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7618Y1 - 자동차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18Y1
KR930007618Y1 KR2019930018860U KR930018860U KR930007618Y1 KR 930007618 Y1 KR930007618 Y1 KR 930007618Y1 KR 2019930018860 U KR2019930018860 U KR 2019930018860U KR 930018860 U KR930018860 U KR 930018860U KR 930007618 Y1 KR930007618 Y1 KR 930007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ody
space
reflector
lamp
nu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따나베 신지
사이죠 아끼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5531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56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529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820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1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조등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 장치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선 Ⅴ-Ⅴ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전조등 장치의 배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전조등 장치의 반사경의 정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선 Ⅷ-Ⅷ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제 9 도는 제 7 도의 선 Ⅸ-Ⅸ에 따른 횡단면도.
제 10 도는 전형적인 선행기술의 전조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램프본체 3 : 우묵한 부분
4 : 설치홈 5 : 원형 개방부
6 : 튜브형 부분 7, 27 : 프렌지
8 : 렌즈 9 : 앞 표면부
10 : 원주벽 부분 11 : 접착제
12 : 램프공간 13 : 반사경
14 : 포물표면 15, 16 : 평평한 표면
17 : 원형내공 18 : 환형 돌설부
19 : 전구 20 : 필라멘트
21 : 유리튜브 22 : 회전 지지부
24 : 스프링 25 : 플러그
29 : 볼단부 30 : 보스부분
33 : 주요본체 34 : 설치부
35 : 홈 36 : 브라켓트
37 : 설치공 38 : 공간조절부
39 : 조절봉 40 : 나사부
41 : 중간부분 43 : 보호 유지홈
44 : 후단부 45 : 설치내공
46 : 환형 돌설부 47 : 와셔
48 : 오링 49 : 보호 유지와셔
50 : 내부가장자리 52a, 52b, 52c : 측벽
53a, 53b : 전면벽 54 : 판형 브라켓트
56 : 너트 57 : 두꺼운 주요본체
58 : 설치각부 59 : V형 홈
63 : 기어부분 65 : 케이싱
66, 67 : 베벨기어 68 : 중앙 장방형 내공
70 : 설치부 72 : 헤드부분
73 : 안내부 74 : 안내내공
본 고안은 자동차에 사용하는 전조등, 특히 경사진 반사경을 갖는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전조등의 렌즈와 램프본체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경사진 반사경에 대하여 여러가지 제안이 있었으며, 제 10 도에서와 같이 전형적으로 하나의 회전할 수 있는 지지부와 두개의 공간조절부를 통하여 반사경이 램프 본체상에 지지된다.
제 10 도에서 합성수지 재료로 된 램프본체 b는 앞 방향으로 우묵한 부분 c개방부를 갖고 또 렌즈 d는 우묵한 부분 c의 앞 개방부를 덮기 위해 본체 b상에 설치된다. 반사경 e는 회전 지지부분 f와 두개의 공간조절부(단지 하나의 m이 도시됨)를 통하여 램프본체 b상에 경사설치되어 있다.
회전형 지지부분 f는 램프본체 b상에 지지된 지지축 g와 반사경 e상에 지지된 수용부 h로 구성된다. 나사부 i는 지지축 g상에 형성되어 있고, 또 램프본체 b의 뒷부분과 나삽된다. 구형부 j는 축 g의 앞단부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수요부 h와 맞으며, 또 해당형상의 뒤로 마주보는 우묵한 부분 k를 갖는다. 수용부 h는 반사경 e의 뒷표면상에 돌출하는 브라켓트의 후단부상에 설치된다. 구형부 j는 우묵한 부분 k안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볼죠인트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한다.
공간조절부 m은 램프본체 b상에 회전 지지된 조절봉 n과 반사경 e상에 지지된 너트부재 o로 구성된다. 조절봉 n은 나사부분 p와 헤드부분 g로 구성된다. 헤드부분 g는 램프본체 b의 뒷표면상에 돌출하고 또 나사부분 p는 반사경 e의 뒷표면상에 돌출하는 브라켓트 r의 후단부상에 지지되는 너트부재 o와 맞는다. 봉 n가 회전될 때 램프본체 b와 반사경 e사이의 공간이 조절된다.
