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2637A -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37A
KR930002637A KR1019910011526A KR910011526A KR930002637A KR 930002637 A KR930002637 A KR 930002637A KR 1019910011526 A KR1019910011526 A KR 1019910011526A KR 910011526 A KR910011526 A KR 910011526A KR 930002637 A KR930002637 A KR 93000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llets
lift
divided
par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09B1 (ko
Inventor
박우용
Original Assignee
박우양
주식회사 우 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양, 주식회사 우 단 filed Critical 박우양
Priority to KR101991001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909B1/ko
Publication of KR93000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원식주차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워자추장치구성중에 리프트상부에 구성도는 팔레트정열대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워자추장치구성중에 리프트상부에 구성도는 팔레트정열대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평면구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횡형 타워식주차장치구성중에 리프트와 적재대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이동장치부분 일부 확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중 횡형 타워식 주차장치의 이동장치부분 일부 확대 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횡형 타워식주차장치의 팔레트와 체인열의 접동상태평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초기상태에서 주차형 교환작동의 초기작동상태 평면개요도.

Claims (22)

  1. 자동차를 탑재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장치와 이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임의의 층으로 이송된 자동차를 적재하는 적재대가 수층으로 설치되는 입체식 주차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하는 팔레트 구성을, 자동차를 탑재할 수 있는 면적을 4등분한 크기의 4개의 패널로 된 분할팔레트로 형성하여서 2개의 팔레트는 자도아의 전후륜을 탑재할 수 있도록 벌려서 리프트장치에 설치하고 2개의 팔레트는 리프트장치에 벌려서 설치된 2개의 팔레트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오므려서 각층의 적재대에 설치하며 리프트장치와 각층의 적재대에는 리프트장치에 설치된 2개의 팔레트와 적재대측에 설치된 2개의 팔레트를 주차하차작동시에 슬라이드 수평이동으로 동시에 상호 교환시킬수 있는 이동수단을 각각 구비하며 리프트장치에는 팔레트의 설치위치를 정열할수 있는 팔레트정열장치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를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측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향 면적(Ps)를 폭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할된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상하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전후에 횡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여서 타워식 횡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불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를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측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향 면적(Ps)를 폭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할된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좌우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 의좌우에 종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종방향으로 배설하여서 타워식 횡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불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를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측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향 면적(Ps)를 폭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할된 횡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상하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좌우에 