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5520B1 -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 Google Patents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20B1
KR930005520B1 KR1019900008419A KR900008419A KR930005520B1 KR 930005520 B1 KR930005520 B1 KR 930005520B1 KR 1019900008419 A KR1019900008419 A KR 1019900008419A KR 900008419 A KR900008419 A KR 900008419A KR 930005520 B1 KR930005520 B1 KR 93000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nin
polymer
enzyme
adhesive
produ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897A (ko
Inventor
박광만
Original Assignee
전주제지 주식회사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제지 주식회사, 김인호 filed Critical 전주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520B1/ko
Publication of KR92000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5/00Adhesive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01/00 or C09J10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1/00Adhesive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본 발명은,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그닌 분해효소(Ligninase)를 사용하여, 리그닌을 탈메칠화하여 반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소 수용체로서, 인체에 해로운 포름알데히드의 사용을 배제하고 그 대신에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리그닌을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과,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리그닌 중합체를 접착제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리그닌은 자연계에서, 셀룰로오즈 다음으로 풍부하게 존재하고, 재생 가능한 자원이다.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리그닌의 함량은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20~40% 정도이다. 리그닌은 펄핑 공정이나 목재 당화의 부산물로 얻을 수 있으며, 크라프트와 설파이트 펄핑 공정에서는 다량의 리그닌을 함유한 폐액이 생산된다. 이러한 폐액은 리그닌의 물리적, 화학적 성격으로 인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고, 크라프트 리그닌은 거의 펄핑 화학 약품 회수와 에너지 생산을 위하여 연소되며, 단지 작은 양의 설파이트 리그닌 만이 분산제, 동물 사료 결합제, 계면활성제와 같은 용도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종래에는, 리그닌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펄핑의 폐액에 포름알데히드를 첨가하여 메칠올화된 크라프트 리그닌을 제조하여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와 8 : 2(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65°에서 1시간 반응시켜 중합체를 만드는 기술이 채용되어 왔다.
화학적으로, 리그닌은 페놀과 유사한 구조적 성질을 가진 페틸프로판(PHENYLPROPANE) 단위들의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어, 리그닌은 페닐프로판 단위당 0.4의 자유 페놀 수산기(FREE PHENOLIC HYDROXY GROUP)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자유 페놀 수산기는 산화제에 의하여 산화 결합(OXIDATIVE COUPLING)을 통하여 중합되거나,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여 가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리그닌의 방향족 핵에 치환되어 있는 메톡실(METHOXYL)기에 의하여 반응성이 저해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포름알데히드는 인체에 매우 유독한 약품으로 사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톡실기를 알칼리로 가수분해하여 탈메칠화한 뒤 리그닌을 중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탈메칠화된 리그닌을 중합시키기 위하여 100℃ 이상의 고온의 반응 조건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그닌 중합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의 사용을 배제시키고, 비교적 낮은 반응온도 조건하에서 리그닌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그닌을 인산 완충 용액에 부유시키고, 여기에 리그닌 분해효소(Ligninase)를 첨가하여 30~60℃의 온도범위에서 리그닌을 탈메칠화 한뒤, 교반하에서 과산화 수소를 천천히 첨가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 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리그닌 중합체를 접착제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그닌 분해효소로서 박테리아, 곰팡이, 식물등에서 얻은 여하한 종류의 리그닌 분해효소도 분리하여 사용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리오러스 버시콜라(Coriolus versicolor)의 연부후균으로 생산된 효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리그닌으로서는, 펄핑의 폐액, 목재 당화의 부산물등으로 얻어지는 모든 리그닌을 들 수 있다. 리그닌 생산원료로는 수종에 관계없이 침엽수, 활엽수 모두 사용가능 하나, 활엽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엽수의 경우 보다 1.5~2.0배량의 효소를 사용하여야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리그닌 분해효소의 제조, 리그닌 부유액의 제조및 리그닌의 중합의 3공정으로 대별할 수 있는바, 그의 대표적인 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 리그닌 분해 효소의 분리 제조공정
코리올러스 버시콜라(Coriolus versicolor)의 연부후균으로 부터 생산된 효소액을 사용, 온도 36℃, 200rpm에서 8일간 배양한뒤, 이 배양액을 6000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나) 리그닌 부유액의 제조공정
자작나무의 크라프트 펄핑의 부산물로 얻어진 크라프트 리그닌을 함유하는 펄핑의 폐액에, 아래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가하면서 황산을 서서히 첨가하여, 리그닌 부유액을 제조하였다.
(다) 리그닌 중합공정
상기한 (나)공정에서 얻어진 리그닌 부유액을 여과하여 pH 5.0~6.0의 인산 완충용액에 재 부유 시킨 뒤, 여기에 상기한 (가)공정에서 얻어진 효소액을 첨가하여 50℃에서 리그닌을 탈메칠화한 뒤, 탈메칠화된 리그닌에,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과산화수소를 한 방울씩 적하 첨가하여 중합을 완결하여 리그닌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상기한 리그닌 부유액의 제조공정 (나)에서 얻어진 리그닌 부유액을 여과하여 얻은 리그닌 50g을 인산완충액(pH 5.0) 100ml에 부유시키고, 여기에, 상기한 (가)공정에서 얻은 효소액 10ml을 첨가하여 50℃에서 100rpm으로 30분간 반응시켜 리그닌 재부유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1분당 10ml의 속도로 천천히 적하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리그닌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리그닌 재 부유용액에 과산화수소 10ml을 일시에 첨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리그닌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펄핑의 폐액에 포름알데히드를 첨가하여 메틸올화된 그라프트 리그닌을 제조하여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와 8 : 2(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여 65℃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리그닌 중합체를, 목재 판상용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3매 합판에, 300g/㎡의 도포량으로 도포한후, 10kg/㎠의 압착 압력하에서, 150℃ 온도로 6분간 압착하여, 합판을 제조한 후 하기의 시험방법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에 나타내었다.(다만, 상기한 비교예 2에서 얻은 리그닌 중합체는 적정량의 에탄올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표]
Figure kpo00001
(시험 방법)
* 전건시험 : 기건 상태에서 강도 측정.
