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31B1 -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 Google Patents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8431B1 KR930008431B1 KR1019910002837A KR910002837A KR930008431B1 KR 930008431 B1 KR930008431 B1 KR 930008431B1 KR 1019910002837 A KR1019910002837 A KR 1019910002837A KR 910002837 A KR910002837 A KR 910002837A KR 930008431 B1 KR930008431 B1 KR 9300084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phase
- detection circuit
- digital pll
- state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는 종래 기술의 PLL상태 검출회로.1 is a convention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제 2 도는 본 발명의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제 2 도에 따른 구체 회로도.3 shows a concrete circuit according to FIG.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1 : 위상비교부 402 : 바이패스부401: phase comparison unit 402: bypass unit
403 : 피크검출부 404 : 스위칭 및 지시부403: peak detection unit 404: switching and indicating unit
본 발명은 PLL(Phase Locked Loop)상태 검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PLL(Digital phase Locked Loop)에서 루프가 로크(Lock)되어 있는지 또는 로크되어 있지 않은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PLL 상태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se locked loop (PLL) state detection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L state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a loop is locked or not locked in a digital phase locked loop (PLL).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종래의 PLL상태 검출 회로로는 두 개의 연산증폭기로 전압비교기를 구성하고, 일정한 기준전압과 로우 패스 필터 출력전압과의 전압을 비교하는 방법이 있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includes a voltage comparator composed of two operational amplifiers, and compares a voltage between a constant reference voltage and a low pass filter output voltage.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PLL상태를 검출할 겨우, 전압 제어 발진기가 로크되는 정확한 전압 범위를 설정하기 어려워 PLL상태 검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 및 제품의 양산적인 측면에서 불리한점이 있엇다.In the case of detecting the PLL state by such a conventional method, it is difficult to set the exact voltage range in which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lock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tect the PLL state and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mass production.
또한 1987년 6월27일자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1989년 10월 27일자로 출원공고된 공고번호 제89-4120호의 "디지탈 PLL상태 검출회로(이하 "선행특허"라 칭한다)"를 제 1 도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 of Publication No. 89-4120,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 June 27, 1987 and filed on October 27, 1989, was filed. 1 is shown.
상기 제 1 도에 나타낸 선행특허는 D형 플립플롭(21)과 리트리거러블 원-샷 멀티바이브레이터(22)를 이용한 일종의 위상/주파수 비교기를 사용함으로써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전압 변동에 따른 PLL상태의 오검출을 방지한 회로이다.The prior patent shown in FIG. 1 uses a type of phase / frequency comparator using a D-type flip-
상기 선행 특허는 단순히 PLL의 로크 및 언로크(Un Lock)상태를 "하이"나 "로우"로 감지하는데 상기 D형 플립플롭과 리트리거러블 원-샷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회로를 복잡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양산시 원가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ceding patent merely complicates the circuit by using the D-type flip-flop and the retriggerable one-shot multivibrator to detect the lock and unlock state of the PLL as "high" or "low". Accordingly,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erms of cost in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또한 사용자에게 PLL상태의 언로크를 알려줄수 있는 지지기능이 없으며, PLL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바뀔때마다 저항(R21) 및 커패시터(C21)의 값을 바꾸어 주어야 하므로 모든 디지털 PLL회로에 적용하기에는 번거러운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no support function to inform the user of unlocking of the PLL state, and it is troublesome to apply to all digital PLL circuits because the value of the resistor (R21) and the capacitor (C21) must be changed whenever the frequency used in the PLL is changed. There was th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범용 디지탈 게이트 소자 및 아날로그 소자등을 사용하여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디지탈 PLL상태 검출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which can easily constitute a circuit using a general-purpose digital gate element, an analog element, etc.