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022Y1 -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022Y1
KR930008022Y1 KR2019910000955U KR910000955U KR930008022Y1 KR 930008022 Y1 KR930008022 Y1 KR 930008022Y1 KR 2019910000955 U KR2019910000955 U KR 2019910000955U KR 910000955 U KR910000955 U KR 910000955U KR 930008022 Y1 KR930008022 Y1 KR 930008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finder
lens case
camcorder
camera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003U (ko
Inventor
기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00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022Y1/ko
Publication of KR920016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제 1 도는 일반적인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사시도.
제 2 도는 일반적인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뷰파인더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뷰파인더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a)는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을 오른쪽 어깨에 얹어 사용하는 상태도. (b)는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을 왼쪽 어깨에 얹어 사용하는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 (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뷰파인더의 양방향 사용에 따른 CRT 화상의 동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캠코더 몸체 B : 뷰파인더
11 : 뷰파인더 몸체 11C,11D : 슬라이더
12 : 렌즈케이스 14 : CRT
15 : CRT 고정관 15b, 15'b : 걸림홈
16 : 결합보스 16b : 걸림턱
16c, 16c' : 걸림돌기 20 : 뷰파인더 결합부
21 : 안내레일
본 고안은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이하, ‘캠코더’라 약칭함)의 뷰파인더(VIEW FIND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뷰파인더 몸체로부터 렌즈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우측 어깨에 얹고 우측 눈으로 관찰하면서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피로할 경우 좌측 어깨에 얹고 좌측 눈으로 관찰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이하 “캠코더”라 함)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캠코더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코더 몸체(A)의 전방부에 뷰파인더(B)가 도시한 화살표 C,C′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캠코더 몸체(A)를 휴대 및 보관하거나 포장할 경우에는 뷰파인더(B)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90°정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캠코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뷰파인더(B)의 전형적인 일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뷰파인더 몸체(1)를 이루는 커버(2)와, 상기 커버(2)에 결합되는 렌즈케이스(3)와, 상기 렌즈케이스(3)의 지지홀더(4)에 의하여 선단부가 지지되고 원통보스(5)에 의하여 중간부가 지지되는 CRT(CATHODE RAY TUBE)(6)와, 상기 렌즈케이스(3)의 내부에 소정각도로 고정되어 CRT(6)의 상을 촬영자측으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캠코더의 뷰파인더(B)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코더 몸체(A)에 알려지 바와같은 통상적인 구성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캠코더 몸체(A)를 휴대 및 보관하거나 포장할 경우에는 화살표 C방향으로 90°정도 회전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캠코더 몸체(A)는 촬영시 통상 어깨에 얹혀진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바, 뷰파인더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에 의하여 만들어진 화상이 CRT(6)를 통하여 미러(6)로 투영 및 반사됨을 촬영자가 CRT(6)의 화상을 우측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촬영자가 반드시 캠코더 몸체(A)를 우측 어깨에 얹은 상태에서 우측 눈으로 관찰하면서 촬영하여야 함으로써 우측 어깨 및 우측 눈에 무리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촬영시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피로가 가중되어 심지어는 촬영자의 건강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우측 어깨에 얹은 상태에서 우측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사각 지역에서의 촬영이 곤란하게 되는 등 촬영에 제약을 받게 되어 캠코더를 폭넓게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뷰파인더 몸체를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 몸체에 좌, 우측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뷰파인더 몸체에 결합된 렌즈케이스를 뷰파인더 몸체로부터 180°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양방향 촬영, 즉 기존과 같이 캠코더 몸체를 우측 어깨에 얹고 뷰파인더에 우측 눈을 댄 상태에서 촬영할 뿐만 아니라 캠코더 몸체를 좌측 어깨에 얹고 뷰파인더에 좌측 눈을 댄 상태에서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어깨와 눈의 피로를 경감시킬수 있으며, 우측 어깨에 얹고 우측 눈으로 관찰하면서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역에서는 좌측 어깨에 얹고 좌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어 촬영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3a,b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뷰파인더의 양방향 사용에 따른 CRT 화상의 동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시한 바와같이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이하 “캠코더 ”라 함) 몸체(A)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레일(21)을 가지는 뷰파인더 결합부(20)를 설치하고, 렌즈케이스(12)를 뷰파인더 몸체(11)로 부터 전, 후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D 또는 D' 방향)으로 180°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우측 어깨에 얹은 상태에서 우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좌측 어깨에 얹은 상태에서 좌측 눈으로도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캠코더 몸체(A)의 전면에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레일(21)을 가지는 뷰파인더 결합부(20)가 고정설치되고, 안내레일(21)의 중간부에는 스토퍼(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뷰파인더 몸체(11)의 전면(11A)과 배면(11B)에는 각각 상기 뷰파인더 결합부(20)의 안내레일(2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더(11C,11D)가 돌출형성되며, 뷰파인더 몸체(11)의 내부에는 고정홈(13a)이 형성된 고정판(13)이 세워져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3)의 고정홈(13a)에는 내부에 CRT(14)가 고정된 원통형상의 CRT고정관(1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CRT 고정관(15)의 선단측 외측연부는 뷰파인더 몸체(11)의 일측벽에 형성된 결합공(11a)과 일정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상기 CRT 고정관(15)의 외주면 일측에는 일정간격의 안내요입부(1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CRT 고정관(15)의 외주면 선단부 양측에는 걸림홈(15b)(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뷰파인더 몸체(11)에 결합되는 렌즈케이스(12)의 일측벽 일정부위에는 뷰파인더 몸체(11)의 결합공(11a)으로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결합보스(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보스(16)는 내경이 CRT 고정관(1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CRT 고정관(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보스(16)의 단부에는 CRT 고정관(15)의 안내요입부(15a)를 따라 안내되는 절곡걸림부(16a)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뷰파인더 몸체(11)의 내벽에 걸려 렌지케이스(1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6b)이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보스(16)의 내주벽 양측에는 형합되어 CRT 고정관(15)의 양 걸림홈(15b)(15b')에 렌즈케이스(12)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6c)(16c')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렌즈케이스(12)에 통상적인 구성에 의하여 고정되는 미러를 보인 것이고, 18은 CRT(14)의 스크린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의 뷰파인더는 캠코더 몸체(A)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우측 어깨에 얹고 우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에는, 제 3a 도와 같이 렌즈케이스(12)를 뷰파인더 몸체(11)의 배면(11B)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뷰파인더 몸체(11)의 배면(11B)에 형성된 슬라이더(11D)를 캠코더 몸체(A)의 전면에 설치된 뷰파인더 결합부(20)의 안내레일(21)의 좌측에 삽입하면 뷰파인더(B)의 렌즈케이스(12)가 캠코더 몸체(A)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캠코더 몸체(A)를 우측 어깨에 얹고 우측 눈으로 뷰파이더(B)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뷰파인더 몸체(11)의 내부에 고정된 CRT고정관(15)의 양 걸림홈(15b)(15b')에 렌즈케이스(12)의 걸림돌기(16c)(16c')가 각각 형합되어 있으므로 렌즈케이스(12)는 뷰파인더 몸체(11)로부터 임의로 회전되지는 않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촬영을 하다가 캠코더 몸체(A)를 좌측 어깨에 얹고 좌측 눈으로 뷰파인더(B)보면서 촬영할 경우에는 제 3a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뷰파인더 몸체(11)의 배면(1B)에 돌출형성된 슬라이더(11D)를 캠코더 몸체(A)의 전면에 설치된 안내레일(21)로 부터 분리하여 제 3b 도와 같이 뷰파인더 몸체(11)를 수평으로 180° 돌려서 그 전면(11A)에 형성된 슬라이더(11C)를 캠코더 몸체(A)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레일(21)에 끼울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때 렌즈케이스(12)는 제 3b 도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캠코더몸체(A)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므로 이 렌즈케이스(12)를 제 3b 도의 실선표시와 같이 180°돌려서 캠코더 몸체(A)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면, 뷰파인더(B)의 렌즈케이스(12)가 캠코더 몸체(A)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캠코더 몸체(A)를 좌측 어깨에 얹고 좌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에 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렌즈케이스(12)를 제 3b 도의 가상선 표시상태에서 실선표시상태로 180° 돌림에 있어서는, 렌즈케이스(12)를 제 4 도에 도시한 화살표 E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CRT 고정관(15)의 양 걸림홈(15b)(15b')으로부터 결합보스(16)의 걸림돌기(16c)(16c')가 벗어나게 되며, 이때 결합보스(16)의 걸림턱(16b)은 뷰파인더 몸체(11)의 내벽에 걸리게 되므로 렌즈케이스(12)가 뷰파인더 몸체(11)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이와같이 뷰파인더 몸체(11)로부터 결합 상태가 풀어진 렌즈케이스(12)를 다시 내측(화살표 "F"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CRT 고정관(15)의 양 걸림홈(15b)(15b')에 렌즈케이스(12)의 양 걸림돌기(16c)(16c')가 형합됨으로써 렌즈케이스(12)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뷰파인더(B)를 전환시킴에 있어서는 뷰파인더 몸체(11)의 캠코더 몸체(A)에 대한 결합방향을 먼저 전환시킨 다음 렌즈케이스(12)를 180° 회전시키거나, 먼저 렌즈케이스(12)를 180° 회전시킨 다음 