* 30℃, 3시간 : 30℃ 물속에서 3시간 침지후 젖은 상태에서 강도 측정.
* 60℃, 3시간 : 60℃ 물속에서 3시간 침지후 젖은 상태에서 강도 측정.
* 100℃, 4시간 : 100℃에서 4시간 처리하여 24시간 동인 65℃에서 건조 후 다시 100℃에서 4시간 처리하여 젖은 상태에서 강도 측정.
Figure kpo00002
상기 표의 결과로 부터 확인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리그닌 중합체는 비교예의 리그닌 중합체보다 우수한 접착 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과산화수소를 일시에 첨가한 비교예 1의 중합체에 있어서는,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종래의 리그닌 중합체보다도 열악한 접착능력이 나타나는 반면에, 과산화수소를 서서히 적하 첨가하여 반응을 완결시킨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리그닌 중합체에 있어서는, 종래의 리그닌 중합체에 비해 현저히 접착 능력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와 같이 리그닌 분해효소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리그닌 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리그닌 중합반응의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리그닌을 인산 완충 용액에 부유시키고, 여기에 리그닌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리그닌을 탈메칠화한 뒤, 탈메칠화된 리그닌에 과산화수소를 서서히 적하 첨가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리그닌은, 펄핑의 폐액, 목재 당화의 부산물로 부터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리그닌인 자작나무의 크라프트 펄핑의 부산물로 얻어진 크라프트 리그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리그닌 분해효소는 박테리아, 식물, 곰팡이 등에서 얻어지는 효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효소가 코리오러스 버시콜라(Coriolus versicolor)의 연부후균으로 생산된 효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6. 리그닌을 인산완충 용액을 부유시키고 여기에 리그닌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리그닌을 탈메칠화한 뒤, 탈메칠화된 리그닌에 과산화수소를 서서히 적하 첨가하여 중합체로 된 접착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목재 접합용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닌 중합체로 된 접착제.
KR1019900008419A 1990-06-08 1990-06-08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Expired - Lifetime KR93000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419A KR930005520B1 (ko) 1990-06-08 1990-06-08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419A KR930005520B1 (ko) 1990-06-08 1990-06-08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97A KR920000897A (ko) 1992-01-29
KR930005520B1 true KR930005520B1 (ko) 1993-06-22

Family

ID=1929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419A Expired - Lifetime KR930005520B1 (ko) 1990-06-08 1990-06-08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5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97A (ko)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sushita Conversion of technical lignins to functional materials with retained polymeric properties
US4432921A (en) Process for producing a binder for wood materials
US9273238B2 (en) Process for fungal modification of lignin and preparing wood adhesives with the modified lignin and wood composites made from such adhesives
US3658638A (en) Plywood process and product wherein the adhesive comprises a lignosulfonate-phenol-formaldehyde reaction product
CN105694781A (zh) 一种木质素基绿色胶黏剂的制备及使用方法
KR101457470B1 (ko) 헤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건조지력이 증강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CN101412796B (zh) 酶解木质素或它的衍生物改性热熔型酚醛树脂及其制备方法
CN102199268A (zh) 漆酶活化改性磺化碱木质素两亲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480694A (zh) 酶催化接枝改性棉浆纤维素及其制备再生生物塑料的方法
CN109826044A (zh) 棉杆中纤维素、半纤维素、木质素的分离方法
Nada et al. Waste liquors from cellulosic industries. IV. Lignin as a component in phenol formaldehyde resol resin
KR930005520B1 (ko) 리그닌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접착제
El‐Saied et al. Waste liquors from cellulosic industries. III.. Lignin from soda‐spent liquor as a component in phenol‐formaldehyde resin
AU735443B2 (en) Intermediate for the production of lignin polymers and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reagent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materials from plant fibers, waterproof papers and cardboards as well as duroplastics from lignin derivatives
US2528350A (en) Two-step digestion of hardwoods
CN118085814A (zh) 一种无醛阻燃木质素胶粘剂及其制备方法
CA2277279A1 (en) Intermediate product for preparation of lignin polymers and use thereof for production of wood materials
SK94399A3 (en) Particle boards, fiber boards, flake boards and similar wood-based product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Kharazipour et al.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wood composites
CN114686121B (zh) 一种生物质胶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528351A (en) Alkaline sulfite digestion of hardwood
JP2003285305A (ja) 新規な繊維板及びその製造方法
Felby et al. Enzymatic bonding systems
CN117449118B (zh) 一种抗撕裂可降解的代塑纸及其制备方法
Mora et al. The interactions between wood components and formaldehyde‐based resins. I. Monofunctional resin model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5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