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922B1 - 용지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용지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922B1
KR930008922B1 KR1019900010072A KR900010072A KR930008922B1 KR 930008922 B1 KR930008922 B1 KR 930008922B1 KR 1019900010072 A KR1019900010072 A KR 1019900010072A KR 900010072 A KR900010072 A KR 900010072A KR 930008922 B1 KR930008922 B1 KR 93000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making
pedestal
detectio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452A (ko
Inventor
쯔요시 오가사와라
준이찌 마쯔노
마사따까 가와우찌
마꼬또 구로사와
마사아끼 고세끼
데쯔로 다까하시
요우이찌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고끼 가부시끼가이샤
곤모리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고끼 가부시끼가이샤, 곤모리 히로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65H15/004Overturning articles employ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2Turning, overturning according to a determined angle
    • B65H2301/3322418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3Removing electrostatic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1/00Sheet feeding or delivering
    • Y10S271/902Reverse direction of shee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지반전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에 의한 용지반전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장치의 평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연속 반전 모드시의 제 1 도의 장치의 집적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스택 반전모드시의 제 1 도의 장치의 집적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장치의 연속반전모드시의 타이밍도.
제 8 도는 제 1 도의 장치의 스택 반전모드시의 타이밍도.
제 9 도는 연속반전모드시의 제 1 도의 장치에 의해 레터사이즈 용지의 공급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 10 도는 스택반전모드시의 제 1 도의 장치에 의해 레터사이즈 용지의 공급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 11 도는 연속반전모드시의 제 2 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반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 12 도는 스택반전모드시의 제 2 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반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 13 도는 용지 길이를 결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본 발명은 반송되어온 용지를 확실하게 정합해서 그 용지를 1장씩 공급하는 용지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용지 반전장치는 용지의 양면에 기록 또는 인쇄를 실행하는 레이저빔 프린터에 적용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이저빔 프린터등의 인쇄기기에서는 양면기록을 실행할때, 먼저 용지의 제 1 면이 인쇄된다. 계속해서 용지 반전장치에 의해 인쇄된 제 1 면이 뒤집어져서 용지가 용지반전장치에서 인쇄부로 공급되어 제 2 의 면이 인쇄부에서 인쇄된다.
종래의 반전장치는 일반적으로 2형식, 즉 반송되어온 용지를 그대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형식과 여러장의 용지를 일단 집적한후 집적된 용지의 바닥에서 부터 용지를 1장씩 분리해서 공급하는 형식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과거에는 여러장의 용지를 집적한 상태에서 다음 용지의 수령 및 공급과 앞서 받았던 용지의 공급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용지 반전장치가 없었다.
전자형식의 종래의 반전장치에서는, 예를들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고무제의 임펠러가 용지 누름수단으로써 사용되고, 또한 스토퍼등의 규제수단이 누름수단과 협동하도록 마련된다. 용지는 이들 수단에 의해 정합되어 연속적으로 반전장치에서 받아서 그대로 공급한다.
후자형식의 종래의 반전장치에서는 제지 수단이 집적부의 근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집적 동작중에 용지를 정합하고 집적한다. 한편, 용지분리 및 공급동작중에 제지 수단은 용지 집적에서 분리되고 용지집적에 작용하여 제지 수단의 누름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용지의 이중공급을 방지한다. 또, 1981년 6월 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제4,275,87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공흡착을 이용하여 용지 분리 및 공급동작이 실행되는 용지반전장치에서는 전체의 집적부가 수평면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고, 뒤쪽 가이드가 집적부에 마련된다. 또한, 공기 흡출부가 집적부에 대향해서 마련되고, 공급부가 집적부 아래에 마련된다. 집적부로 공급된 용지는 뒤쪽 가이드에 접촉해서 순차적으로 집적된다. 그후, 공기 흡출부 및 공급부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집적된 용지의 최하부에 있는 용지가 진공 흡착력으로 끌어당겨지고, 최하부용지에서 분리되도록 나머지 용지가 뜨는 것에 의해 용지의 다중 공급이 방지된다.
