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3734B1 - 인삼뿌리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삼뿌리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734B1
KR930003734B1 KR1019900001311A KR900001311A KR930003734B1 KR 930003734 B1 KR930003734 B1 KR 930003734B1 KR 1019900001311 A KR1019900001311 A KR 1019900001311A KR 900001311 A KR900001311 A KR 900001311A KR 930003734 B1 KR930003734 B1 KR 93000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extraction
ginseng
ginseng root
roo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654A (ko
Inventor
쉬프 어빈
폴브레히트 하인즈-뤼디거
Original Assignee
에스카베 트로스트버그 악틴게셀샤프트
파마-젠트라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카베 트로스트버그 악틴게셀샤프트, 파마-젠트라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카베 트로스트버그 악틴게셀샤프트
Publication of KR90001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03Solvent extraction of solids with a supercritical 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삼뿌리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압축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인삼뿌리로부터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제를 얻고자 사용되는 상기 식물내 살충제의 함량은 여러 나라에서 최대량 규정으로 제한되며 약제의 상업적인 유용성에 대해 가장 중요한 기준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완전한 활성범위를 동시에 유지시키면서 이들 약제로부터 살충제를 제거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며, 특히 이것이 매우 유용한 물질의 문제일때 중요하다.
용매로 추출함에 의해 이들 불필요한 살충제를 제거하는데 대한 선행 조건으로는 추출하는 것이 충분히 선택적이어야하는데 즉, 불필요한 물질만이 추출되어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출한 후에 약제가 유용한 상태로 존재해야하는데 즉, 불필요한 용매 전사가 없어야 한다. 임계 초과의 이산화탄소로 고압 추출함에 의해 상기 후자의 선행조건이 충족됨이 공지되었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살충제가 들어있는 홉(hop)으로부터 적은 함량의 살충제를 함유한 홉 추출물을 생산하는 것이 공개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명세서 제 36 32 40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첫번째 단계에서, 홉의 구성 물질 및 살충제를 압축기체로 추출하고 연속 단계에서 고체 흡착제의 도움으로 추출물과 살충제를 분리시킨다. 그러나, 이런 방법의 경우에 홉으로부터 살충제를 완전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추출물이 또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불리한 점은 흡착제의 선택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추출물이 또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불리한 점은 흡착제의 선택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살충제외에 필요한 홉 구성 물질이 결합되어 수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건조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센나(senna) 잎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것이 "Verdichtete Gase zur Extraktion und Raffination", pub.Springer Verlag, pp. 231-233/1987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 경우 염소화된 살충제의 함량은 함께 추출되는 곡성의 활성 물질인 센노시드(sennoside) 없이 98%까지 감소된다.
그러나, 센나잎의 경우에 성공적인 이 방법을 인삼 뿌리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았다. 활성 물질이라고 여겨지는 진세노시드(ginsenoside)가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확실하게 추출되지 않지만 염소화된 살충제가 또한 만족한 방법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인삼 뿌리의 주요 오염물질이며 지방 친화성인 불필요한 염소화 살충제에 대한 주된 물질이라도 여겨지는 귄로젠(펜타클로로니트로벤젠)이 단지 약 30%로 감소하므로 추출된 인삼 뿌리는 이것의 살충제를 함량이 확실하게 존재할 수 있는 100팩터(factor)의 허용치를 초과할때 상업적인 유용성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뿌리를 압축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이것으로부터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상기 언급된 선행 업계의 단점을 해결하며 기술적으로 단순한 방법을 가지고 활성 물질의 현저한 손실없이 살충제의 실질적인 제거를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수분 함량이 14-65 중량%인 인삼 뿌리를 압축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이 인삼 뿌리로부터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으로써 불필요한 살충제가 실제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반면 주요 활성 물질이 뿌리내에 남아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귄포젠같은 염소화된 살충제가 실제로 수불용성이기 때문에 놀랍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추출 수율은 문제의 살충제가 비록 에탄올, 아세톤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같은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시약에 실질적으로 더 잘 용해하더라도 이러한 유기 용매를 부가한 경우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건조한 후에 약 8-10중량%의 천연 수분 함량을 갖는 인삼 뿌리를 유리하게 분쇄한 다음 추출하고 연속해서 바람직하게 물을 부가하여 수분 함량이 14-25중량%가 되게 한다. 예를들어, 이러한 것은 뿌리의 처음 중량에 대해 약 4-20중량%의 물을 부가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분쇄된 인삼 뿌리에 사용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바람직하게 인삼 뿌리 kg당 10-100kg의 이산화탄소이어야 한다. 인삼 뿌리를 축축하게 하는 것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혼합장치에서 행할 수 있다. 뿌리를 축축하게 만드는 경우에 분쇄된 뿌리의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뿌리는 혼합 장치내에서 물로 천천히 분무시킴에 의해 축축해진다.