또하나의 공간조절부분은 횡방향으로 또는 도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공간조절부분 m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있으며, 또 그에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제 10 도에 나타낸 선행기술장치에 있어서, 공간조절부분 m은 뒷방향으로 상당히 많이 돌출하고 있으며, 그래서 앞뒤 방향으로의 전조등 장치의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공간조절부분 m에 있어서, 너트부재 o는 너트부재 o로 나삽되는 방향으로 조절봉 n의 조절운동을 허용하도록 반사경 e의 뒷표면으로 부터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요구되며, 또 조절봉 n은 운동을 허용하도록 너트부재 o로부터 충분한 공간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렇게 하여 전조등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증대되고, 따라서 자동차의 엔진실의 공간이 감소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경우에 대하여 고안된 것이며, 또 자동차에 사용할 전조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램프공간을 한정하는 고정램프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본체의 앞단부를 덮는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공란에서 경사지지되며,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반사경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경은 우묵한 반사표면을 가지며, 그중 일부는 그 후측상에 우묵한 부분을 한정하도록 전방으로 변위되며, 상기 부분의 앞표면은 반사거울의 효율적인 반사표면의 일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사거울상에서 지지되는 램프를 구비하며, 하나의 회전부와 상기 램프본체상에서 반사경을 지지하기 위한 두개의 공간조절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공간조절부는 상기 반사경상에서 지지되는 너트부재와 램프본체상에서 회전지지되며, 상기 너트부재와 나삽연결되도록 팁단부상에 나사부를 갖는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상에 그리고 상기 우묵한 부분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재를 지지하는 브라켓트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절봉의 앞단부는 반사경의 브라켓트와 반사경의 반사표면의 일부사이에 형성된 우묵한 부분에 수용되며, 이렇게 하여 조절봉은 뒤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전조등 장치의 종방향 크기가 상당히 감소된다.
또 반사경의 유효칫수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제 1 도에서 9 도까지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램프본체(2)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다. 우묵한 부분(3)은 램프본체(2)안에 형성되고, 또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형상의 앞개방부를 갖는다. 설치홈(4)은 제 2, 3,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앞개방부의 원주형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원형의 개방부(5)는 짧은 길이의 튜브형 부분(6)에 의해 램프본체(2) 후단부의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돌출하는 프렌지(7)는 튜브형 부분(6)의 후단부상에 형성된다. 렌즈(8)는 램프본체(2)의 앞개방부에 해당하는 형상의 앞표면 부분(9)을 갖고 또 원주벽 부분(10)은 앞표면 부분(9)과 일체로 형성되고, 거기에서 뒤로 연장된다. 원주벽 부분(10)의 후단부는 램프본체(2)의 설치홈(4)에 맞추어지고, 또 접착제(11)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램프공간(12)은 램프본체(2)와 렌즈(8) 사이로 한정된다.
반사경(13)은 램프공간(12)내에 경사설치되고, 또 합성수지 재료로 되어 있다.
반사경(13)은 앞에서 보아 일반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 포물표면부분(14)을 갖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평평한 표면부분(15)(16)은 각각 포물선형 표면부분(14)의 상하 단부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반사필름은 알루미늄 증기화와 같은 것에 의해 반사경(13)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내공(17)은 전구(19)를 설치하기 위하여 포물표면부(14)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환형의 돌설부(18)는 내공(17)의 후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구(19)는 필라멘트(20)를 갖고 유리튜브(21)의 후단부에 부착된 소케트(22)를 갖고 프렌지(23)를 갖는 유리튜브(21)로 구성되어 있다. 전구(19)는 프렌지(23)의 외부 주변부가 내공(17)의 가장자리의 뒷표면과 맞닿고 후단부로 부터 설치내공(17)을 통해 삽입된다. 보호 유지스프링(24)은 환형돌설부(18)상에 설치되고 프렌지(23)의 뒷표면과 탄설된다. 필라멘트(20)는 포물표면(14)의 초점 F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반사경(13)은 하나의 회전 지지부와 두개의 공간 조절부를 통하여 램프본체(2)상에 경사설치된다. 회전 지지부분(25)은 정면도(제 1 도)에서 보아 위우측부분에 위치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 지지부분(25)은 지지축(26)과 수용부(31)로 구성된다. 축(26)은 중간부분상에 프렌지(27)를, 뒤측부(제 3 도에서 우측)상에 플러그부분(28)을, 그리고 앞단부상에 볼단부(29)를 갖는다. 플러그부분(28)은 램프본체(2)상에 일체로 형성된 보스부분(30)에서 맞추어져 있다. 제 3 도에서 플러그부분(28)은 나사를 통하여 보스부분(30)에 고정되지만, 접착이나 억지맞춤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수용부(31)는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 뒤방향으로 개방되는 우묵한 부분(32)을 갖는 주요본체(33)와, 주요본체부(33)로 부터 앞으로 돌출하는 설치부(34)와 주요본체(33)와 설치부(34)사이에 형성된 원주홈(35)으로 구성된다. 설치부(34)는 뒤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반사경(13)의 뒤표면상에 형성되는 브라켓트(36)상에 설치된다. 수용부(31)의 설치부(34)는 홈(35)이 설치공(37)의 주변가장자리와 맞고 브라켓트(36)의 설치공(37)상에 맞추어진다. 그리하여 수용부(31)는 반사경 (13)에 지지된다.
