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4941B1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41B1
KR930004941B1 KR1019900000919A KR900000919A KR930004941B1 KR 930004941 B1 KR930004941 B1 KR 930004941B1 KR 1019900000919 A KR1019900000919 A KR 1019900000919A KR 900000919 A KR900000919 A KR 900000919A KR 930004941 B1 KR930004941 B1 KR 93000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lymer
ethylene
resin
group
styr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853A (ko
Inventor
미쓰히꼬 이즈미
겐지 요시노
타다히로 와구이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성형성,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및 강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낮은 성형 온도에서 성형이 가능한데도 불구하고 높은 내열성을 나타내고, 또 기계적 성질,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에도 우수하여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도의 배향성으로 인하여 기계적 성질, 성형 수축률 등으로 비등방성이 생기고, 또 성형품의 고도의 스킨 코어(SKIN-CORE) 구조로 인하여 표면이 박리 하기 쉬운 등의 결점이 생기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유리섬유(GF), 광물질 등의 무기 충전제를 혼합하는 방법이 공지되었다.(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싸이언스, 제21권(1986), 2889~2900쪽)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충전제를 상당량(20부피 %이상) 유입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충전제량이 많게 되면 스크루우의 마모, 성형품의 메짐성 증대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MATRIX) 수지자체의 비드방성의 감소를 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일본국 특개소 57-40551호, 동 63-6046호)이 제안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은 비등방성이 개량된 범위에서는 기계적 강도 특히 아이조드 충격 강도의 저하가 심하고, 현재로서는 실용화로 되어 있지 못하다.
본 발명자들은,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 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의 충격 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예의 검토한 결과, 액정 폴리 카르보네이트 수지에 소량의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리핀계 혼성 중합체를 첨가하여 내열성과 치수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충격 강도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가)일반식 (a)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
HOOC-R1-COOH (a)
일반식(b)로 표시되는 디올
HO-R2-OH (b)
일반식(C)로 표시되는 옥시 카르복시산,
HO-R3-COOH (c)
(식중, R1, R2및 R3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R4-X-R5기(단, R4및 R5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X는 산소원자, 황원자, 술포닐기, 카르보닐기, 알킬렌기, 에스테르기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낸다).
크실렌기 또는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를 나타낸다(단, R1, R2, R2, R4, R5및 크실렌기의 방향 고리의 수소원자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에 있어서, 일반식(a), (b) 및 (c)로된 군에서 선택된 2성분 이상을 조합시켜 중합하든지, 또는 (c)를 단독으로 이용하여 중합하여 얻어진 350℃이상의 온도에서 비등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 가공성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와, (나) 일반식
Figure kpo00001
(식중 R6및 R7는 나프탈렌, 페닐렌, 할로겐치환 페닐렌 또는 알킬치환 페닐렌 가운데 1종 이상을 나타내고, R8및 R9는 각각 수소,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탄화수소기 또는 인접하는
Figure kpo00002
원자와 함께 시클로 알칸기를 형성하는 기 가운데 1종 이상을 나타내며 R8및 R9중의 탄소원자의 총수는 12이하임)의 복수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와 (다)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를 갖고, 전기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95-5중량% 및 전기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 5-95중량%로 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 (다)를 1-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좀더 상술하겠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액정 폴리에스테르 (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 및 폴리 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 (다)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는, 일반식 (a)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
HOOC-R1-COOH (a)
일반식(b)로 표시되는 디올,
HO-R2-OH (b)
일반식(C)로 표시되는 옥시카르복시산,
HO-R3-COOH (c)
(식중, R1, R2및 R3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R4-X-R5(단, R4및 R5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X는 산소원자, 황원자, 술포닐기, 카르보닐기, 알킬렌기, 에스테르기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냄), 크실렌기 또는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가운데 1종 이상의 작용기를 나타낸다(단, R1, R2, R3, R4, R5또는 크실렌기의 방향족 고리의 수소원자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에 있어서, 일반식(a), (b) 및 (c)로 된 군에서 선택된 2성분 이상을 조합하여 중합하던지, 또는 (c)를 단독으로 사용해서 얻어지는 350℃ 이하의 온도에서 비등방성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 가공성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아래의 (1)-(4)등을 들 수 있다.