그러나, 전자형식의 용지반전 장치의 구성은 고속 프린터에 사용되었을때 문제가 발생한다. 즉, 고속 프린터에서는 인쇄 정보를 사전에 도트로 변환해서 기억 장치에 그것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으므로, 용지를 연속적으로 반전시키기 위하여 기억장치가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대형으로 되어 프린터 전체의 코스트가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용지가 사전에 집적된 후에 분리하여 공급하는 후자 형식의 종래의 반전장치에서는 집적된 용지의 바닥에서 용지를 분리하고 용지를 흡착하기 위한 공기계를 고속에서 간헐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속으로 용지를 반전하여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용지가 집적된 경우라도 수시로 용지를 받고 공급할 수 있는 용지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송되어 온 용지를 그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용지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경우에서도 용지를 확실하게 정합하여 공급할 수 있는 용지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 반전장치는 용지를 집적하는 받침대 수단, 받침대 수단을 향해서 공급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누름 가이드 수단, 용지를 제지해서 받침대 수단상의 적당한 곳에 위치시키는 제지 수단, 받침대 수단상에 집적된 용지의 최하부의 용지를 흡착하여 그것을 공급하는 공급수단, 받침대 수단상에 집적된 용지의 바닥으로 공기류를 향하게 하여 나머지 용지에서 최하부의 용지를 분리하는 공기 흡출수단을 포함한다. 제지 수단은 용지 공급로에서 받침대 수단으로 연장 및 후퇴하도록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반송되어 온 용지를 그대로 공급하는 연속 반전 모드와 용지를 집적하면서 최하부의 용지를 분리해서 공급하는 스택 반전모드에 따라서 제지 수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반송되어온 용지에 접촉한다.
제지 수단은 연속반전모드시에 받침대 수단과 교차해서 양자사이에 형성된 갭을 이용하여 용지를 제동하여 위치결정하고, 스택 반전 모드시에 용지의 선단에 접촉해서 용지를 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의 반입을 검출하는 제 1 의 센서와 받침대 수단위에 집적된 용지를 검출하는 제 2 의 센서가 마련되고, 제지 수단이 제 1 및 제 2 의 센서의 신호와 용지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에 따라서 동작된다.
제 1 의 센서에서의 신호에 따라서 용지의 칫수가 결정되고, 제지 수단이 이 용지 칫수에 따른 각도에서 받침대 수단과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누름 가이드 수단이 받침대 수단에 따라서 평행하게 그 받침대 수단과 인접해서 그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누름 가이드를 포함하고, 공기류에 의해 부상하는 용지(받침대 수단상의 용지)를 규제한다.
또, 받침대 수단은 용지 공급 방향에 대해서 앞쪽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용지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받침대 수단상에 항상 1장의 용지만이 위치되는 연속반전모드시에서는 반송되어온 용지를 제지 수단에 의해 눌러서 확실하게 제동하여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한편, 스택반전 모드에서 제지 수단은 집적된 용지를 누르는 일 없이 반송되어온 용지를 서로다른 위치에서 접촉하여 용지를 제동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스택반전 모드시라도 반송되어온 용지를 확실하게 제동 하면서 용지의 이중공급을 방지하여 수시로 용지를 받고 공급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반송되어온 용지를 수시로 반전할때, 제지 수단이 받침대 수단과 교차해서 형성된 갭에 의해 용지를 사이에 끼운다. 한편, 여러장의 용지를 집적한 상태에서 집적동작과 반전동작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스택 반전모드에서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받침대 수단과 교차된 제지 수단이 소정의 각도로 위쪽으로 이동되어 용지의 선단에 대항하는 제지 수단의 부분에서 용지의 정지위치를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연속반전모드에서는 반송되어온 용지의 관성력을 제지 수단과 받침대 수단사이의 갭에 의해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흡수하므로, 용지공급방향 또는 긴쪽방향에서의 용지의 충돌에 의한 용지의 탄성이 없어져서 고정밀도로 용지를 집적할 수가 있다. 또, 스택반전 모드에서는 제지 수단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공기류에 의해 용지 사이의 마찰저항 또는 공급저항이 소거되어 용지의 공송(non feeding) 또는 이중공급이 방지된다.
또한, 받침대 수단의 근방에 평행한 2개의 누름 가이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연속반전모드에서 이들 누름 가이드는 받침대 수단상의 용지의 양끝을 누른다. 따라서, 용지가 흡착에 의해 흡인될때 용지의 중심부가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고, 주위 환경의 변화에서 생기는 용지의 구겨짐에 의한 흡착불량이 방지되어 용지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한편, 용지 집적동작에서는 용지의 선단 위치가 용지의 두께에 의해 변화되지 않으므로, 집적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 가이드가 공기류에 의해 부상된 나머지 용지의 양끝을 누르고 있으므로, 용지의 강성이 높게 되어 최하부 용지와 나머지 용지 사이의 공기층이 확장하여 용지의 이중공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 ~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반전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도와 제 2 도를 참조하면, 용지 반전장치(1)에는 진입부(10), 공급부(20), 집적부(30) 및 배출부(40)이 마련되어 있고, 반송되어온 용지가 이들 각부를 거쳐서 이동한다.
