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330Y1 - 전자악기의 건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330Y1
KR930008330Y1 KR2019910001174U KR910001174U KR930008330Y1 KR 930008330 Y1 KR930008330 Y1 KR 930008330Y1 KR 2019910001174 U KR2019910001174 U KR 2019910001174U KR 910001174 U KR910001174 U KR 910001174U KR 930008330 Y1 KR930008330 Y1 KR 93000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weight
black
gun
key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533U (ko
Inventor
남상은
Original Assignee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filed Critical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1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330Y1/ko
Publication of KR920015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3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건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악기의 건반 중 백건의 길이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악기의 건반 중 흑건의 길이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건 2 : 흑건
3 : 건반회동축 부재 3a : 백건회동축
3b : 흑건 회동축 4 : 건반 가이드
5 : 웨이트 부재 6a : 백건 웨이트 가압부재
6b : 흑건웨이트 가압부재 7 : 웨이트 부재 회동축
8 : 스위치접점
본 고안은 전자오르간이나 전자피아노등의 전자악기의 건반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2열 배치의 건반회동동축구조 및 흑건과 백건의 무게를 동일하게하는 웨이트 조절구조를 구비한 2접점스위치의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흑건과 백건의 회동축이 건반의 후부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한 1열배치 건반회동축 구조에서는 흑건과 백건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스위치접점에서 건반후부의 회동축까지의 거리와 스위치접점에서 건반선단부의 터치점까지의 거리의 비는 흑건과 백건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에따라 동일한 힘으로 건반을 누르더라도 건반의 길이가 긴 백건의 경우는 건반의 길이가 짧은 흑건의 경우보다 스위치접점에 가해지는 가압속도가 차이가 있어 음량이 더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흑건과 백건의 무게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건반악기의 필수요건이지만 종래에는 웨이트조절구조가 동일한 형상의 단일재로 구성되므로 건반의 회전모멘트도 다르게 되고 이에따라 웨이트부재를 가압하는 힘에도 차이가 나서 동일한 웨이트부재를 부착할 경우에 중량효과의 차이 및 터치감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열하여 백건과 흑건의 길이의 차이 및 이에 따른 손가락의 터치점 위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위치접점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웨이트부재의 중량효과의 편차를 없애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전자악기건반구조에서 볼 수 없었던 신규의 2열배치 건반회동축구조 및 2위치 웨이트가압부재를 개시함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이 요지로 하는 것은 백건의 터치점에서 스위치접점까지의 거리와 스위치 접점에서 백건회동축까지의 거리의 비가 흑건의 터치점에서 스위치접점까지의 거리와 스위치접점에서 흑건회동축까지의 거리의 비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흑건의 회동축을 백건의 회동축의 전방부에 설치하여 흑건의 지지거리를 짧게한 2열배치 건반회동축 구조와 백건의 회전모멘트에 의한 백건웨이트가압부재의 웨이트부재에 대한 가압력이 흑건의 회전모멘트에 의한 흑건웨이트가압부재의 웨이트부재에 대한 가압력이 대체로 동일하도록 백건의 웨이트가압부재의 웨이트부재에 대한 가압점을 흑건의 웨이트가압부재의 가압점보다 웨이트부재의 회동축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악기건반의 백건의 길이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번호 3은 건반회동축부재로서 건반장치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3a는 백건의 회동축이고 3b는 흑건의 회동축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백건(1)은 백건회동축(3a)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흑건회동축(3b)이 위치하는 백건의 저점에서는 홈이 파여있으므로 백건(1)과 흑건회동축(3b)은 맞닿지 않으므로 흑건회동축(3b)은 백건에 대하여 회동의 지지축으로 가능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흑건의 길이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흑건(2)은 흑건회동축(3b)을 중심으로 회동되지만 백건회동축(3)은 흑건의 뒷쪽에 흑건과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백건회동축(3a)은 흑건에 대하여 회동의 지지축으로 기능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반회동축부재(3)는 백건회동축(3a)과 흑건회동축(3b)이 분리된 2열 배치 건반회동축 구조로 구성된다.
다시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4는 건반가이드이고 도면번호 5는 웨이트 부재로서 백건(1), 또는 흑건(2)을 누를때 건반가이드(4)의 하단의 웨이트가압부재(6a, 6b)에 의해 웨이트부재(5)를 누름에 의해 전자건반의 터치감을 아코스틱 건반의 경우와 유사한 터치감 또는 중량감을 부여하게 된다.
제 1 도에서 백건웨이트가압부재(6a)는 건반 가이드의 하단에서 웨이트부재의 회동축에 가까운쪽에 돌출설치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제 2 도에서 흑건웨이트 가압부재(6b)는 웨이트 부재의 회동축에서 먼쪽에 즉, 흑건의 선단부쪽에 돌출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2열배치건반회동축구조에서 백건회동축(3a)과 흑건회동축(3b)과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같이 백건의 터치점 또는 백건의 단부에서 스위치접점까지의 거리와 스위치접점에서 백건회동축까지의 거리의 비가 흑건의 터치점 또는 흑건의 단부에서 스위치접점까지의 거리와 스위치접점에서 흑건회동축까지의 거리의 비가 대략 동일하게 되는 곳에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백건웨이트가압부재(6a)와 흑건웨이트가압부재(6b)의 간격은 백건의 회전모멘트에 의한 웨이트부재에 대한 가압력이 흑건의 회전모멘트에 의한 웨이트부재에 대한 가압력과 대체로 동일하게 될수 있는 길이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전자악기건반구조에 의하면 동일한 힘으로 건반을 누를 때 백건과 흑건의 길이의 차이에 따른 음량의 차이나 중량효과 또는 터치감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전자건반악기 연주시에 음량의 조절이나 터치감이 더욱 개선되고 그 연주감이 더욱 아코스틱 피아노에 가깝게 될 것이다.