(1) 하기의 단위 Ⅰ, Ⅱ, Ⅲ, Ⅳ 및 Ⅴ의 식으로 표시되는 각 단위를 갖고, 단위 Ⅳ에 대한 단위 Ⅲ의 몰비가 99/1-70/30이며, 35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성형이 가능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Figure kpo00003
(단, 단위 Ⅲ과 Ⅳ의 합계가 3-30몰% 임)
Ⅴ. -O-Ar-O-(4-30mol%)
(단, Ar는 단일고리 또는 축합고리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나타냄)
(2)하기의 단위 Ⅰ~Ⅳ로 구성되고,
Figure kpo00004
(단, Ar는 단일고리 또는 축합고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나타냄), 단위 Ⅰ 및 Ⅱ에, 단위 Ⅲ 및 Ⅳ의 어느 한쪽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반응율이 40-80%에 달한 시점에서 단위 Ⅲ 및 Ⅳ의 나머지 한쪽을 첨가하고, 가열중축합하여 얻어지는, 35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성형이 가능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3) 하기의 단위 Ⅰ, Ⅱ, Ⅲ, Ⅳ 및 Ⅴ의 식으로 표시되는 각 단위로 부터 실질적으로 구성되며,
Figure kpo00005
(단, 식중의 X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탄소수 6-10의 알릴기 또는 할로겐 이며, 또한 식중의 O-Ar-O-는 적어도 1개의 단일고리 또는 축합고리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대칭성 디옥시 단위며, Y는 -O-또는
Figure kpo00006
임.
단위 Ⅰ 40-70mol%
Ⅰ 1-80mol%
단위 Ⅲ+Ⅳ 6-36mol%
단위 Ⅴ 10-40mol%
이며, 또한 단위 Ⅲ/ (단위 Ⅲ+단위 Ⅳ)의 몰비가 0.1-0.8이며, 열변형온도(HDT)가 170℃ 이상으로 33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성형 가능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이다.
(4) 하기의 단위 Ⅰ~Ⅳ
Figure kpo00007
를 함유하고, 또한 단위 Ⅰ, Ⅱ, Ⅲ 및 Ⅳ를 합한 전체 몰수에 대하여
단위 Ⅰ 3-15mol%
단위 Ⅱ 5-30mol%
단위 Ⅲ/ 단위 Ⅱ 0.8-1.1(몰비)
단위 Ⅳ 30-85mol%
로 되며, 35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성형 가능한 혼성 중합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들 혼성중합 에스테르는, 상술한 (1)-(4)등을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나)는, 탄산과다가 알코올 또는 페놀의 폴리에스테르며, 다음식(b-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Figure kpo00008
여기서 R6및 R7은, 예를들면 나프탈렌, 페닐렌, 할로겐치환 페닐렌 및 알킬치환 페닐렌 등의 방향족기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나타내고, R8과 R9는 각각 수소,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탄화수소기 또는 인접하는
Figure kpo00009
원자와 함께 시클로알칸기를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 가운데 1종 이상을 나타내는데, 단, R8및 R9중의 탄소원자의 총수는 12이하이다.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의 반응으로 부터 유도되는 것 외에, 비스페놀 A와 비페닐의 카르보네이트의 반응, 또는 비스페놀 A와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등을 들 수 있다. 비스페놀 A외 포스겐으로 부터 얻어지는, 하기식 b-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 카르보네이트는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해서 바람직하며, 통상 그 반복단위(B-2)를 100-400개 갖는다.
Figure kpo00010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널리 알려져 있는데,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3,028,365 및 3,334,154호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염화 메틸렌중, 약 0.1중량% 농도에서 측정할때, 바람직하게는 약 0.3-1.0dl/g,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3-0.45d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 (다)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계 중합체는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는 않으나, 에틸렌 모노머를 혼성중합체증에 함유한 에틸렌계수지, 스티렌계 모노머를 혼성중합체중에 함유한 스티렌계 수지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혼성 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혼성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혼성중합체, 에틸렌/비닐 알코올 혼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혼성중합체, 에틸렌/부텐-1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다시클로펜타디엔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렌 혼성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초산비닐 혼성중합체, 에틸렌/무수말레산/아크릴산 에스테르 혼성중합체 가운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특히 스티렌계 수지로서,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혼성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혼성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혼성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혼성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혼성 중합체 및 ABS 수지 가운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외에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로서는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혼성중합체가 매우 적절히 사용된다.
