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4239Y1 -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 Google Patents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239Y1
KR930004239Y1 KR2019910005729U KR910005729U KR930004239Y1 KR 930004239 Y1 KR930004239 Y1 KR 930004239Y1 KR 2019910005729 U KR2019910005729 U KR 2019910005729U KR 910005729 U KR910005729 U KR 910005729U KR 930004239 Y1 KR930004239 Y1 KR 930004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ound
melody chip
interface unit
decorative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066U (ko
Inventor
노규상
Original Assignee
노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규상 filed Critical 노규상
Priority to KR2019910005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239Y1/ko
Publication of KR920019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2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된 침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필요한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대 12 : 상측장식부
2 : 인터페이스부 13 : 하측장식부
A : 증폭기 V : 음량 조절기
IC : 멜로디칩 SW : 스위치
본 고안은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자세히 말하면 취침 또는 휴식시에 안락감을 더해주고자 각종 자연의 소리, 즉, 새소리, 파도소리, 바람소리, 빗소리 등을 발생시켜 청취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여서된 것이다.
현대인들 특히, 도시인들은 외출시는 물론 가내에서까지 가공 소음에 시달리며 생호라하고 있는 관계로 점점 자연의 소리를 그리워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야외로 소풍을 가거나 등산, 낚시등을 빌미로 자연과 자수 접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기존의 T.V나 음향기기 등을 통해서도 음악이나 각종 음향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들을 수 없거나 조작이 번거로운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안락감을 주지 못해 역효과를 내는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취침 또는 휴식을 위해 사용하는 침대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연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안락하게 취침 또는 휴식할 수 있게 하는등 정서 생활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대의 상측 장식부 양측에 또는 하측장식부의 양측에까지 스피커를 부착하고, 조작이 용이한 어느 일편의 위치에 스위치 및 멜로디칩을 가지는 인터페이스부를 마로도하여된 것인바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된 침대(1)의 사시도로서 상측장식부(12)와 하측장식부(13)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장식부(12)의 양측에는 스피커(S1)(S2)를 부착하고, 하측장식부(13) 역시 스피커(S3)(S4)를 부착하며, 또한 상측 장식부(12)의 일면에는 인터페이스부(2)를 마련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한 회로의 구성도로서 상기한 인터페이스부(2)에는 임의의 소리 선택 스위치(SW1)(SW2)(SW3)와 고유의 해당 음향을 간직한채 상기 스위치에 각각 연결된 멜로디칩(IC1)(IC2)(ICn)이 내장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상기한 멜로디칩(IC1)(IC2)(ICn)은 그후로 증폭기(A)와 음량조절기(V) 그리고 스피커(S1)(S2)(S3)(S4)에 연결되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예를 살펴볼 것 같으면, 사용자는 침대(1)에 앉거나 누운채 인터페이스부(2)에 있는 선택 스위치(SW1)(SW2)(SWr)중 원하는 하나의 스위치를 눌러주면 되는 것이다.
즉, 멜로디칩중 첫 번째는 새소리, 두 번째는 파도소리, 세 번째는 바람소리, 네 번째는 빗소리등으로 미리내장 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사용자가 바닷가의 환경에 접해보고자 한다면 두 번째 스위치(SW2)를 눌러준다. 그리하면 해당멜로디칩(IC2)의 파도소리에 해당하는 음향이 증폭기(A)를 통해 스피커(S1)(S2)(S3)(S4)로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도는 음향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는 인터페이스부(2)내에 해당 멜로디칩을 미니내장시켜 놓는 것이 아니라 미 접촉된 스위치(SW′1)(SW′2)(SW′3)만을 구비시켜 놓은 뒤 사용자가 원하는 멜로디칩(IC′1)(IC′2)(IC′3)을 선택해 이를 인터페이스부(2)에 꽂았을 때 그 해당 멜로디칩의 일부분이 상기한 미접촉스위치를 비로소 ON 연결하여, 그와 함께 음향이 발생되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2) 이후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선례와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멜로디칩(IC1)(IC2)(IC3)의 일부분이 금속성으로 되어 미접촉 스위치(SW1)(SW2)(SW3)에 닿았을 때 연결시켜 줄 수있으며 이는 그 각각의 위치를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임의의 자연의 소리를 통해서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채 그 환경에 직접 대한 듯한 감정을 갖도록하여 더욱 편한 감정으로 취침 또는 휴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종래의 일반적인 음향기기나 T.V를 사용해서 느낄 수 있는 감정에 비해 월등히 안락감을 가질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침대(1)에 있어서, 상측장식부(12)의 양측과 하측장식부(13)의 양측에는 스피커(S1)(S2)(S3)(S4)를 부착하는 한편, 상기한 상측장식부(12)의 일측면에 인터페이스부(2)를 구비하여서된 음향발생장치를 가진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2)내에는 2개 이상의 스위치(SW1)(SW2) (SW3)를 마련하고, 고유의 해당음향을 간직한채 상기 스위치에 각각 연결된 2개 이상의 멜로디칩(IC1)(IC2) (ICn)을 내장하여서된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2)내에 미접촉된 2개 이상의 스위치 (SW1)(SW2)(SWn)를 마련한후, 여기에 고유의 해당 음향을 가진 멜로디칩 (IC1)(IC2)(ICn)의 임의부분이 접촉하여 연결되도록 하여서된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KR2019910005729U 1991-04-25 1991-04-25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Expired - Lifetime KR930004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729U KR930004239Y1 (ko) 1991-04-25 1991-04-25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729U KR930004239Y1 (ko) 1991-04-25 1991-04-25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66U KR920019066U (ko) 1992-11-16
KR930004239Y1 true KR930004239Y1 (ko) 1993-07-07

Family

ID=1931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729U Expired - Lifetime KR930004239Y1 (ko) 1991-04-25 1991-04-25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2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66U (ko)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0450A (en) Pillow type speaker support
US4778027A (en) Rhythmizer
US20160094920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 radio & music systems
ZA977347B (en) Acoustical hearing protective devices utilizing dynamically stiff foam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6101366A (en) Sound belt for diapers
KR930004239Y1 (ko) 음향발생장치를 가진 침대
JPH072154B2 (ja) 浴槽スピーカ及びバスサウンドシステム
WO1987004630A1 (en) Sleep and relaxation promoting aid
GB2124490A (en) Sleep-e-sea
KR200286413Y1 (ko)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
JPS596059Y2 (ja) 音響システム
JPS51117614A (en) Acoustic reproduction system
JPS6211120Y2 (ko)
KR930004617Y1 (ko) 베 개
JP3848146B2 (ja) トイレ用音響装置
KR0125801Y1 (ko) 이어폰을 구비한 알람손목시계
JPS6392199A (ja) スピ−カシステム
JP2000116556A (ja) 浴槽の音声体感システム
KR200252308Y1 (ko) 종소리가 발생되는 장식용 자명시계
KR900002006Y1 (ko) 초인종
KR200317248Y1 (ko) 베개 폰
KR200218592Y1 (ko) 베개 속 스피커 내장
KR200308947Y1 (ko) 알람기능을 가진 침구
KR900008249Y1 (ko) 베개를 겸용하는 음향기기
JPH08136671A (ja) イヤホーン式目覚まし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4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6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