갈아 놓은 상태 대신에, 인삼뿌리를 통째로 사용하거나 거칠게 분쇄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인삼 뿌리 그대로인 경우나 거칠게 분쇄한 뿌리의 경우, 더 긴 추출시간과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오염물질을 90% 제거하는데 대해, 뿌리 kg 당 100-1500kg의 이산화탄소와 5-10시간이 필요하다. 뿌리 그대로인 경우, 수분 함량은 또한 60중량%에 달할 수 있는 반면 갈아놓은 뿌리의 경우, 단지 약 25중량%의 수분 함량이 가능하다(25중량% 이상에서 함께 덩어리가 생겨 처리가능성이 더이상 제공되지 않음). 그러므로, 뿌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뿌리의 처음 중량에 대해 4-125중량%의 물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인삼 뿌리는 수확되어 건조되지 않은 형태로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물을 부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물을 부가하는 단계후에 가능하게, 인삼 뿌리를 압축 이산화탄소로 추출하며, 이 경우 이산화탄소는 액체 상태나 초임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추출조건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지만 알맞은 추출시간을 이루기 위해 약 100bar 압력과 40℃ 이상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추출은 200-350bar 압력과 60-90℃온도에서 행해진다. 이산화탄소의 양은 총 처리량이 인삼뿌리 kg 당 10-1500kg의 이산화탄소가 도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습기 있는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건조 이산화탄소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약제의 수분 함량이 우선 습기있는 이산화탄소로 추출함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 다음 건조이산화탄소로 또 추출함에 의해 수분 함량이 감소한다.
이러한 방법의 변형에 의해, 선택된 추출 온도가 너무 낮지 않을때, 가능하며 연속적인 건조 기간이 단축될 수 있거나 건조 단계를 완전히 제외시킬 수 있다. 필요하다면, 추출된 인삼 뿌리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특별히 필요한 수분 함량은 통상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움으로, 인삼 뿌리내 살충제 함량을 99.7% 이상으로 감소키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살충 제제의 최고량에 대한 독일연방공화국 규정에 따라 귄토젠의 경우 20ppb인 최고 허용량을 낮추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또한, 본 방법의 경우, 활성 물질(진세노시드)의 함량이 변하지 않는다. 단지 왁스같은 지방친화 물질과 에테르성 오일의 성분들이 주목할 만한 함량으로 함께 추출된다.
이산화탄소로부터 살충제를 분리하는 것은 밀도를 낮추거나 또는 적당한 흡착제, 예를들어 활성탄상에 흡착시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흡착제는 별개의 용기에 존재하거나 또는 동일한 압력 용기에 각각 존재하거나 또는 추출물질과 혼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다음 실시에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주어진다.
[실시예 1(비고)]
9.3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1.5kg의 갈아놓은 인삼 뿌리를 250bar의 압력과 80℃의 온도에서 건조 이산화탄소로 72분간 추출하였다. 잔류하는 귄토젠 함량은 초기값의 70%였다.