이들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는, 고무질의 중합체를 그라프트(GRAFT) 중합 또는 단순혼합(BLENDING)으로 함유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는 95-5중량%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 5-95중량%로 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 (다)를 1-15중량부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폴리 에스테르 수지 (가) 95-50중량%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5-50중량%로 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를 1-10중량부에 함유한다.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는, 95중량%를 넘으면, 비등방성 개량의 효과가 없게되고, 5중량% 미만이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유동성 개량 효과가 없어져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또한,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 (다)는 전기한 폴리에스테르수지 (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 향상의 효과가 없고, 15중량부를 넘으면 내열성이 저하해서 바람직스럽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섬유상 및 분말상 충전제 및 강화제(예컨대, 유리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석면, 티탄산 칼륨 위스커(WHISKERS), 점토, 운모, 글라스비즈(GOASS BEADS), 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상바륨, 석고, 산화 알루미늄, 산화안티몬, 황성등),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윤활제 및 이형제, 염료나 안료를 함유한 착색제, 난연제, 난연조제, 대전방지체 및 결정화 촉진제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고, 1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벤버리 믹서, 로울밀, 브래벤더 플라스토그래피(BRABNDER PLASTOGRAPH) 니이더 등의 통상의 혼합 반죽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용기중에서 용융중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물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를 첨가혼합하는 방법, 성형기중에서 용융 혼합하는 방법등으로 얻을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시험재의 작성
ψ20㎜ 단축압출기(썸머 플라스틱 고오교(주)제품)으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 폴리카르보네이트 (나) 및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 (다)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반죽하고, 토출하는 펠릿을 냉각절단하여, 얻어진 펠릿을 사출성형기(산요 세이끼 세이사꾸쇼 제품 SAV-60-52형)에서 금형온도 70℃ 사출압력250kg/㎠ 실린더 온도는 금형내에서, 수지가 온전히 충전된 온도로 하여 아래에 나타낸 물성 시험편을 얻었다.
(2) 휨 시험
ASTM-D 790에 준함
(3) 열변형 시험(HDT)
ASTM-D 648에 준하여 18.6kg/㎠의 하중하에서 시험
(4) 아이조드 충격 시험(노치부착)
ASTM-D 256에 준함
[실시예 1-5]
하기의 단위를 갖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 [이것은, (LCP-1, 일본국 특원소 62-332516호에 공지되어 있음)
Figure kpo00011
로 표시되며, 상기 a/b/c/d=13/8/8/71(몰비)이다. 또한 이 수지는 편광현미경(히트 스테이지(heat stage) 장착, 니콘사의 편광현미경 POH형)에 의한 관찰에서, 용융상태에서 약한 전단력을 가하면 광학비등방성을 나타냄]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나) (미쓰비시 가세이 고오교(주)제품, 노보렉스 7025 A형)과, 폴리스티렌 수지 (다) (다이니본잉키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딕스티렌 UX-560형)을 표 1표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후 사출성형하여 물성 평가를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 및, 폴리스티렌 수지(다)를 표 2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하고, 필릿화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2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액정폴리에스테르 수지(가)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나)와 표 1 및 2에 나타낸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를 표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하고, 사출성형하여 물성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12
주). (a) LCP-1(일본국 특원소 62-332516)
(b) 다이니뽄 잉키 가가꾸 고오교(주) 제품, 딕스티렌 UX-560
(c)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주) 제품, H1 스틸론 490
(d) 신닛데쓰 가가꾸(주) 제품, 에스티렌 MS-200
(e) 세끼스이 가세이힌 고오교(주) 제품, 다이락 #232
(f) 다이니뽄 잉키 가가꾸 고오교(주) 제품, 튜렉스 A-15
(g)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주) 제품, 스티락 ABS-200
(h)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주) 제품, 스티락 AS-767
(i)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주) 제품, 미라손 401
(j)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주) 제품, 하이잭 2200J
(k)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주) 제품, 뉴크렐 403
(l)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주) 제품, 에바테이트 D 3021
(m) 니뽄 고세이 가가꾸(주) 제품, 솔라이트 M
[표 2]
Figure kpo00013
주) (n)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EEAA-701
(o)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미쓰이 EPT #3070
(p)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본드패스트 E
(q) 스미까 CDF (주)제품, 본다인 HX-8020
(r)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아크리프트 WK 402
(s)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노블렌 W-101
[실시예 23]
하기의 단위를 갖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이것은, (LCP-2, 일본국 특개소 62-207328호에 공지되어 있음).
Figure kpo00014
로 표시되며, 상기 단위중 e/f/g/h/i=60/10/2/20/8(몰비)이다.
또한, 이 수지는 편광 현미경(히트 스테이지장착, 니콘사의 편광 현미경 POH형)에 의한 관찰에서, 용융상태에서 약한 전달력을 가하면 광학 비등방성을 나타냄)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나) 및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다)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여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23에서 사용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다음, 사출성형을 하고, 물성 평가를 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하기의 단위를 갖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이것은, (LCP-3, 일본국 특개소 62-207327호에 공지되어 있다.)