진입부(10)은 하부풀리축(18)에 탑재된 하부풀리(11)과 하부롤러(13), 상부 풀리축(19)에 탑재된 상부풀리(12)와 상부롤러(14), 용지 검출기 또는 센서(15)(제 3 도)를 포함한다. 각 하부롤러(13)은 그의 바깥둘레 면상에 다수의 돌기를 갖고 있다.
하부 및 상부풀리축(18) 및 (19)는 서로 대향해서 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풀리축(18)은 구동모터(5)에 의해 화살표 S로 나타낸 지지 공급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부풀리축(19)는 상하 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하부풀리(11)은 하부풀리축(18)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도면에는 1개만 표시)마련되어 있다. 하부 롤러(13)은 2개의 하부풀리(11) 사이에 여러개 배치된다. 각각의 하부 롤러는 하부 풀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부 풀리(12)는 대응하는 하부풀리(11)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상부 롤러(14)는 하부롤러(13)과 엇갈려서 인접하는 하부롤러(13)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풀리(12)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로 어긋난 하부 및 상부롤러(13) 및 (14)는 용지 A를 파형으로 구부려서 용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지의 선단이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집적부(30)으로 똑바로 용지가 공급된다.
센서(15)는 하부 및 상부 풀리(11)과 (12) 사이의 접촉면 근방에 배치되어 진입부(10)을 거쳐서 용지의 통과를 검출한다.
용지 공급부(20)은 진공실(21), 흡착벨트(22) 및 흡출기구(23)을 갖는다. 진공실(21)은 그의 위쪽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밀폐된 상자형으로써,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위쪽면이 집적부(30)의 바닥판(31)(다음에 기술한다)가 동일면으로 프레임(3)에 부착되어 있다.
흡착벨트(22)는 진공실(21)을 둘러싸도록 진공실(21)의 양측의 1쌍의 풀리(24),(25) 주위에 감겨된 엔드리스벨트이다. 풀리(24),(25)는 장치의 바닥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 T로 나타낸 용지 공급방향으로 회전한다. 흡착벨트(22)는 진공실(21)의 구멍과 연통하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
흡출기구(23)은 프레임(3)에 탑재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50)과 흡출부(27)를 갖는다. 송풍기(50)에는 진공실(21)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관(51)과 흡인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52)가 접속되어 있다.
흡출부(27)은 진입부(10)의 풀리축(18),(19)에 인집해서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고, 배출관(52)를 거쳐서 송풍기(50)에 접속되어 있다. 또, 흡출부(27)은 집적부(30)으로 향한 다수의 배출구(28)을 갖는다. 따라서, 송풍기(50)이 작동하면, 진공실(21)에서 흡인된 공기는 흡출부(27)로 송출되어 배출구(28)에서 집적부(30)에 집적된 용지의 최하부의 용지를 향해서 배출된다. 만약, 용지가 집적부(30)에 집적되어 있으면, 집적된 용지 A는 흡착벨트(22)에서 위로 부상한다.
또한, 흡출부(27)에서는 배출관(52)가 흡출부의 끝에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배출구(28)에서 배출된 공기류는 배출구와 배출관(52)의 사이의 거리가 멀게 될 수록 속도가 빠르게 된다. 따라서, 집적부(30) 내의 용지 A는 부상시에 가로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측면판(32)에 접촉해서 적당하게 위치 결정되게 된다.
집적부(30)은 진입부(10)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용지의 받침대 수단으로써 작용하는 바닥판(31), 용지 A의 집적을 검출하는 센서(16)(제 3 도), 용지의 부상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단(35), 용지 A의 정지 위치를 규제하는 여러개의 제지판(37)을 포함한다. 바닥판(31)은 프레임(3)에 고정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뒤쪽부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고, 또 흡착벨트(22)를 노출시키도록 앞쪽부에 절단부를 갖는다. 바닥판(31)에는 절단부의 양측에 1쌍의 측면판(32) 및 (39)가 부착되어 있고, 그의 뒤쪽부에 뒤쪽판(33)이 부착되어 있다. 측면판(32),(39)는 용지 A의 측면가이드로써 작용하고, 측면판(39)는 용지의 칫수에 따라서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35)는 바닥판(31) 위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봉(35a),(35b)를 갖는다. 각각의 가이드봉(35a),(35b)는 그의 한쪽끝에서 축(34)에 부착되어 있고, 축(34)는 풀리축(18)(19) 근방에서 프레임(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각각의 가이드봉의 다른쪽끝은 뒤쪽판(33)에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수단(35)는 가이드 수단(35)와 바닥판(31) 사이의 간격이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뒤쪽판(33)에 형성된 슬롯에 의해 규정된 제한된 각 도에서 축(34)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가이드 수단(35)의 양측에 위치 결정된 가이드봉(35a)는 안쪽가이드봉(35b)와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들의 중앙부분에서 바닥판(31)을 향해서 구부려져 있다.