지지축(26)의 볼단부(29)는 일반적으로 볼죠인트와 같은 구조의 회전 지지부(25)를 이루도록 수용부(31)의 우묵한 부분(32)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공간조절부분(38)은 제 1 도에서와 같이 아래에 위치되어 있고, 회전지지부분(25)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또 공간조절부(38')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좌측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공간조절부(38)와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다. 공간조절부분(38)(38')의 구조가 유사하므로 조절부분(38')의 설명은 생략하고 부분(38)에 해당하는 부분은 프라임을 갖는 같은 도면부호로 나타냈다.
공간조절부분(38)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램프본체(2)상에 회전설치된 조절봉(39)과, 반사경(13)상에 설치되고 조절봉(39)과 나삽연결되는 너트부재(56)와, 조절봉(39)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62)로 구성된다. 조절봉(39)은 앞의 나사부분(40)과, 후단부상의 프렌지(42)를 갖는 중간부분(41)과 프렌지(42)에 인접한 보호유지홈(43)과, 일반적으로 장방형 횡단면의 후단부(44)를 갖는다. 설치내공(45)은 램프본체(2)의 뒷벽에 형성되어 있고, 또 환형돌설부(46)가 내공(45)을 둘러싸기 위해 램프본체(2)의 뒷표면상에 형성된다. 조절봉(39)은 와셔(47)가 프렌지(42)의 앞표면과 환형돌설부(46)사이에 삽입되고, 또 오링(48)이 와셔(47)의 앞표면과 내공(45)의 후단부 사이에 삽입되며, 또 환형돌설부(46)의 내부 원주와 중간부분(41)의 외부 원주 사이에 삽입되어 내공(45) 안으로 삽입된다.
보호 유지와셔(49)는 그 주변내부 가장자리(50)가 봉(39)의 보호유지홈(43)안에 맞추어지고 램프본체(2)의 내부 표면상에 탄설된다. 그리하여 봉(39)은 램프본체(2)의 뒷벽상에 회전지지되고 그 축상의 운동이 방지된다.
반사경(13)의 뒷표면에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치된 U자 형상의 우묵한 부분(51)이 형성된다. 그 우묵한 부분(51)은 세개의 측벽 (52a)(52b)(52c)에 의해서, 그리고 두개의 앞벽부분(53a)(53b)에 의해 한정되고, 또 아래로 열려있다.
우묵한 부분(51)의 후단부는 반사경(13)과 함께 이루어진 판상의 브라켓트(54)에 의해 한정되고 또 설치내공(55)은 브라켓트(54)안에 형성된다.
반사경(13)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한 앞벽부분(53a)은 앞측부상에 포물표면을 갖고 포물표면의 초점거리는 포물표면부분(14)의 그것보다 짧고, 그 초점은 포물표면부분(14)의 초점(F)위에 위치된다. 그렇게 하여 벽부분(53a)의 앞표면은 전조등의 유효 반사표면의 일부로써 작용한다.