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파수의 사용범위에 관계없이 모든 디지탈 PLL회로에 적용할수 있는 디지탈 PLL상태 검출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that can be applied to all digital PLL circuits regardless of the frequency range of us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품양산시 가격 경쟁력측면에서 우수한 디지털 PLL상태 검출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having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in mass produc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신뢰성의 우수한 디지탈 PLL상태 검출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which can be easily used by a user and has excellent reliability.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2 도는 본 발명의 디지탈 PLL상태 검출 회로의 개략도로서, 기준 입력 신호를 입력라인(S1)을 통해 입력단자(R)로 입력하는 동시에 소정 분주된 발진출력신호를 입력라인(S2)을 통해 입력단자(V)로 입력하여 그 위상을 검출하기위한 위상검출기(11)와, 상기 위상검출기(11)의 각 출력을 입력하여 저항(R11-R17), 커패시터(C11-C14) 및 연산증폭기(12)에 의해 비교하는 공지의 로우패스필터(100)와, 상기 로우패스필터(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단(Vin)으로 입력하여 발진용 커패시터(C15)와 접속된 전압제어발진기(13)와, 상기 전압제어발진기(13)의 발진 출력단자(fout)으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출력 신호를 임의의 값(N)으로 분주하는 분주회로(14)와, 상기 위상검출기(11)의 기준입력 신호라인(S1) 및 비교입력 신호라인(S2)에 연결되어 PLL의 로크 또는 언로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위상 비교부(401)와, 상기 위상비교부(401)에 연결되어 상기 로크시에는 상기 위상비교부(401)의 출력을 바이 패싱시키기 위한 바이패스부(402)와, 상기 바이패스부(402)에 연결되어 상기 언로크시에는 상기 위상비교부(401)의 출력은 DC전압이 되도록 하기위한 피크 검출부(403)와, 상기 피크검출부(403)에 연결되어 PLL의 언로크시에는 스위칭하여 사용자에게 언로크상태를 지시해주기 위한 스위칭 및 지시부(404)로 구성된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puts a reference input signal to the input terminal R through the input line S1 and simultaneously inputs a predetermined divided oscillation output signal through the input line S2. A
제 3 도는 상기 위상비교부(401) 및 바이패스부(402), 피크검출부(403) 그리고 스위칭 및 지시부(404)로 구성된 디지털 PLL상태 검출부(400)의 구체회로도이다.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digital
상기 위상비교부(401)는 상기 위상검출기(11)의 입력라인(S1,S2)들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을 도출시키기 위한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로 구성되고, 상기 바이패스부(402)는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크(EOR1)의 출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싱 시키는 커패시터(C1)로 구성되고, 상기 피크검출부(403)는 상기 커패시터(C1)에 의해 바이패싱 되지않은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의 출력을 DC화하여 출력하기위한 다이오드(D1) 및 전해 커패시터(C2)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및 지시부(404)는 상기 다이오드(D1) 및 전해커패시터(C2)의 출력을 입력하여 PLL의 언로크 상태를 경보하기위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 및 바이어스용 저항(R1,R2), 전원전압(VCC)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간에 연결된 전압강하용 저항(R3) 및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된다.The
상기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대신에 사용자에게 경보로써 PLL의 언로크 상태를 알려주기위해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전원전압(VCC)간에 경보용 부저를 사용한다.An alarm buzzer is used between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inform the user of the unlock state of the PLL as an alarm instea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제 2 도는 위상 비교부(401)는 상기 위상검출기(11)의 기준입력신호라인(S1) 및 분주기(14)의 출력단(Q)으로부터 출력되는 비교입력신호라인(S2)의 출력을 입력하여 위상을 비교한다.2, the
여기서 상기 위상 비교부(401)의 출력은 상기 위상검출기(11), 로우패스필터(100), 전압제어발진기(13) 및 분주회로(14)로 구성된 PLL의 로크되었을 경우와 언로크 되었을 경우에 각기 다른 출력이 된다.Here, the output of the
