60997A1 (ko) * 1970-05-27 1972-03-20
US3796419A (en) * 1971-04-15 1974-03-12 Mc Kee A & Co Charging apparatus for shaft furnaces
US3706387A (en) * 1972-01-17 1972-12-19 Mohr & Sons John Blast furnace charging apparatus for high top pressure
US3780890A (en) * 1972-03-01 1973-12-25 Mckee A & Co Furnace charging apparatus
US3929240A (en) * 1972-07-05 1975-12-30 Wurth Anciens Ets Paul Shaft furnace charging process
JPS5825724B2 (ja) * 1973-11-01 1983-05-30 ア−サ− ジ− マツキ− アンド カンパニ− チヨクリツロヘノゲンザイリヨウソウニユウホウウ オヨビ ソノソウニユウソウチ
US4029220A (en) * 1975-11-28 1977-06-14 Greaves Melvin J Distributor means for 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receptacles
JPS576516Y2 (ko) * 1977-09-03 1982-02-06
LU80630A1 (fr) * 1978-12-08 1979-04-09 Wurth Anciens Ets Paul Procede et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0646A1 (fr) * 1978-12-12 1979-04-13 Wurth Anciens Ets Paul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2840A1 (fr) * 1980-10-10 1981-02-02 Wurth Anciens Ets Paul Perfectionnements aux installations d'alimentation des fours a cuve a gueulard sans cloche
SE441865B (sv) * 1981-03-10 1985-11-11 Skf Steel Eng Ab Anordning for att uppifran tillfora styckeformigt material till ett schakt
LU83279A1 (fr) * 1981-04-03 1983-03-24 Wurth Paul Sa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4015A1 (fr) * 1982-03-15 1983-11-17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ontrole de l'ecoulement de la matiere de chargement d'une enceinte de stockage dans une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JPS6031065Y2 (ja) * 1983-01-07 1985-09-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複数個の上部ホツパーを持つベルレス装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64440B (ko) 1989-03-18
UA8328A1 (uk) 1996-03-29
CN1004230B (zh) 1989-05-17
ATE37200T1 (de) 1988-09-15
JPS61264113A (ja) 1986-11-22
US4728240A (en) 1988-03-01
EP0196486A1 (fr) 1986-10-08
SU1498395A3 (ru) 1989-07-30
CA1263231A (en) 1989-11-28
PL155071B1 (en) 1991-10-31
CN86101639A (zh) 1986-12-03
JPH0735524B2 (ja) 1995-04-19
EP0196486B1 (fr) 1988-09-14
BR8601267A (pt) 1986-12-02
LU85811A1 (fr) 1986-10-06
KR860007384A (ko) 1986-10-10
DE3660723D1 (en) 198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385B1 (ko) 수직로의 장입 장치
CA126983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shaft furnace
KR920008015B1 (ko) 로울러식 반출장치
JP6557787B2 (ja) 溶鉱炉用ストックハウス装置
SU1007558A3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шахтной печи и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шахтной печи
CA1288243C (en) Installation for charging a shaft furnace
NO753985L (ko)
WO2004042335A1 (en) Automatic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US4899915A (en) Silo for bulk goods
CN201971849U (zh) 一种无料钟装料设备
CN214358668U (zh) 秤重配料装置及玻璃生产线
CA1164210A (en) Feeding apparatus for uniflow regenerative shaft furnaces for calcining limestone and similar mineral materials
EP3536622B1 (en) Device for unitisation of bulk materials
US4151047A (en) Feed installation for apparatus for extracting hydrocarbons from bituminous schists
CN102417943A (zh) 一种无料钟装料设备
GB2124185A (en) Improvements to weighing dividing machines
CN219056629U (zh) 一种工业硅生产的打包装置
US3240242A (en) Rotary annular hopper for carton filling machine
SU602554A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шихты засыпного аппарата доменной печи
CS258477B2 (cs) Zařízení pro zavážení šachtová pece
EP0627354A1 (en) Carousel batcher-fille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batched quantities of two different products
GB2169589A (en) Filling the 'well' of ladles with sand
JPH05500267A (ja) 粉体物の連続投与装置及び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3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9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