너트부재(56)는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 두터운 주요본체(57)로 구성되고, 또 설치각부(58)는 주요본체(57)와 함께 이루어져 있고, 또 거기에서 앞으로 연장된다. 설치각부(58)는 V자형 홈(59)에 의해 분리된 두개의 부분(58a)(58a)으로 구성되고, 그 외부원주에 각각 보호유지홈(60)(60)을 갖는다. 나사공(61')은 너트부재(56)안에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재(56)는 뒤측부로부터 반사경(13)의 브라켓트(54)의 설치내공(55)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각부(58)는 내공(55)을 통하여 삽입되고, 또 보호유지홈(60)은 브라켓트(54)상의 너트부재(56)를 보호유지하기 위해 내공(55)과 맞게 된다. 조절봉(39)의 나사부분(40)은 너트부재(56)와 맞고, 또 나사부분(40)의 앞단부는 우묵한 부분(51)안에 수용된다. 그리하여 공간 조절부분(38)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봉(39)이 회전될때 나사부분(40)은 봉(39)의 회전방향에 응하여 너트부재(56)에 또는 그것으로 부터 나삽해제되어 너트부재(56)는 램프본체(2)를 향하여 (뒤로) 또는 그것으로 부터 멀리 (앞으로) 움직이는데, 그 이유는 램프본체(2)에 대하여 봉(39)의 축상운동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공간조절부분(38)(38')의 조절봉(39)(39')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될 때 반사경(13)은 수직방향으로 회전한다. 공간조절부분(38')의 조절봉(39')이 회전될 때 거울(13)의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공간 조절부분(38)의 조절봉(39)이 회전될 때 반사경(13)을 회전지지부(25)와 공간조절부(38')를 연결하는 선둘레에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부는 전조등의 앞측부로 부터의 조절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제 3 도, 5 도 및 6 도에서 도면부호(62)로 나타나 있는 것은 공간조절부(38)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며, 기어장치(63)와 작동봉(64)으로 구성된다.
기어장치(63)는 케이싱(65)과 두개의 베벨기어(66)(67)을 포함한다. 베벨기어(66)(67)는 케이싱(65)안에서 회전지지되고 제 3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되어있다. 기어(67)의 축은 아래로 그리고 앞으로 경사되어 있다. 위쪽의 베벨기어(66)는 조절봉(39)의 연결부(44)와 연결하기 위하여 중앙의 장방형 내공(68)을 갖고 있다. 내공(69)은 작동봉(64)의 후단부를 강제수용하기 위해 하부 측부의 베벨기어(67)에 형성된다. 케이싱(65)은 설치나사(71)(71)를 통하여 램프본체(2)의 뒤표면상에 케이싱(65)을 설치하기 위하여 대향측부상에 설치부분(70)(70)을 갖는다. 작동봉(64)은 앞단부상에 필립스 헤드를 갖는 헤드부분(72)를 갖는다. 램프본체(2)의 하부표면상에는 안내내공(74)을 갖는 안내부분(73)이 작동봉(64)의 헤드부분(72)에 대해 필립스형 나사 돌리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4 도에서 도면부호(75)로 나타낸 것은 고무덮개로써, 내부단부가 전구(19)의 소켓트부분(22)상에 맞추어져 있고, 또 방사형의 외부단부는 램프본체(2)의 후단부상에서 튜브형 부분(6)상에 맞추어져 있고, 또 플랜지(7)와 맞게 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에 사용하는 전조등 장치는 앞방향을 우묵한 개방부를 갖는 램프본체와, 램프본체의 앞개방부를 덮는 렌즈와, 램프본체와 렌즈에 의해 한정되는 램프공간에 경사지지되는 반사경과, 반사경상에 지지된 램프를 포함하는 형태의 것이다. 반사경은 하나의 회전부와 두개의 공간조절부를 통하여 램프본체상에 지지되어 있다. 각 공간조절부는 반사경상에 지지된 너트부재와 그리고 램프본체상에 회전지지되고 또 너트부재와 나삽연결하기 위해 나사부분을 갖는 조절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트는 너트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반사경상에 형성되어 있고, 또 그 앞부분에 우묵한 부분을 갖는다. 우묵한 곳의 앞단부로 한정되는 벽의 앞표면은 반사경의 일부로써 작용한다.