상기 바이패스부(402)는 상기 위상 비교부(401)의 출력이 로크 되었을 경우에 한해서 상기 출력을 바이패싱(Bypassing)시키고, 언로크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위상비교부(401)의 출력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피크 검출부(403)는 상기 언로크시에 입력되는 상기 위상비교부(401)의 출력을 피크검출하여 시간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전압인 DC전압으로 변환한다. 즉 상기 피크검출부(403)는 DC성분을 가지는 불규칙한 AC신호를 입력하여 DC전압으로 변환시킨다.The
상기 피크검출부(403)의 언로크상태를 나타내는 DC전압출력은 상기 스위칭 및 지시부(404)로 입력된다.The DC voltage output indicating the unlocked state of the
상기 스위칭 및 지시부(404)는 상기 피크검출부(403)의 출력을 입력하여 사용자에게 PLL의 언로크 상태를 지시 또는 경보해주게 된다. 따라서 PLL의 언로크시 사용자는 지시 또는 경보에 의해 PLL이 언로크 상태임을 알게되며 이에 따른 빠른 대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switching and indicating
이하 상술한 설명에 덧붙여 제 3 도에 도시된 디지털 PLL상태 검출부(4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PLL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의 두 입력신호(S1,S2)는 상기 PLL의 위상검출기(11)의 입력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PLL이 로크(LOCK)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에 입력되는 주파수들은 서로 동일하며 두가지의 상태가 가능하다. 즉 하나는 기준입력신호라인(S1)의 신호가 상기 신호(S2)보다 위상이 빠른경우이고, 또 하나는 상기(S1)의 신호가 상기 신호(S2)보다 늦은 경우이다. 이때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의 출력은 상기의 경우들에 관계없이 로크시에는 일정하 주기를 갖고 두 입력의 위상차이 만큼의 "하이'상태가 출력된다.The two input signals S1 and S2 of the exclusive oragate EOR1 are the same as the inputs of the
상기 "하이"의 출력은 AC성분을 갖는 신호이므로 커패시터(C1)에 의해 바이패스되어 그라운드 레벨(ground level)근방을 유지하게 된다.The output of "high" is a signal having an AC component and is bypassed by the capacitor C1 to maintain the ground level.
따라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전압이 "로우"이므로 "턴어프"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도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the switching transistor Q1 operates in a "turn-around" because the voltage input to the base is "low".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also maintains the off state.
그러나 상기 PLL이 언크로시에는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의 출력단에는 주기가 불규칙하고 DC성분을 가지는 AC신호가 출력된다.However, when the PLL is uncrossed, an AC signal having an irregular period and a DC component is output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exclusive oragate EOR1.
상기 언로크시의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OR1)의 출력은 DC성분을 갖는 신호이므로 상기 캐패시터(C1)에 의해 바이패싱되지 않고 상기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입력된다.Since the output of the exclusive oragate EOR1 during the unlocking is a signal having a DC component, the output is input to the anode of the diode D1 without being bypassed by the capacitor C1.
상기 다이오드(D1) 및 전해커패시터(C2)는 상기 입력을 피크검출하여 DC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약 1-3V의 DC전압이 발생된다.The diode D1 and the electrolytic capacitor C2 detect the peak and convert it to a DC voltage. At this time, a DC voltage of about 1-3V is generated.
상기 DC전압은 상기 저항(R1)을 통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에 대응하여 발광다이오드(LED1)에 동작전압이 인가되어 발광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의 발광동작을 인지하여 현재 PLL상태가 언로크 상태임을 알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 대신에 경보용 부저(BUZZER)등을 사용하여 PLL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The DC voltage is input to the bas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Q1 through the resistor R1. Thus,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turn-on operation of the transistor Q1, an operat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to emit light.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to know that the current PLL state is unlocked. In this case, an alarm buzzer or the like may be used instea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to indicate an unlock state of the PLL.