Figure kpo00015
로 표시되며, 상기 단위중 3/K/L/M=60/20/10/10이다.
또한, 이 수지는 편광 현미경(히트 스테이지 장착, 니콘사의 편광현미경 POH형)에 의한 관찰에서, 용융상태에서 약한 전단력을 가하면 광학비등방성을 나타냄)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와,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다)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배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고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24에서 사용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고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하기의 단위를 갖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이것은, (LPC-4, 이것은 일본국 특개소 63-284221호에 공지되어 있음)
Figure kpo00016
로 표시되며, 상기 단위중 O/P/Q/R/S=60/3/9.25//9.25/18.5(몰비)이다. 또한, 이 수지는 편광현미경(히트 스테이지 장착, 니콘사의 편광현미경 POH형)에 의한 관찰에서, 용융상태에서 약한 전단력을 가하면 광학 비등방성을 나타냄]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와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다)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필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고,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25에서 사용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고, 물성을 평가했다.
[실시예 26]
하기의 단위를 갖는 액정폴리에스테르수지(가)[이것은, (LCP-5, 이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 4,161,470호에 공지되어 있음)
Figure kpo00017
로 표시되며, 상기 단위중 t/u=70/30(몰비)이다. 또한, 이 수지는 편광 현미경(히트 스테이지 장착, 니콘사의 편광 현미경 POH형)에 의한 관찰에서, 용융상태에서 약한 전단력을 가하면 광합비등방성을 나타냄]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 및 폴리스티렌 수지(다)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26에서 사용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 성형하고,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하기의 단위를 갖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이것은, (LCP-6, 이것은 일본국 특공소 56-18016호에 공지되어 있음)
Figure kpo00018
로 표시되며, 상기 단위중 V/W=40/60(몰비)이다.
또한, 이 수지는, 편광 현미경(히트 스테이지 장착, 니콘사의 편광 현미경 POH형)에 의한 관찰에서, 용융상태에서 약한 전단력을 가하면 광학비등방성을 나타냄]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와 폴리스티렌 수지(다)를 표 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는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하고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실시예 27에서 사용한,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를 표 3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고, 펠릿화한 다음, 사출성형을 하고 물성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의 2성분 혼합물에 비하여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다)를 가한 3성분 혼합물쪽이 보다 양호한 충격 강도를 나타내고, 더구나 강성, 내열성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
Figure kpo00019
(주) : (t) LCP-2(일본국 특개소 62-20732(8)
(u) LCP-3(일본국 특개소 62-20737)
(v) LCP-4(일본국 특개소 62-284221)
(w) LCP-5(USP 4,161470)
(x) (일본국 특공소 56-1801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성, 내열성, 내충격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강성이 높은 균형있는 우수한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들 특성을 활용한 용도, 즉 전자부품, 내열식기, 자동차 부품등에 최적이다.

Claims (7)

  1. (가)일반식(a)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
    (a) HOOC-R1-COOH
    일반식(b)로 표시되는 디올,
    (b) HO-R2-OH
    일반식(c)로 표시되는 옥시카르복시산,
    (c) HO-R3-COOH
    [상기 각 식에서, R1, R2및 R3은,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R4-X-R5기(여기서, R4및 R5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X는 산소원자, 황원자, 술포닐기, 카르보닐기, 알킬렌기, 에스테르기 또는 직접결합을 나타냄), 크실렌기 및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가운데 1종 이상의 작용기를 나타낸다.(단, R1, R2, R3, R4, R5또는 크실렌기의 방향족고리 수소원자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에 있어서, 일반식(a), (b) 및 (c) 가운데 2성분 이상을 조합시켜 중합하거나, 또는 (c)를 단독으로 이용하여 중합하여 얻어진, 350℃ 이하의 온도에서 비등방성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가공성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반식
    Figure kpo00020
    (상기 식에서, R6및 R7은 나프탈렌, 페닐렌, 할로겐 치환된 페닐렌 및 알킬치환된 페닐렌 가운데 1종 이상을 나타내고, R8및 R9는 각각 수소, 지방족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탄화수소기 및 인접하는
    Figure kpo00021
    원자와 함께 시클로알칸기를 형성하는 작용기 가운데 1종이상을 나타내며, R8및 R9중의 탄소원자의 총수는 12이상임)의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다)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를 갖고, 상기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95~5중량%와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나) 5~95중량%로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 중합체(다)를 1~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 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가 에틸렌 모노머를 혼성중합체중에 함유한 에틸렌계 수지를 갖는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에틸렌계 수지가 폴리에틸렌,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혼성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혼성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혼성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혼성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혼성중합체, 에틸렌/부텐-1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 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레덴-2-노르보렌 혼성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초산비닐 혼성중합체 및 에틸렌/무수말레산/아크릴산 에스테르 혼성중합체 가운데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혼성중합체가 스티렌계 모노머를 혼성중합체중에 함유한 스티렌계 수지를 갖는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혼성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메틸 혼성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혼성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혼성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혼성중합체 및 ABS수지 가운데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혼성중합체가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혼성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을 갖는 수지 조성물.