횡형으로 배설하고,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40)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며, 각층에서만 횡형으로 다열설치된 전후열 적재대(40)사이를 주행하면서 적재대(40)와 리프트(20)간에 자동차를 이송교환하는 주행대차(Tp)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 개의 팔레트(P5)(P6)를 횡형으로 배설하여서 그랜드식 횡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불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탑재와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팔레트를 4개의 패널로 분할하는 구성을, 제반 승용자동차의 주차사양인 전장, 전폭, 윤거, 측거를 감안하여 주차최대사양(Vmax)과 주차최소사양(Vmin)을 두루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규격으로 설계되는 장방향 면적(Ps)를 폭방향으로 4등분한 크기로 4개의 분할된 종형 팔레트(P1´)(P2´)(P3´)(P4´)를 구비하여 상하 외측방 2개의 팔레트(P1´)(P4´)는 벌려진 위치로 리프트(20)의좌우에 종형으로 배설하며, 중앙부 내측의 2개의 팔레트(P2´)(P3´)는 적재대에 중앙에 횡방향으로 배설하며, 각층에서만 횡형으로 다열 설치된 전후열 적재대(40)사이를 주행하면서 적재대(40)와 리프트(20)간에 자동차를 이송교환하는 주행대차(Tp)에는 중앙으로 모아진 두 개의 팔레트(P5´)(P6´)를 배설하여서 그랜드식 횡형 주차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불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6. 분할팔레트 방식을 응용하여 타원식 횡.종형 입체주차장치 및 그랜드식 횡.종형 입체주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리프트와 각층의 적재대에 분할팔레트들을 안착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로, 각각의 팔레트에는 하단에 수개의 휠을 설치하고 각각의 리프트와 적재대의 프레임에는 수개의 안내레일들을 각각의 팔레트의 하방측에 설치하여 구성하며, 이러한 현가장치로 설치되는 각각의 분할팔레트들을 리프트와 적재대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이동장치로는, 리프트의 일부 안내레일사이에는 팔레트를 간섭하여 적재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열을 설치하고 적재대의 일부 안내레일 사이에는 이 구동체인열과 동일연장선상으로 팔레트들을 간섭하는 아이들체인열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며, 이러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 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로는,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는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를 마련하고 이 승강정열대에는 좌우로 수평이동하면서 팔레트들을 부착하여 중앙이나 외측으로 팔레트를 정열하는 팔레트이동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리프트와 각층의 적재대에 분할팔레트들을 안착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의 구성을, 분할팔레트(P1)(P4)(P2)(P3)의 네귀 하단에는 리프트(20)와 적재대(40)사이를 슬라이드 평면이동 할수 있도록 각각 길이방향으로 휠(61)을 설치하고 리프트(20)의 상면과 적재대(40)에는 이 휠(61)의 슬라이드 안내용으로 리프트(20)측에는 4개의 팔레트 하방으로 8개의 레일(61a-62h)을 설치하고, 적재대(40)측에는 이 레일(61a-62h)들과의 좌우연장선으로 각각 8개씩의 레일(63a-63h)을 각각 설치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할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구성을, 리프트(20)에는 외측팔레트(P1)(P4)안쪽인 레일(62b)와 레일(62c)사이의 중간과 레일(62f)과 레일(62g)사이의 중간에 각각 팔레트(P1)(P4)의 좌우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동체인열을 마련하되, 구동체인열을 각각 구동 스프라킷기어(S1a)(S1c)와 아이들 스파라킷기어(S1b)(S1d)를 리프트(20)의 중간프레임(21)상에 구동측봉(65)과 아이들 축봉(65a)으로 피봇축설하여 슬라이드 구동용체인(66a)(66b)들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며, 적재대(40)에는 내측팔레트(P2)(P3)의 외측인 레일(63b)과 레일(63b)사이의 중간과, 레일(63f)과 레일(63g)사이의 중간에 각각 팔레(P1)(P4)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아이들 체인열을 마련하되, 이 아이들체인열은 각각 스프라킷기어(S2a~S2d)를 적재대(40)의 중간프레임(41)상에 아이들 축봉(65a)으로 피봇축설하여 슬라이드 연동용체인(66c)(66d)들을 각각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현가장치로 설치되는 각각의 분할팔레트들을 간섭하여 적재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체인 열과 이 구동체인열과 동일연장선상으로 설치되어 적재대측의 팔레트들을 간섭하는 아이드체인열의 체인구성을 각각의 체인(66a)(66b)(66c)(66d)에 수개의 