그러므로, 공간조절부의 조절봉의 앞단부는 반사경의 브라켓트의 앞에 형성된 우묵한 부분안에 각각 수용되고, 그리하여 조절봉의 후단부는 램프 본체의 뒷표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으며, 여기에서 그 장치의 깊이나 종방향 크기는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우묵한 곳의 앞단부로 한정되는 벽은 앞표면은 전조등 장치의 유효한 반사면의 일부로써 구성되며, 그리하여 유효 반사표면의 면적감소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램프공간을 한정하는 고정 램프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 본체의 앞단부를 덮는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공간에서 경사지지되며,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반사경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경은 우묵한 반사표면을 가지며, 그중 일부는 그 후측상에 우묵한 부분을 한정하도록 전방으로 변위되며, 상기 부분의 앞표면은 반사거울의 효율적인 반사표면의 일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사거울상에서 지지되는 램프를 구비하며, 하나의 회전부와 상기 램프본체상에서 반사경을 지지하기 위한 두개의 공간조절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공간조절부는 상기 반사경상에서 지지되는 너트부재와 램프본체상에서 회전지지되며, 상기 너트부재와 나삽연결되도록 팁단부상에 나사부를 갖는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상에 그리고 상기 우묵한 부분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너트 부재를 지지하는 브라켓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간조절부의 하나가 회전지지부와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또 공간조절부가 서로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공간조절부가 램프본체의 아래측에 위치되는 자동차용 전조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우묵한 부분의 앞단부로 한정되는 벽의 앞표면이 포물표면이고, 반사경이 또한 포물표면을 갖고, 전자의 초점거리가 후자의 그것보다 짧으며, 두개의 표면의 초점들이 같은 점위에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공간조절부가 작동봉과 그리고 하나의 베벨기어가 작동봉에 설치되고 다른 베벨기어가 조절봉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기구들을 통하여 전조등 장치의 앞측부로 부터 조절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 장치.
KR2019930018860U 1987-09-22 1993-09-20 자동차용 전조등 Expired - Fee Related KR9300076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145531 1987-09-22
JP14553187U JPH0610564Y2 (ja) 1987-09-22 1987-09-22 自動車用前照灯のエイミング装置
JP63152972A JPH07118207B2 (ja) 1988-06-21 1988-06-21 自動車用前照灯
JP88-152972 1988-06-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248A Division KR890005448A (ko) 1987-09-22 1988-09-22 자동차용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618Y1 true KR930007618Y1 (ko) 1993-11-05

Family

ID=264766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248A Withdrawn KR890005448A (ko) 1987-09-22 1988-09-22 자동차용 전조등
KR2019930018860U Expired - Fee Related KR930007618Y1 (ko) 1987-09-22 1993-09-20 자동차용 전조등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248A Withdrawn KR890005448A (ko) 1987-09-22 1988-09-22 자동차용 전조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45598A (ko)
KR (2) KR890005448A (ko)
FR (1) FR2620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041B2 (ja) * 1988-11-24 1995-09-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前照灯の組立方法
DE8815840U1 (de) * 1988-12-21 1990-04-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US4965706A (en) * 1989-07-17 1990-10-23 Reiland Bernard F Headlamp adjusting mechanism
FR2651468B1 (fr) * 1989-09-07 1994-06-03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a moyens de reglage en site perfectionnes.