한편, 제지 수단으로써 작용하는 판(37)은 뒤쪽판(33)의 근방에서 바닥판(31)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판(37)은 그의 한쪽끝에서 축(36a)에 부착되어 있다. 축(36a)는 프레임(3)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구동모터(36)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각각의 판(37)의 다른쪽끝은 바닥판(31)에 형성된 대응하는 절단부(31a)(제 2 도)로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제지판(37)은 절단부(31a)에 의해 규정된 제한된 각도에서 구동모터(3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또한, 반송되어온 용지 A에 의해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전기(38)이 가이드 수단(35) 위의 진입부(10) 근방에 배치된다.
배출부(40)은 집적부(30)의 바닥판(31)에 인접해서 공급부(20)의 흡출부(27) 아래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2조의 1쌍의 상하부 배출 풀리(42)(41)과 배출 풀리(41),(42)가 탑재된 상하부 풀리축(49),(48)을 갖는다. 축(48),(49)는 프레임(3)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상부풀리축(49)는 진입부(10)내의 하부풀리축(18)과 마찬가지로 구동모터(15)에 연결되어 화살표 T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하부배출풀리축(48)은 진입부(10) 내의 상부풀리축(19)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용지의 배출을 검출하는 센서(45)(제 3 도)는 배출풀리(41)과 (42) 사이의 접촉면의 근방에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제 1 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반전장치의 동작을 제 3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용지 반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성의 향상과 프린터의 메모리 장치를 소형으로 하여 그의 코스트를 절감하기 위하여 다음의 2개의 모드에서 동작한다.
(1) 연속 반전 모드 :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모드에서는 반송되어 온 용지가 그대로 배출부(40)으로 공급된다.
(2) 스택 반전 모드 : 이 모드는 인쇄정보의 도트로의 변환속도가 반송되어온 용지의 속도보다 느린 경우, 즉 용지를 받는 율이 연관된 프린터의 인쇄상태에 의해 결정된 용지공급율 보다 클때 사용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부(30)상에 용지 A 및 B가 아직 남아있는 상태에서 용지 C가 또 용지공급로를 거쳐서 집적된다.
이때, 인쇄정보의 도트로의 변화에 따라서 용지가 순차적으로 용지 A에서 용지 C까지 배출부(40)으로 공급된다.
먼저, 연속반전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린터에 연결된 용지 공급로(도시하지 않음)에서 S방향으로 공급된 용지 A는 구동모터(5)에 의해 회전된 풀리(11)과 (12)(진입부(10)의)에 의해 끼워지고, 풀리(11),(12)의 공급력에 의해 집적부(30)으로 똑바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 송풍기(50)이 작동하고, 공기가 배출관(52)를 거쳐서 흡출부(27)로 공급되게 되어 다수의 배출구(28)에서 서로 다른 속도의 공기류로써 배출된다.
또, 송풍기(50)의 흡인력에 의해 진공실(21)은 부압으로 된다.
공급된 용지 A는 진입로(10)의 센서(15) 및 집적부(30)의 센서(16)에 의해 검출된다. 각각의 센서(15) 또는 (16)은 검출위치에 용지가 남아있는 한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연관된 프린터는 용지의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반전신호를 출력한다. 센서(15),(16)으로부터의 신호는 이 반전신호에 따라서 비교되어 인쇄상태에 따라서 용지의 받음과 공급이 결정된다. 이 비교는 센서(15),(16)에 의해 용지가 검출된 후에 반전신호의 발생에서 소정의 설정시간 t1이 경과하였을때 센서(15)(16)에서의 신호가 서로 일치하였는가 아닌가의 판정에 따라 실행된다. 비교결과에 따라서 모터(36)에 의해 이동된 제지판(37)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5)(16)으로부터의 신호가 설정시간 t1이 경과한 후에 일치하지 않으면, 다음 용지 A를 받았을때 전의 용지는 이미 송출되어 장치내에 남아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제지판(37)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위치로 이동되어 바닥판(31)과 교차하도록 바닥판(31)의 절단부로 깊이 삽입된다. 집적부(30)으로 공급된 용지 A는 제지판(37)과 바닥판(31) 사이의 갭에 의해 끼워지는 것에 의해 반송되어온 용지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용지를 정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용지반전장치는 연속반전모드에서 작동된다.