후크(F1a~F4d, F1x) (F2a~F3d)들을 체인의 전길이에 걸쳐서 적정한 간격을 두고 외향으로 구비하여 각각 팔레트들의 접동편과 간섭 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66a) (66b) (66c) (66d)에 적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개의 후크(F1a~F4d, Flx) (F2a~F3d)들의 구성을 각 후크들은 상하체인편(661) (662)의 중간부를 외햐으로 수평 연장한 후크편(663) (664)을 마련하여 선단에 로울러(665)를 핀(666)으로 유동자유롭게 설치하여서 팔레트들의 접동편과 간섭 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66a) (66b) (66c) (66d)에 수개의 후크(F1a~F4d, F1x) (F2a~F3d)들을 설치하는 간격을, 사용되는 스프라킷기어의 반원둘레(πD/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팔레트들의 접동편과 간섭 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66a) (66b) (66c) (66d)에 적정간격의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체인편(662)의 후단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가이드핀(667)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편(667)을 리프트(20)의 중간프레임(21)상면에서 체인 (66a) (66b) (66c) (66d)의 직진이동부 하방에 고정설치되는 체인레일(67)에 안내되는 구성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3. 제6항에 있어서 현가장치로 설치되는 각각의 분할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 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구성붕에 리프트측 팔레트를 간섭하여 적재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체인열과 이 구동체인열과 동일연장선상으로 설치되어 적재대측의 팔레트들은 간섭하는 아이들체인열의 체인구성에 의하여 간섭되는 팔레트의 간섭구성을, 각 체인 (66a) (66b) (66c) (66d)의 수개의 후크(F1a~F4d, F1x) (F2a~F3d)들과 각각의 스프라킷기어(S1a~S1d) (S2a~S2d)의 수직중심선 상하방에서 접동될 수 있도록, 팔레트의 저면부 4모서리에 작동편(R1a~R1d) (R4a~R4d) (R2a~R2d)(R3a~R3d)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4. 제6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를 마련하되, 리프트(20)의 상부에 자동차가 탑재되는 공간을 두고 네귀에 수직프레임(201)를 설치하여 상부프레임(202) (204) (205)으로 리프트(20)와 같은 크기의 상단을 구비하며, 중앙 상부프레임(203)상의 구동모터(811)와 좌우 구동축(812) (813)을 유니버셜조인트로 된 연결축(814)으로 연동시키고, 이 좌우구동축(812) (813)은 좌우 내측프레임(206) (207)에서 각각 전후로 구동스프라킷기어(815) (816)와 구동피니언(817) (818)을 축설하며, 이 구동피니언(817) (818)에는 좌우프레임(204) (205)의 상단에 설치된 좌우승강측(819) (820)과 피동피니언(821) (822)을 연동시켜 축설하며, 이 좌우 승강축(819) (820)의 양단은 네귀의 수직 프레임(201)까지 연장하여 구동피니언(817) (818)과 치합되는 좌우 2개 피동피니언(821) (822)외에 좌우축에 각각 1개씩의 피동피니언(821a) (822a)과 네귀 수직프레임(201)에 설치된 수직체인열을 구동시키는 양단 2개의 스프라킷기어(823) (823a)를 축설하여 피동피니온(821a) (821a)에는 내측프레임(206) (207)에 축설된 구동축(812a) (813a)의 구동피니언(817a) (818a)과 연동시키며, 이 구동축(812a) (813a)에는 구동스프라킷기어(815) (816)와 대칭위치로 구동스프라킷기어(815a) (816a)를 축설하여, 좌우 승각축(819) (820)의 양단에 설치된스프라킷기어(823) (823a)는 각각 네귀 수직프레임(201)상단에서 복열로 축설된 스프라킷기어중 일측스프라킷기어(824a)와 체인(829)으로 연결되고, 타측스프라킷기어(824)는 하부 스프라킷기어(825)와 체인(828)으로 연동된 수직체인열로 형성하며, 체인(828)일측에는 승강정열대(830)(831)전방프레임(832)(833)의 양단에 부착된수직가이드슈(826)가 연결되어, 네귀의 수직프레임(201)내측에 부착된 수직 안내레인(827)에 각각 수직안내되는 전후2개의 승강정열대(830) (831)로 구성하여 중앙부프레임(834) (835)을 스프라킷기어(815) (816)와 (815a) (816a)에 체인 (841) (842) (841a) (842a)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적 주차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 (831)에는, 각각 좌우프레임(836) (837)의 상면에는 각각 좌우로 랙(843) (844)을 설치하고 패널의 상면에는 수개의 베어링(854)으로 양단을 회전자유롭게 축설한 회전축(855) (856)을 중앙에 고정된 이동모터(852) (853)와 연동시키며 이 회전축(855) (856)의 양단에는 각각 좌우랙(843) (844)에 치합되는 이동피니언(857) (858)을 고정축설하여, 각각의 이동모터(852) (853)를 제어 회전시키면 이동피니언(857) (858)들이 좌우프레임(836) (837)상면의 랙(843) (844)을 타고 전후로 왕복이동 제어되는 팔레트이동대(850) (851)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 (831)구성에서, 