[실시예 2]
혼합 장치내에서 150g의 물로 천천히 분무시킴에 의해 갈아놓은 1.5kg 인삼뿌리의 수분 함량을 17.5중량%가 되게한 다음 250bar 압력과 80℃ 온도에서 건조 이산화탄소로 72분간 추출하였다. 이러한 추출에 의해, 귄토젠 함량을 초기값의 6%로 감소시켰다. 추출된 물질(수분 함량 9.8중량%)을 건조시킬 필요가 없었다.
[실시예 3]
혼합 장치내에서 150g의 물로 천천히 분무시킴에 의해 갈아놓은 1.5kg 인삼 뿌리의 수분 함량을 18.3중량%가 되게 하고 습기있는 이산화탄소로 30분간 추출한 후에 건조 이산화탄소(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파라미터(paramerter)로 60분간 추출하였다. 추출시킴에 의해 귄토젠의 함량을 초기값의 0.3%로 감소시켰다. 추출된 물질(수분함량 9.9중량%)를 건조시킬 필요가 없었다.
[실시예 4]
혼합 장치내에서 220g의 물로 천천히 분무시킴에 의해 그대로인 0.6kg 인삼 뿌리의 수분 함량을 35중량%가 되게하고 250bar 압력과 80℃온도에서 습기있는 이산화탄소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로 귄토제의 함량을 초기값의 10%로 감소시켰다. 추출한 후에, 추출된 뿌리를 공기 흐름내 50℃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Claims (7)

  1. 추출하기전 인삼뿌리 중량에 4-125중량%의 수분을 가하여 수분 함량이 14-65중량%인 인삼 뿌리를 >100bar의 압력으로 압축하고 >40℃의 온도에서 이산화탄소로 추출함에 의해 인삼뿌리로부터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삼뿌리가 바로 수확되어 건조되지 않은 형태로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갈아놓은 인삼뿌리가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삼뿌리가 그대로 또는 거칠게 분쇄된 형태로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삼뿌리가 혼합 장치내에서 물로 천천히 분무함에 의해 적셔지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이 200-350bar 압력과 60-90℃온도에서 행해지는 방법.
    다음, 건조 이산화탄소로 추출함에 의해 수분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살충제가 제거된 인삼뿌리.
KR1019900001311A 1989-02-04 1990-02-03 인삼뿌리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Expired - Lifetime KR930003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03374 1989-02-04
DE3903374 1989-02-04
DEP3903374.0 1989-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654A KR900012654A (ko) 1990-09-01
KR930003734B1 true KR930003734B1 (ko) 1993-05-10

Family

ID=637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311A Expired - Lifetime KR930003734B1 (ko) 1989-02-04 1990-02-03 인삼뿌리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93123A (ko)
EP (1) EP0382116B1 (ko)
JP (1) JP3016807B2 (ko)
KR (1) KR930003734B1 (ko)
CN (1) CN1043510C (ko)
AT (1) ATE94416T1 (ko)
DE (1) DE59002676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48A1 (ko) * 2015-07-27 2017-02-02 씨제이제일제당(주) 뿌리채소의 잔류 농약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6556A5 (de) * 1994-07-14 1996-04-30 Flachsmann Ag Emi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stizidarmen Wirkstoffkonzentraten aus Pflanzen.
