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165Y1 -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65Y1
KR930008165Y1 KR2019910023291U KR910023291U KR930008165Y1 KR 930008165 Y1 KR930008165 Y1 KR 930008165Y1 KR 2019910023291 U KR2019910023291 U KR 2019910023291U KR 910023291 U KR910023291 U KR 910023291U KR 930008165 Y1 KR930008165 Y1 KR 930008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p
contact
view
membrane sheet
key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464U (ko
Inventor
안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3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165Y1/ko
Publication of KR930015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키보드 스위치의 접점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스위치부의 분해 단면도, (b)는 접점이 형성되기 전의 조립 단면도, (c)는 접점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접점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스위치부의 정면 분해 단면도, (b)는 스위치부의 측면 분해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스템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 우측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스위치 접점구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접점이 형성되기 전의 조립 단면도, (b)는 접점이 형성되기 후의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탑 2 : 클럭러버(Click rubber)
4 : 멤브레인쉬트 6 : 스텝부재
본 고안은 컴퓨터의 키보드 스위치의 접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탑(key top)과 키보드 프레임 사시에 완충부재를 삽입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인 키보드의 접점구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에 쓰이는 종래의 접점구조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의 접점부는 오퍼레이터가 터치하는 키탑(key top)과, 상기 키탑의 원상복귀를 위한 탄성 클릭러버(click rubber)와 키이들의 배열된 프레임(3) 그리고 전기적 신호의 접촉을 위한 멤브레인 쉬트(membrane sheet)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탑(1)은 하단부에 멤브레인 쉬트를 가압하기 위한 중앙바아(bar)(1a)와 상기 키탑을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끼운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1b)를 구비한다.
접점이 오프(off)된 상태 및 접점이 온(On)된 상태를 도시한 제 1 도의 (a) 및 (b)를 참조하여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오퍼레이터가 키탑(1)을 가압하면 클릭러버(2)는 그 힘에 의하여 굴곡되고, 이때 키탑의 중앙 바아(1a)가 멤브레인 쉬트(4)에 직접 닿게 된다. 그러면 3층으로 형성된 멤브레인 쉬트의 상하면이 닿으면서 접점이 형성된다. 그리고 키탑(1)에서 손을 떼면 클릭러버(2)의 탄성에 의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주조에서는 키탑의 중앙 바아(1a)가 직접 멤브레인 쉬트를 가압하여 쉬트와 접촉시 소음이 생기며, 멤브레인 쉬트이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이 없고, 내구성이 좋은 키보드의 접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탑과 클릭 러버 사이에 완충부재를 삽설함을 특징으로 하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접점장치는 종래의 키탑(1), 클릭러버(2) 사이에 상기 키탑(1)의 가압력을 멤부레인 쉬트(4)에 전달하기 위한 스템부재(6)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템부재(6)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텝부재는, 상단부에 키탑으로의 압력을 탄성적으로 받아 멤브레인 쉬트(4)에 전달하기 위한 한쌍의 탄성아암(6a)과, 하단부 양측에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아암(6b). 그리고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키탑(1)의 중앙 바아(1a)를 수납하여 멤브레인 쉬트(4)에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中空)의 스템보스부(6c)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아암(6a)는 스템부재(6)의 상면에 평행하게 한쌍 형성되며 각각의 단부는 키탑과 저촉하는 수직돌출부를 구비한다. 즉 키탑(1)이 가압되면 키탑의 하면은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에 성형된 수직돌출부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스템부재의 하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용 아암(6b)은 키보드의 프레임과 맞물리도록 되어 스템부재의 자유 이탈을 방지한다. 중공(中空)의 스템보스부(6c)는 키탑의 중앙 바아(1a)가 수납되며, 키탑이 가압되면 키탑의 하면에 탄성아암(6a)를 가압하게 되고, 탄성아암이 하향으로 휘어지면서 스템부재(6)는 눌려져서, 결국 스템보스(6c)가 멤브레인 쉬트(4)를 가압하여 접점이 형성된다.
제 4a 도는 키탑이 가압되기 전의 정면 단면도이고, (b)는 측면단면도이다. 그리고 제 5a 도는 키탑이 가압되어 접점이 형성된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이다.
접점 형성과정을 도시한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탑(1)을 누르면 스템주재의 텐션아암(6a)이 힘을 받아 텐션아암은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스템부재는 하향 이동하게 되어, 스템보스(6c)가 멤브레인 쉬트의 접점을 형성한다. 즉 키탑의 하단이 직접 쉬트(4)를 가압하여 접점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스템부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접점을 형성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키탑의 중앙 바아(1a)가 쉬트(4)에 닿지 않고, 스템부재(6)의 보스하단(6c)가 멤브레인 쉬트에 먼저 닿도록 구성되고, 키탑의 중앙 바아(1a)가 스템의 텐션아암을 계속적으로 누르므로 접점이 확실히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키탑을 누를때의 소음문제를 해결하고 멤브레인 쉬트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퍼레이터가 키보드 조작시 감촉을 좋게 하였으며 키탑 및 스템부재가 같이 접점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접점 효과가 확실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점 형성을 위하여 하단부에 중앙 바아를 구비한 키탑과 상기 키탑이 배열되는 키보드 프레임과, 상기 키탑이 가압되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상단부의 탄성아암과 키탑의 중앙 보스를 수납하며 키탑이 눌려지면 이를 멤브레인 쉬트에 전달하기 위한 중공형 하단 보스를 구비한 스템부재와, 상기 키탑을 원위치하기 위한 탄성클릭러버로 구성되는 키보드의 접점구조.
KR2019910023291U 1991-12-21 1991-12-21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291U KR930008165Y1 (ko) 1991-12-21 1991-12-21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291U KR930008165Y1 (ko) 1991-12-21 1991-12-21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464U KR930015464U (ko) 1993-07-28
KR930008165Y1 true KR930008165Y1 (ko) 1993-12-10

Family

ID=1932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291U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165Y1 (ko) 1991-12-21 1991-12-21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1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464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1074A (en) Computer keyboard with cantilever switch and actuator design
US5329079A (en) Computer keyboard with improved cantilever switch design
US5278371A (en) Keyswitch assembly with support mechanism coupled to support plate beneath printed circuit board
CN202205161U (zh) 用于计算设备的键盘
US6572289B2 (en) Pushbutton structure of keyboard
US5779030A (en) Key board
US5950810A (en) Elastic apparatus for a keyswitch key of a keyboard and the keyswitch key using the same
US5228561A (en) Long traveling button switch with enhanced user feedback
US20030188960A1 (en) Elevatable key switch and keyboard with the same
US12019481B2 (en) Keyboard
CN107610966A (zh) 薄膜式按键开关
US6672781B1 (en) Reduced noise key unit
EP0423924B1 (en) Long traveling button switch with enhanced user feedback
KR930008165Y1 (ko) 멤브레인 키보드의 접점구조
EP1133720B1 (e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6713699B2 (en) Key switch stabilizer mechanism
CN110085471A (zh) 键盘结构
CN111292989B (zh) 按键装置及键盘装置
KR200419265Y1 (ko) 자석을 이용한 키 스위치
KR100206381B1 (ko) 키보드
JP2604218Y2 (ja) 薄形表示装置付き押釦スイッチ
JPH0315127A (ja) キーボード
CN109904022B (zh) 按键
CN222168195U (zh) 按键结构
JPH02287499A (ja) 電子楽器用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2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3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030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