각각 좌우프레임(836) (837)의 상면의 랙(843) (844)과 치합하는 팔레트이동대(850) (851)의 이동피니언(857) (858)의 구성을 이동피니언(857) (858)내측으로는 각각 반원추형의 가이드휠(859)을 부착하요 각각의 랙(843) (844)내측단은 이 가이드휠(859)이 안내되는 경사단(84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 (831)로 구성하여 좌우프레임(836) (837)상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팔레트이동대(850) (851)를 구비하고 구성에서 팔레트이동대(850) (851)의 저면에 각각 팔레트부착용 마그네트(860)를 장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동장치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된 리프트상의 팔레트들을 오므리거나 벌려주는 팔레트 정열장치의 구성을 리프트를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력으로 리프트의 팔레트면에서 상부사이를 승강하는 승강정열대(830) (831)로 구성하여 좌우프레임(836) (837)상면에서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팔레트이동대(850) (851)를 구비하고 이 팔레트이동대(850) (851)의 저면에는 팔레트부착용마그네트(860)를 장치하는 구성에서 이 마그네트(860)는 파이프형 지지대(861)에 고정부착되어 팔레트이동대(850) (851)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프링박스(862)에 고정부착되어 팔레트이동대(580) (851)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프링박스(862) 내에 스프링(863)과 스프링시이트(864), 조임나사(865)등으로 상하로 탄력있게 설치되고 마그네트(860)의 전원선(866)은 지지대(861) 내부에서 상부로 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19. 제6항에 있어서 타원식과 횡형 그랜드주차장치에 횡형 분할식 팔레트(P1) (P2) (P3) (P4)를 적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주차대(Pz)에서 자동차(V)를 주행시켜 탑재시키기 위해서 리프트의 벌러진 전후방 팔레트사이에 바퀴주행을 위해 구비되는 탑재 받침대의 구성을, 상승할때는 팔레트의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여 받침면을 형성하고 하강하여 잠입할때는 팔레트의 밑면이하로 잠입하여 분할 팔레트들의 교환작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출몰식의 구성으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0. 제19항에 있어서 리프트에 설치되어 주차대(Pz)의 자동차(V)를 주행시켜 탑재시키기 위해서 리프트의 벌려진전후방 팔레트사이에 바퀴주행을 위해 구비되는 재 받침대의 구성으로 상승할때는 팔레트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여 받침면을 형성하고 하강하여 잠입할때는 팔레트의 밑면이하로 잠입하여 분할 팔레트들의 교환작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출몰식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탑재 받침대자치(700)의 구성으로, 두 팔레트(P1) (P2)의 내측인 팔레트(P2) (P3)의 이동공간부 좌우측에 자동차의 전후륜이 주행할 수 있는 좌우폭과, 팔레트 상면(GL)의 높이로 위치되는 받침면이 형성되게 수개의 받침편(701) (701a)들을 평면상으로는 좌우빗살형으로 배치함을 1조로한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레일(62a)과 좌우 보조밀대(900a) (900b)사이의 좌우측고, 좌우 보조밀대(900a) (900b)와 레일(62d)사이의 좌우측과, 레일(62e)과 좌우 보조밀대(900a) (900b)사이의 좌우측과, 좌우 보조밀대(900c) (900d)와 레일(62f)사이의 좌우측 위치로 8개소에 각각 2조씩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1. 제20항에 있어서 각조의 탑재 받침대장치(700)를 8개소에서 각각 좌우대칭형으로 설치하되, 빗사형 우측받침편(701)를 8개소에서 각각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하되, 빗살형 우측받침편(701)들 사이로좌측받침편(701a)들이 엇갈려 위치되게 2조씩 설치하여 각조의 구성은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4절 링크기구형으로, 각조의 탑재 받침대장치(700)에는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상면에 저면이 고정되고, 일정간격의 빗살형 끼움홈(707)이 상방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요설되며 가로방햐으로는 전후로 끼움홈(707)들을 관통하는 두 개의 축수공(708) (709)이 형성된 받침대(706)를 설치하여, 키홈이 있는 회동축(710) (711)으로 받침편의 전후측지지대(702) (703)를 각각 축수공(708) (709)에 키(712)로 회동자유롭게 축설하고 받침편(701)들은 대칭되는 반대편 받침편(701a) 들과 각각 엇갈려 잠입하강될 수 있도록 받침편폭보다 넓은 간격을 갖고 좌우빗살형으로각각 배치하여 지지대(702) (703)의 상단에 핀(713)으로 유동자유롭게 설치하며 이 받침편(701)의 길이는 레일(62b)과 레일(62c)사이의 중심선(K1)에서 일측보조밀대(900)의 중심선(K2)까지의 길이(D)를 반분한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로 형성하고, 이 받침편(701)들을 지지하여 받침대(706)에 회동축(710) (711)으로 축설되는 지지대(702) (703)들중에 일측 가장자리의 것에는 하부로 각도를 갖고 경사진 작동간(704) (705)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프트(20)의 바닥프레임(23)에 브라켓(715)으로 설치돈 유압실린더(720)의 작동로드(721)에 유동자유롭게 각각 핀(722)으로 축설하여, 지지대(704) (705)각 수직으로 세워져 상단에 유설된 받침편(701) (701a)들의 상면이 최대상승높이인 팔레트 상면(GL)에 위치할때와, 잠입면(SL)까지 하강시켰을시의 승강행정이 유압실린더(720)의 최대스크로크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22.