KR1019900000919A 1989-01-26 1990-01-25 수지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930004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34 1989-01-26
JP1693489 1989-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853A KR900011853A (ko) 1990-08-02
KR930004941B1 true KR930004941B1 (ko) 1993-06-10

Family

ID=1192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919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4941B1 (ko) 1989-01-26 1990-01-25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80112A3 (ko)
JP (1) JPH02276854A (ko)
KR (1) KR930004941B1 (ko)
CA (1) CA200853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5735B2 (en) 2003-12-23 2009-12-22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1962B1 (en) 1992-05-29 2001-04-24 Neste Oy Liquid crystal polymer blend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roducts manufactured from the blends
FI97476C (fi) * 1992-05-29 1996-12-27 Optatech Oy Nestekidepolymeeriseokset,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sekä niistä valmistetut tuotteet
TW340130B (en) * 1993-12-28 1998-09-11 Toray Industries Shaped article of liquid crystalline resin
US5830940A (en) * 1993-12-28 1998-11-03 Toray Industries, Inc. Shaped article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
DE69531468T2 (de) * 1994-03-16 2004-06-09 Sumitomo Chemical Co., Ltd. Flüssigkristallin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DE69712551T3 (de) 1996-02-19 2008-02-21 Sumitomo Chemical Co. Ltd. Flüssigkristallin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AU9081198A (en) * 1997-09-05 1999-03-29 Acome Societe Cooperative De Travailleurs Optical fibre cable of compact composite structure
DE60104895T2 (de) 2000-10-06 2006-06-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Wärmetauscher, hergestellt aus biegbaren kunststoffrohren
DE102007015318A1 (de) 2007-03-30 2008-10-02 Rehau Ag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stärk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composites und zugehörig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sowie derart hergestellte Composites
JP5302014B2 (ja) * 2009-01-07 2013-10-02 ユニチカ株式会社 蒸着膜形成用樹脂組成物
JP6110726B2 (ja) * 2013-05-08 2017-04-05 上野製薬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735A (en) * 1980-07-03 1984-07-17 Celanese Corporation Blend of polycarbonate and wholly aromatic polyester
DE3721239A1 (de) * 1987-06-27 1989-01-05 Bayer Ag Formmassen aus polycarbonat, thermotropem polymer, pfropfpolymerisat und fluoriertem polyolefin
IT1222099B (it) * 1987-07-23 1990-08-31 Montedison Spa Poliesteri del 4,4' diidrossibicicloes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5735B2 (en) 2003-12-23 2009-12-22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0112A2 (en) 1990-08-01
CA2008538A1 (en) 1990-07-26
EP0380112A3 (en) 1991-10-30
JPH02276854A (ja) 1990-11-13
KR900011853A (ko) 1990-08-02
CA2008538C (en) 199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6692A (en) High strength, reduce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4983660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KR930004941B1 (ko) 수지 조성물
US5068052A (e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mectic liquid crystal
KR100238505B1 (ko) 고 충격 폴리에스테르/에틸렌 코폴리머 블렌드
EP0111810A2 (en) High strength, reduced heat distortion temperatur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4346195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WO1992012207A1 (en) Impact resistant polymer blends
CA1272537A (en) Polyester compositions
US4677150A (en) Modified polyester compositions
US4526923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CA1203036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US5242981A (en) Resin composition
JPS59531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5106909A (en) Modified polyolefin-polyester graft copolymer,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uch graft copolymer
JP3217862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01236266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10160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1163242A (ja) 組成物
EP0402278A1 (en) Impact resistant polymer blends
JPH0689233B2 (ja) 耐加水分解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3243648A (ja) 強化液晶樹脂組成物
JPH01315465A (ja) ポリエーテルイミド含有樹脂組成物
KR01604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080887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11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11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