뷰파인더 몸체(11)의 캠코더 몸체(A)에 대한 결합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순서로 조작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캠코더 몸체(A)를 좌측어깨 및 좌측눈을 이용하여 촬영하다가 피로감이 느껴질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의 역으로 뷰파인더 몸체(11) 및 렌즈케이스(12)를 회전시켜 우측 어깨 및 우측 눈을 이용하여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6 도 (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캠코더 뷰파인더의 화상 동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로서, 제 6 도 (a) 및 (b)는 제 5 도의 (a) 및 (c)에 각각 대응되는 도면으로, CRT(14)의 스크린(18)에 입사되는 화상은 미러(17)에 반사된 후, 촬영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바,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뷰파인더 몸체(11)가 180° 회전되어도 미러(17)도 18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촬영자는 촬영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CRT(14)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우측 어깨에 캠코더 몸체를 얹고 우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좌측 어깨에 캠코더를 몸체에 얹고 좌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는 등 촬영방향을 좌,우 양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장시간 촬영시에 피로감을 감소시켜 촬영 동작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우측 어깨에 얹고 우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는 사각지역에서는 좌측 어깨에 얹고 좌측 눈으로 뷰파인더를 보면서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고 그만큼 폭넓게 캠코더를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뷰파인더에 있어서, 캠코더 몸체(A)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레일(21)을 가지는 뷰파인더 결합부(20)를 설치하고, 뷰파인더 몸체(11)의 전면(11A)과 배면(11B)에는 상기 안내레일(21)의 좌측 및 우측에 끼워지는 슬라이더(11C,11D)를 설치하며, 렌즈케이스(12)를 뷰파인더 몸체(11)로부터 전,후방향으로 180°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양방향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 몸체(11)의 내부에 CRT(14)가 고정된 CRT 고정관(15)을 고정하고, 상기 렌즈케이스(12)의 일측벽에는 결합보스(16)를 형성하여, 상기 CRT 고정관(15)에 렌즈케이스(12)의 결합보스(1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16)의 외주면에는 뷰파인더 몸체(11)의 내벽에 걸리는 걸림턱(16b)이 형성되어 뷰파인더 몸체(11)로부터 렌즈케이스(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CRT 고정관(15) 및 결합보스(16)의 일정부위에 서로 형합되는 걸림홈(15b)(15b') 및 걸림돌기(16c)(16c')를 각각 형성하여, 뷰파인더 몸체(11)로부터 렌즈케이스(12)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KR2019910000955U 1991-01-23 1991-01-23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KR930008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55U KR930008022Y1 (ko) 1991-01-23 1991-01-23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55U KR930008022Y1 (ko) 1991-01-23 1991-01-23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003U KR920016003U (ko) 1992-08-17
KR930008022Y1 true KR930008022Y1 (ko) 1993-11-30

Family

ID=1931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955U KR930008022Y1 (ko) 1991-01-23 1991-01-23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0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003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133B1 (ko) 촬상 장치
KR930004317Y1 (ko) 광학식 · 전자식 겸용 뷰파인더
KR950009347A (ko) 카메라
KR100252633B1 (ko) 전자 카메라
EP0036180B1 (en) Compact camera adapted to be selectively switched between a standard photographic mode and a telephotographic mode at a focal length of more than 200 mm
US5430517A (en) Camera viewfinder with masking device for varying the viewing field
KR930008022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JP2000330179A (ja) カメラ
JPH11331669A (ja) ビデオカメラ
KR100424570B1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US4891658A (en) Open frame sight viewfinder
US5878284A (en) One-time use camera
US5559572A (en) Camera
EP0626610A1 (en) Camera with optically isolated dual viewfinders
JP3364910B2 (ja) ズームレンズ装置
KR20020001101A (ko) 컴퓨터용 화상 카메라
JP3633569B2 (ja) 撮影用アダプタ
AU705995B1 (en) Viewfinder structure of camera
JPH05281633A (ja) パノラマアダプタ
KR970006277B1 (ko)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JP2561902Y2 (ja) カメラ用ケース
KR20020001107A (ko) 컴퓨터용 화상 카메라
JPH0763977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H0775403B2 (ja) カメラ
JPH11212140A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付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3061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3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032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