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분할팔레트 방식을 응용하여 타워식 횡.종형 입체주차장치 및 그랜드식 횡.종형 입체주차장치를 구성하여서 각각의 분할팔레트를 리프트와 적재대간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교환이동시키는 작동을 보완하는 장치로, 리프트(20)상의 각 파렐(P1) (P2) (P3)정열위치 하방에는 좌우측 적재대(40)방향으로 작용하는 8개의 보조밀대(900)를 설치하되, 이 보조밀대(900)의 각각의 구성은 선단에는 몸체에 부착된 솔레노이드(909)의 로드(903)에 하단이 부착되어 축(902)을 중심으로 수평상태에서 수직으로 젖혀질 수 있는 작동대(901)가 설치되고, 내부중간판(904)에는 랙(905)을 설치하여 밀대몸체와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작동구(912)로 관통되는, 보조밀대 구동축(910)에 고정축설된 피니언(908)를 치합하며, 중간판(904)밑면에는 가이드슈(907)를 길이방향으로 고정하여 리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에 설치된 레일(906)과 안내되게 설치되며 밀대몸체의 하단은 히프트(20)의 하부프레임(22)위에 수개의 휠(911)로 이동자유롭게 얹혀지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10011526A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526A KR940004909B1 (ko)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526A KR940004909B1 (ko)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37A true KR930002637A (ko) 1993-02-23
KR940004909B1 KR940004909B1 (ko) 1994-06-04

Family

ID=1931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526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909B1 (ko) 1991-07-08 1991-07-08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56B1 (ko) * 1995-04-27 2003-05-23 삼중테크 주식회사 상하좌우이동이가능한차량이송장치
CN110857598A (zh) * 2018-08-22 2020-03-03 武汉艾森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拖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29B1 (ko) * 2006-02-13 2007-05-23 이금철 서랍식 다층 순환 주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56B1 (ko) * 1995-04-27 2003-05-23 삼중테크 주식회사 상하좌우이동이가능한차량이송장치
CN110857598A (zh) * 2018-08-22 2020-03-03 武汉艾森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拖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09B1 (ko) 199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8024A (ko) 입체형 주차시스템
CN112573236A (zh) 一种对位提升装卸机
CN113120643A (zh) 一种新型并联式全自动装车机
KR930002637A (ko) 분할팔레트 방식의 입체식 주차설비
US1826357A (en) Elevator construction
CN214692272U (zh) 一种新型并联式全自动装车机
CN215202667U (zh) 一种预制箱梁预应力张拉千斤顶移动装置
CN2579846Y (zh) 履带式汽车输送装置
JPH073569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212124958U (zh) 模具吊送装置
JP3591073B2 (ja) 多段フォーク装置
JP2630748B2 (ja) 搬送装置付き立体駐車場
CN223118056U (zh) 一种重型提升机的载货台
CN221275061U (zh) 一种高安全性的门式起重机
JP2650810B2 (ja) スラットコンベヤ用スラットバー
JP2989419B2 (ja) 立体駐車場の昇降機能付搬送台車
CN218057465U (zh) 一种集装箱的底侧梁自动上料装置
JPH02182604A (ja) 入出庫用走行クレーン
CN217200392U (zh) 车身零件定位举升工装
CN222934978U (zh) 双齿条提升机
CN214494772U (zh) 砖板升降输送机
CN214643401U (zh) 适应不同产品型号的装配台
JPS62261583A (ja) 自動車組立用車体搬送装置
CN222138125U (zh) 搬运台车
CN111361490B (zh) 模具吊送装置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06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060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