이것에 의해 용지 A는 그의 긴쪽방향이나 반송방향에서 이탈되는 일 없이 정연하게 바닥판(31)상에 정지되고, 계속해서 진공실(21)을 둘러싸는 흡착벨트(22)에 의해 흡착된다. 이 경우에, 가이드 수단(35)의 바깥쪽 가이드봉(35a)는 용지 받침대 수단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용지의 양측끝은 이들 가이드봉에 의해 눌려져서 용지가 얇더라도 용지의 중앙부의 들뜸이 방지된다. 따라서, 용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용지를 항상 안정하게 흡착할 수가 있다.
용지가 흡착된 후에 용지 공급부(20)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작동되어 풀리(24)를 거쳐서 흡착벨트(22)를 회전시키고, 흡착된 용지를 배출부(40)으로 공급한다.
이 배출부에서는 구동모터(5)의 작동에 의해 배출풀리(41),(42)가 회전되고, 따라서 배출풀리(41),(42)에 의해 용지가 끼워져서 이 용지가 배출부(40)의 센서(45)에 의해 검출된다. 용지공급부(20)의 구동모터는 센서(45)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없어졌을때 정지된다. 이 모터는 센서(45)로부터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소정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작동되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는 일정주기로 진입부로 진입하고, 센서(15)에 의해 다음 용지 B의 진입이 검출된다. 용지 B에 대해서도 용지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지판(37)의 위치는 센서(15),(16)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결정되고, 용지 B도 제지판(37)과 바닥판(31) 사이의 갭에 의해 끼워져서 정지된다. 이러한 동작을 소정주기 반복하는 것에 의해 용지의 안정한 연속반전을 달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스택반전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의 용지가 상기의 연속반전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입되었을때, 용지 공급로(도시하지 않음)에서 공급된 용지 A는 진입로(10)의 공급력에 의해 집적부(30)으로 공급되고, 계속해서 바닥판(31)과 제지판(37) 사이에 규정된 갭에 의해 정지된 후, 흡착벨트(22)에 의해 흡착된다. 용지가 흡착벨트에 의해 흡착된 후, 연속반전모드에서는 공급부(20)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과 작동되어 배출부(40)으로 용지 A를 공급하지만, 스택반전모드에서는 상기 동작을 재차 반복하는 것에 의해 용지 B가 용지 A위에 집적된다.
즉, 연속반전모드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용지가 도입될때마다 진입부(10)의 센서(15)로 부터의 신호와 집적부(30)의 센서(16)으로부터의 신호가 비교된다. 전의 용지 A가 다음 용지 B가 도입되기 전에 공급되지 않고,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5),(16)으로 부터의 신호가 반전신호의 발생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일치하고 있으며, 제지판(37)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6)에 의해 위쪽위치까지 일정각도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각 제지판(37)은 바닥판(31)의 대응하는 절단부(31a)로 그의 구부러진끝부가 삽입되어 있더라도 가이드 수단(35) 위로 들어올려진다. 그 결과, 제지판(37)은 상술한 연속반전모드의 경우에서의 부분과는 다른 부분, 즉 그의 구부러지는 끝부에서 각 용지에 접촉하고, 용지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용지를 정지시킨다. 용지와 제지판(37) 사이의 맞닿음에 의해 발생된 용지의 탄성이 가이드 수단(35)에 의해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용지반전장치는 스택반전모드에서 작동하게 된다.
최초에 집적된 용지 A가 흡착벨트(22)에 의해 흡착되지만, 용지 A 위에 집적된 다음 용지 B 이후의 용지는 배출구(28)에서의 공기류에 의해 용지 A로 부터 부상해서 용지 A에서 분리된다. 또, 다음 용지 이후의 용지(나머지 용지)는 인접하는 2장의 용지사이에 공기층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제지판(37)의 구부러지는 끝부와 측면가이드판(32)에 의해 서로 정합된다. 여기서, 가이드 수단(35)의 바깥쪽 가이드봉(35a)가 부상하는 용지 B의 양측꼴을 누르고 있으므로, 용지 B의 강성이 높게 되어 용이하게 휘어지지 않고, 용지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이 넓은 범위까지 확대된다. 또, 측면판(32),(39)는 용지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용지의 측면에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어 공기류의 효율이 향상된다.