US4974123A (en) * 1989-09-14 1990-11-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assembly
FR2655394B1 (fr) * 1989-12-01 1992-04-10 Valeo Vision Capsule, notamment pour le montage d'une tete de vis de reglage d'orientation sur un reflecteur de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GB8927484D0 (en) * 1989-12-05 1990-02-07 Carello Lighting Plc Lamp assembly
JP2788533B2 (ja) * 1990-04-20 1998-08-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691945B2 (ja) * 1990-05-18 1997-12-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H0782761B2 (ja) * 1990-09-26 1995-09-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クリアランスランプ一体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390098A (en) * 1992-04-02 1995-02-14 Reiland; Bernard F. Headlamp adjusting mechanism
GB2285307B (en) * 1993-12-21 1997-11-12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USD368020S (en) 1994-03-18 1996-03-19 Koito Manufacturing Co., Ltd. Self-locking nut
JP3013142B2 (ja) * 1994-04-26 2000-02-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3007260B2 (ja) * 1994-04-27 2000-02-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122830B2 (ja) * 1994-11-01 2001-01-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3128616B2 (ja) * 1996-07-02 2001-0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US6247868B1 (en) 1998-02-13 2001-06-19 John E. Burton Ball socket for pivot joint
JP2000118293A (ja) 1998-10-14 2000-04-25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装置
US6758622B2 (en) 2001-02-16 2004-07-06 Burton Technologies Llc Ball socket with improved pull-out force resistance
JP4166002B2 (ja) * 2001-07-13 2008-10-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34994A1 (fr) * 1978-09-01 1980-03-28 Seima Bloc optique, notamment pour projecteur automobile
US4318162A (en) * 1979-10-16 1982-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Snap in coupling assembly for a vehicle headlamp
FR2488198A1 (fr) * 1980-08-07 1982-02-12 Marchal Equip Auto Projecteur reglable, pour vehicules, notamment automobiles
DE3101909A1 (de) * 1981-01-22 1982-09-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US4569007A (en) * 1981-10-29 1986-02-04 Ford Motor Company Headlamp
DE3144142A1 (de) * 1981-11-06 1983-05-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nwerfer fuer fahrzeu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58186502U (ja) * 1982-06-08 1983-12-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エ−ミング装置のアジヤスト機構
JPS5936503U (ja) * 1982-08-31 1984-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
DE3232608C2 (de) * 1982-09-02 1984-08-16 Ford-Werke AG, 5000 Köln Scheinwerferbefestigung in Kraftfahrzeugen
DE3467990D1 (en) * 1983-03-22 1988-01-21 Ichikoh Industries Ltd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light axis of headlamps of a motor vehicle
US4491901A (en) * 1983-10-20 1985-0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headlamp
FR2566721B1 (fr) * 1984-07-02 1987-01-02 Cibie Projecteurs Procede de fabrication et de reglage, en orientation,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H0620857B2 (ja) * 1984-09-04 1994-03-23 ローベルト・ボツシユ・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車用の前照灯
US4689725A (en) * 1984-10-31 1987-08-25 Koito Manufacturing Co., Ltd. Aiming device for automobile head lamp
FR2580782B1 (fr) * 1985-04-22 1987-07-10 Cibie Projecteurs Projecteur de route pour vehicule automobile incorporant un reflecteur elliptique et un reflecteur parabolique
DE3525041C2 (de) * 1985-07-13 1994-06-16 Bosch Gmbh Robert Abblendlicht-oder Nebellicht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US4712164A (en) * 1986-01-30 1987-12-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headlamp assembly
JPH0544610Y2 (ko) * 1987-04-02 1993-11-12
US4722033A (en) * 1987-04-20 1988-01-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headla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448A (ko) 1989-05-15
FR2620793A1 (fr) 1989-03-24
US4845598A (en) 1989-07-04
FR2620793B1 (fr) 199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618Y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930007617Y1 (ko) 자동차용 전조등
JPH0498701A (ja) 自動車用前照灯装置
JPH01255101A (ja) 自動車用前照灯
US5707134A (en) Vehicular lamp
US5539625A (en) Vehicle headlamp aiming device
US5530629A (e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headlights
EP0887227B1 (en) Optical-axis adjuster for vehicle auxiliary light
KR102410885B1 (ko) 차량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JPS61202945A (ja) 前照灯の光軸調整装置
KR930005812Y1 (ko) 전조등 장치
JPS5832164Y2 (ja) 前照灯取付装置
JPH11151971A (ja) 車輌用灯具の照射角度調整機構
JPS5826192Y2 (ja) 前照灯取付装置
JP2595178Y2 (ja) 光軸調整装置を具備した車両用灯具
KR0125512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조정장치 구조
KR960006349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배광조정구
JPH0520202U (ja) 車両用灯具の光軸調整機構
JPH01320702A (ja) 自動車用前照灯
JPH0313923Y2 (ko)
JPS6330582Y2 (ko)
JPH0436988Y2 (ko)
KR100229272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 조절장치
KR0118180Y1 (ko) 전조등의 광축 조절기구
JPH07118207B2 (ja) 自動車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UG16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5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111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110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