또한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유입되는 전류를 Ib, 컬렉터의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I,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전류증폭율을 hfe라할경우 트랜지스터의 포화조건인 Ib〉I〉hfe가 되게 상기 바이어스용 저항(R1,R2)을 구성한다.In this case, when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is Ib,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llector load is I, and the current amplification factor of the transistor Q1 is hfe, Ib> I> hfe is a saturation condition of the transistor. The bias resistors R1 and R2 are form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를 NPN형으로 사용하였으나 PNP형으로 대치하고 이에따라 나머지 관련 소자들을 바꾸어 사용할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transistor Q1 is used as the NPN type, but may be replaced with the PNP type and the remaining related elements may be replaced accordingly.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PLL을 사용하는 장치의 PLL상태를 간편하게 검출할수 있으며, 범용 디지털 IC인 게이트 소자와 범용 아나로그 소자로써 회로를 구설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가 간단해지며 원가측면에서 유리하다. 아울러 일종의 위상비교방식을 사용함으로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전압 변동에 따른 오검출을 방지할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산시 기존의 회로와는 달리 별도의 조작이 생략되므로 양산측면에서 유리하고, PLL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따른 오동작등 바쁜 영향을 주지 않게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tect a PLL state of a device using a digital PLL, and a circuit can be constructed by a gate element and a general analog element, which are general-purpose digital ICs, thereby simplifying hardware and in terms of cost. It is advantageous. In addition, by using a kind of phase comparison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neous detection due to control voltage variation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mass production, since the separate operation is omitted unlike the existing circuit during mass produ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have a busy effect such as malfunction due to impedance mismatch of the PLL.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02837A KR930008431B1 (en) | 1991-02-21 | 1991-02-21 |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02837A KR930008431B1 (en) | 1991-02-21 | 1991-02-21 |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7369A KR920017369A (en) | 1992-09-26 |
KR930008431B1 true KR930008431B1 (en) | 1993-08-31 |
Family
ID=1931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2837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431B1 (en) | 1991-02-21 | 1991-02-21 |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84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56136B2 (en) * | 1999-10-19 | 2002-12-09 | 日本電気株式会社 | PLL circuit |
-
1991
- 1991-02-21 KR KR1019910002837A patent/KR9300084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7369A (en) | 199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33308A (en) | PLL Detection circuit | |
US5589759A (en) | Circuit for detecting voltage variations in relation to a set value, for devices comprising error amplifiers | |
US4205272A (en) | Phase-locked loop circuit for use in synthesizer tuner and synthesizer tuner incorporating same | |
US4796028A (en) | Apparatus for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 |
JPH01125024A (en) | Phase comparator | |
NL8620366A (en) | LOCK DETECTION CIRCUIT FOR A PHASE COMPARATOR AND SYNTHESISER USING IT. | |
JP3984245B2 (en) | Phase lock loop and method for detecting lock situation in phase lock loop | |
KR960001075B1 (en) | Phase detector | |
US6940323B2 (en) | Phase locked loop circuit with an unlock detection circuit and a switch | |
KR930008431B1 (en) | Digital PLL State Detection Circuit | |
KR960016784B1 (en) | Automatic frequency control system | |
US6501259B1 (en) | Analog phase frequency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 |
JPH1070457A (en) | Pll circuit | |
US4642489A (en) | Sampled data amplitude linear phase detector | |
US6462593B2 (en) | Compensation circuit for low phase offset for phase-locked loops | |
JPS59210731A (en) | Phase lock droop circuit device | |
JP2001292060A (en) | Phase comparator and phase comparison method | |
JPH05160725A (en) | Automatic sweep lock circuit for phase lock loop | |
JP3928834B2 (en) | PLL circuit | |
JPS5938761Y2 (en) | PLL circuit low-pass filter | |
US20110171913A1 (en) | Frequency Synthesizer | |
JPH0756544Y2 (en) | Video synchronous detection circuit | |
JPH0278322A (en) | Loop switching circuit for phase locked loop oscillator | |
US4704586A (en) | Bipolar bandwidth switch for use in a phase-locked loop | |
US5043678A (en) | Phase lock loo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8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09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9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