일정주기로 용지 반전장치로 순차적으로 용지가 도입되고, 용지 C에 이어서 용지 D가 도입된다. 한편, 반전 신호에 따라서 용지 공급부(20)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는 풀리(24)를 거쳐서 흡착벨트(2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동되고, 흡착된 최하부 용지 A를 배출부(40)으로 공급한다. 이 경우에, 집적부(30)에 집적된 용지 B,C가 배출구(28)에서의 공기류에 의해 용지 A에서 분리되고, 용지의 정전기가 장치내로 용지가 도입되었을때 방전기(38)에 의해 제거되므로, 용지 B,C는 용지 A의 공급력과 용지 사이의 정전기에 의해 용지 A와 함께 이동할 수 없고, 제지판(37)을 따라서 정렬된다. 용지 B,C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러한 동작을 소정주기 반복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용지의 스택 반전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15),(16)으로부터의 검출신호의 비교가 용지 반전장치 자체 또는 연관된 프린터에 마련된 연산기에서 실행된다. 이 연산기는 종래의 것이어도 좋으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서로다른 칫수를 갖는 용지의 취급에 대해서 제 9 도 및 제 10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용지 반전장치(1)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용지는 반송폭 방향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A4 사이즈 용지 대신에 레터 사이즈 용지를 취급할때, 레터 사이즈 용지는 A4 사이즈 용지보다 약 6mm만큼 큰 폭을 가지므로, 제지 수단 또는 제지판(37)이 A4 사이즈 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면, 바닥판(31)상의 레터 사이즈 용지는 배출부를 행해서 약 6mm 연장한 상태로 정지하고, 그 상태에서 흡착벨트(22)에 흡착된다. 따라서, 레터사이즈용지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연속반전모드에서의 제지판(37)의 위치는 용지의 정지 위치를 약 6mm 뒤쪽으로 후퇴시키도록 A4 사이즈 용지의 경우보다 훨씬 위쪽으로 설정하면 좋다. 또, 스택반전 모드에 대해서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지판(37)은 바닥판(31)에서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A4 사이즈 용지의 경우에서 보다 훨씬 위쪽으로 이동하면 좋고, 뒤쪽판(33)은 용지 제지 수단으로써 작용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바라는 위치에 레터사이즈 용지를 정렬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반전장치에서는 1장씩의 연속반전 및 여러장의 스택반전을 모두 실행할 수가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반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의 실시예의 용지반전 장치는 2종류의 제지판(53),(54)가 마련되고, 이들 제지판(53),(54)가 기어(55)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 2 의 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제 1 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어도 좋고,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지판(53),(54)는 제 11 도의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축에 각각 그들의 한쪽끝이 고정되어 있다. 1쌍의 기어(55)는 각각 이들 2개의 축에 부착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서로 맞물려 있다.
제 2 의 실시예의 용지반전 장치의 동작에서 A4 사이즈 용지가 사용될때, 연속반전모드에서는 제지판(53)이 바닥판(31)과 교차하도록 이동되므로, 반송되어온 용지의 탄성이 제 1 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지판(53)과 바닥판(31) 사이에 형성된 갭에 의해 억제된다. 이 경우에, 다른 제지판(54)가 기어(55)의 회전에 의해 위쪽으로 후퇴하므로, 연속 반전 모드의 용지의 도입에는 다른 제지판에 의해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A4 사이즈 용지가 사용될때 스택 반전 모드에서는 제지판(53)이 일정각도 위쪽으로 후퇴하면, 다른 제지판(54)가 기어(55)의 회전에 의해 내려가서 바닥판(31)과 지지판(54)의 구부러진 끝부가 교차하는 것에 의해 스택 반전 모드에서 A4사이즈 용지의 정치 위치가 규정된다.