DE59608686D1 (de) * 1995-03-06 2002-03-21 Emil Flachsmann Ag Waedenswil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unerwünschten lipophilen Verunreinigungen und/oder Rückständen, welche in Getränken oder pflanzlichen Zubereitungen enthalten sind
US6132726A (en) * 1998-10-21 2000-10-17 Hauser, Inc. Proces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natural product extracts
KR20010107854A (ko) * 2001-11-02 2001-12-07 대한민국(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잔류농약이 제거된 인삼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제조되는 인삼농축액
KR20050044978A (ko) * 2003-11-08 2005-05-16 박동기 근채류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규한기능성 식품
AU2006262731B2 (en) * 2005-06-21 2010-12-09 The Coca-Cola Company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essential oils
CN102823783B (zh) * 2012-09-25 2013-09-25 天津出入境检验检疫局动植物与食品检测中心 一种利用辐照降解人参口服液中农药残留的方法
EP3906981A1 (en) * 2020-05-07 2021-11-10 Feyecon Development & Implementation B.V. Method for extraction using carbon dioxi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4409A (en) * 1971-06-03 1978-08-01 Studiengesellschaft Kohle Mbh Production of hop extracts
US3901875A (en) * 1972-03-31 1975-08-26 Pacific Chem Ind Co Extraction of ginseng saponin
DE2909872C2 (de) * 1979-03-09 1982-06-09 Jochen Dr. 1000 Berlin Pflugmacher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Abtennen organischer Spurenbestandteile aus Substanzgemischen
JPS61218590A (ja) * 1985-03-22 1986-09-29 Jujo Paper Co Ltd 2,6−ビス(4−ヒドロキシ−3,5−ジメトキシフエニル)−3,7−ジオキサビシクロ〔3.3.0〕オクタンの製造法
DE3632401A1 (de) * 1986-09-24 1988-04-07 Barth Raiser Hopfenextraktion Verfahren zur extraktion unpolarer inhaltsstoffe aus hopf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48A1 (ko) * 2015-07-27 2017-02-02 씨제이제일제당(주) 뿌리채소의 잔류 농약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15225A (ja) 1991-05-16
DE59002676D1 (de) 1993-10-21
KR900012654A (ko) 1990-09-01
CN1043510C (zh) 1999-06-02
EP0382116A3 (de) 1991-10-09
US5093123A (en) 1992-03-03
JP3016807B2 (ja) 2000-03-06
EP0382116B1 (de) 1993-09-15
CN1044597A (zh) 1990-08-15
EP0382116A2 (de) 1990-08-16
ATE94416T1 (de) 199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122B1 (ko) 저농약 함량의 식물 활성 성분 농축물의 제조 방법
Louli et al. Recovery of phenolic antioxidants from wine industry by-products
US6228996B1 (en) Process for extracting sweet diterpene glycosides
US4267847A (en) Tobacco additives
US5435325A (en) Process for providing tobacco extracts using a solvent in a supercritical state
EP1542555B1 (en) Reduction of constituents in tobacco
US5158771A (en) Nicotine compositions
EP0010665B1 (de) Verfahren zur extraktiven Bearbeitung von pflanzlichen und tierischen Materialien
KR930003734B1 (ko) 인삼뿌리에서 살충제를 제거하는 방법
JPS6389595A (ja) ホップから有用な非極性含有物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
CN107216949A (zh) 一种从桧木中提取芬多精和精油的变压蒸馏方法
CA1326635C (en) Deodorant
DK165732B (da) Fremgangsmaade til ekstraktion af olieholdige serenoa repens-frugter
JP2015536150A (ja) タバコ材料の処理
US6132726A (en) Proces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natural product extracts
JP3585518B2 (ja) 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の精製法
KR900006421B1 (ko) 고체시료의 초임계추출분리방법
SE529463C2 (sv) Nikotinextrakt med låg nitrosaminhalt
JPH01289448A (ja) 植物材料の脱カフェイン化法
CN112342086A (zh) 一种植物精油增香提炼方法
KR102549973B1 (ko) 산약쑥 성분의 추출 방법
KR940002798B1 (ko) 플라본배당체의 추출방법과 그 장치
JP4567383B2 (ja) 植物成長剤
AT408599B (de)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pflanzenschutzmitteln und/oder reduzierung von unerwünschten begleitstoffen
JPH05790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2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2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30723

Appeal identifier: 1993201000176

Request date: 19930202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4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