Claims (1)

  1. 건반터치점의 반대편 하부에 위치하여 건반을 누룰때 축으로 기능하는 건반 회동축 구조에서 백건(1)의 터치점으로부터 스위치접점(8)까지의 거리와 스위치접점(8)에서 백건회동축(3a)까지의 거리의 비가 흑건(2)의 터치점으로부터 스위치접점(8)까지의 거리와 스위치접점(8)에서 흑건회동축(3b)까지의 거리의 비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흑건의 회동축(3b)을 백건회동축(3a)보다 스위치접점(8)에 가까이 설치한 2열배치 건반 회동축 구조 및 건반의 하부에 위치하여 건반에 일정한 중량감을 제공하는 웨이트부재를 가압하는 웨이트 가압부재에서 백건의 회전모멘트에 의한 백건웨이트가압부재(6b)의 웨이트부재(5)에 대한 가압력이 흑건의 회전모멘트에 의한 흑건웨이트가압부재(6b)의 웨이트부재(5)에 대한 가압력과 대체로 동일하게 되도록 백건웨이트가압부재(6a)의 웨이트부재(5)에 대한 가압점을 흑건웨이트가압부재(6b)의 가압점보다 웨이트부재회동축(11)에 가깝게 배치한 웨이트조절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건반.
KR2019910001174U 1991-01-28 1991-01-28 전자악기의 건반 Expired - Lifetime KR93000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174U KR930008330Y1 (ko) 1991-01-28 1991-01-28 전자악기의 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174U KR930008330Y1 (ko) 1991-01-28 1991-01-28 전자악기의 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533U KR920015533U (ko) 1992-08-17
KR930008330Y1 true KR930008330Y1 (ko) 1993-12-20

Family

ID=1931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174U Expired - Lifetime KR930008330Y1 (ko) 1991-01-28 1991-01-28 전자악기의 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3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533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2342A (en) Piano action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JPH07181959A (ja) 鍵盤装置
US4667563A (en) Key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19056781A (ja) 鍵盤装置
US3903780A (en) Keyboard for musical instruments with inertial effect of the keys
US5158003A (en) Key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930008330Y1 (ko) 전자악기의 건반
US5079985A (en)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3384052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GB2049255A (en) Piano-action keyboard
JP2550101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に於けるストッパ調節装置
JP2949395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930006066Y1 (ko) 전자악기의 건반
JP2565970Y2 (ja) 鍵盤楽器の鍵盤装置
KR970005025Y1 (ko) 전자악기의 건반
JPH0997076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699384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456543B2 (ja) 鍵盤装置
JP3731638B2 (ja) 鍵盤装置
KR970004168B1 (ko) 디지탈 피아노
JPH0784575A (ja) 演奏装置
JP3680787B2 (ja) 電子弦楽器
JP3690276B2 (ja) 電子弦楽器
KR960003642Y1 (ko) 피아노와 오르간 페달을 겸용 사용케 한 전자악기의 페달장치
JPS5921423Y2 (ja) 電子楽器の鍵盤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1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30817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6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06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7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