또, 레터 사이즈 또는 리갈(regal) 사이즈 용지가 사용될 때 연속 반전 모드에서는 제지판(53)이 A4 사이즈 용지의 경우에서 보다 큰 일정각도 위쪽으로 이동하여 사이에 끼워지는 용지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에 의해 용지의 폭의 증대에 따라서 용지의 정지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스택반전모드에서는 제지판(53)이 A4 사이즈 용지의 경우에서 보다 작은 일정각도 위쪽으로 후퇴하여 2개의 제지판(53),(54)가 바닥판(31)에서 분리되므로 제지 수단으로써 작용하는 뒤쪽판(33)에 의해 용지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 13 도는 용지의 칫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진입센서(15) 또는 다른 상기의 센서는 연산기(56)에 접속되고,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용지의 통과 시간과 용지 칫수가 산출된다. 연산기 또는 산출기(56)은 제어기(57)을 거쳐서 구동모터(36)에 접속되어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서 모터(36)을 작동시키고, 제지판의 요동각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반전모드 또는 스택반전모드인 경우라도 용지를 서로다른 위치에서 요동가능한 가이드에 접속시켜 정합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연속반전 기능과 스택반전 기능을 갖는 용지반전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용지의 각 칫수에 대해 부가적인 가이드 이동기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가 있고, 공급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용지의 공송이나 이중공급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반송되어 온 용지(A,B,C,D)를 1장씩 공급하는 용지 반전장치에 있어서, 용지가 집적되는 받침대 수단(31), 상기 받침대 수단(31)을 향해 공급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누름가이드 수단(35), 상기 용지를 상기 받침대 수단(31)의 적소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용지를 제지하는 제지 수단(37 ; 53,54), 상기 받침대 수단(31) 상의 최하부 용지를 흡착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0), 상기 최하부 용지와 나머지 용지를 분리하도록 상기 받침대 수단(31)상에 집적된 용지의 바닥으로 공기류를 향하게 하는 흡출수단(28)을 포함하며, 반송되어 온 용지(A,B,C,D)가 그대로 공급되는 연속 반전 모드와 용지를 집적하면서 최하부 용지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스택반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지 수단(37 ; 53,54)가 반송되어 온 용지(A,B,C,D)와 다른 위치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상기 받침대 수단(31)으로의 용지 공급로에서 후퇴 및 연장하도록 요동가능한 용지 반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상기 연속 반전모드에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와 상기 받침대 수단(31) 사이에 규정된 갭에 용지를 끼우는 것에 의해 용지를 제동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 수단과 교차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스택반전 모드에서 상기 제지 수단의 다른 부분에 의해 용지를 위치결정하도록 위쪽으로 이동되는 용지 반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용지의 도입을 검출하는 제 1 의 검출수단(15) 및 상기 받침대 수단(31)상에 용지가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 2 의 검출 수단(16)을 또 포함하며,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상기 제 1 및 제 2 의 검출수단(15,16)으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용지의 공급 개시를 지시하는 반전신호를 따라 이동되는 용지 반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은 반대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서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제지판(53,54)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 반전 모드에서, 상기 제 1 의 제지판(53)은 용지를 제동하도록 상기 받침대 수단(31)과 교차하고, 상기 제 2 의 제지판(54)는 상기 받침대 수단(31)에서 분리되고, 상기 스택 반전 모드에서, 상기 제 2 의 제지판(54)는 용지를 제동하도록 상기 받침대 수단(31)과 교차하고 상기 제 1 의 제지판(53)은 상기 받침대 수단(31)에서 분리되는 용지 반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용지의 칫수에 따라 설정되는 요동 각도만큼 이동되는 용지 반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용지의 이동 속도 및 용지가 상기 받침대 수단(31)에 도달하기 전에 경과한 시간에서 결정된 용지의 칫수에 따라 설정되는 요동 각도만큼 이동되는 용지 반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상기 제 1 의 검출수단(15)에 의해 용지의 도입이 검출되고 상기 제 2 의 검출수단(16)에 의해 용지가 있는 것이 검출된 후 소정의 시간의 경과할때 상기 반전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스택 반전 모드의 제동을 실행하는 용지 반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의 상기 다른 위치는 용지를 끼우도록 상기 받침대 수단(31)과 협동하는 부분 및 반송되어 온 용지의 선단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용지 반전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용지의 칫수는 상기 제 1 의 검출수단(1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용지의 칫수에 대응하는 각도로 상기 받침대 수단과(31)과 교차하는 용지 반전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수단(37 ; 53,54)는 상기 제 1 의 검출수단(15)에 의해 용지의 도입이 검출되고 상기 반전신호의 발생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 1 의 검출수단(15)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상기 제 2 의 검출 수단(16)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와 일치하는가 않는가에 따라 상기 연속 반전 모드 또는 스택 반전 모드중의 어느 하나의 제동을 실행하는 용지 반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가이드 수단(35)는 상기 지지판 수단상의 공기류에 의해 부상된 용지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 수단(31)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수단(31)에 근접하여 그의 양측에 배치된 두개의 누름 가이드(35a)를 구비하는 용지 반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수단(31)은 용지에 대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용지 도입 방향에 대하여 그의 앞쪽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용지 반전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되어 온 용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전기(38)을 또 포함하는 용지 반전 장치.
KR1019900010072A 1989-07-05 1990-07-04 용지반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3597A JP2767290B2 (ja) 1989-07-05 1989-07-05 紙葉類反転装置
JP?1-173597 1989-07-05
JP1-173597 198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52A KR920002452A (ko) 1992-02-28
KR930008922B1 true KR930008922B1 (ko) 1993-09-17

Family

ID=1596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072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922B1 (ko) 1989-07-05 1990-07-04 용지반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2513A (ko)
EP (1) EP0406827B1 (ko)
JP (1) JP2767290B2 (ko)
KR (1) KR930008922B1 (ko)
DE (1) DE690100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486C1 (de) * 1992-12-22 1994-04-07 Heidelberger Druckmasch Ag Anlegetisch einer Bogendruckmaschine
JP3080828B2 (ja) * 1994-01-14 2000-08-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送り装置
JPH09240898A (ja) * 1996-03-04 1997-09-16 Sharp Corp 用紙反転装置
US6042528A (en) * 1998-03-25 2000-03-28 Datacard Corporation Apparatus for buffering, turning over, folding and orientating forms
JP3648073B2 (ja) * 1998-05-29 2005-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6126164A (en) * 1999-06-24 2000-10-03 Lexmark International, Inc. Bail assembly
US7059532B2 (en) 2003-01-09 2006-06-13 Datacard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synchronizing forms between printer and device for attaching personalized cards by creating shingled stacks
AU2003280220A1 (en) * 2003-11-17 2004-06-0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print media path for a printer
KR100697346B1 (ko) * 2004-09-17 2007-03-20 엘릭스 주식회사 티슈 토출 장치
JP5430158B2 (ja) * 2009-01-27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US10065826B1 (en) * 2017-08-04 2018-09-04 Xerox Corporation Stacking module with fans
JP7321800B2 (ja) * 2019-07-03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695603B2 (ja) * 2020-11-27 2025-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積載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740A (en) * 1978-05-02 1980-07-29 Xerox Corporation Sheet reversing mechanism
US4275877A (en) * 1979-10-03 1981-06-30 Xerox Corporation Interrupted jet air knife for sheet separator
DE3228570A1 (de) * 1981-07-30 1983-02-17 Minolta Camera K.K., Osaka Zweiseitenaufzeichnungssystem
US4456237A (en) * 1981-10-30 1984-06-26 Xerox Corporation Plural mode recirculating document handler
GB2122976B (en) * 1982-07-07 1985-09-11 Xerox Corp Stacking sheets
US4469319A (en) * 1982-11-22 1984-09-04 Xerox Corporation Large document restacking system
NL8402941A (nl) * 1984-09-27 1986-04-16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vergaren van vellen.
JPS6172530U (ko) * 1984-10-13 1986-05-17
US4650176A (en) * 1985-02-06 1987-03-17 Suzuki International Patent Office Automatic sheet reversing apparatus
JPH0674109B2 (ja) * 1985-06-04 1994-09-21 コニカ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JPS6266272A (ja) * 1985-09-19 1987-03-25 Fuji Xerox Co Ltd 両面複写機の制御方法
GB2196942B (en) * 1986-09-18 1991-07-17 Canon Kk A sheet conveying apparatus
JPS63242843A (ja) * 1987-03-27 1988-10-07 Ricoh Co Ltd エア−給紙装置
US4923190A (en) * 1987-12-28 1990-05-08 Ricoh Company, Ltd. Original paper turning over and conveying ou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2458A (ja) 1991-02-22
EP0406827A1 (en) 1991-01-09
KR920002452A (ko) 1992-02-28
JP2767290B2 (ja) 1998-06-18
US5152513A (en) 1992-10-06
DE69010090T2 (de) 1994-10-20
DE69010090D1 (de) 1994-07-28
EP0406827B1 (en)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922B1 (ko) 용지반전장치
US4212456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dividual sheets from a stack through an office machine
US7661670B2 (en) Sheet discharge device
JP2008308303A (ja) 給紙装置
JPS6142696B2 (ko)
JP4374523B2 (ja) シート状商品の自動払出装置
JPS62211265A (ja) シ−ト排紙受け装置
JP3478507B2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US11685174B2 (en) Post-processing device and printing system
JP3511319B2 (ja) スリッタの排紙装置
JPH08131862A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JP4707442B2 (ja) 給紙装置
JPS63143168A (ja) 用紙スタツク装置
JP6596540B1 (ja) 紙葉類処理装置
JP4436549B2 (ja) 給紙装置
KR100580916B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3398175B2 (ja) カード体供給装置
JPH01104523A (ja) シート給送装置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H1059608A (ja) 排紙装置
JP2025025464A (ja) 加工処理装置
JPS6341358A (ja) シ−ト整合装置
JPH0275533A (ja) 給紙装置
JPH0442296B2 (ko)
JPS5982260A (ja) 記録紙の表裏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9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9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